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오스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오스타는 이탈리아 북서부 발레다오스타주의 주도로, 선사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로마 시대에는 알프스 산맥을 넘는 교통 요충지로 발전했다. 서로마 제국 멸망 후 여러 민족의 지배를 거쳐 프랑크 왕국에 편입되었고, 이후 사보이아 백작령의 일부가 되었다. 사보이아 가문은 아오스타를 중심으로 세력을 확장하여 사보이아 공국, 사르데냐 왕국을 거쳐 이탈리아 통일에 기여했다. 아오스타는 로마 시대의 유적과 중세 건축물, 알프스 산맥의 아름다운 자연환경으로 유명하며, 샤모니몽블랑, 마르티니 등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발레다오스타주 - 라살 (이탈리아)
이탈리아 북서부 발레다오스타주에 위치한 라살은 프랑스, 스위스와 접경한 작은 코뮌으로 도란트 강과 베니 강 합류 지점에 있으며 몽블랑 산군에 둘러싸여 농업과 관광업이 활발하고 사과와 포도 생산으로 유명하다. - 발레다오스타주의 코무네 - 쿠르마유르
알프스 산맥과 몽블랑 남쪽 기슭에 위치한 이탈리아의 쿠르마유르는 몽블랑 전경과 스파로 유명하며, 알피니즘 발달과 몽블랑 터널을 통해 사계절 관광과 스키를 즐기려는 방문객이 많은 인기 관광지이다. - 발레다오스타주의 코무네 - 페니스 (이탈리아)
- 이탈리아의 주도 - 로마
로마는 이탈리아의 수도이자 고대 로마 제국의 중심지로, 오랜 역사와 풍부한 문화유산을 지닌 세계적인 도시이며, 왕정과 공화정을 거쳐 로마 제국을 건설하고 지중해 세계를 지배했으며, 가톨릭 교회의 중심지로서 유럽 역사와 르네상스 및 바로크 시대 예술과 건축에 영향을 미쳤고, 현재는 이탈리아와 유럽 연합의 중요한 중심지이다. - 이탈리아의 주도 - 밀라노
밀라노는 이탈리아 북부 롬바르디아주의 주도이자 이탈리아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로, 역사적 중심지로서 르네상스 시대 번성 후 경제적 중심으로 성장했으며, 현재는 패션, 디자인, 금융, 예술의 중심지이자 2026년 동계 올림픽 공동 개최지이다.
아오스타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공식 명칭 | 아오스타 시 빌 다오스타 |
현지 명칭 | |
![]() | |
위치 | 이탈리아 아오스타 계곡 |
인구 | 33,093 명 (2022년 12월 31일 기준) |
인구 밀도 | }} |
면적 | 21.37 제곱킬로미터 |
시간대 | CET (UTC+01:00) CEST (UTC+02:00) |
우편 번호 | 11100 |
지역 번호 | 0165 |
ISO 3166-1 | NR |
웹사이트 | 아오스타 공식 웹사이트 |
지리 | |
고도 | 583 미터 |
접경 코무네 | 브루손, 카르, 도루, 질리오드라, 그레상, 폴랭, 리메, 루아상, 생크리스토프, 사르, 빌뇌브 |
행정 구역 | 아르피유, 보르가르, 비비앙, 비울라즈, 보르냘, 브렌로즈, 부세야즈, 카슈, 라콩브, 레 카푸친, 샤블로, 샹파이에, 콜리뇽, 코상, 코트르, 뒤베, 앙트르뱅, 엑스세넥스, 레 푸르슈, 라라부아르, 몽플뢰리, 모비소, 팔랭, 파페, 플레오, 포로상, 라 리옹다즈, 라 로셰르, 로포즈, 사라이용, 소몽, 세시노, 시녜, 탈라페, 차테, 참바를레, 비뇰 |
정치 | |
시장 | 잔니 누티 |
시장 소속 정당 | 무소속 |
문화 | |
수호 성인 | 성 그라투스 |
축일 | 9월 7일 |
거주민 명칭 | 이탈리아어: 아오스타니 프랑스어: 아오스투아 프랑코프로방스어: 뵈야추 |
2. 역사
아오스타는 선사 시대부터 켈트족과 리구리아인이 정착했던 곳이며, 나중에 살라시족의 중심지가 되었다. 기원전 25년, 로마 제국은 테렌티우스 바로가 이끄는 군대를 보내 살라시족을 정복하고, '''아우구스타 프라에토리아 살라소룸'''을 건설했다.[30] 서로마 제국 멸망 후, 여러 세력에게 정복당했으며, 샤를마뉴 대제 치하에서 프란치제나 가도 확보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10세기에 부르고뉴 왕국의 일부가 되었으나, 1032년 왕국이 멸망한 후 사보이아 훔베르트 1세 백작의 영지가 되었다.[31] 1189년, 주민들에게 삼부회 총회를 개최할 특권이 부여되었으며, 1536년 집행 평의회가 임명되어 1802년까지 존속했다. 빈 회의에서 사보이아 통치가 회복된 후, 카를로 알베르토는 아마데오 왕자 탄생을 기념하여 이를 공식적으로 인정하였다.[31]
2. 1. 선사 시대와 고대 로마
아오스타는 원시 시대부터 켈트족과 리구리아인이 정착했던 곳이며, 나중에 살라시족의 중심지가 되었다. 기원전 25년, 로마 제국은 테렌티우스 바로가 이끄는 군대를 보내 살라시족을 정복하고, 3,000명의 퇴역 군인을 이주시켜 '''아우구스타 프라에토리아 살라소룸'''(Augusta Praetoria Salassorumla)이라는 도시를 건설했다.[30] 이 도시는 현재 아오스타의 기원이다.
