맨위로가기

쓰카하라 보쿠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쓰카하라 보쿠덴은 1489년 일본 히타치국 가시마에서 태어난 무사로, 가시마 신궁의 신관 가문 출신이다. 그는 가시마 고류와 덴진쇼텐카토리신토류 검술을 익혔으며, 무사 수행을 통해 일본 전역을 돌며 검술을 연마했다. 보쿠덴은 가시마 신토류를 창시하고 '무테카츠류'라는 독특한 검술 철학을 선보였으며, "몇 번에 걸친 진검승부에서 칼에 의한 단 한 번의 상처도 입은 적이 없었다"는 전설로 '검성'으로 추앙받았다. 그는 1571년에 83세로 사망했으며, 그의 일화는 소설, 영화, 드라마, 게임 등 다양한 대중문화 콘텐츠로 재해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검객 - 당 태종
    당 태종은 당나라의 제2대 황제로서, 뛰어난 군사적 재능과 정관의 치로 불리는 치세를 통해 당나라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며, 균전제 등 제도를 정비하고 영토를 확장하는 등 긍정적, 부정적 평가를 함께 받는 인물이다.
  • 검객 - 백동수
    백동수는 조선 후기의 무신으로 무예가 뛰어났으며, 정조의 탕평책에 의해 중용되어 장용영에서 활동했고, 이덕무, 박제가와 함께 무예도보통지 편찬에 기여하고 비인현감, 박천군수를 역임했다.
  • 1571년 사망 - 이황
    이황은 16세기 조선의 유학자로, 주자학을 발전시키고 영남학파를 형성했으며, 《주자서절요》, 《성학십도》 등의 저서를 남기고 사단칠정 논쟁을 벌였으며, 만년에 도산서당을 짓고 학문 연구와 후학 양성에 힘쓰다 문묘에 종사되었다.
  • 1571년 사망 - 호조 우지야스
    호조 우지야스는 후호조 씨 제3대 당주로서 간토 지방 통일의 기틀을 다졌으며, 행정 및 경제 개혁, 뛰어난 군사적 능력과 정치적 수완을 통해 호조 가문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사람 - 이시카와 고에몬
    이시카와 고에몬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의 인물로 의적이자 민중 영웅으로 알려졌지만, 역사적 기록 부족으로 실제 삶은 미스터리이며, 권력에 저항하는 상징으로 재해석되어 다양한 전설과 창작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사람 - 스즈키 마고이치
    스즈키 마고이치는 스즈키 씨 일족이 주로 계승한 사이카슈의 두령 칭호로, 여러 인물이 존재하며 그들의 행적은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이 중 이시야마 합전에서 활약한 스즈키 시게히데가 가장 유명하며, 스즈키 시게자네, 스즈키 요시카네, 스즈키 시게토모 등도 관련 인물로 여겨진다.
쓰카하라 보쿠덴
기본 정보
쓰카하라 보쿠덴 상 (이바라키현 가시마시)
본명쓰카하라 신에몬 다카모토
개명요시카와 아사코 (유아명)
쓰카하라 다카미
보쿠덴 (호)
별칭통칭: 신우에몬
도사노카미
도사뉴도
시호보켄고친코지
묘소이바라키현 가시마시 스가의 바이코지
출생엔토쿠 원년 (1489년 경)
사망겐키 2년 2월 11일 (1571년 3월 6일) (향년 83세)
출생지히타치국 (現 이바라키현)
거주지일본
직업사무라이
검성
쇼군 아시카가 요시테루의 사범
씨족요시카와 씨
쓰카하라 씨
가족아버지: 요시카와 가쿠켄
양아버지: 쓰카하라 야스타네
형제: 요시카와 쓰네카타, 보쿠덴
배우자묘 (쓰카하라 야스요시의 딸)
자녀모토시게 (아들)
무술
유파가시마류 검술
제자아시카가 요시테루
기타바타케 도모노리
호소카와 후지타카
이마가와 우지자네
가미이즈미 노부쓰나
야마모토 간스케 외 다수

2. 생애

쓰카하라 보쿠덴은 수많은 진검 승부와 전장 경험에도 불구하고 칼에 의한 상처를 입지 않아 '검성(剣聖)'으로 추앙받았으며, 강담(講談)의 소재로 널리 알려졌다. 『보쿠덴 유훈초』(卜伝遺訓抄)[10]에 따르면, 진검 승부 19회, 전장 37회, 목도 시합 수백 회 동안 베이거나 찔린 적이 없으며, 화살에 맞은 여섯 곳을 제외하고는 적의 무기에 맞은 적이 없고, 212명의 적을 베었다고 한다. 가와고에성 아래에서 가지와라 나가토(梶原長門)와의 대결이 유명하다.

