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시아 태평양 우주 협력 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시아 태평양 우주 협력 기구(APSCO)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우주 기술 응용 및 협력을 증진하기 위해 설립된 국제 기구이다. 1992년 중국, 파키스탄, 태국 간의 양해 각서에 의해 시작된 AP-MCSTA를 전신으로, 2005년 APSCO 조약을 체결하고 2008년 12월 16일 공식 발족했다. 2024년 10월 기준 중국, 이란, 몽골, 파키스탄, 페루, 태국, 방글라데시가 정회원국이며, 인도네시아와 튀르키예가 가입 절차를 진행 중이다. 주요 협력 분야는 우주 기술 및 응용, 우주 과학 연구 및 교육, 데이터 공유 및 정보 교류이며, 훈련 프로그램, 심포지엄 개최 등 다양한 협력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주 단체 - EUMETSAT
    유럽기상위성기구(EUMETSAT)는 1986년 설립되어 유럽의 기상 위성 운영을 담당하며, 메테오샛, 메토프 등 다양한 위성 프로그램을 통해 지속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관측 데이터를 제공하는 국제 기구이다.
아시아 태평양 우주 협력 기구
개요
명칭아시아 태평양 우주 협력 기구
로마자 표기Asia-Pacific Space Cooperation Organization
약칭APSCO
설립2008년 12월 16일
본부 위치중국 베이징 시
목적
목표회원국 간의 우주 과학 기술 협력 증진 및 우주 기술의 평화적 이용
회원국
정회원국방글라데시
중국
이란
몽골
파키스탄
페루
태국
터키
준회원국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이집트
조직
주요 조직총회
이사회
사무국
사무총장Yu Qi
주요 활동
협력 분야우주 기술 연구 개발
위성 개발 및 활용
우주 교육 및 훈련
재해 관리
주요 프로젝트APSCO-SSS (학생 소형 위성 시리즈)
APSCO-MSG (다중 임무 소형 지구 관측 위성)
협력 데이터 공유 서비스 플랫폼
참고 자료
관련 웹사이트아시아 태평양 우주 협력 기구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1992년 중국, 파키스탄태국 간의 양해 각서에 의해 시작된 '''아시아 태평양 우주 기술 응용·다국간 협력 회의'''(AP-MCSTA)가 아시아 태평양 우주 협력 기구(APSCO)의 전신이다.

1994년 태국 방콕에서 열린 AP-MCSTA 회의에서 중국, 이란, 몽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태국은 "소형 다목적 위성 개발 계획"에 합의하고 서명했다.

'''아시아 태평양 우주 협력 기구 조약'''(APSCO 조약)은 2005년 10월 28일 베이징의 인민대회당에서 중국, 파키스탄, 이란, 태국, 방글라데시, 몽골, 페루에 의해 서명되었다. 조인식에는 아르헨티나, 브라질, 말레이시아, 필리핀, 러시아, 우크라이나 등이 옵저버로 참석했다.

참가국들의 국내 비준을 거쳐 2008년 12월 16일 APSCO가 공식적으로 발족했다.

2. 1. 설립 배경

아시아 태평양 우주 협력 기구(APSCO)의 전신은 1992년 중국, 파키스탄, 태국 간의 양해 각서에 의해 시작된 '''아시아 태평양 우주 기술 응용·다국간 협력 회의'''(AP-MCSTA)이다. 1994년 태국 방콕에서 열린 AP-MCSTA 회의에서 중국, 이란, 몽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태국 간에 "소형 다목적 위성 개발 계획"에 합의하고 서명했다.

2. 2. APSCO 조약 체결 및 발족

1992년 중국, 파키스탄태국 간의 양해 각서에 의해 시작된 '''아시아 태평양 우주 기술 응용·다국간 협력 회의'''(AP-MCSTA)가 APSCO의 전신이다.

1994년 태국 방콕에서 열린 AP-MCSTA 회의에서 중국, 이란, 몽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태국은 "소형 다목적 위성 개발 계획"에 합의하고 서명했다.