기원전 11년 이후, 아오스타는 알페스 그라이에스 속주의 수도가 되었다.[29] 아오스타는 그랑 생베르나르 고개와 프티 생베르나르 고개의 끝, 두 강의 합류점에 위치하여 군사적으로 중요했으며, 로마 군대 진영의 배치를 따랐다.
서로마 제국 멸망 후, 아오스타는 부르고뉴, 동고트, 비잔틴에 의해 차례로 정복당했다. 랑고바르드족은 피피누스 3세가 이끄는 프랑크 제국에 의해 쫓겨났다. 샤를마뉴 대제 치하에서 아오스타는 아헨에서 이탈리아로 이어지는 프란치제나 가도(Via Francigena) 구역을 확보했다. 888년 이후 아오스타는 아르두이노 디브레아와 베렌가리우스 1세가 다스리는 이탈리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2. 2. 중세 시대
랑고바르드족은 피피누스 3세 휘하의 프랑크 왕국에 의해 쫓겨났다. 그의 아들 샤를마뉴 대제 치하에서 아오스타는 아헨에서 이탈리아로 이어지는 프란치제나 가도의 요충지로서 중요성을 얻었다. 888년 이후 이브레아 아르두인과 프로이울리의 베렌가리우스가 다스리는 이탈리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10세기에 아오스타는 부르고뉴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1032년 부르고뉴 왕국이 멸망한 후, 사보이아의 훔베르트 1세 백작의 영지가 되었다.[31]
1189년, 주민들에게 삼부회(The Estates) 총회를 개최할 특권이 부여되었다. 1536년에 이 기관에서 집행 평의회가 임명되었고 1802년까지 존속했다. 빈 회의에서 사보이아의 통치가 회복된 후, 사르데냐의 카를로 알베르토는 그의 손자인 아마데오 왕자의 탄생을 기념하여 이를 공식적으로 인정하였다.[31]
2. 3. 근대와 현대
1189년 아오스타 주민들에게 삼부회(The Estates) 총회를 개최할 특권이 부여되었다. 1536년 이 기관에서 집행 평의회가 임명되었고 1802년까지 존속했다. 빈 회의 이후 사보이아 가문의 통치가 복원되자, 사르데냐 왕국의 왕 카를로 알베르토는 그의 손자인 아마데오 1세의 탄생을 기념하여 그를 아오스타 공작으로 임명하고 이를 재구성하여 공식적으로 인정했다.[6] 아오스타는 이탈리아-프랑스 국경의 프티 생베르나르 고개와 키바소를 연결하는 26번 국도와 아오스타 시와 이탈리아-스위스 국경의 그랑 생베르나르 고개를 연결하는 27번 국도의 교차로에 있다. 아오스타는 토리노와 쿠르마유르 사이의 A5 고속도로에서도 이용 가능하다.3. 지리
아오스타는 몽블랑 산맥의 강우 그림자 지역에 위치하여 연평균 강수량이 적은 편이다. 쾨펜 기후 분류에 따르면 온난 습윤 기후(쾨펜: Cfa), 냉랭 반건조 기후(쾨펜: BSk), 서안 해양성 기후(쾨펜: Cfb)와 인접한 기후를 보인다. 트레워다 기후 분류에서는 온대 해양성 기후(Trewartha: Do)로 분류된다.