제자로는 우지이 쇼켄(雲林院松軒), 모로오카 이치하(諸岡一羽)[9], 마카베 우지모토(真壁氏幹)[9], 사이토 덴키보(斎藤伝鬼房)[9] 등이 있으며, 아시카가 요시테루[9], 아시카가 요시아키[9], 기타바타케 도모노리(北畠具教)[9], 야마모토 간스케[9] 등에게도 검술을 가르쳤다. 아시카가 요시테루와 기타바타케 도모노리에게는 오의 '히토쓰노타치'를 전수했다.

만년에는 고향에서 여생을 보냈으며, 겐키(元亀) 2년(1571년) 2월 11일에 83세로 사망하였다. 묘는 가시마시 스가에 묘소만 남아있고,[9] 법호는 호켄코친 거사(宝険高珍居士)였다.[9] 위패는 묘소 근처 진언종(真言宗) 사찰 장길사(長吉寺)에 있다.[9]

2. 1. 출생과 성장

쓰카하라 보쿠덴은 히타치국 가시마(지금의 가시마시)에서 가시마 신궁의 신관이자 가시마 씨의 가로였던 우라베 아키카타(요시카와 아키카타)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9] 어렸을 때 이름은 도모타카였다.[9]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아버지의 검도 도장 친구였던 쓰카하라 야스모토의 양자가 되어 이름을 다카모토로 고치고, 쓰카하라 신고에몬 다카모토라고 불렀다.[9] 쓰카하라 씨는 헤이시를 본성으로 하는 가시마 씨의 분가이다. 훗날 보쿠덴은 도사노카미(土佐守) 또는 도사노뉴도(土佐入道)라고도 불렸다.[9] 보쿠덴은 그의 호이며, 본가인 요시카와 집안의 본성인 우라베(卜部)에서 유래했다.[9]

보쿠덴은 친아버지 아키카타로부터 가시마 고류(가시마 중고류라고도 함)를, 양아버지 야스모토로부터는 덴진쇼텐카토리신토류를 배웠다.[9] 『간토 8주 고전록』이나 『보쿠덴 유전서』에 따르면, 마쓰모토 마사노부의 오의인 '히토쓰노타치'(一之太刀)도 양아버지 야스모토로부터 전수받았다고 한다. (마쓰모토로부터 직접 배웠다는 설과 보쿠덴 자신이 독자적으로 개발했다는 설[9]도 있다.)

2. 2. 검술 수련과 무사 수행

가시마 신궁(鹿島神宮)의 신관(神官)이자 다이조 씨(大掾氏)의 일족인 가시마 씨(鹿島氏)의 4가로(四家老) 중 한 명이었던 우라베 아키카타(卜部覚賢, 요시카와 아키카타 吉川覚賢)의 둘째 아들로 히타치국 가시마[8]에서 태어났다.[9] 어렸을 때 이름은 도모타카(朝孝)였다.[9] 아버지의 검도 도장 친구였던 쓰카하라 야스모토(塚原安幹, 쓰카하라 신고에몬 야스모토塚原新右衛門安幹)의 양자가 되어 이름을 다카모토(高幹)라 하고, 신고에몬 다카모토(新右衛門高幹)라 고쳤다.[9]

친아버지 아키카타로부터 가시마 고류(古流)(가시마 중고류(中古流))를 배운 그는 양아버지 야스모토로부터 덴진쇼텐카토리신토류(天真正伝香取神道流)를 배웠다.[9] 마쓰모토 마사노부(松本政信)의 오의(奥義) 「히토쓰노타치」(一之太刀)도 양아버지 야스모토로부터 전수받았다고 한다.[9] 이후 무사 수행을 위한 여행에 나서서 자신의 검술을 갈고 닦았다. 보쿠덴의 제자인 가토 노부토시(加藤信俊)의 손자가 쓴 『보쿠덴 유훈초』(卜伝遺訓抄)[10]의 후서(後書)에 따르면, 17세에 교토 기요미즈데라(清水寺)에서 진검 승부를 하여 승리한 후, 오기칠도(五畿七道)를 편력하였다고 한다.

