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구리아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구리아인은 고대 로마 시대 이전에 현재의 이탈리아 리구리아주, 피에몬테주, 토스카나주 북서부, 프랑스 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 지역에 거주했던 민족이다. 그리스인에게는 '리게스', 로마인에게는 '리구레스'로 불렸다. 기원전 2000년경에는 이탈리아 북서부, 남프랑스, 이베리아 반도 동부까지 세력을 확장하기도 했다. 고대 리구리아어는 사료 부족으로 언어학적 분류가 어렵고, 켈트족의 문화적 영향을 받아 켈토-리구리아인으로도 불렸다. 그들은 중앙 집권 국가를 형성하지 않고 독립적인 부족으로 나뉘어 생활했으며, 농업, 양치기, 사냥, 광업, 상업 활동을 통해 경제를 유지했다. 로마와는 처음에는 적대적이었으나, 점차 로마에 복속되어 로마 군대의 보조병으로 활약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의 역사 - 도피네
    도피네는 프랑스 남동부에 위치한 역사적인 지역으로, 복잡한 역사를 거쳐 현재는 세 개의 프랑스 주로 나뉘어 알프스 산맥과 론 계곡을 아우르는 다양한 지형과 풍부한 문화유산을 자랑하며, 독특한 음식 문화와 샤르트뢰즈 리큐어, 크리테리움 뒤 도피네 사이클 경주로도 유명하다.
리구리아인
개요
명칭리구리아인
현지어 명칭liguri
기타 명칭Ligures (라틴어)
Ligurians (영어)
Λιγυες (고대 그리스어)
역사 및 문화
지역리구리아
언어고대 리구리아어
민족 계통선(先)-인도-유럽계?
문화아펜니노 산맥의 돌에 새겨진 고대 문화 유적 존재
분포 지역
고대마그라강에서 에브로강까지 (일부 학설)
이탈리아 북서부, 프랑스 남동부
현대리구리아주

2. 명칭

그리스인들에게는 ''리게스''(Λιγυες)로, 로마인들에게는 ''리구레스''(초기에는 ''리구세스'')로 불렸다. 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 리구리아인은 스스로를 ''암브로네스''라고 불렀는데, 이는 북유럽의 암브로네스와의 연관성을 시사할 수 있다.[15]

3. 역사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 따르면, 리구리아인은 이미 알려진 세계 주변에 거주하는 아이티오피아|아이티오피아grc인이나 스키타이와 함께 3개의 강력한 야만족 중 하나였다.[16] 기원전 4세기 작가 아비에누스|아비에누스grc는 리구리아인의 세력이 북해에 도달했고, 거기에서 켈트족에 의해 밀려났다고 기록했다. 리구리아인의 흔적은 시칠리아섬, 론 계곡 (고대 언어)|론 계곡grc, 코르시카섬, 사르데냐에서도 발견된다.

고대 로마 시대 이전, 리구리아인은 현재의 리구리아주, 피에몬테주포강 남쪽, 토스카나주 북서부, 그리고 프랑스 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를 점유하고 있었다. 그러나 기원전 2000년경에는 이탈리아 북서부 대부분, 아르노강 북쪽의 모든 토스카나 북부, 남프랑스, 아마도 북부 카탈루냐주 일부와 이베리아 반도 동부까지 더 넓은 지역을 점유했다고 일반적으로 믿어진다.

켈트족의 언어와 문화에 대한 강한 영향으로 인해 고대에는 켈토-리구리아인(Κελτολίγυες, 켈톨리게스)으로 알려졌다. 스트라보는 알프스산맥에는 리구리아인을 제외하고는 모두 켈트족이며, 리구리아인은 다른 종족이지만 생활 방식은 켈트족과 매우 유사하다고 기록했다.[16]

3. 1. 고대 리구리아의 지리적 영역

고대 리구리아 지도, 포강, 바르강과 마그라강 사이


스트라보는 알프스산맥에는 리구리아인을 제외하고는 모두 켈트족이며, 리구리아인은 다른 종족이지만 생활 방식은 켈트족과 매우 유사하다고 기록했다. 리구리아인들은 아펜니노산맥에 인접한 알프스 지역과 아펜니노산맥의 일부에 거주했다.[16] 이 지역은 현재 이탈리아리구리아주와 옛 니스 백작령에 해당하며, 오늘날의 알프마리팀주와 비슷하다.

