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코토르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토르만은 디나르알프스산맥의 오르옌 산과 로브첸 산으로 둘러싸인 몬테네그로의 리아스식 해안이다. 좁은 수로로 연결된 여러 개의 작은 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티바트만, 헤르체그노비만, 리산만, 코토르만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중해 기후와 습윤 아열대 기후의 영향을 받으며, 유럽에서 강수량이 많은 지역 중 하나이다. 역사를 통해 일리리아, 로마, 비잔틴 제국, 베네치아 공화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등의 지배를 받았으며, 1918년 세르비아군에 의해 해방된 후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현재는 몬테네그로의 영토로, 동방 정교회 신자가 다수를 차지하며, 풍부한 문화 유산으로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중해의 만 - 시드라만
    시드라 만은 지중해에 위치한 만으로, 리비아 해안에 깊숙이 위치하여 리비아의 영유권 주장과 관련된 분쟁이 잦았으며 특히 카다피 집권 이후 미국과의 군사적 충돌과 2011년 리비아 내전의 격전지가 되기도 했다.
  • 지중해의 만 - 트리에스테만
    트리에스테만은 이탈리아,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에 걸쳐 있는 면적 약 550km2, 평균 수심 18.7m의 얕은 만으로, 탈리아멘토강과 이손초강이 유입되며 피란 만을 포함한다.
  • 아드리아해 - 오트란토 해협
    오트란토 해협은 이탈리아와 알바니아 사이의 아드리아 해와 이오니아 해를 연결하는 좁은 해협으로, 고대부터 전략적 요충지였으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국가와 사건의 배경이 되었다.
  • 아드리아해 - 살렌토반도
    살렌토반도는 이탈리아 남부에 위치하며, 고대에는 메사피족이 거주하고 헬레니즘 시대에 그리스 문화와 교류했으며, 로마 제국, 동고트족, 비잔틴 제국, 노르만족 등의 지배를 거쳐 1861년 이탈리아 왕국에 통합되었고, 지중해성 기후와 살렌토 방언을 사용하며, 음식 축제와 동성애자 관광지로 알려져 있다.
코토르만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코토르 만 지도
코토르 만 지역을 형성하는 자치체: 코토르, 헤르체그노비, 티바트. 부드바, 역사적으로 코토르 만 지역의 일부로 간주됨.
코토르 만 야경
코토르 만 전경
공식 명칭Boka kotorska (),
다른 이름(이탈리아어)
(영어)
(세르비아어)
(라틴어)
(크로아티아어)
유형몬테네그로의 지리 구역
구성 자치체코토르, 헤르체그노비, 티바트
역사적 지역달마티아
지리
면적616 km²
인구 통계
총 인구67,496명
인구 특징Bokelj (남성), Bokeljka (여성)
행정 구역
소속 국가몬테네그로
크로아티아
자치체코토르, 헤르체그노비, 티바트
유네스코 세계 유산
명칭코토르의 자연 및 문화-역사 지역
ID125
등재 연도1979년
기준문화: i, ii, iii, iv
면적14,600 ha
완충 구역36,491 ha

2. 지리

코토르만은 길이가 약 28km이며, 해안선은 107.3km에 달한다. 디나르알프스산맥의 오르옌 산과 로브첸 산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사라진 보켈 강(Bokelj River)의 리아스식 해안이다.

페라스트와 코토르만, 성 니콜라스 교회에서 바라본 풍경


코토르만


코토르만 상공에서 바라본 풍경


코토르만


코토르만은 좁은 수로로 연결된 여러 개의 작은 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티바트만, 헤르체그노비만, 리산만, 코토르만 등이 있다. 만에서 가장 좁은 구간인 베리게 해협은 길이가 2300m이며, 가장 좁은 지점의 폭은 340m이다.

코토르만 연안에는 헤르체그노비의 성 사바 수도원과 사비나 수도원, 페라스트 마을 맞은편 작은 섬의 베네딕토회 수도원 등 흥미로운 장소가 많다.