보쿠덴은 일본 여러 지역을 돌면서 무사 수행을 하였는데, 그 행렬에는 80명에 달하는 문인들을 거느리고 큰 매 세 마리를 데리고 갈아탈 말을 세 필이나 두고 있는 호방하고 장대한 행렬이었다고 전해진다.[9]

비와호의 배 위에서 젊은 검객들에게 시비가 걸렸을 때, 보쿠덴은 싸우지 않고 이기는 "무수승류(無手勝流)"를 보여주었다는 일화가 고요군칸(甲陽軍鑑)에 실려 있다.[11] 보쿠덴은 결투를 신청하는 혈기왕성한 검객을 피해 작은 섬으로 배를 옮겼으나, 검객이 섬에 내리자 노를 저어 멀리 가버렸다. 보쿠덴은 "싸우지 않고 이기는 것[11], 이것이 무수승류(無手勝流)니라"라며 크게 웃고 떠나갔다고 한다.

미야모토 무사시가 보쿠덴에게 도전하여 칼을 내리치자, 보쿠덴이 냄비 뚜껑으로 막았다는 일화가 있지만, 이는 보쿠덴 사후에 무사시가 태어났기 때문에 지어낸 이야기이다.

쓰카하라 보쿠덴은 양아버지로부터 덴신쇼덴 카토리 신토류를 배우고, 이후 일본 전역을 돌아다니며 당대 최고의 실력과 지식을 갖춘 검객들과 훈련하는 ''무샤슈교''(무사의 수행)를 통해 기량을 연마했다. 그는 가시마 지역의 무술 교육을 체계화했는데, 여기에는 ''가시마노 타치''와 ''이치노 타치''와 같은 전투 방식이 포함되었다. 가시마 신사의 타케미카즈치노 카미로부터 영감을 얻었다고 전해지며, 그는 자신의 무술 체계를 가시마 신토류라고 명명했다. 그는 또한 잠시 동안 자신의 체계를 ''무테카츠류''("손을 쓰지 않고 이기는 법")라고 불렀다.

2. 3. 무패 신화와 일화

쓰카하라 보쿠덴은 여러 차례 진검 승부를 펼쳤음에도 불구하고 칼에 의한 상처를 한 번도 입지 않았다는 전설로 인해 후세에 '검성(剣聖)'으로 추앙받았으며, 강담(講談)의 소재로 널리 알려졌다.

다음은 보쿠덴과 관련된 유명한 일화들이다.

  • 무수승류(無手勝流): 고요군칸(甲陽軍鑑)에 실린 일화이다. 보쿠덴은 비와호의 배 위에서 젊은 검객에게 결투 신청을 받았다. 싸움을 피하려 했지만, 혈기왕성한 검객은 보쿠덴이 겁을 먹었다고 오해했다. 보쿠덴은 주변에 폐를 끼치지 않기 위해 작은 배로 근처 섬으로 이동하여 결투를 하는 척하다가, 검객이 얕은 물에 뛰어내리자 그대로 노를 저어 섬에서 멀어져 갔다. 섬에 홀로 남게 된 검객이 욕을 하자, 보쿠덴은 "싸우지 않고 이기는 것[11], 이것이 무수승류(無手勝流)니라"라며 크게 웃었다고 한다.
  • 미야모토 무사시와의 대결 (허구): 젊은 미야모토 무사시가 식사 중인 보쿠덴에게 칼을 내리치자, 보쿠덴은 이로리(囲炉裏)의 냄비 뚜껑으로 막아냈다는 일화가 있다. 그러나 보쿠덴은 무사시가 태어나기 전에 사망했기 때문에 이는 지어낸 이야기이다.


미야모토 무사시의 칼을 받아내는 쓰카하라 보쿠덴. 메이지 시대 쓰키오카 쓰난의 작품.

