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디에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르디에이는 기원전 3세기부터 기록에 등장하는 고대 일리리아 부족으로, "왜가리"를 뜻하는 라틴어 단어에서 유래되었을 수 있다. 아르디에이는 아우타리아타에와의 영토 분쟁, 로마와의 일리리아 전쟁 등을 겪으며 역사에 등장했다. 기원전 3세기에는 아그론 왕의 통치 하에 군사력을 얻어 세력을 확장했으나, 로마의 개입으로 인해 쇠퇴했다. 아르디에이는 해적 행위로 인해 로마에게 내륙으로 밀려났으며, 스트라보에 의해 가장 강력했던 일리리아 민족 중 하나였으나 결국 멸망한 것으로 기록되었다. 아르디에이 왕조는 플루라투스 2세, 아그론, 테우타, 핀네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달마티아의 역사 - 카를로비츠 조약
카를로비츠 조약은 1699년 오스만 제국과 신성 동맹 간의 대튀르크 전쟁을 종식시키며 오스만 제국이 유럽에서 상당한 영토를 상실하고 합스부르크 왕가가 헝가리, 크로아티아, 슬라보니아 대부분을 획득하는 결과를 가져온 평화 조약으로, 오스만 제국의 쇠퇴와 합스부르크 왕가의 부상을 상징한다. - 달마티아의 역사 - 일리리아
일리리아는 고대 그리스 작가들이 아드리아해 연안의 여러 부족들을 일컫는 용어로, 기원전 8세기 엔켈레를 중심으로 왕국이 세워졌으나 로마 제국에 정복되어 일리리쿰 속주로 편입되었고, 19세기 일리리아 운동을 통해 이름이 부활하기도 했다. - 몬테네그로의 역사 - 몬테네그로 왕국
1910년 몬테네그로 공국이 니콜라 1세에 의해 왕국으로 선포되었으나, 발칸 전쟁으로 영토를 확장한 후 제1차 세계 대전 중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점령되어 1918년 세르비아와 통합,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고, 니콜라 1세는 통합에 반대하며 망명 중 사망했다. - 몬테네그로의 역사 - 발칸 동맹
발칸 동맹은 1912년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여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불가리아, 그리스가 결성한 군사 동맹으로, 복잡한 국제 정세와 각국의 이해관계 충돌, 오스만 제국의 약화가 배경이었으나, 영토 야망과 불신으로 제2차 발칸 전쟁을 초래하며 붕괴되어 제1차 세계 대전 발발에 영향을 미쳤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역사 - 보스니아 왕국
보스니아 왕국은 중세 시대 발칸 반도에서 강력한 국가였으나, 오스만 제국의 압력과 봉건 분열로 쇠퇴하여 멸망한 국가이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역사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은 유고슬라비아 해체 후 독립을 선언하고 보스니아 전쟁을 거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 수립으로 소멸한 국가로, 전쟁 중에도 교육 유지, 우표 발행, 스포츠 성과 등의 활동을 했다.
아르디에이 | |
---|---|
부족 정보 | |
![]() | |
이름 | 아르디아에이족 |
다른 이름 | 바르다에이족 우아르다에이족 |
언어 | 일리리아어 |
위치 | 네렌트바강 계곡에서 제티강까지 |
역사적 시대 | 고대 |
민족 | 일리리아인 |
하위 그룹 | 멜쿠마니족 헨케테이족 다른 알려지지 않은 키나라이족 |
정치 | |
수도 | 스코드라 리손 샤코데르 |
정부 | 부족 사회 → 왕국 |
역사 | 기원전 3세기 ~ 기원전 168년 |
주요 인물 | 아론 핀네스 겐티우스 |
2. 명칭
2. 1. 어원
아르디에이(Ardiaei)라는 부족의 이름은 "왜가리"를 뜻하는 라틴어 ''ardea''와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동물 토테미즘의 상징이다.2. 2. 기록
아르디에이는 기원전 3세기부터 기록에 등장한다. 그들은 종종 일리리아 전쟁과 마케도니아 전쟁을 묘사하는 고대 기록에 등장한다. 그들의 이름은 고대 그리스어로 Ἀρδιαῖοι, ''Ardiaioi'' 또는 Οὐαρδαῖοι, ''Ouardaioi''로, 라틴어로는 ''Vardiaei'' 또는 ''Vardaei''로 표기되었다.[6]3. 위치
고대 자료에 따르면 아르디에이의 원래 위치에 대한 혼란이 많다.[7] 기원전 4세기까지 아르디에이는 해안 민족이 아니었으며, 기원전 3세기 중반 이후 로마 역사학에서 묘사되었다. 그들과 아우타리아타에 사이의 전쟁 원인으로 추론할 수 있는데, 이는 국경 근처의 염전 소유권을 놓고 벌어진 오랜 갈등이었다. 만약 그들이 아드리아해 해안 지역에 거주했다면, 산 염천 때문에 그렇게 위험한 전쟁을 벌일 필요는 없었을 것이다.[7]
아르디에이가 해안에 도착한 것은 기원전 4세기 중반 이후 어느 시점이어야 하는데, 당시의 프세도-스킬락스의 ''페리플루스''에는 이 일리리아 부족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기 때문이다. 당시 나로강 하류는 마니오이가 거주했고, 중류는 아르디에이가 거주했을 가능성이 높다. 아르디에이와 아우타리아타에의 영토는 '대호' 근처의 나로강 상류 계곡 어딘가에서 만났을 것인데, 이는 ''페리플루스''에 의해 증명되었으며, 후토보 블라토로 확인되었다. 아우타리아타에가 호수의 반대편에 거주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 기원전 2세기 동안 마니오이는 역사적 자료에서 사라졌으며, 이전 지역의 일부는 아르디에이와 다오르시가 대체했고, 이전 아우타리아타에 영토의 일부는 나렌시이가 거주했다. 그들의 부족 이름은 나렌시이가 확실히 나론강을 따라 일부 지역에 거주했으며, 아우타리아타에가 지배했던 연합이 붕괴된 후에 역사적 자료에 등장했을 가능성이 있음을 나타낸다.