'''아시아 태평양 우주 협력 기구 조약'''(APSCO 조약)은 2005년 10월 28일 베이징의 인민대회당에서 중국, 파키스탄, 이란, 태국, 방글라데시, 몽골, 페루에 의해 서명되었다. 조인식에는 아르헨티나, 브라질, 말레이시아, 필리핀, 러시아, 우크라이나 등이 옵저버로 참석했다.

참가국들의 국내 비준을 거쳐 2008년 12월 16일 APSCO가 공식적으로 발족했다.

3. 회원국


  • 정회원국 (2024년 10월 기준)


2024년 10월 현재, 아시아 태평양 우주 협력 기구(APSCO)의 정회원국은 중국, 이란, 몽골, 파키스탄, 페루, 태국, 방글라데시 7개국이다.[2]

  • 가입 절차 진행 중인 국가


인도네시아튀르키예가 아시아 태평양 우주 협력 기구(APSCO) 가입 절차를 진행 중이다.[2] 브라질이 가입 검토 중[8]

3. 1. 정회원국 (2024년 10월 기준)

2024년 10월 현재, 아시아 태평양 우주 협력 기구(APSCO)의 정회원국은 중국, 이란, 몽골, 파키스탄, 페루, 태국, 튀르키예, 방글라데시 8개국이다.[2]

3. 2. 가입 절차 진행 중인 국가

인도네시아튀르키예가 아시아 태평양 우주 협력 기구(APSCO) 가입 절차를 진행 중이다.[2]

4. 주요 협력 분야

4. 1. 우주 기술 및 응용

APSCO는 지구 관측, 재해 관리, 환경 보호, 위성 통신, 위성 항행·측위 등 우주 기술 및 응용 분야에서 협력한다.[9] 2009년 6월, 중국의 환경·재해 관측 위성 '환경 1호 A성'의 지상 통신 기지를 태국 내에 건설하는 데 합의했다.[9]

4. 2. 우주 과학 연구 및 교육

아시아 태평양 우주 협력 기구는 우주 과학 조사, 과학자 및 기술자 교육, 훈련, 교류 프로그램 등을 운영한다. 또한 원격 탐사 기술 및 지상 수신국 운용 기술과 관련된 사업을 진행한다.

4. 3. 데이터 공유 및 정보 교류

5. APSCO 조약 주요 내용


  • 총칙 - 기구의 본부는 중화인민공화국(수용국) 내에 설치한다. 수용국 정부와의 협의에 따라 기구는 수용국 영역 내에 지부 및 관련 시설을 설립할 수 있다. 또한 가맹국과의 협의에 따라 기구는 다른 어떠한 가맹국의 영역 내에도 지부 및 관련 시설을 설립할 수 있다.

  • 가맹국 -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UN 가맹국을 대상으로 하지만, 그 외의 국가도 준가맹국으로 신청이 가능하다.

  • 재정 - 가맹국으로부터의 분담금, 수용 정부 및 다른 가맹국으로부터의 자발적인 기여, 다른 기구로부터 받은 기부/보조금, 및 외부에 제공되는 서비스에 의한 대가로 구성된다. 이사회는 각 가맹국의 분담 금액을 결정하고, 기구의 예산을 결정한다. 각 가맹국의 분담 금액은 GDP에 의해 결정된다.

  • 산업 정책 - 이사회는 비용 효율적인 방법으로 관련된 산업 정책을 고안한다. 모든 가맹국의 산업계에는 기구의 관련 사업에 가능한 범위 내에서 최대한의 기회가 주어진다. 기구의 우주 기술 및 제품에 부수하는 개발에 있어, 각 가맹국의 기술적/재정적 투자에 비례한 참가를 인정한다. 기구는 시장의 수요에 따른 산업 기반의 개발을 장려하는 등, 가맹국의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한다.

  • 협력 분야

  • #우주 기술 및 그 응용 사업. 지구 관측, 재해 관리, 환경 보호, 위성 통신, 및 위성 항행·측위.
  • #우주 과학 조사와 과학자/기술자의 교육, 훈련 및 교류의 실시.
  • #기구의 사업 및 활동과 관련된 기술적 정보와 기타 정보 보급을 목적으로 한 중앙 데이터 뱅크의 설립 등.