2. 1. 지형

코토르만은 디나르알프스산맥에 속하는 오르옌 산과 로브첸 산의 두 산괴로 둘러싸여 있다. 서쪽에는 오르옌 산이, 동쪽에는 로브첸 산이 위치한다.[2] 이 만은 과거 오르옌 산의 높은 산악 고원에서 흘러내리던 보켈 강(Bokelj River)이 사라진 리아스식 해안이다.[2]

코토르만은 좁은 수로로 연결된 여러 개의 작은 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만의 입구는 이전에는 강 시스템이었으나, 지각 변동과 카르스트 지형화 과정으로 인해 강이 붕괴되었다. 폭우가 쏟아진 후에는 리산의 소포트 샘에서 폭포가 나타나고, 슈쿠르다 샘은 로브첸에서 협곡을 통해 흐른다.

만의 가장 바깥쪽 부분은 티바트만이며, 바다 쪽에는 코토르만의 주요 입구인 헤르체그노비만이 있다. 내만으로는 북서쪽의 리산만과 남동쪽의 코토르만이 있다.

베리게 해협은 만에서 가장 좁은 구간으로, 성 네델랴 곶과 오파토보 곶 사이에 위치하며, 해협 동쪽의 내만과 티바트만을 구분한다. 베리게 해협의 길이는 2300m이며, 가장 좁은 지점의 폭은 340m이다.[2]

2. 2. 기후

코토르만은 지중해 기후와 습윤 아열대 기후의 경계에 위치한다. 그러나 독특한 지형과 높은 산 때문에 유럽에서 가장 비가 많이 오는 지역 중 하나이며, 유럽의 사람이 거주하는 지역 중 강수량이 가장 많은 곳 중 하나이다. (일부 아이슬란드 빙하 지역이 더 많은 강수량을 기록한다.[3]) 연안의 디나르 알프스 산맥과 악령산맥은 가장 많은 강수량을 기록하며, 0°C 연평균 등온선보다 훨씬 높은 곳에서도 작은 빙하가 생존할 수 있다. 11월의 뇌우는 때때로 많은 양의 물을 쏟아내며, 8월에는 이 지역이 완전히 건조해져서 산불로 이어지기도 한다. 최대 방전량 200m3/s인 소포트 샘은 큰 카르스트 샘 중 하나로, 이러한 계절적 변화를 잘 보여준다. 대부분의 시간 동안 활동하지 않지만, 폭우가 내린 후에는 코토르 만 위 20m 지점에 폭포가 나타난다.

쾨펜의 기후 분류 체계에 따른 관측소별 기후 특성은 다음과 같다.

관측소고도 [m]유형특징강수량 [mm]적설
벨리키 카바오1894D과습 지중해성 설상 기후6250약 140일
크르크비체940Cfsb(fs= 여름 건조 없음), 과습 지중해 산악 기후492670일
리산0Cs’’a(s’’= 겨울 강우 두 배), 과습 지중해 연안 기후35000.4일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두 가지 바람은 보라와 유고이다. 보라는 겨울에 나타나는 강한 한랭 강하풍으로, 리산 만에서 가장 심하다. 돌풍은 250km/h에 달하며, 수 시간 동안 현저한 기온 하강과 결빙 현상을 초래할 수 있다. 뱃사람들은 산에 덮인 구름을 보고 보라 현상을 예측한다. 유고는 따뜻하고 습한 바람으로, 많은 비를 동반하며 일년 내내 나타나지만, 보통 가을과 봄에 집중된다.

월별 및 연간 강수량 범위는 다음과 같다.

