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동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동수는 신임사화 연루되어 죽은 백시구의 증손으로, 조선 후기의 무관이다. 그는 김광택에게 검법을 배우고, 이덕무, 박지원 등과 교류하며 무예와 학문을 연마했다. 1771년 무과에 급제했으나 서얼 신분으로 인해 관직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정조 시대에 장용영 초관 등을 역임하고 무예도보통지 편찬에 참여했다. 이후 여러 관직을 거쳤으나 탐오 혐의로 유배되기도 했다. 1816년 7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검객 - 당 태종
당 태종은 당나라의 제2대 황제로서, 뛰어난 군사적 재능과 정관의 치로 불리는 치세를 통해 당나라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며, 균전제 등 제도를 정비하고 영토를 확장하는 등 긍정적, 부정적 평가를 함께 받는 인물이다. - 검객 - 아서왕
아서왕은 5~6세기 브리튼의 전설적인 왕으로, 역사적 실존 여부는 불분명하지만, 12세기 몬머스의 제프리가 쓴 《브리타니아 열왕사》를 통해 아서 왕 전설이 정립되어 중세 문학 전통에서 널리 다루어졌다. - 1816년 사망 - 마리아 루도비카 베아트릭스 폰 외스터라이히에스테
마리아 루도비카 베아트릭스 폰 외스터라이히에스테는 나폴레옹에 반대하며 오스트리아 황제 프란츠 1세와 결혼하여 반(反) 나폴레옹 세력의 중심 인물로 활약했으며, 헝가리 왕비 즉위식에서 지원 약속을 받아내고 빈 회의를 주최했으나, 고향으로 돌아가 결핵으로 사망했다. - 1816년 사망 - 가브릴라 데르자빈
가브릴라 데르자빈은 18세기 러시아의 시인으로, 공직 생활을 하면서 예카테리나 2세에게 헌정한 송시 <펠리사>로 명성을 얻었으며, 서정시에 다양한 감정을 담아 니콜라이 네크라소프 등에게 영향을 미쳤다. - 1743년 출생 - 니콜라 드 콩도르세
니콜라 드 콩도르세는 프랑스의 수학자, 철학자, 정치인이자 계몽주의 사상가로서, 수학 분야에서 업적을 남기고 프랑스 혁명 기간 동안 진보적인 정치 사상을 펼쳤으며, 인류의 무한한 진보를 전망한 『인간 정신 진보의 역사적 개관 초고』와 선거 방법론을 다룬 『다수결의 결정 확률에 대한 분석의 적용에 관한 논문』 등의 저서를 남겼다. - 1743년 출생 - 프리드리히 하인리히 야코비
프리드리히 하인리히 야코비는 독일의 철학자, 작가, 사업가로, 칸트 등 독일 관념론 철학을 비판하고 이성과 믿음의 관계에 대한 독자적인 사상을 제시했으며, 독일 사상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백동수 | |
---|---|
인물 정보 | |
씨명 | 백동수 |
한글 | 백동수 |
한자 | 白東脩 |
로마자 표기 | Baek Dong-su |
직업 | 무관 |
생애 | |
출생 | 1743년 |
사망 | 1816년 |
배우자 | 진주 유씨 |
자녀 | 백심진 |
가계 | |
아버지 | 백사굉 |
증조부 | 백시구 |
조부 | 백상화 |
2. 생애
백동수는 신임사화에 연루되어 죽은 백시구의 증손이자 백상화의 손자이며, 백사굉의 아들로 태어났다. 이덕무의 처남이기도 한 그는, 조부 백상화가 서자였기 때문에 신분상 서얼에 속했다.
1743년에 태어난 백동수는 '검선(劍仙)'이라 불리던 김체건의 아들 김광택에게서 조선검법을 전수받았다. 그는 도가적 전통 단학으로 내공을 쌓고, 만약의 부상에 대비해 의술까지 익혔다. 청년 시절에는 학문보다 무협에 심취하여 주위의 우려를 사기도 했지만, 박지원, 이덕무와 같은 좋은 친구들이 곁에 있었다.
1771년(영조 47) 식년시 병과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에 임명되었으나, 서얼이라는 신분적 한계와 숙종 이후 만연했던 만과(萬科)로 인해 관직을 얻지 못했다. 1773년 가난 때문에 가족과 함께 한성을 떠나 강원도 기린협(현재의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으로 이주하여 직접 농사를 짓고 목축을 하며 생활했다.
1776년 정조가 친위군영인 장용영을 조직하면서 서얼 무사들을 등용할 때, 백동수는 창검의 일인자로 추천받았다.[6] 1787년(정조 11) 집춘영 초관을 거쳐 1788년(정조 12) 어영청 초관을 역임하였다. 1789년(정조 13) 분수문장에 임명되고 장용영 초관을 지냈다. 그해 4월, 정조의 명으로 이덕무, 박제가와 함께 무예도보통지 편찬에 참여하였다.