기원전 3세기에 아르디에이는 정치적 중요성을 얻어 아우타리아타에로부터 영토를 정복하여, 나로강 입구의 다오르시 지역에서 스카드라호 주변의 라베아테까지 아드리아 해안 전체를 장악했다. 당시 그들의 수도는 현재 몬테네그로에 있는 리존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로마 시대에 아르디에이는 코토르만을 중심으로 하는 남부 일리리아 지역에서 확인되었으며, 리존을 수도로 하고, 현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 크로아티아의 나로강에서 아드리아 해안을 따라 현재 알바니아의 스코드라 (일리리아 왕국의 또 다른 수도)와 리수스의 광대한 지역까지 확장되었다.
4. 역사
아르디에이는 아드리아 해에서 로마의 확장에 저항하며 고향을 보호하였고, 로마는 일리리아 전쟁에서 이들을 상대로 원정을 벌였다.[8] 과거 아르디에이는 국경 근처의 소금원을 두고 아우타리아테와 갈등을 겪었다. 그리스인들에게 아르디에이는 사나운 전사로 여겨졌다.
아르디에이는 기원전 230년경 아그론 왕의 통치 하에 잠시 군사력을 얻었다.[9] 아그론 왕은 침략하는 아이톨리아인들의 마케도니아 침략을 격퇴하기 위해 마케도니아의 데메트리우스 1세 왕에게 고용되었다. 그의 미망인 테우타 여왕은 아드리아 해에서 발판을 마련하려 했지만 로마의 개입으로 실패했다. 아르디에이는 20개의 데큐리아를 가지고 있었다.
고대 지리학자 스트라보는 아르디에이를 아우타리아테, 다르다니와 함께 가장 강력한 세 일리리아 민족 중 하나로 꼽았다.[10] 스트라보는 아르디에이가 해적 집단을 통해 바다를 괴롭혔기 때문에 로마인들이 그들을 내륙으로 밀어내고 땅을 경작하게 만들었으나, 그 나라는 거칠고 가난하여 농업에 적합하지 않아 부족이 완전히 파괴되었고 거의 사라졌다고 기록했다. 그는 또한 과거에 가장 강력했던 민족들이 완전히 굴복하거나 사라졌다고 언급하며, 아르디에이도 그 중 하나라고 덧붙였다.
아르디에이의 지배 가문에 속한 플레우라투스의 아들 아그론 왕은 과거 일리리아에서 통치했던 어떤 왕보다도 강력한 육군과 해군을 보유했다.[11] 테오폼포스는 아르디에이가 헬로트와 같은 프로스펠라테라고 불리는 30만 명의 노예를 가지고 있었다고 기록했다.[12][13]
4. 1. 초기 역사
아르디에이는 아드리아 해에서 로마의 확장에 저항하며 고향을 보호하였고, 로마는 일리리아 전쟁에서 이들을 상대로 원정을 벌였다.[8] 과거 아르디에이는 국경 근처의 소금원을 두고 아우타리아테와 갈등을 겪었다. 그리스인들에게 아르디에이는 사나운 전사로 여겨졌다.