대 플리니우스는 그의 저서 "박물지"에서 리구리아 해안은 바르강과 마그라강 사이 211마일에 걸쳐 있다고 썼다.[17] 스트라보와 마찬가지로 대 플리니우스는 리구리아를 바르강과 마그라강 사이에 위치시켰다. 또한 바르강과 알프스 반대편에 사는 리구리아인에 대해서도 언급하며, 갈리아는 바르강과 알프스산맥에 의해 이탈리아와 분리된다고 기록했다.[18]

알프스 너머의 리구리아인은 현대 프랑스의 남동부, 알프스와 론강 사이에 거주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곳에서 그들은 그리스 식민지인 마살리아와 끊임없이 전투를 벌였다.[19] 리비우스는 집정관 퀸투스 오피미우스가 마살리아에 속한 두 도시인 안티폴리스와 니카이아를 약탈한 알프스 너머의 리구리아인을 물리쳤다고 기록했다.[5]

스트라보는 초기의 그리스 작가들은 살리에스를 "리구레스"라고 불렀고, 마살리아인들이 소유한 지역을 "리구스티카"라고 불렀지만, 후대의 작가들은 그들을 "켈톨리구레스"라고 부르고, 그들의 영토를 뤼베롱산과 론강까지의 평야 전체에 걸쳐 지정했다고 언급했다.[4]

고대 로마 시대 이전, 리구리아인은 현재의 리구리아주, 피에몬테주포강 남쪽, 토스카나주 북서부, 그리고 프랑스 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를 점유하고 있었다. 그러나 기원전 2000년경에는 이탈리아 북서부 대부분, 아르노강 북쪽의 모든 토스카나 북부, 남프랑스, 아마도 북부 카탈루냐주 일부와 이베리아 반도 동부까지 더 넓은 지역을 점유했다고 일반적으로 믿어진다.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 따르면, 리구리아인은 이미 알려진 세계 주변에 거주하는 아이티오피아|아이티오피아grc인이나 스키타이와 함께 3개의 강력한 야만족 중 하나였다고 한다. 기원전 4세기 작가 아비에누스|아비에누스grc는 리구리아인의 세력이 북해에 도달했고, 거기에서 켈트족에 의해 밀려났다고 기록했다. 리구리아인의 흔적은 시칠리아섬, 론 계곡 (고대 언어)|론 계곡grc, 코르시카섬, 사르데냐에서도 발견된다.

3. 2. 청동기 시대 이전

폴라다 문화 유적에서 출토된 Castelleone 시민 고고학 박물관의 흑요석 화살촉.


리구리아에서는 기원전 4천년기 중반부터 구리가 채굴되기 시작했으며, Libiola와 몬테 로레토 광산은 기원전 37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들은 서부 지중해 분지에서 가장 오래된 구리 광산이다.[20] 이탈리아 구리 시대 동안 리구리아 전역에서 암각화 외에도 많은 인물상이 새겨진 석비가 발견되었다.[10][11]

폴라다 문화(이탈리아 롬바르디아주 브레시아 인근 지역)는 기원전 2천년기 전반기에 동부 롬바르디아와 베네토에서 에밀리아-로마냐에 이르는 포 계곡에 걸쳐 형성된 문화적 지평선으로, 아마도 스위스와 남부 독일의 알프스 너머 지역에서 새로운 사람들이 유입되면서 형성되었을 것이다. 이 문화의 영향은 리구리아, 로마냐, 코르시카, 사르데냐(보나나로 문화) 및 론 계곡의 초기 청동기 시대 문화에서도 발견된다.[21][22][23] 종모양토기 문화와 유사점으로는 활과 화살의 사용, 그리고 야금술에 대한 상당한 숙련도가 있다.[24] 하지만 폴라다 문화는 종모양토기 문화나 이전의 레메델로 문화와 일치하지 않는다.

청동 도구와 무기는 우네티체 문화 및 알프스 북부의 다른 집단과 유사성을 보인다. 베르나르 세르젠트에 따르면, 리구리아어(그의 견해로는 켈트어 및 이탈리아어와 멀리 연관되어 있음) 언어 계통의 기원은 우네티체 문화의 남부 분파인 폴라다 문화와 론 문화에서 찾아야 한다고 한다.[25]

리구리아인은 기원전 2,000년경 포 계곡에 거주했다고 하며, 그들은 포 계곡의 전설에 등장할 뿐만 아니라, 북부 아드리아 해안 근처 지역의 고고학적 유적에서도 언어적, 공예적 흔적을 남겼다고 한다.[26] 리구리아인은 폴라다 문화를 따른 사회로서, 말뚝 집과 댐으로 막은 정착지의 형태로 포 계곡에 최초의 마을을 형성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청동기 시대 중후기에 적합하다.