관측소기간고도 [m]IIIIIIIVVVIVIIVIIIIXXXIXIII-XII [mm/m²a]
헤르체그 노비1961–1984402302211831351307328451601813262621974
리산1961–198440405342340235153101661231882954234343105
그라호보1961–198471035132430525114294551032024165084733224
포드브르스닉1961–1984630407398367305151101771322384655935863820
르반1961–19841010472390388321181104701222243695655363742
크네즐라즈1961–1984620547472473373207120721362684006296614358
크르크비체1961–1984940610499503398198135821552955027146834774
이바노바 코리타1960–198413504344607424721281987446943006949724614
골리르1893–1913131127128630722618814875702154734153273129
얀코브르1890–1909101742438638934621212455582024845795013750


2. 3. 수문

코토르만은 카르스트 수문학적 특징을 보인다. 리산의 소포트(Sopot)와 슈쿠르다(Škurda) 등에서 용천수가 발달했다.[2]

항목
수역 면적87km2
최대 수심60m
평균 수심27.3m
물의 양약 24억m3


3. 역사

6세기에 슬라브족인 스클라보이가 발칸 반도에 정착했다.[4][5] 코토르만은 중세 초기부터 요새화되었으며, 불가리아 제국, 세르비아 왕국의 통치를 거쳐 중세 세르비아 왕들의 보호 아래 반독립적인 공화국이 되었다. 14세기 말 오스만 제국이 부상하면서 베네치아 공화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캄포 포르미오 조약(1797년)으로 합스부르크 왕가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프레스부르크 평화 조약(1805년)과 틸지트 조약(1807년)을 거쳐 프랑스 제1 제국의 지배하에 나폴레옹 치하 이탈리아 왕국과 일리리아 지방에 포함되었다.[13] 1813년 몬테네그로 주교령이 러시아 제국의 지원을 받아 코토르만을 정복하고 몬테네그로와의 연합을 선언했으나, 1815년 오스트리아 제국에 병합되어 달마티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몬테네그로 왕국이 코토르만을 점령하려 했으나 실패했고, 1918년 세르비아 군대가 진입하여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1929년에 유고슬라비아로 개칭)에 포함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이탈리아 왕립군이 점령하여 달마티아 총독부에 포함시켰으나, 1943년 이탈리아 항복으로 점령이 종료되었다.[13] 1945년부터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내 몬테네그로 사회주의 공화국의 일부가 되었다. 1979년 지진으로 많은 문화 유산이 파괴되거나 손상되었다. 2006년 몬테네그로 독립으로 몬테네그로 영토가 되었다.

3. 1. 고대

기원전 229년경 일리리아인의 도시 리존(Rhizon)은 번성하였다. 리존은 만에 그 이름을 부여하여 리조니쿠스 시누스(Rhizonicus Sinus)라고 불렸다.[12] 기원전 168년 고대 로마에 종속되었고, 동시대의 아크리비움(Acrivium 또는 Acruvium, 현재의 코토르)은 이 무렵 처음으로 인근 도시로서 역사에 이름을 드러냈다.[12]

3. 2. 중세

9세기 중반, 왕국 프랑크 연대기에는 세르비아인이 달마티아의 상당 부분을 지배했다는 기록이 있다("''Sorabos, quae natio magnam Dalmatiae partem obtinere dicitur''").[6][7] 콘스탄티누스 7세는 ''제국 통치론''에서 달마티아로 온 크로아티아인 중 일부가 분리되어 일리리쿰을 통치했다고 언급했다.[8] 슬라브족인 세르비아 부족은 블라스티미로비치 왕조 (610–960) 하에서 통합되었다. 도클레아와 트라부니아의 두 공국은 대략 보카에 인접해 있었다. 발칸 반도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슬라브족은 비잔틴 해안 도시의 로마 주민들과 섞였다. 달마티아 테마는 870년대에 설립되었다. ''제국 통치론''(약 960)에 따르면, 리산은 벨로예비치 가문이 통치하는 세르비아 공국인 트라부니아의 일부였다.

