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탁사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르탁사타는 기원전 176년 아르타셰스 1세에 의해 건설된 고대 아르메니아의 도시이다. 아라스강과 메차모르강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했으며, 헬레니즘 문화의 중심지이자 번성하는 국제 무역의 중심지였다. 로마-파르티아 전쟁과 사산 제국의 침략으로 파괴되었으며, 449년 아르타샤트 회의가 열리기도 했다. 1945년 고대 도시 북서쪽 8km 지점에 현대 도시가 건설되었고, 1995년 아라라트 주의 주도가 되었다. 2024년에는 아르메니아에서 가장 오래된 교회 유적이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라라트주 - 아라라트 (도시)
아라라트는 아라라트 산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아르메니아 아라라트주에 위치한 도시이며, 시멘트 공장 건설로 시작되어 공화국 직속 도시로 발전했고, 평원 남동부에 위치하여 냉대 사막 기후를 띠며, 주요 산업 시설과 교통망을 갖추고 환경 오염 문제에 직면해 있지만, 문화 시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 아르메니아의 유적 - 테이셰바이니
테이셰바이니는 루사 2세가 킴메르인과 스키타이인의 침입을 막기 위해 건설한 우라르투 왕국의 도시 유적으로, 요새와 궁전을 중심으로 농업 중심지 역할도 했으나 화재로 파괴되어 2,500년 이상 묻혀 있다가 1939년에 발견되었다. - 아르메니아의 유적 - 예레반
예레반은 기원전 8세기에 건설되어 아르메니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며, 아르메니아 GDP의 절반 이상을 생산하는 경제 중심지이다.
아르탁사타 | |
---|---|
기본 정보 | |
![]() | |
지리적 위치 | 아르메니아 아라라트주 아르타샤트 남쪽 |
명칭 | |
고대 그리스어 | , |
역사 | |
건설 | 기원전 176년 |
건설 주체 | 아르탁시아스 1세 |
폐허 | 7세기 |
기타 정보 |
2. 역사
기원전 176년 아르타셰스 1세가 예라스강과 메차모르강 합류 지점에 아르타샤트를 건설하고 자신의 이름을 붙였다.[6] 플루타르코스와 스트라본은 카르타고의 장군 한니발이 도시 건설에 조언을 했다고 기록했지만, 현대 역사가들은 이를 입증할 직접적 증거가 없다고 본다.[8]
아르타샤트는 '아르메니아의 카르타고'라 불릴 정도로 크고 아름다운 도시였으며, 헬레니즘 문화의 중심지로서 아르메니아 최초의 극장이 세워졌다.[3] 아나히트, 아르테미스, 티르 등 신들의 구리 조각상과 아르마비르의 유대인들이 이곳으로 옮겨왔다.[9] 코르비랍 성채와 해자 등 요새 시설도 건설되었다.[10] 아르타샤트는 페르시아와 메소포타미아를 캅카스와 소아시아로 연결하는 전략적 위치 덕분에 경제와 국제 무역의 중심지로 번성했다.
티그라네스 2세 시대에 아르메니아 왕국은 크게 확장되었고, 새로운 수도 티그라노케르타가 건설되었다. 그러나 기원전 69년 로마 장군 루쿨루스가 아르메니아를 침공하여 티그라노케르타 전투와 아르타샤트 전투에서 승리했다. 아르타샤트는 기원전 60년에 다시 수도가 되었다.[3]
이후 2세기 동안 아르타샤트는 군사적 요충지였다. 로마-파르티아 전쟁 중 로마 장군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코르불로에게 점령되어 약탈당했다(서기 59년).[3] 네로 황제는 티리다테스 1세를 아르메니아 왕으로 인정하고 와 건축가들을 보내 도시 재건을 도왔다. 아르타샤트는 네로를 기념하여 '''네로니아'''로 불리기도 했다.
120년, 수도가 에치미아진으로 옮겨졌다. 162년 로마군이 아르타샤트를 파괴했다. 소비에트 시대 고고학 발굴에서 트라야누스 황제의 존호가 새겨진 라틴어 비문이 발견되었다.[3] 369년 샤푸르 2세의 사산조 페르시아 군대에 의해 완전히 파괴될 때까지 아르타샤트는 주요 정치 및 문화 중심지였다.