2. 4. 만년과 죽음

쓰카하라 보쿠덴은 만년에 고향에서 여생을 보냈다. 『가시마사』(鹿島史)에 따르면 겐키(元亀) 2년(1571년) 2월 11일에 사망하였으며, 향년 83세였다. 『덴신쇼텐신토류 병법전록』(天真正伝新当流兵法伝脉)에는 가시마의 누마오 향(沼尾郷) 다노(田野)[12](지금의 일본 가시마시 누마오)에 있는 마쓰오카 노리카타(松岡則方)의 집에서 사망하였다고 한다.

보쿠덴의 묘는 도요사토 촌(豊郷村) 스가즈카하라(須賀塚原, 스가 촌須賀村, 지금의 일본 가시마 시 스가)의 매향사(梅香寺)에 있었으나, 화재로 소실되어 묘소만 남아 있다.[9] 법호(法号)는 호켄코친 거사(宝険高珍居士)였다.[9] 위패는 묘소 근처에 있는 진언종(真言宗) 사찰인 장길사(長吉寺)에 있다.[9]

일본 검술에 헌신하는 사람들은 검술의 정신적 고향으로 여겨지는 가시마 신궁순례를 하곤 했다.

3. 검술 유파와 계승

쓰카하라 보쿠덴의 제자로 전통적으로 여겨지는 인물들과 전승상 제자로 여겨지는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이름
우지이 쇼켄(雲林院松軒)
모로오카 이치하/잇파(諸岡一羽)
마카베 우지모토(真壁 氏幹)
나리타 나가야스(成田 長泰)
사이토 덴키보(斎藤伝鬼房)
마츠오카 노리카타(松岡則方)[3]
하야시자키 진스케(林崎甚助)
아시카가 요시테루
키타바타케 토모노리
호소카와 후지타카[3]
이마가와 우지자네
카미이즈미 노부츠나
야마모토 칸스케
우미노 테루유키
호소카와 유사이
모로오카 이치우


4. 대중문화 속의 보쿠덴


  • 이케나미 쇼타로의 소설 "보쿠덴 최후의 여행" (카도카와 그룹 퍼블리싱, 1980)[4]
  • 쓰모토 요의 소설 "쓰카하라 보쿠덴 12번의 승부" (고단샤, 1983)[4]
  • 나카야마 요시히데의 소설 "쓰카하라 보쿠덴" (도쿠마 서점, 1989)[4]
  • 미네 류이치로의 소설 "일본 검귀전 쓰카하라 보쿠덴" (쇼덴샤, 1993)[4]
  • 이시노모리 쇼타로의 소설 "쓰카하라 보쿠덴" (쇼가쿠칸, 1996)[4]
  • 야하기 유키오의 소설 "무패의 검성 쓰카하라 보쿠덴" (고단샤, 2011)[4]
  •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의 영화 ''7인의 사무라이''에서 고로베이의 검술 실력을 시험하는 장면은 쓰카하라의 일화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4]
  • NHK BS 프리미엄에서 방영된 드라마 쓰카하라 보쿠덴 (2011년 10월 2일 ~ 11월 13일, 사카이 마사토 주연, 원작: 쓰모토 요의 "쓰카하라 보쿠덴 12번의 승부")[4]
  • 비디오 게임 Nioh 2에서 쓰카하라 보쿠덴은 전투 교사로 등장하며, 플레이어는 새로운 기술을 배우기 위해 그를 쓰러뜨려야 한다.[4]

참조

[1] 웹사이트 KASHIMA CITY/The Statue of Tsukahara Bokuden http://city.kashima.[...]
[2] 웹사이트 The Art of Fighting Without Fighting https://www.snakevsc[...] 2020-12-20
[3] 서적 Tsukahara Bokuden Ibaraki Shimbun
[4] AV media Akira Kurosawa: It Is Wonderful to Create
[5] 문서 卜伝百首
[6] 인용 孫子
[7] 웹사이트 広報 うしく https://www.city.ush[...] 2024-12-03
[8] 문서 가시마시 (이바라키현) 미야나카(宮中)
[9] 서적 塚原卜伝 茨城新聞社
[10] 문서 보쿠덴 백수
[11] 인용 손자병법
[12] 문서 가시마 시 누마오(沼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