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쿠다 아키타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쓰쿠다 아키타다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로, 포지션은 포수였다. 와세다 실업고등학교 재학 시절 1루수와 포수로 고시엔 대회에 출전했으며, 1954년부터 1957년까지 마이니치 오리온스, 1958년부터 1959년까지 긴테쓰 펄스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 1956년에는 올스타전에 출전했고, 1955년에는 이스턴 리그 수위 타자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이니치 오리온스 선수 - 사토 헤이시치
사토 헤이시치는 홋카이도 출신으로 마이니치 오리온스와 한큐 브레이브스에서 투수로 활약하며 1950년 마이니치 오리온스의 퍼시픽 리그 첫 우승에 기여했고 1951년 올스타전에도 출전한 일본의 프로 야구 선수였다. - 마이니치 오리온스 선수 - 고 쇼세이
고 쇼세이는 가노 야구단, 요미우리 자이언츠, 한신 타이거스, 지바 롯데 마린스에서 활약하며 '인간 기관차'라는 별명을 얻은 대만 출신 일본 프로 야구 선수로, 요미우리와 한신에서 모두 주력 선수로 활약, 2년 연속 수위 타자 및 최우수 훈장 선수 수상, 은퇴 후 사업가, 귀화 후 이시이 마사유키로 개명,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긴테쓰 버펄로스 선수 - 노모 히데오
노모 히데오는 독특한 투구폼으로 유명하며 NPB와 MLB에서 모두 성공을 거둔 일본의 前 프로 야구 선수이자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투수로, 일본 선수들의 메이저 리그 진출 붐을 일으킨 선구자이다. - 긴테쓰 버펄로스 선수 - 백인천
백인천은 중화민국 출신의 대한민국 야구 선수 및 감독으로, 일본과 한국에서 선수와 지도자로 활동하며, KBO 리그에서 1982년 최고 타율을 기록하고, LG 트윈스를 우승으로 이끌었으며, 해설위원으로도 활동했다. - 일본 프로 야구 포수 - 후루타 아쓰야
후루타 아쓰야는 일본 프로 야구 선수, 감독, 해설가 및 방송인으로,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주전 포수로서 뛰어난 타격과 수비 능력으로 MVP를 수상하고 도루 저지율 신기록을 세웠으며, 선수회 회장으로서 파업을 주도하여 선수 권익 신장에 기여했고 야쿠르트 스왈로스 감독을 역임했다. - 일본 프로 야구 포수 - 기시다 유키노리
기시다 유키노리는 요미우리 자이언츠 소속의 일본 프로 야구 선수로, 보덕학원고와 오사카 가스를 거쳐 2017년 입단 후 백업 포수로 활동하며 2루 송구 능력과 밝은 성격으로 팀에 기여하고 있다.
쓰쿠다 아키타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선수 정보 | |
선수명 | 쓰쿠다 아키타다 |
로마자 표기 | Akitada Tsukuda |
가나 | つくだ あきただ |
한자 | 佃 明忠 |
국적 | 일본 |
출신지 | 도쿄도 |
신장 | 178 |
체중 | 72 |
투구 | 우 |
타석 | 우 |
수비 위치 | 포수 |
프로 입단 연도 | 1954년 |
첫 출장 | 1954년 |
마지막 경기 | 1959년 |
경력 | |
구단 | 마이니치 오리온스 (1954 ~ 1957) 긴테쓰 펄스 (1958) 긴테쓰 버펄로 (1959) |
출신 학교 | 와세다 실업학교 고등부 |
사진 정보 | |
![]() |
2. 학창 시절
와세다 실업고등학교 1학년 때 1루수로서 1951년 하계 고시엔 대회(제33회 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수권 대회)에 출전했다. 1차전 상대인 미야코지마 공업고등학교에게 패하면서 탈락했는데[5] 당시 팀 동료는 다카하시 유니온스에 입단한 다나카 준지가 있었다. 3학년이 된 1953년 춘계 선발 대회(제25회 선발 고등학교 야구 대회)에도 포수로 출전했는데 1차전 상대인 도사 고등학교한테 완봉패를 당했다.[6] 이때 팀 동료는 다나카 외에도 니시테쓰 라이온스에 입단한 사이토 기요히로, 에노모토 기하치가 있었다.