449년, 아바라이르 전투 직전 아르메니아 기독교 지도자들이 모인 아르타샤트 회의가 열렸다. 에치미아진과 드빈에 수도 지위를 잃은 후에도 아르타샤트는 몇 세기 동안 주요 도시로 기능했다. 587년, 블라라톤 전투에서 로마가 사산 페르시아 제국을 격파하면서 아르타샤트는 로마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1945년 아르메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시절, 소련 당국은 고대 도시에서 북서쪽으로 8km 떨어진 지점에 현대 도시 아르타샤트를 건설했다. 고지 Ghamarlu, 저지 Ghamarlu, Narvezlu 등 세 마을을 합쳐 도심 지위를 부여받았다.[5] 소비에트 시대에 아르타샤트는 식품 가공 및 건축 재료 부문을 중심으로 산업 허브로 성장했으며, 1995년 아르메니아의 새로운 행정 구역법에 따라 신설된 아라라트주의 주도가 되었다.
2. 1. 고대
아르타셰스 1세는 기원전 176년에 아르타샤트를 건설했다. 코렌의 모세에 따르면, 아르타셰스는 예라스강과 메차모르강 합류 지점의 구릉 지대에 매료되어 이곳에 도시를 건설하고 자신의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6] 플루타르코스와 스트라본은 카르타고의 장군 한니발이 도시 건설에 조언을 했다고 기록했지만, 현대 역사가들은 이를 입증할 직접적 증거가 없다고 본다.[8]아르타샤트는 '아르메니아의 카르타고'라 불릴 정도로 크고 아름다운 도시였으며, 헬레니즘 문화의 중심지로서 아르메니아 최초의 극장이 세워졌다.[3] 아나히트, 아르테미스, 티르 등 신들의 구리 조각상과 아르마비르의 유대인들이 이곳으로 옮겨왔다.[9] 코르비랍 성채와 해자 등 요새 시설도 건설되었다.[10] 아르타샤트는 페르시아와 메소포타미아를 캅카스와 소아시아로 연결하는 전략적 위치 덕분에 경제와 국제 무역의 중심지로 번성했다.
티그라네스 2세 시대에 아르메니아 왕국은 크게 확장되었고, 새로운 수도 티그라노케르타가 건설되었다. 그러나 기원전 69년 로마 장군 루쿨루스가 아르메니아를 침공하여 티그라노케르타 전투와 아르타샤트 전투에서 승리했다. 아르타샤트는 기원전 60년에 다시 수도가 되었다.[3]
이후 2세기 동안 아르타샤트는 군사적 요충지였다. 로마-파르티아 전쟁 중 로마 장군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코르불로에게 점령되어 약탈당했다(서기 59년).[3] 네로 황제는 티리다테스 1세를 아르메니아 왕으로 인정하고 와 건축가들을 보내 도시 재건을 도왔다. 아르타샤트는 네로를 기념하여 '''네로니아'''로 불리기도 했다.
120년, 수도가 에치미아진으로 옮겨졌다. 162년 로마군이 아르타샤트를 파괴했다. 소비에트 시대 고고학 발굴에서 트라야누스 황제의 존호가 새겨진 라틴어 비문이 발견되었다.[3] 369년 샤푸르 2세의 사산조 페르시아 군대에 의해 완전히 파괴될 때까지 아르타샤트는 주요 정치 및 문화 중심지였다.