아르디에이는 기원전 230년경 아그론 왕의 통치 하에 잠시 군사력을 얻었다.[9] 아그론 왕은 침략하는 아이톨리아인들의 마케도니아 침략을 격퇴하기 위해 마케도니아의 데메트리우스 1세 왕에게 고용되었다. 그의 미망인 테우타 여왕은 아드리아 해에서 발판을 마련하려 했지만 로마의 개입으로 실패했다. 아르디에이는 20개의 데큐리아를 가지고 있었다.
고대 지리학자 스트라보는 아르디에이를 아우타리아테, 다르다니와 함께 가장 강력한 세 일리리아 민족 중 하나로 꼽았다.[10] 스트라보는 아르디에이가 해적 집단을 통해 바다를 괴롭혔기 때문에 로마인들이 그들을 내륙으로 밀어내고 땅을 경작하게 만들었으나, 그 나라는 거칠고 가난하여 농업에 적합하지 않아 부족이 완전히 파괴되었고 거의 사라졌다고 기록했다. 그는 또한 과거에 가장 강력했던 민족들이 완전히 굴복하거나 사라졌다고 언급하며, 아르디에이도 그 중 하나라고 덧붙였다.
아르디에이의 지배 가문에 속한 플레우라투스의 아들 아그론 왕은 과거 일리리아에서 통치했던 어떤 왕보다도 강력한 육군과 해군을 보유했다.[11] 테오폼포스는 아르디에이가 헬로트와 같은 프로스펠라테라고 불리는 30만 명의 노예를 가지고 있었다고 기록했다.[12][13]
4. 2. 전성기 (기원전 3세기)
아르디에이는 아드리아 해에서 로마의 확장에 저항하며 그들의 고향을 보호하고 있었으며, 로마는 일리리아 전쟁에서 그들을 상대로 원정을 벌였다.[8] 과거에 아르디에이는 국경 근처의 소금원을 두고 아우타리아테와 갈등을 겪었다.
아르디에이는 기원전 230년경 아그론 왕의 통치 하에 잠시 군사력을 얻었다.[9] 아그론 왕은 침략하는 아이톨리아인들의 마케도니아 침략을 격퇴하기 위해 마케도니아의 데메트리우스 1세 왕에게 고용되었다. 아르디에이는 20개의 데큐리아를 가지고 있었다.
고대 지리학자 스트라보는 아르디에이를 가장 강력한 세 일리리아 민족 중 하나로 꼽았으며, 나머지 두 민족은 아우타리아테와 다르다니였다. 스트라보는 아르디에이가 해적 집단을 통해 바다를 괴롭혔기 때문에 로마인들이 그들을 내륙으로 밀어내고 땅을 경작하게 만들었다고 기록했다.[10]
아르디에이의 지배 가문에 속한 플레우라투스의 아들 아그론 왕은 과거 일리리아에서 통치했던 어떤 왕보다도 강력한 육군과 해군을 보유했다.[11] 테오폼포스는 그의 필리피카(마케도니아의 필리포스 2세의 역사)의 두 번째 책에서 아르디에이가 30만 명의 노예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들은 프로스펠라테라고 불렸고 헬로트와 같았다고 기록했다.[12][13]
4. 3. 로마와의 전쟁
아르디에이는 아드리아 해에서 로마의 확장에 저항하며 그들의 고향을 보호하고 있었으며, 로마는 일리리아 전쟁에서 그들을 상대로 원정을 벌였다. 그들은 그리스인들에게 사나운 전사로 여겨졌다. 과거에 아르디에이는 국경 근처의 소금원을 두고 아우타리아테와 갈등을 겪었다.[8]아르디에이는 기원전 230년경 아그론 왕의 통치 하에 잠시 군사력을 얻었다. 그의 미망인 테우타 여왕은 아드리아 해에서 발판을 마련하려 했지만 로마의 개입으로 실패했다. 역사적 기록에 따르면 아그론 왕은[9] 침략하는 아이톨리아인들의 마케도니아 침략을 격퇴하기 위해 마케도니아의 데메트리우스 1세 왕에게 고용되었다. 아르디에이는 20개의 데큐리아를 가지고 있었다.
고대 지리학자 스트라보는 아르디에이를 가장 강력한 세 일리리아 민족 중 하나로 꼽았으며, 나머지 두 민족은 아우타리아테와 다르다니였다.[10] 스트라보는 아르디에이가 해적 행위로 바다를 괴롭혔기 때문에 로마인들이 그들을 내륙으로 밀어내고 땅을 경작하게 만들었으나, 그 나라는 거칠고 가난하여 농업에 부적합하여 부족이 완전히 파괴되고 거의 사라졌다고 기록했다.