마이니치 오리온스(1954년 ~ 1957년)
3. 프로 선수 경력
긴테쓰 펄스·긴테쓰 버펄로(1958년 ~ 1959년)
와세다실업에서는 1학년 때인 1951년에 1루수로 여름 고시엔에 출전했지만, 1회전에서 미야코지마 공고에 패배했다.[1] 팀 동료로는 다카하시의 다나카 준지가 있었다. 3학년 때인 1953년에는 봄의 선발에 포수로 출전했지만, 1회전에서 도사고에 완봉패를 당했다.[2] 이때 팀 동료로는 다나카 외에 니시테츠의 사이토 마사히로, 에노모토 키하치가 있었다.
졸업 후인 1954년에 마이니치 오리온스에 입단, 2년째인 1955년에는 이스턴 리그에서 수위 타자를 획득했다.[3] 3년째인 1956년에는 누마자와 코이치로·우카이 쇼세츠와 주전 포수 자리를 다퉜지만, 본인 유일의 두 자릿수인 11개의 홈런을 기록, 올스타전에도 출전했다. 7월 3일의 제1전(고라쿠엔)에서는 시마바라 유키오·카지모토 타카오·아라마키 준·타케치 후미오와 배터리를 이루어, 8회에는 하세가와 료헤이로부터 2점 홈런을 쳐서 전 파의 승리에 기여했다.[4] 1957년에는 와세다 실업 후배인 다이고 타케오가 입단하여 다이고의 백업이 되었다. 1958년에는 긴테츠 펄스로 이적하여, 그해에는 주전 포수로 활약했지만, 1959년에는 카토 마사토시에게 주전 자리를 내주고, 그해를 마지막으로 현역에서 은퇴했다.
3. 1. 마이니치 오리온스 시절
1954년 마이니치 오리온스에 입단하여, 1955년에는 이스턴 리그에서 수위 타자를 획득했다.[3] 1956년에는 누마자와 코이치로, 우카이 쇼세츠와 주전 포수 자리를 다퉜으며, 11개의 홈런을 기록하여 올스타전에도 출전했다.[4] 7월 3일 제1전(고라쿠엔)에서는 시마바라 유키오, 카지모토 타카오, 아라마키 준, 타케치 후미오와 배터리를 이루었고, 8회에는 하세가와 료헤이에게서 2점 홈런을 쳐서 전 파의 승리에 기여했다.[4] 1957년에는 와세다 실업 후배인 다이고 타케오가 입단하면서 다이고의 백업이 되었다.
3. 2. 긴테쓰 펄스 시절
1958년 긴테쓰 펄스로 이적하여 그 해에는 주전 포수로 활약했지만,[4] 1959년에는 카토 마사토시에게 주전 자리를 내주고 그 해를 마지막으로 현역에서 은퇴했다.
4. 상세 정보
4. 1. 출신 학교
와세다 실업고등학교를 졸업했다.4. 2. 선수 경력
마이니치 오리온스(1954년 ~ 1957년)와 긴테쓰 펄스·긴테쓰 버펄로(1958년 ~ 1959년)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4. 3. 개인 기록
쓰쿠다 아키타다는 1956년에 올스타전에 1회 출장했다.4. 4. 등번호
쓰쿠다 아키타다는 1954년부터 1955년까지 등번호 19번을 사용했고, 1956년부터 1957년까지는 20번, 1958년부터 1959년까지는 9번을 사용했다.4. 5. 연도별 타격 성적
도
속
기
석
수
점
타
루
타
루
타
런
타
점
루
루
자
생
번
생
플
넷
4
구
진
살
타
율
루
율
타
율
P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