이 도시는 서늘하거나 매우 추운 겨울, 더운 여름, 그리고 연중 상대적으로 건조한 조건을 경험한다.
3. 1. 위치
발레다오스타주 중앙에 위치한다. 아오스타 시가지는 토리노의 북북서쪽 약 80km, 제네바의 남동쪽 약 104km, 밀라노의 북북서쪽 약 149km, 리옹의 동쪽 약 194km에 위치한다. 북쪽의 스위스 국경을 이루는 그랑 생 베르나르 고개(Col du Grand-Saint-Bernard)에서 내려온 도시이다.[7]
3. 2. 기후
깊은 계곡 바닥, 바다에서 멀리 떨어진 내륙에 위치한 아오스타는 대륙성 기후와 해양성 기후 사이의 전환 지점에 있으며, 가장 추운 달의 평균 기온은 –3°C와 2°C 사이이다.이 도시는 매우 추운 겨울과 덥고 습하며 폭풍우가 치는 여름을 경험한다. 가장 추운 겨울부터 여름의 가장 더운 기간까지 온도는 -3°C에서 26°C까지 다양하지만, 이는 평균에 불과하다. 35°C 이상 또는 -15°C 미만의 온도는 아오스타에서 불가능하지 않으며, 일년에 몇 번 발생할 수 있다.[7]
아오스타는 몽블랑 산맥의 강우 그림자 지역에 위치하며, 연평균 강수량이 적어 쾨펜 기후 분류에 따라 온난 습윤 기후(쾨펜: Cfa), 냉랭 반건조 기후(쾨펜: BSk)와 인접하며, 서안 해양성 기후(쾨펜: Cfb)와도 인접한 기후를 보인다. 트레워다 기후 분류에서는 온대 해양성 기후(Trewartha: Do)로 분류된다.
이 도시는 서늘하거나 매우 추운 겨울, 더운 여름, 그리고 연중 상대적으로 건조한 조건을 경험한다.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최고 기온 기록 (°C) | 22.9 | 26.0 | 26.3 | 29.3 | 32.2 | 40.4 | 36.5 | 38.0 | 34.0 | 32.0 | 23.0 | 21.7 | 40.4 |
평균 최고 기온 (°C) | 6.2 | 10.0 | 14.6 | 18.1 | 21.5 | 25.1 | 28.8 | 28.1 | 23.1 | 17.6 | 11.5 | 5.1 | 18.3 |
평균 기온 (°C) | 1.5 | 4.2 | 8.4 | 11.6 | 15.8 | 19.2 | 22.2 | 21.5 | 17.5 | 12.2 | 6.4 | 0.8 | 11.7 |
평균 최저 기온 (°C) | -3.2 | -1.7 | 2.2 | 5.3 | 9.7 | 13.3 | 15.5 | 14.9 | 11.7 | 6.8 | 1.4 | -3.4 | 6.0 |
최저 기온 기록 (°C) | -17.6 | -15.0 | -15.9 | -8.6 | -3.8 | 4.0 | 7.0 | 6.2 | -3.7 | -12.6 | -14.1 | -18.1 | -18.1 |
평균 강수량 (mm) | 33.1 | 19.1 | 37.3 | 28.9 | 48.9 | 41.2 | 27.9 | 27.2 | 27.0 | 42.8 | 52.9 | 28.0 | 413.3 |
평균 강수일수 (≥ 1 mm) | 4.1 | 3.9 | 4.7 | 4.5 | 7.4 | 7.3 | 5.5 | 5.1 | 4.1 | 5.3 | 4.9 | 5.0 | 61.8 |
4. 교통
아오스타는 이탈리아-프랑스 국경의 프티 생베르나르 고개와 키바소를 연결하는 26번 국도(이탈리아어: SS26, 프랑스어: RN26)와 27번 국도(이탈리아어: SS27, 프랑스어: RN27)의 교차로에 있다. 27번 국도는 아오스타 시와 이탈리아-스위스 국경의 그랑 생베르나르 고개를 연결한다.[14] 토리노와 쿠르마유르 사이의 A5 고속도로(이탈리아어: Autostrada A5)를 통해서도 아오스타에 접근할 수 있다.[16]
1886년에 개장한 아오스타역은 키바소-이브레아-아오스타 철도의 일부이다. 직통 열차는 아오스타를 이브레아시까지 연결한다. 인근 프레생디디에(발디녜 지역)에서 쿠르마유르 방향으로 가는 지선은 2015년에 폐쇄되었다. 열차 서비스는 트렌이탈리아에서 운영한다.[17]
주요 버스 터미널은 아오스타 기차역 근처에 있다. 버스는 아오스타시를 인근 계곡 및 토리노, 밀라노, 샤모니(프랑스), 마르티니(스위스) 등 지역 외부 목적지와 연결한다.[18]
아오스타 공항은 도시 동쪽 5km 지점에 있다.