449년, 아바라이르 전투 직전 아르메니아 기독교 지도자들이 모인 아르타샤트 회의가 열렸다. 에치미아진과 드빈에 수도 지위를 잃은 후에도 아르타샤트는 몇 세기 동안 주요 도시로 기능했다. 587년, 블라라톤 전투에서 로마가 사산 페르시아 제국을 격파하면서 아르타샤트는 로마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2. 1. 1. 건립과 번영
아르타셰스 1세는 기원전 176년에 옛 행정구역인 아이라라트 내의 '''보스탄 하요츠'''라는 곳에 아르타샤트를 건설했는데, 이 지점은 고대 시대에는 메차모르강이 아르크스강과 만나는 지점이며, 코르비랍 위치 인근이다.[6] 이 도시 건국에 대한 이야기는 5세기의 아르메니아인 역사가 코렌의 모세가 전했는데, 그는 "아르타셰스가 예라스강과 메차모르강의 합류 지점을 방문하였고 이곳의 구릉 지대 (아라라트산 근처)에 호감을 가졌고, 결국에 그는 그곳을 새로운 도시를 지을 곳으로 택했고, 자신의 이름을 따 붙였다."라고 한다.[6]그리스 역사가 플루타르코스와 스트라본의 기록에 의하면, 아르타샤트는 카르타고의 장군 한니발의 조언에 따라 선정되고 개발되었다고 한다.[7] 그러나, 오늘날 역사가들은 위에 내용을 입증하는 직접적 증거가 없다고 한다.[8] 일부 사료들에서는 아르타셰스가 옛 우라르투의 취락 잔해에 도시를 지었다고 나타내기도 한다.[5]
스트라본과 플루타르코스는 아르타샤트를 크고 아름다운 도시로 묘사하고 '아르메니아의 카르타고'라 칭했다.[5] 헬레니즘 문화의 중심이라 할 수 있는, 아르메니아 최초의 극장이 이곳에 세워졌다.[3] 코렌의 모세는 추가적으로 아나히트, 아르테미스, 티르 등 신들의 구리 조각상 여럿을 종교 중심지였던 바가란 및 다른 지역에서 이곳으로 가져왔다고 하며, 옛 아르메니아 수도 아르마비르에 있던 유대인들도 이곳으로 거쳐를 옮겼다고 한다.[9]
아르타셰스는 또한 성채 (이후에 코르비랍이라 명명됐으며 계몽자 그레고리오가 아르메니아의 티리다테스 3세에게 구금된 장소로 유명)를 지었고 해자를 포함한 그 외의 요새 시설을 추가로 지었다.[10] 아라크 계곡에 자리잡은 도시의 전략적 위치에 있었던, 아르타샤트는 페르시아와 메소포타미아를 캅카스와 소아시아를 연결하며 얼마 안되어 번잡한 경제 활동과 번성하는 국제 무역의 중심지가 되었다. 아르탁사타의 부는 아르타셰스 1세 집권기에 갑작스럽게 생겨난 여러 욕장, 시장, 작업소, 행정 시설 등으로 가늠할 수 있다. 이곳은 자체적인 금고와 세관을 두기도 했다. 아르타바스데스 2세 재위 (기원전 55년-34년) 때 아르타샤트의 극장이 건설됐다. 아르타셰스 1세 때 지어진, 아르탁사타를 둘러싼 거대한 성벽의 잔해는 이 지역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1. 2. 로마-파르티아 전쟁
티그라네스 2세 재위 기간, 아르메니아 왕국은 남서쪽으로 많은 영토를 점령하며 확장했고, 마침내 지중해에 이르렀다. 아르메니아의 거대한 영토에 비해 아르탁사타가 멀었기에, 티그라네스는 티그라노케르타라는 새로운 수도를 건설했다. 하지만, 기원전 69년에 로마의 장군 루쿨루스가 아르메니아를 침공하여, 티그라노케르타 교외 지역에서 티그라네스의 군대를 격퇴시키고, 새로운 수도를 약탈했다. 로마 군대가 아르메니아 왕을 추격하며 북동쪽으로 움직임을 이어가면서, 아르타샤트에서 두 번째 대규모 전투가 벌어졌는데, 로마 사료에 따르면, 티그라네스 2세는 다시 한번 패배했다고 한다. 아르타샤트는 기원전 60년에 아르메니아 수도로 지위를 되찾았다.이후, 이 도시는 두 세기간 주요 군사적 목표가 되었다. 최초이자, 잠시 진행된 로마의 아르메니아 전쟁의 일환으로 로마 장군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코르불로 지휘 하의 카파도키아 군단에 점령되어, 서기 59년에 약탈당하였다.[3] 네로 황제는 티리다테스 1세를 66년에 아르메니아의 왕으로 인정한 뒤, 그에게 를 보내주고 파괴된 도시를 재건하는 걸 돕기 위해 건축가 및 건설 전문가 들을 파견했다.[3] 아르탁사타는 후원자였던 네로를 기념하며 일시적으로 '''네로니아'''라 이름을 바꾸기도 했다.