1054년 대분열 이후, 해안 지역은 가톨릭과 정교회 모두에 속해 있었다. 1171년, 스테판 네마냐는 비잔틴 제국과의 분쟁에서 베네치아 공화국 편을 들었다. 베네치아인들은 동부 아드리아 해 연안의 슬라브족을 선동하여 비잔틴 통치에 반란을 일으키도록 했고, 네마냐는 이에 가담하여 코토르를 향해 공격을 시작했다. 그 후 코토르만은 네마니치 왕조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1195년, 네마냐와 그의 아들 부칸은 코토르에 성 루카 교회를 건설했다. 1219년, 성 사바는 세르비아 정교회의 교구 중 하나인 프레블라카에 제타 교구의 주교좌를 세웠다. 코토르는 보호받는 위치 때문에 소금 무역의 주요 도시가 되었다. 이 지역은 공격적인 법 집행으로 유명했던 세르비아 황제 강력한 두샨의 통치 하에 14세기에 번성하여 코토르만을 사업하기에 특히 안전한 장소로 만들었다.[9]

코토르시는 1371년까지 네마니치 왕조의 지배를 받았다. 그 후 이 지역에서는 잦은 정치적 변화가 일어났다. 보이노비치와 발시치 가문의 지역 영주들이 이 지역의 영향력을 놓고 다투었다. 1377년부터 코토르만 지역의 북부는 스스로를 세르비아 및 보스니아의 왕이라고 선언한 트브르트코 1세 코트로마니치의 통치를 받게 되었다. 몇 년 (1385–1391) 동안 코토르시는 보스니아 왕국의 종주권을 인정하기도 했다. 1391년 이후 정치적 독립을 얻어 1420년까지 도시 국가로 기능했다. 상선대는 점차 중요해졌지만, 강력한 베네치아 공화국도 도시와 만 지역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1405년부터 1412년까지 이 지역에서 제1차 스쿠타리 전쟁이 벌어졌다.

3. 3. 베네치아 공화국 통치 (1420-1797)

1420년, 코토르베네치아 공화국의 지배를 인정했고, 이는 1797년까지 지속되는 베네치아 알바니아 시대의 시작이었다. 당시 만 지역의 북부는 보스니아 왕국에, 남부는 제타 영지와 세르비아 전제 공국에 속해 있었다. 이 지역에서는 제2차 스쿠타리 전쟁이 벌어졌고, 1423년과 1426년에 평화 조약이 체결되었다.

15세기 중반, 만 지역 북부는 성 사바 공국에 편입되었다. 1482년, 오스만 제국노비를 점령하여 만 지역 북부를 장악했고, 이 지역은 헤르체고비나 산자크에 귀속되었다. 17세기 말, 오스만 영토는 탈환되었고, 만 지역 전체는 베네치아 공화국의 베네치아 알바니아 주에 속하게 되었다. 20세기까지 이전 오스만 영토는 정교회가, 베네치아 지배 지역은 가톨릭이 다수를 차지하는 등 두 지역의 차이는 뚜렷했다.[11]

1654년, 페라스트는 오스만 선박을 침몰시킨 보켈즈에 대한 보복으로 오스만의 공격을 받았다. 보켈즈의 페라스트 방어 성공은 유럽 전역의 주목을 받았으며, 오스만 제국과 전투를 벌였던 페타르 즈린스키의 관심을 끌었다. 즈린스키는 페라스트에 3일 동안 머무르며, 조국을 방어하고 오스만 제국을 막기 위한 노력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자신의 검을 도시에 헌납했다.

