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태평양 수산위원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시아 태평양 수산 위원회(APFIC)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수산 자원 관리 및 어업 발전을 위한 국제 기구이다. 식량 농업 기구(FAO) 회원국 등이 가입할 수 있으며, 현재 21개국이 회원국으로 참여하고 있다. APFIC는 책임 있는 수생 자원 사용을 장려하고, 어업 및 양식업 관리를 개선하며, 불법 어업 대응, 기후 변화 적응, 역량 강화, 지식 공유 등 다양한 활동을 수행한다. 관할 구역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이며, 벵골만 지역으로의 활동도 확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산 기구 - 국제포경위원회
국제포경위원회(IWC)는 1946년 국제포경규제협약에 따라 설립되어 고래 개체군 보존과 포경 산업의 질서 있는 발전을 목표로 88개 회원국이 포경 활동을 규제하는 국제기구이지만, 친포경 국가와 반포경 국가 간의 이견, 일본의 과학 포경 문제, 상업 포경 재개 논란 등으로 국제적인 논쟁과 갈등이 지속되고 있다. - 수산 기구 - 중서부태평양수산위원회
중서부태평양수산위원회(WCPFC)는 중서부 태평양 수역의 고도회유성 어족, 특히 참치류의 장기적 보존과 지속 가능한 이용을 목표로 1995년 설립되어 총회, 과학위원회 등을 운영하며 총허용어획량 결정, 조업 정보 수집 등의 활동을 한다. - 대한민국의 조약 - 한일기본조약
한일기본조약은 1965년 한국과 일본이 국교를 정상화하기 위해 체결한 조약으로, 청구권 문제, 독도 문제 등을 포함하며 한국이 대일 청구권을 포기하는 대신 일본으로부터 경제협력을 받는 내용을 담고 있지만, 과거사 청산 미흡과 경제적 양보 논란을 야기하며 현재까지도 양국 간 갈등의 원인이 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조약 - 한미상호방위조약
한미상호방위조약은 한국 전쟁 휴전 직후 대한민국과 미국이 체결한 군사 동맹 조약으로, 주한미군 주둔을 통해 한국의 안보, 정치, 경제,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주한미군과 작전통제권 관련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 조약으로 설립된 정부간 기구 - 아프리카 연합
아프리카 연합은 아프리카 대륙의 거의 모든 독립국가를 회원국으로 하는 정부간 국제기구이며, 경제 통합과 정치적 안정을 증진시키고 아프리카 대륙의 통합을 목표로 하며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에 본부를 두고 있다. - 조약으로 설립된 정부간 기구 - 5개국 방위 협정
5개국 방위 협정은 1971년 오스트레일리아, 말레이시아, 뉴질랜드, 싱가포르, 영국이 체결한 안보 협정으로, 회원국들은 상호 협의를 통해 공동 대응을 약속하며 군사 협력 및 상호 운용성을 강화하고 사이버 보안 및 우주 안보 등 새로운 위협에 대한 공동 대응 능력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아시아 태평양 수산위원회 | |
---|---|
개요 | |
이름 | 아시아 태평양 수산위원회 |
이전 이름 | (정보 없음) |
약칭 | APFIC |
유형 | 식량 농업 기구 제14조 기구 |
목적 | 양식업 |
본부 | 태국 방콕 |
회원국 | 21개 활동 회원국 |
좌표 | 13.7624277° N, 100.4936739° E |
설립일 | 1948년 11월 9일 |
웹사이트 | 아시아 태평양 수산위원회 |
2. 회원국
'''아시아 태평양 수산 위원회 설립에 관한 협정'''에 따르면, 회원 자격은 식량 농업 기구(FAO) 회원국 및 준회원국으로서 협정 제10조를 수락하는 국가에 주어진다. 국제 연합 회원국, 국제 연합의 전문 기구, 국제 원자력 기구 회원국도 위원회 회원국 3분의 2 이상 찬성으로 가입할 수 있다.
2. 1. 현 회원국
과거 회원국은 네덜란드이다.