- -|]]|섬네일|아르탁사타 발굴]]
아르타샤트는 볼로가세스 1세 (바그라시 1세) 재위 기간(117/8년–144년)에 권력의 중심이 에치미아진으로 이동하던 120년까지 아르메니아의 수도 지위를 유지했다. 그가 죽은 뒤, 스타티우스 프리스쿠스가 이끈 로마군은 아르메니아를 침공하여 서기 162년에 아르타샤트를 파괴했다. 소비에트 시대 이뤄진 고고학 발굴 작업에서 2세기 초 때로 추정되는, 총독의 관저에 새겨진 것으로 보는 트라야누스 황제의 존호 전체를 담고 있는 라틴어 비문이 발견됐다.[3] 아르타샤트는 369년까지 아르메니아의 주요 정치 및 문화적 중심 지위를 유지하다 샤푸르 2세가 이끄는 사산조 페르시아 군대에 완전히 파괴되고 만다.
아바라이르 전투가 일어나기 직전인 449년, 아르탁사타에서 사산조의 왕 야즈데게르드 2세의 위협에 대해 논하러 아르메니아의 기독교도 정치 및 종교 지도자들이 모인 아르타샤트 회의가 이뤄졌다. 그러나, 에치미아진과 이후에 드빈에 수도 지위를 상실한 이곳은 점차 그 중요성이 쇠퇴하였지만, 그럼에도 몇 세기간 주요 도시로서 기능은 유지했다.
2. 1. 3. 사산 제국과의 전쟁
티그라네스 2세 재위 기간 동안, 아르메니아 왕국은 남서쪽으로 많은 영토를 점령하며 확장했고, 마침내 지중해에 이르렀다. 아르메니아의 거대한 영토에 비해 아르타샤트가 멀었기에, 티그라네스는 티그라노케르타라는 새로운 수도를 건설했다. 하지만, 기원전 69년에 로마의 장군 루쿨루스가 아르메니아를 침공하여, 티그라네스의 군대를 격퇴시키고, 새로운 수도를 약탈했다. 로마 군대가 아르메니아 왕을 추격하며 북동쪽으로 움직임을 이어가면서, 아르타샤트에서 두 번째 대규모 전투가 벌어졌는데, 로마 사료에 따르면, 티그라네스 2세는 다시 한번 패했다고 한다. 아르타샤트는 기원전 60년에 아르메니아 수도로 지위를 되찾았다.[3]이후 2세기 동안 아르타샤트는 주요 군사적 목표가 되었다. 최초이자, 잠시 진행된 로마의 아르메니아 전쟁의 일환으로 로마 장군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코르불로 지휘 하의 카파도키아 군단에 점령되어, 서기 59년에 약탈당하였다. 네로 황제는 티리다테스 1세를 66년에 아르메니아의 왕으로 인정한 뒤, 그에게 를 보내주고 파괴된 도시를 재건하는 걸 돕기 위해 건축가 및 건설 전문가들을 파견했다.[3] 아르탁사타는 후원자였던 네로를 기념하며 일시적으로 '''네로니아'''라 이름을 바꾸기도 했다.
아르타샤트는 볼로가세스 1세 (바그라시 1세) 재위 기간 117/8년–144년에 권력의 중심이 에치미아진으로 이동하던 120년까지 아르메니아의 수도 지위를 유지했다. 그가 죽은 뒤, 스타티우스 프리스쿠스가 이끈 로마군은 아르메니아를 침공하여 서기 162년에 아르타샤트를 파괴했다. 소비에트 시대 이뤄진 고고학 발굴 작업에서 2세기 초 때로 추정되는, 총독의 관저에 새겨진 것으로 보는 트라야누스 황제의 존호 전체를 담고 있는 라틴어 비문이 발견됐다.[3] 아르타샤트는 369년까지 아르메니아의 주요 정치 및 문화적 중심 지위를 유지하다 샤푸르 2세가 이끄는 사산조 페르시아 군대에 완전히 파괴되고 만다.
아바라이르 전투가 일어나기 직전인 449년, 아르탁사타에서 사산조의 왕 야즈데게르드 2세의 위협에 대해 논하러 아르메니아의 기독교도 정치 및 종교 지도자들이 모인 아르타샤트 회의가 이뤄졌다. 그러나, 에치미아진과 이후에 드빈에 수도 지위를 상실한 이곳은 점차 그 중요성이 쇠퇴하였지만, 그럼에도 몇 세기간 주요 도시로서 기능은 유지했다.