1669년, 안드리야 즈마예비치에 따르면, 만 지역의 하이두크들이 교회를 짓고 싶어했지만, 즈마예비치의 코토르 프로비두르와 페라스트 선장의 개입으로 인해 거절당했다.[11] 오스만 여행 작가 에블리야 체레비는 코토르 만을 방문하여 헤르체그노비에 살았던 크로아티아인들을 언급했다.[12]

3. 4. 근대

캄포 포르미오 조약(1797년)에 따라 코토르만 지역은 합스부르크 왕가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프레스부르크 평화 조약(1805년)에 따라 프랑스의 지배로 넘어갈 예정이었지만, 틸지트 조약(1807년) 이후에야 실현되었다. 프랑스 지배 하에서 코토르만은 나폴레옹 치하 이탈리아 왕국에 포함되었고, 이후 프랑스 제국의 일부인 일리리아 지방에 포함되었다.[13] 1813년에는 몬테네그로 주교령이 러시아 제국의 지원을 받아 이 지역을 정복했고, 코토르만과 몬테네그로의 연합이 선언되었다.

1815년, 코토르만은 오스트리아 제국에 병합되어 달마티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1848년, 오스트리아 제국에서 혁명이 발발했을 때, 몬테네그로의 페타르 2세 페트로비치-녜고시가 후원한 코토르만 의회가 열려 삼위일체 왕국(달마티아, 크로아티아, 슬라보니아를 통합)에서 코토르만의 통합을 제안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몬테네그로 왕국은 코토르만을 점령하려 시도했다. 로브첸에서 폭격을 받았지만, 1916년까지 오스트리아-헝가리가 몬테네그로를 격파했다. 1918년 11월 7일, 세르비아 군대가 코토르만에 진입했다. 한 달 안에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1929년에 유고슬라비아로 개칭)이 형성되었다. 코토르만은 1922년까지 달마티아의 지방 자치체였다가 오블라스트로 재편되었고, 체티네 오블라스트를 거쳐 1939년부터는 제타 바노비나에 편입되었다.

3. 5. 현대

코토르만 역사 지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달마티아 왕국 내 코토르만


제2차 세계 대전 중이던 1941년 4월, 이탈리아 왕립군이 코토르만을 점령하여 달마티아 총독부에 포함시켰으나, 1943년 9월 이탈리아의 항복으로 점령이 끝났다.[13] 1945년부터 코토르만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내 몬테네그로 사회주의 공화국의 일부가 되었다.

1979년, 코토르만 지역은 지진으로 인해 많은 문화 유산이 파괴되거나 심각한 손상을 입었다.

2006년 몬테네그로가 독립하면서 코토르만은 몬테네그로의 영토가 되었다.

4. 문화

이 지역 주민 대부분은 동방 정교회 신자이며, 인구 조사에서 자신을 몬테네그로인 또는 세르비아인으로 밝히고, 소수는 크로아티아인이다. 코토르만 지역은 풍부한 문화 유산으로 인해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14]

보카 지역은 오랜 해양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중세 시대부터 강력한 함대를 보유했고, 이는 역사적으로 만 경제의 중추를 형성했다. 코토르에는 유명한 해군 사관학교인 ''Scuola Nautica''가 있었다.[14] 18세기에는 보카가 두브로브니크베네치아의 경쟁자였을 때 함대가 300척에 달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대에 코토르만은 Österreichischer Lloyd 해운 회사의 대부분의 선장을 배출했다.[15]

역사적으로 보카 지역의 두 주요 신앙을 가진 주민들은 ''Bocchesi'' (이탈리아어 외부 명칭)로 불렸다. 1806년, 보체시의 약 3분의 2는 동방 정교회 신자였고, 나머지 3분의 1은 가톨릭 신자였다. 가톨릭은 페라스트에서 지배적인 신앙이었다. 19세기 동안, 정교회 보체시는 몬테네그로 공국과의 통합을 강력히 지지했으며, 많은 가톨릭 주민들은 지속적인 오스트리아-헝가리 통치를 선호했다.[16]

오늘날, 지방 주민 대부분은 정교회 신도(세르비아인이나 몬테네그로인을 자칭)이며, 11%의 가톨릭 신도는 크로아티아인을 자칭하고 있다. 코토르만 지역에는 과거 알바니아 베네타의 마지막 흔적인, 500명 정도의 베네치아 방언을 사용하는 작은 이탈리아인 커뮤니티도 있다.