5. 볼거리
아오스타에는 로마 시대의 유적이 많이 남아있다. 대표적으로 로마 시대 극장, 아우구스투스 개선문 등이 있다. 중세 시대에 건설된 아오스타 대성당과 생튀르스 대학 교회도 주요 볼거리이다.
5. 1. 선사시대 유적
생마르탱 드 코를레앙 거석 유적지는 신석기 시대의 유물과 무덤이 있는 곳이다.5. 2. 고대 유적


아우구스타 프라에토리아 살라소룸(''Augusta Prætoria Salassorum'')의 고대 성벽은 724 x 572m의 직사각형을 둘러싸고 있으며, 거의 완전히 보존되어 있다. 높이는 6.4m이며, 작은 돌 블록을 마주한 콘크리트로 지어졌다. 바닥에서 벽의 두께는 2.75m이고, 상단은 1.83m이다.[8]
성곽에는 총 20개의 탑이 있는데, 성곽에 비스듬히 서 있거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4개의 문에 각각 2개씩 있다. 탑들은 대략 6.5m 정사각형이고 벽에서 4.3m 돌출되어 있다. 원래 20개의 탑 중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잘 보존되어 있다.[9]
- 레프르 탑(Tour du Lépreux) (프랑스어로 "나병 환자의 탑"이라는 뜻): 17세기 후반 피에르-베르나르 구아스코(Pierre-Bernard Guasco)라는 나병 환자가 투옥되었던 곳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자비에르 드 메스트르(Xavier de Maistre)의 소설 ''아오스타 도시의 나병 환자(Le lépreux de la cité d'Aoste)''도 이 나병 환자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 투르뇌브(Tourneuve)(13세기)
- 투르 뒤 페이예롱(Tour du Pailleron)
- 브라마판(Bramafan) 탑(성)(11세기): 로마 성채 위에 지어졌다. 사보이(Savoy) 백작의 거주지였다. 프랑코-프로방스어(Franco-Provençal language)로 "Bramé la fan"은 "굶주림에 절규하다"라는 뜻이다.
- 투르 뒤 바이야주(Tour du Baillage)
- 투르 프로마주(Tour Fromage)
남문과 동문은 온전하게 남아 있다. 동문은 프레토리아 문(Porta Praetoria)(서기 1세기)으로 알려져 있는데, 두 개의 탑으로 둘러싸인 세 개의 아치가 있는 이중 문으로, 대리석 외장을 제외하고는 원래 형태를 잘 보존하고 있다.[10] 두 줄의 아치가 작은 광장을 둘러싸고 있다.
거리의 직사각형 배열은 로마식 계획을 본떠 도시를 64개의 구역(인술라(insulae))으로 나눈 것이다. 너비 약 10m의 주요 도로는 도시를 동서로 두 개의 같은 크기로 나눈다. 이러한 배열은 도로를 지키는 것이 도시의 주요 존재 이유였음을 분명히 보여준다.
오늘날 남쪽 외관이 남아 있는 로마 극장은 높이 22m이다.[11][12] 아우구스투스의 후기 통치 시대에 건설된 이 구조물은 최대 4,000명의 관람객을 수용할 수 있었다. 근처에는 클라우디우스 시대에 지어진 원형 경기장이 있었다. 세 방향이 창고로 둘러싸이고 중앙에 신전이 있으며, 열린 남쪽에는 두 개의 신전이 있는 시장과 온천(thermae)도 발견되었다.
도시 성벽 밖에는 아우구스투스를 기리는 개선문인 아우구스투스의 개선문이 있는데, 기원전 35년 집정관 바로 무레나(Varro Murena)가 살라시(Salassi)족을 물리친 승리를 기념하여 세워졌다.[13] 서쪽으로 약 8km 떨어진 곳에는 아엘 다리(Pont d'Aël)이라고 불리는 단일 아치형 로마 다리가 있다. 이 다리는 겨울철 보행자를 위해 창문으로 빛이 들어오는 폐쇄된 통로가 있으며, 그 위에는 개방된 보행자 통로가 있다.