1790년(정조 14) 부사직에 임명되고, 6월 3일 훈련주부에 임명되었다. 1791년(정조 15) 훈련판관, 1792년(정조 16) 충청도 비인현감(현재의 충청남도 서천군)을 역임하였다. 1795년(정조 19) 혜경궁 홍씨 환갑 잔치 때 장용영 초관에서 훈련첨정으로 승진하였다. 1796년(정조 20) 장흥고주부를 거쳐 1802년(순조 2) 평안도 박천군수(현재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북도 박천군)에 임명되고 파총을 겸하였다.
1806년(순조 6), 영의정 이병모가 관서의 탐오(貪汚)함을 보고하며 백동수를 경상도 단성현에 정배(定配)할 것을 요청했고, 순조가 이를 받아들였다. 이후 다시 서용되어 1810년(순조 10) 군기부정(軍器副正)에 제수되었고, 1816년 74세로 생을 마감하였다.
2. 1. 출생과 성장
신임사화에 연루되어 죽은 충장공 백시구(白時耉)의 증손이며, 백상화(白尙華)의 손자이자 백사굉(白師宏)의 아들이다. 이덕무의 처남이기도 하다. 조부인 백상화가 서자였기에 신분상 서얼에 속하였다.1743년 김체건의 아들로, ‘검선(劍仙)’이라 불리던 김광택에게 조선검법을 전수받았다. 도가적 전통 단학으로 내공을 쌓고 만약의 부상에 대비해 의술까지 익혔다. 청년 시절에는 학문을 멀리하고 무협의 세계에 깊이 빠져들어 주위의 우려를 사기도 했으나, 연암 박지원, 이덕무 같은 좋은 친구들이 있었다.
2. 2. 무과 급제와 관직 생활
1771년(영조 47) 신묘(辛卯)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에 제수되었으나 서얼이라는 신분상의 한계와 숙종대 이후부터 지독하게 퍼진 만과(萬科)로 인해 관직 수가 턱없이 부족해 벼슬을 얻지 못하였다.[6] 1773년 가난을 이유로 식솔들과 함께 미련 없이 한성을 떠나 강원도 기린협(현재의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으로 들어가 직접 농사를 짓고 목축을 하면서 세월을 보냈다.1776년(정조 즉위년) 정조가 친위군영인 장용영을 조직하면서 서얼 무사들을 등용할 때 창검의 일인자로 추천받았고, 1787년(정조 11) 집춘영(集春營) 초관(哨官)을 거쳐 1788년(정조 12) 어영청 초관(哨官)을 역임하였다.
1789년(정조 13) 분수문장(分守門將)에 제수되고, 장용영 초관(哨官)을 지냈다. 이해 4월 새로운 무예서를 편찬하라는 정조의 명에 따라 검서관(檢書官)이었던 이덕무, 박제가와 함께 무예도보통지의 편찬에 참여하였다.[1]
1790년(정조 14) 부사직(副司直)에 단부되고, 이해 6월 3일 훈련주부(訓鍊主簿)에 제수되었다. 1791년(정조 15) 훈련판관(訓鍊判官)에 제수되고, 1792년(정조 16) 충청도 비인현(庇仁縣, 현재의 충청남도 서천군) 현감(縣監)을 역임하였다. 1795년(정조 19) 혜경궁 홍씨 환갑 탄신(誕辰) 진찬(進饌) 때 장용영 초관에서 훈련첨정(訓鍊僉正)으로 가설(加設)되었다. 1796년(정조 20) 장흥고주부(長興庫主簿)를 거쳐 1802년(순조 2) 평안도 박천군(博川郡, 현재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북도 박천군) 군수(郡守)에 제수되고, 파총(把摠)을 겸하였다.[3]
2. 3. 《무예도보통지》 편찬
1789년(정조 13) 정조의 명에 따라 이덕무, 박제가와 함께 무예도보통지 편찬에 참여하였다. 백동수는 장용영 초관(哨官)으로, 분수문장(分守門將)을 겸직하며 검서관(檢書官)이었던 이덕무, 박제가와 함께 이 작업을 수행했다.[6]2. 4. 관직 생활과 유배
1771년(영조 47) 식년시(辛卯) 병과(丙科)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에 제수되었으나 서얼이라는 신분상의 한계와 숙종대 이후부터 지독하게 퍼진 만과(萬科)로 인해 관직 수가 턱없이 부족해 벼슬을 얻지 못하였다. 1773년 가난을 이유로 식솔들과 함께 미련 없이 한성을 떠나 강원도 기린협(현재의 강원도 인제군)으로 들어가 직접 농사를 짓고 목축을 하면서 세월을 보냈다.1776년(정조 즉위년) 정조가 친위군영인 장용영을 조직하면서 서얼 무사들을 등용할 때 창검의 일인자로 추천받았고,[6] 1787년(정조 11) 집춘영(集春營) 초관(哨官)을 거쳐 1788년(정조 12) 어영청 초관(哨官)을 역임하였다.