아르디에이의 지배 가문에 속한 플레우라투스의 아들 아그론 왕은 과거 일리리아에서 통치했던 어떤 왕보다도 강력한 육군과 해군을 보유했다.[11] 테오폼포스는 아르디에이가 30만 명의 노예(프로스펠라테)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들은 헬로트와 같았다고 기록했다.[12][13]
4. 4. 쇠퇴
아르디에이는 아드리아 해에서 로마의 확장에 저항하며 그들의 고향을 보호하기 위해 일리리아 전쟁에서 로마와 맞서 싸웠다.[10] 그리스인들은 아르디에이족을 사나운 전사로 여겼다. 과거 아르디에이는 국경 근처의 소금원을 두고 아우타리아테와 갈등을 겪었다.[8]기원전 230년경 아그론 왕의 통치 하에 아르디에이는 잠시 군사력을 얻었다.[9] 아그론 왕은 마케도니아의 데메트리우스 1세에게 고용되어 아이톨리아인들의 마케도니아 침략을 격퇴하기도 했다. 아르디에이는 20개의 데큐리아를 가지고 있었다. 아그론 왕의 미망인 테우타 여왕은 아드리아 해에서 발판을 마련하려 했지만 로마의 개입으로 실패했다. 아그론 왕은 과거 일리리아에서 통치했던 어떤 왕보다도 강력한 육군과 해군을 보유했다.[11]
고대 지리학자 스트라보는 아르디에이를 다르다니, 아우타리아테와 함께 가장 강력한 세 일리리아 민족 중 하나로 꼽았다. 스트라보는 아르디에이가 해적 집단을 통해 바다를 괴롭혔기 때문에 로마인들이 그들을 내륙으로 밀어내고 땅을 경작하게 만들었으며, 그 결과 아르디에이 부족은 완전히 파괴되었고 거의 사라졌다고 기록했다.[10]
테오폼포스는 아르디에이가 30만 명의 노예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들은 프로스펠라테라고 불렸고 헬로트와 같았다고 기록했다.[12][13]
5. 아르디에이 왕조
다음 목록은 고대 자료 또는 주화에 기록된 아르디에이 왕조의 구성원을 보고한다.[14]
- 플루라투스 (기원전 280년경): 아그론의 아버지이다.
- 발라이오스 (기원전 260년경 – 230년경): 아드리아 해 양쪽 해안에서 풍부하게 발견된 은화와 청동 주화에서만 확인되었다.
- 아그론 ( – 기원전 231년): 플루라투스의 아들이다. 트리테우타와 결혼하여 핀네스를 낳았고, 이후 첫 번째 부인과 이혼하고 테우타와 결혼했다.
- 테우타 (기원전 231년 – 228년): 아그론과 결혼하여 아그론 사후 핀네스의 섭정 여왕이 되었다.
- 데메트리우스 (기원전 228년경 – 219년): 트리테우타와 결혼하여 테우타의 퇴위 후 핀네스의 섭정왕이 되었다.
- 핀네스 (기원전 220년 – 217년): 아그론과 트리테우타의 아들이다.
스케르딜라이다스와 그의 계승자 플루라투스 3세, 겐티우스의 분파는 일반적으로 라베아타이 왕조로 간주되며, 이는 아그론과 테우타가 제1차 로마-일리리아 전쟁에서 몰락한 이후 등장했다. 실제로 일리리아 왕 겐티우스는 또한 라베아타이 사이에서 통치하는 것으로 증명되었다.[15] 로마 공화국에 대한 제1차 일리리아 전쟁에서 테우타 여왕의 패배 이후 아르디에이 왕조의 쇠퇴는 정치 무대에서 라베아탄 왕조의 등장을 야기했을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Croatian Encyclopedia
https://www.enciklop[...]
[2]
서적
[3]
웹사이트
Plb. 2.11
https://www.perseus.[...]
[4]
웹사이트
vardaei-geo
https://www.perseus.[...]
[5]
웹사이트
App. Ill. 1
https://www.perseus.[...]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10]
웹사이트
Strab. 7.5
https://www.perseus.[...]
[11]
서적
[12]
웹사이트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Antiquities (1890), pelatae
https://www.perseus.[...]
[13]
웹사이트
Athenaeus, Deipnosophistae, 6.101
https://www.perseus.[...]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The Illyrians
[17]
서적
Appian and Illyricum by Marjeta Šašel Kos
https://books.google[...]
[18]
서적
The Illyrians
[19]
웹사이트
Plb. 2.11
http://www.perseus.t[...]
[20]
웹사이트
App.
http://www.perseus.t[...]
[21]
웹사이트
vardaei-geo
http://www.perseus.t[...]
[22]
서적
'Late Republican Illyrian Policy of Rome 167-60 BC: the Bifocal Approach’
https://books.google[...]
[23]
서적
'Late Republican Illyrian Policy of Rome 167-60 BC: the Bifocal Approach’
https://books.google[...]
[24]
서적
Appian and Illyricum by Marjeta Šašel Kos
https://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