에포레디아(Eporedia)(현재 이브레아(Ivrea))에서 아우구스타 프레토리아로 이어지는 고대 도로의 상당한 유적이 아오스타 계곡(Aosta Valley)에 남아 있다. 현대 철도는 이 노선을 따라가며, 스팬이 35m이고 도로 너비가 4.5m인 단일 아치가 있는 생마르탱 다리와 돈나스의 절개지, 킬리안(Cillian)(생뱅상)과 아오스타(피에르 다리)의 로마 다리가 특징이다.
5. 3. 기타 건축물
6. 인물
- 아오스타의 안셀무스(1033–1109): 1093년부터 1109년까지 캔터베리 대주교를 역임했다.[19]
- 자비에르 드 메스트르 (1763–1852): "아오스타의 문둥이"(Le lépreux de la cité d'Aoste, 1811)의 저자.[20]
- 로랑 세리스 (1807–1869): 아오스타 출신 프랑스 의사
- 이노첸초 만체티 (1826–1877): 아오스타 출신 이탈리아 발명가
- 세르지오 페리시에: 축구 선수
7. 자매 도시
참조
[1]
웹사이트
Bilancio demografico Anno 2013 Novembre (dati provvisori). Provincia: Valle d'Aosta/Vallée d'Aoste
http://demo.istat.it[...]
[2]
사전
Aosta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3]
사전
Aosta
Merriam-Webster
2019-05-06
[4]
서적
Phonétique historique du français et notions de phonétique générale
Peeters
[5]
서적
Bibliotheca Classica: Or, A Dictionary of All the Principal Names and Terms
https://archive.org/[...]
W.E. Dean
[6]
백과사전
Aosta
[7]
웹사이트
Météo climat stats Moyennes 1991/2020 Italie (page 1)
http://meteo-climat-[...]
2022-06-14
[8]
웹사이트
Aostalife.it - The Town Walls
http://www.aostalife[...]
2017-02-13
[9]
웹사이트
Aostalife.it - The Towers
http://www.aostalife[...]
2017-02-13
[10]
서적
Castles: Their Construction and History
Dover Publications
[11]
웹사이트
Aostalife.it - The Roman Theatre
http://www.aostalife[...]
2017-02-13
[12]
웹사이트
Roman Theatre Aosta Valley
http://www.lovevda.i[...]
2017-02-13
[13]
웹사이트
Aostalife.it - The Arch of Augustus
http://www.aostalife[...]
2017-02-13
[14]
간행물
Bulletin officiel de la région autonome Vallée d'Aoste - n.12/2012
http://www.regione.v[...]
[15]
간행물
Bulletin officiel de la région autonome Vallée d'Aoste - n.12/2012
http://www.regione.v[...]
[16]
웹사이트
Our Network - Autostrade per l'Italia
http://www.autostrad[...]
2017-02-13
[17]
웹사이트
Acquista il biglietto con le nostre offerte - Trenitalia
http://www.trenitali[...]
2017-02-09
[18]
웹사이트
Home SAVDA Autoservizi e Autolinee della Valle d'Aosta
http://savda.it/
2017-02-09
[19]
백과사전
Anselm
[20]
백과사전
Maistre, Xavier de
[21]
웹사이트
Relazione al Conto Consuntivo
https://web.archive.[...]
Aosta
2017
[22]
웹사이트
Coopération Internationale
https://www.chamonix[...]
Chamonix-Mont-Blanc
2019-12-13
[23]
웹사이트
Tavola: Popolazione residente - Valle d'Aosta (dettaglio loc. abitate) - Censimento 2001.
http://dawinci.istat[...]
2012-12-09
[24]
웹사이트
Tavola: Superficie territoriale (Kmq) - Valle d'Aosta (dettaglio comunale) - Censimento 2001.
http://dawinci.istat[...]
2012-12-09
[25]
웹사이트
Total Resident Population on 1st January 2020 by sex and marital status
http://demo.istat.it[...]
2020-12-07
[26]
서적
Dizionario di toponomastica. Storia e significato dei nomi geografici italiani
GARZANTI
[27]
웹사이트
DiPI Online - Dizionario di Pronuncia Italiana
http://www.dipionlin[...]
2013-11-01
[27]
웹사이트
Dizionario d'ortografia e di pronunzia
http://www.dizionari[...]
2013-11-01
[28]
서적
Bibliotheca Classica: Or, A Dictionary of All the Principal Names and Terms
https://books.google[...]
W.E. Dean
[29]
문서
「灰色の山地」を意味する
[30]
서적
Bibliotheca Classica: Or, A Dictionary of All the Principal Names and Terms
https://archive.org/[...]
W.E. Dean
[31]
백과사전
Aost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