1789년(정조 13) 분수문장(分守門將)에 제수되고, 장용영 초관(哨官)을 지냈다. 이해 4월 새로운 무예서를 편찬하라는 정조의 명에 따라 검서관(檢書官)이었던 이덕무, 박제가와 함께 무예도보통지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1790년(정조 14) 부사직(副司直)에 단부되고, 이해 6월 3일 훈련주부(訓鍊主簿)에 제수되었다. 1791년(정조 15) 훈련판관(訓鍊判官)에 제수되고, 1792년(정조 16) 충청도 비인현감(庇仁縣監)을 역임하였다. 1795년(정조 19) 혜경궁 홍씨 환갑 탄신(誕辰) 진찬(進饌) 때 장용영 초관에서 훈련첨정(訓鍊僉正)으로 가설(加設)되었다. 1796년(정조 20) 장흥고주부(長興庫主簿)를 거쳐 1802년(순조 2) 평안도 박천군수(博川郡守)에 제수되고, 파총(把摠)을 겸(兼)하였다.
1806년(순조 6) 영의정 이병모가 관서의 탐오(貪汚) 함을 아뢰길, "법을 왜곡하지 않고 뇌물을 받았다는 것으로 논하여 죄를 1천리 유형(流刑)에 그치었으나 원지 정배(遠地定配)한 다음, 이어서 금고(禁錮)의 전형을 실시하소서."라고 청하자 순조가 말하기를, “해부(該府)에서 이미 도계를 보고 그 죄상을 알고 있으니 이같이 의율(擬律)하는 것이 어떻겠는가?”하고, 그대로 따라 경상도 단성현(慶尙道 丹城縣)에 정배(定配)되었다.
다시 서용되어 1810년(순조 10) 군기부정(軍器副正)에 제수되고, 1816년 향년 74세로 운명하였다.
2. 5. 복권과 죽음
1806년(순조 6) 영의정 이병모가 관서 지방의 탐오(貪汚)함을 아뢰며, "법을 왜곡하지 않고 뇌물을 받았다는 것으로 논하여 죄를 1천 리 유형(流刑)에 그치었으나 원지 정배(遠地定配)한 다음, 이어서 금고(禁錮)의 전형을 실시하소서."라고 청하였다. 순조는 이를 받아들여 백동수를 경상도 단성현에 정배하였다.[6]이후 다시 서용되어 1810년(순조 10) 군기부정(軍器副正)에 제수되었고, 1816년 74세로 사망하였다.
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증조부 | 백시구 | 1649년 ~ 1722년, 평안병사 증호조판서 |
조부 | 백상화 | 1691년 ~ 1768년, 장연현감 |
부 | 백사굉 | 1721년 ~ 1792년, 동지중추부사 |
부인 | 진주 유씨 | 1738년 ~ 1790년, [7] |
아들 | 백심진 | |
아들 | 백성진 | |
동생 | 백동간 |
신임사화에 연루되어 고문 끝에 목숨을 잃은 증 호조 판서 충장공 백시구의 증손이며, 백상화의 손자이다. 아버지는 절충장군이자 행용양위 부호군이기도 했던 백사굉이며, 이덕무는 의붓 삼촌(백사굉의 자매의 남편)에 해당한다.
4. 평가
이덕무는 《청장관전서》에서 "백동수는 딴 세상을 노니는 사람 같았다."고 평했다. 중년에는 학문에 뜻을 두어 박지원, 성대중 같은 대학자들로부터 ‘무(武)로써 문(文)을 일궜다’는 평가를 받았다.
5. 대중 매체
백동수는 여러 대중 매체에서 등장했다.
5. 1. 드라마
5. 2. 영화
오지호는 2012년 영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에서 백동수 역을 연기했다.참조
[1]
간행물
《무예도보통지》가 완성되다
null
朝鮮王朝実録
1790-04-29
[2]
뉴스
[이광형의 ‘문화재 속으로’](79) 무사 백동수의 ‘무예도보통지
http://news.kukinews[...]
国民日報
2011-07-31
[3]
웹사이트
파총(把総)
http://people.aks.ac[...]
2012-03-30
[4]
웹사이트
백시구(白時耉)
http://people.aks.ac[...]
2012-03-26
[5]
뉴스
이름난 선비들의 가르침을 받고1
http://www.suwon.com[...]
水原日報
2003-09-21
[6]
웹사이트
http://www.ohmynews.[...]
[7]
문서
5살 연상, 50대 나이로 일찍 세상을 떠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