  • 기타 - 우주 공간 평화 이용 위원회(COPUOS)와의 협력, 요원의 교류, 분쟁의 해결, 지적 재산권 등 규정이 포함된다.

5. 1. 본부 위치

기구의 본부는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에 있다. 수용국 정부와의 협의에 따라 기구는 수용국 영역 내에 지부 및 관련 시설을 설립할 수 있다. 또한 가맹국과의 협의에 따라 기구는 다른 어떠한 가맹국의 영역 내에도 지부 및 관련 시설을 설립할 수 있다.

5. 2. 가맹국 자격

UN 가맹국을 대상으로 하지만, 그 외의 국가도 준가맹국으로 신청이 가능하다.

5. 3. 재정

아시아 태평양 우주 협력 기구(APSCO)의 재정은 가맹국 분담금, 수용 정부 및 다른 가맹국으로부터의 자발적인 기여, 다른 기구로부터 받은 기부/보조금, 및 외부에 제공되는 서비스에 의한 대가로 구성된다. 이사회는 각 가맹국의 분담 금액을 결정하고, 기구의 예산을 결정한다. 각 가맹국의 분담 금액은 GDP에 의해 결정된다.

5. 4. 산업 정책

이사회는 비용 효율적인 방법으로 관련된 산업 정책을 고안한다. 모든 가맹국의 산업계에는 기구의 관련 사업에 가능한 범위 내에서 최대한의 기회가 주어진다. 기구의 우주 기술 및 제품에 부수하는 개발에 있어, 각 가맹국의 기술적/재정적 투자에 비례한 참가를 인정한다. 기구는 시장의 수요에 따른 산업 기반의 개발을 장려하는 등, 가맹국의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한다.

6. 협력 프로그램

6. 1. 훈련 프로그램

원격 탐사 기술과 지상 수신국 운용 기술 등 훈련 프로그램을 다룬다.

6. 2. 심포지엄

인도네시아에서 전자기학을 이용한 지진 조기 경보 위성 활용에 관한 국제 회의가 개최되었다.

6. 3. 우주 개발 협력

2009년 6월, 중화인민공화국의 환경·재해 관측 위성 '환경 1호 A성'의 지상 통신 기지를 태국 내에 건설하는 데 합의했다.[9] 아시아 태평양 우주 협력 기구는 환경·자연 재해 감시용 소형 다목적 위성(HJ-A/B)을 공동으로 운용한다.[9]

7. 회의

wikitable

과거 아시아 태평양 우주 협력 기구(APSCO) 회의 실적
회차개최 시기개최 장소주제
제1회2008년중화인민공화국/베이징
제2회2009년중화인민공화국/베이징
제3회2010년중화인민공화국/베이징
제4회2011년태국/파타야


8. 대한민국과의 관계

참조

[1] 웹사이트 Asia Pacific Space Cooperation Organisation (APSCO) {{!}} UN-SPIDER Knowledge Portal https://www.un-spide[...] 2024-12-10
[2] 웹사이트 Member states http://www.apsco.int[...]
[3] 웹사이트 Convention of the Asia-Pacific Space Cooperation Organization (APSCO) https://stage.tksc.j[...] 2023-02-20
[4] 웹사이트 Convention of the Asia-Pacific Space Cooperation Organization (APSCO) https://treaties.un.[...] 2023-02-20
[5] 웹사이트 Asia-Pacific Space Cooperation Organization starts operation_English_Xinhua http://news.xinhuane[...] 2010-02-09
[6] 웹사이트 Convention of the Asia-Pacific Space Cooperation Organization (APSCO) http://www.apsco.int[...]
[7] 웹사이트 Iran to implement 10 satellite projects with APSCO members http://www.payvand.c[...]
[8] 웹사이트 Brazil explore possible membership in APSCO http://www.apsco.int[...]
[9] 뉴스 SciencePortalChina『中国資源衛星応用センター、タイに地上基地建設へ』 http://www.spc.jst.g[...] 2009-11-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