마우리키우스 재위 때인 587년에, 아르타샤트와 아르메니아의 대부분은 로마군이 블라라톤 전투에서 사산 페르시아 제국을 제압하면서 로마의 행정권으로 편입되었다.
2. 2. 현대
오늘날의 현대 도시 아르타샤트는 아르메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시절인 1945년에 소련 당국에 의해 고대 도시에서 북서쪽으로 8km 떨어진 지점에 건설되었다. 아르타샤트는 고지 Ghamarlu, 저지 Ghamarlu, Narvezlu 등 세 마을을 합쳐 도심 지위를 부여받았다.[5]소비에트 시대에 아르타샤트는 식품 가공 및 건축 재료 부문을 중심으로 산업 허브로 성장했으며, 1995년 아르메니아의 새로운 행정 구역법에 따라 신설된 아라라트주의 주도가 되었다.
2. 2. 1. 소련 시대
아르메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시절인 1945년에 소련 당국은 고대 도시 북서쪽 8km 지점에 현대 도시 아르타샤트를 건설했다. 이곳은 고지 Ghamarlu, 저지 Ghamarlu, Narvezlu 등 세 마을을 합쳐 도심 지위를 부여받았다.[5]소비에트 시대에 아르타샤트는 식품 가공 및 건축 재료 부문을 중심으로 산업 허브로 성장했다.
1995년, 아르메니아의 새로운 행정 구역법에 따라 아르타샤트는 신설된 아라라트주의 주도가 되었다.
2. 2. 2. 독립 아르메니아
아르메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시절인 1945년에 소련 당국은 고대 도시 북서쪽 8km 지점에 현대 도시 아르타샤트를 건설했다. 이곳은 고지 Ghamarlu, 저지 Ghamarlu, Narvezlu 등 세 마을을 합쳐 도심 지위를 부여받았다.[5]소비에트 시대 산업 허브로 점차 성장했으며, 주로 식품 가공 및 건축 재료 부문이었다.
1995년, 아르메니아의 새로운 행정 구역법에 따라, 아르타샤트는 신설된 아라라트주의 주도가 되었다.
3. 고고학 연구
고대 아르탁사타의 정확한 위치는 1920년대에 확인되었으며, 1970년에 고고학적 발굴이 시작되었다. 이 유적지는 현대 도시인 아르타샤트에서 남쪽으로 8km 떨어진 호르 비라프 수도원 근처에 있다. 발굴 결과 아르탁사타는 포장된 거리, 수많은 목욕탕, 시장, 작업장 및 행정 건물이 있는 주요 도시 중심지였음이 밝혀졌다. 그 도시는 자체 금고, 조폐국 및 세관을 가지고 있었다.
3. 1. 4세기 교회 유적
2024년, 아르메니아와 독일 고고학팀은 아르탁사타에서 아르메니아에서 알려진 가장 오래된 교회의 유적을 발견했다.[1] 이 유적은 팔각형 구조로, 네 면에 사각형 확장부가 있어 전체적으로 십자형 평면을 이룬다.[2] 확장부에서 발견된 나무 플랫폼 유적은 탄소 연대 측정 결과 4세기 중반으로 밝혀졌다. 아르메니아의 기독교화 전설은 그 사건을 301년으로 기록하고 있어, 아르탁사타 교회가 매우 이른 시기에 지어졌음을 알 수 있다.[2] 팔각형 평면은 기독교 성인의 무덤 위에 세워진 ''마르티리온''을 시사하지만, 어떤 성인인지는 알려지지 않았다.[2]참조
[1]
뉴스
Archaeologists discover Armenia’s oldest church
https://www.uni-muen[...]
University of Münster
2024-10-11
[2]
웹사이트
Armenia's Oldest Church Discovered
https://www.biblical[...]
Biblical Archaeology Society
2024-10-21
[3]
웹인용
Artaxata
http://www.iranicaon[...]
1986
[4]
웹사이트
Strabo, Geography, § 11.14.6
https://www.perseus.[...]
[5]
서적
아르메니아 소비에트 백과사전 제2권
[6]
서적
History of Armenia, Fifth Century
Hayastan Publishing
[7]
웹사이트
루쿨루스편
https://penelope.uch[...]
[8]
서적
A Concise History of the Armenian People: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Mazda
[9]
서적
History of Armenia
[10]
서적
The Emergence of Armenia
St. Martin's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