2. 2. 과거 회원국
네덜란드3. 주요 활동 및 성과
APFIC는 책임 있는 수생 자원 사용을 장려하고, 어업 및 양식업 관리를 개선하며, 어업 부문 기관을 강화한다. 또한 소규모 어업인의 생계를 개선하는 지속 가능한 관행을 옹호한다.[4]
3. 1. 어업의 생태계 접근 방식(EAF) 지원
APFIC는 해양 생태계의 완전성을 보존하고 자원 사용을 최적화하는 어업의 생태계 접근 방식(EAF)을 지원한다.[1]3. 2. 지속 가능한 양식업 장려
APFIC는 지속 가능한 양식업을 장려하며, 식량 안보와 경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양식업 관행을 공유하고 국가별 양식업 계획 개발을 지원한다.[2]3. 3. 불법 어업 대응
APFIC는 불법, 비보고 및 비규제 어업으로부터 해양 생태계와 합법적인 어업 부문을 보호하기 위해 정부의 감시, 통제, 모니터링 개선을 돕는 지역 협력을 강화한다.[3]3. 4. 역량 강화 및 지식 공유
APFIC은 역량 강화와 지식 공유를 중요한 임무로 삼고 있다. 회원국 어업 전문가 양성을 위해 어업 관리, 자원 평가, 데이터 수집 관련 교육 과정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수생 자원 관리 및 기관 역량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1]APFIC은 기후 변화에 대한 어업 부문의 적응력과 복원력 증진에도 힘쓰고 있다. '''어업 및 양식업 기후 변화 적응 프로그램'''을 통해 서식지 복원 및 지속 가능한 양식업 관련 지식을 공유하며, '''어업 관리의 생태계 접근 방식(EAFM)''' 교육 과정으로 어업 전문가들에게 생태적, 사회경제적 이익을 위한 어업 관리 방법을 교육한다. 또한, '''지역 협의 포럼 회의(RCFM)'''를 개최하여 기후 적응 전략 논의, 성공 사례 공유, 지역 행동 계획 수립을 지원한다.[2]
더불어 APFIC은 데이터와 기술 통합을 위한 과학 및 관리 협력을 증진하며, 해양 어업 어획량 재구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여 감소하는 어종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높이고 지속 가능한 관리의 필요성을 강조한다.[5]
3. 5. 소규모 어업인 지원
APFIC는 관련 지침을 국가 정책에 통합하고 인식 제고 워크숍을 실시하여 회원국을 지원함으로써 소규모 어업인의 생계를 개선하는 지속 가능한 관행을 옹호한다.[4]3. 6. 기후 변화 대응
APFIC는 기후 변화에 대한 어업의 적응 및 복원력을 증진한다. '''어업 및 양식업 기후 변화 적응 프로그램'''은 서식지 복원 및 지속 가능한 양식업 지식을 공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어업 관리의 생태계 접근 방식(EAFM)''' 교육 과정은 어업 전문가에게 생태적 및 사회·경제적 이점을 위해 어업을 관리하는 방법을 가르친다. APFIC는 또한 기후 적응 전략을 논의하고 성공 사례를 공유하며 지역 행동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지역 협의 포럼 회의(RCFM)'''를 개최한다.[2]3. 7. 과학 및 관리 협력 증진
APFIC는 책임감 있는 수생 자원 이용을 장려하고, 어업 및 양식업 관리를 개선하며, 어업 부문 기관을 강화한다. 위원회는 해양 생태계의 온전함을 지키고 자원 사용을 최적화하는 어업의 생태계 접근 방식(EAF)을 지원한다.[1]APFIC는 기후 변화에 대한 어업의 적응 및 복원력을 높인다. '''어업 및 양식업 기후 변화 적응 프로그램'''은 서식지 복원 및 지속 가능한 양식업 지식을 공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어업 관리의 생태계 접근 방식(EAFM)''' 교육 과정은 어업 전문가에게 생태적 및 사회 경제적 이점을 위해 어업을 관리하는 방법을 가르친다. APFIC는 또한 기후 적응 전략을 논의하고 성공 사례를 공유하며 지역 행동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지역 협의 포럼 회의(RCFM)'''를 개최한다.[2]
APFIC는 데이터와 기술을 통합하기 위해 과학 및 관리 협력을 증진한다. APFIC는 해양 어업 어획량을 재구성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여 감소하는 어종에 대한 보다 정확한 이해를 제공하고 지속 가능한 관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5]
4. 관할 구역
APFIC 협약 제6조에 따르면, APFIC의 관할 구역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이며, 이 지역에서 협약 제4조에 명시된 기능과 책임을 수행한다.[1] APFIC는 해양 및 내륙 수역 모두에 대한 권한을 가진다.[1] 1999년 6월 인도양 어업 위원회 (IOFC)와 벵골만 어업 개발 및 관리 위원회(BOBC)가 폐지되면서, FAO 이사회 결의안 1/116에 따라 BOBC의 기능이 APFIC로 이전되어 벵골만 지역에 더 긴밀하게 관여하게 되었다.[1] 이는 1998년 베이징에서 열린 제26차 APFIC 회의에서 승인되었다.[1]
4. 1. 활동 집중 지역
APFIC 협약 제6조에서 'APFIC 관할 구역'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제4조에 명시된 기능과 책임을 수행하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다.[1] APFIC는 관할 구역 내의 해양 및 내륙 수역 모두에서 권한을 갖는다.[1] 1999년 6월 인도양 어업 위원회 (IOFC)와 벵골만 어업 개발 및 관리 위원회(BOBC)의 폐지로 인해 FAO 이사회의 결의안 1/116에 따라 BOBC의 기능이 APFIC로 이전됨으로써 APFIC가 이 하위 지역에 더 가깝게 참여하게 되었다.[1] 이는 이후 1998년 베이징에서 열린 제26차 APFIC 회의에서 승인되었다.[1]회원 자격, 관할 구역 및 위원회의 기능 측면에서 APFIC 협약에는 변경 사항이 없지만, 위원회는 업무의 초점을 어디에 두어야 하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한 후속 권고 사항을 제시했다.[1] APFIC 임시 법률 및 재정 실무 그룹 보고서는 APFIC가 아시아 태평양의 세 개의 하위 지역에 활동을 집중할 것을 제안했다.[1]
APFIC가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어업 및 양식업의 변화하는 요구에 적응함에 따라 위원회 전략 계획 개발의 일환으로 그 역할과 기능이 명확해졌다.[1]
참조
[1]
웹사이트
Evolution of APFIC and its Achievements
https://www.fao.org/[...]
2024-11-15
[2]
웹사이트
About Asia-Pacific Fishery Commission (APFIC) {{!}}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https://www.fao.org/[...]
2024-11-15
[3]
간행물
Guidelines for the fisheries and aquaculture sector on damage and needs assessments in emergencies
https://openknowledg[...]
[4]
웹사이트
SSF Guidelines
https://www.fao.org/[...]
2024-11-15
[5]
논문
Catch reconstructions reveal that global marine fisheries catches are higher than reported and declining
https://www.nature.c[...]
2016-01-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