1979년, 일대는 지진으로 인해 많은 문화 유산이 파괴되거나 심각한 손상을 입었다.

코토르의 해사 학교, 1908

5. 인구

보켈(Bokelj, 복수형: 보켈리, Bokelji)은 코토르만과 인접 지역 주민을 지칭하며, 2011년 몬테네그로 인구 조사에 따르면, 보카의 총 인구는 67,456명이었다.[18] 주요 도시별 인구 및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시인구민족 구성
헤르체그노비30,864명
코토르22,601명
티바트13,991명



2011년 조사에 따르면, 민족 구성은 세르비아인 26,435명 (39.2%), 몬테네그로인 26,108명 (38.7%), 크로아티아인 4,519명 (6.7%)이었다.[18]

6. 주요 인물


  • 마티야 즈마예비치 - 조선 기술자
  • 안드리야 팔타시치 - 식자공
  • 니콜라 모두르슈키 - 주교
  • 크르스토 초르코[19] - 해군 대위
  • 페타르 젤라리치[20] - 해군 대위
  • 이반 비신 - 선원
  • 스테판 미트로프 류비샤 - 정치인
  • 람보 아마데우스 - 가수
  • 레오폴드 만디치 (1866–1942)
  • 오산나 오브 카타로 (1493–1565)
  • 조반니 보나 데 볼리리스

참조

[1] 웹사이트 Welcome to Bay of Kotor https://www.lonelypl[...] Lonely Planet 2020-01-14
[2] 간행물 Natural-Ge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Boka Kotosdka Area As the Basis of Development Croatian Geographical Society and University of Zadar Department of Geography
[3] 웹사이트 Late Holocene Glacial History of Sólheimajökull, Southern Iceland https://web.archive.[...]
[4] 서적 The Balkans: From Constantinople to Communism Palgrave Macmillan
[5] 웹사이트 Arheologija 13047 http://www.rastko.rs[...] 2013-01-23
[6] 서적 Serbian studies, Volumes 2–3 https://books.google[...]
[7] 서적 De originibus Slavicis https://books.google[...] 2024-08-14
[8] 웹사이트 Konstantin Porfirogenet i vrijeme dolaska Hrvata, Vol. 8, 1977 https://hrcak.srce.h[...] 2019-11-17
[9] 서적 Rick Steves Snapshot Dubrovnik https://books.google[...] 2024-08-14
[10] 서적 Hajduci u Boki Kotorskoj 1648–1718 https://books.google[...] CANU
[11] 서적 Le Missioni cattoliche nei Balcani durante la Guerra di Candia (1645–1669) https://books.google[...] Biblioteca apostolica vaticana
[12] 웹사이트 MONTENEGRINA - digitalna biblioteka crnogorske kulture i nasljedja http://www.montenegr[...] 2019-11-18
[13] 문서 Territorial proposals for the settlement of war in Bosnia Hercegovina - boundary and territorial briefing volume 1 number 3 page 12
[14] 서적 Manuale del regno di Dalmazia Battaro 1872
[15] 서적 Handbook to the Mediterranean, Part 1 John Murray 1881
[16] 서적 The Russian Occupation of the Region of Kotor Bay, 1806-1807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1962
[17] 웹사이트 "[Projekat Rastko – Boka] Simo Matavulj – Boka i Bokelji" https://web.archive.[...] 2015-05-31
[18] 웹사이트 Census 2011 data - Municipalities https://www.monstat.[...] Statistical Office of Montenegro 2019-09-17
[19] 웹사이트 Slavni "Kapetani Boke kotorske" http://www.radiodux.[...] 2015-05-31
[20] Webarchive Petar Želalić famous naval captain, from Boka Kotorska http://www.brodovi.m[...] 2014-04-22
[21] 뉴스 코トル湾に浮かぶ教会 日本経済新聞 2023-05-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