포강(라틴어: Padus)의 고대 이름은 강의 리구리아어 이름에서 유래했다:[28] ''Bod-encus'' 또는 ''Bod-incus.'' 이 단어는 오늘날 토리노 근처 하류의 포강 우안에 위치한 리구리아 마을인 Bodincomagus의 지명에 나타난다.[29]

전설에 따르면 브레시아와 베르가모는 리구리아인의 조상인 키드노에 의해 건립되었다고 한다.[30] 이 신화는 진실의 일부를 담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최근의 고고학 발굴에서 기원전 12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정착지의 유적이 발견되었으며, 학자들은 이를 리구레스족이 건설하고 거주했을 것으로 추정한다.[31][32] 다른 학자들은 베르가모와 브레시아의 건립을 에트루리아 문명에게 귀속시킨다.[33][34]

3. 3. 청동기 시대

고대 로마 시대 이전, 리구리아인은 현재의 리구리아주, 피에몬테주포강 남쪽, 토스카나주 북서부, 그리고 프랑스 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를 점유하고 있었다. 그러나 기원전 2000년경에는 이탈리아 북서부 대부분, 아르노강 북쪽의 모든 토스카나 북부, 남프랑스, 아마도 북부 카탈루냐주 일부와 이베리아 반도 동부까지 더 넓은 지역을 점유했다고 일반적으로 믿어진다.

3. 4. 카네그라테 문화와 골라세카 문화

카네그라테 문화(기원전 13세기)는 알프스산맥 북서부에서 기원하여 알프스 고개를 통해 서부 포강 계곡, 마조레 호수와 코모 호수 사이(스카모치나 문화)에 침투하여 정착한 원켈트족[35]의 첫 번째 이주 물결을 나타낼 수 있다. 그들은 매장을 대체한 새로운 장례 관습—화장—을 가져왔다. 또한 북서부 이탈리아가 장신구를 포함한 청동 유물 생산과 관련하여 투물루스 문화(중앙 유럽, 기원전 1600년 – 기원전 1200년)의 서부 집단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보이는 중기 청동기 시대 초(기원전 16-15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더 오래된 원켈트족의 존재를 추적할 수 있다는 제안도 있다.[36] 카네그라테 문화의 담지자들은 단 한 세기 동안 동질성을 유지했으며, 그 후 리구리아인과 융합하여 골라세카 문화라고 불리는 새로운 단계를 낳았으며,[37][38] 오늘날 레폰티[39][40] 및 기타 켈트-리구리아 부족과 동일시된다.[41]

골라세카 문화 영토는 라틴 및 그리스 역사가와 지리학자들이 이름을 기록한 부족 집단이 점유한 영토와 대략 일치한다.[36]

부족명영역
인수브레스마조레 호수 남쪽 지역, 바레세노바라의 일부 지역(골라세카, 세스토 칼렌데, 카스텔레토 수프라 티치노). 기원전 5세기부터 이 지역은 갑자기 인구가 감소하고, 메디올라눔(밀라노)의 첫 번째 정착지가 세워진다.
레폰티티치노주, 벨린초나와 소프라 체네리; 오솔라.
오로비코모베르가모 지역.
라에비와 마리치로멜리나(파비아/티치눔).


3. 5. 제노바 건립

제노바 지역은 기원전 5천 년 또는 4천 년기부터 사람이 거주해 왔다.[42] 1898년과 1910년 사이에 도시에서 진행된 발굴 조사에 따르면, 제노바에 살았던 리구리아인들은 에트루리아인 및 그리스인과 무역 관계를 유지했으며, 이들 민족의 여러 유물이 발견되었다.[43][44] 기원전 5세기에 오늘날 카스텔로(Castello, 성)라고 불리는 언덕 꼭대기에 최초의 마을, 즉 오피둠이 건설되었으며, 이곳은 현재 중세 구시가지 내부에 위치해 있다.[45]

3. 6. 로마와의 첫 접촉

기원전 3세기로마인들은 리구리아인들과 직접적인 접촉을 했다. 그러나 로마의 팽창주의는 과 카르타고 이베리아 (당시 카르타고의 지배)의 부유한 영토를 향했고, 리구리아인들의 영토는 그 길목에 위치해 있었다. (그들은 리구리아 해안과 남서 알프스를 지배했다).[48]

로마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몇몇 리구리아 부족들만이 로마와 동맹 협정을 맺었는데, 특히 제누아테스 부족이 그러했다. 나머지 부족들은 곧 적대적인 태도를 보였다. 기원전 238년에 리구리아인들과 보이 골족의 연합으로 적대 행위가 시작되었지만, 두 민족은 곧 의견 불일치를 보였고, 이 동맹이 해체되면서 군사 작전은 중단되었다. 한편, 퀸투스 파비우스 막시무스가 지휘하는 로마 함대는 해안에서 리구리아 선박을 격파하여 (기원전 234-233년) 로마가 골로 가는 해안로를 통제하고, 피사 - 루니 - 제노바 해상 항로가 안전해짐에 따라 이베리아에서 카르타고의 팽창에 대응할 수 있게 되었다.[49]

기원전 222년에 인수브레스는 로마와의 전쟁 중 당시 아나마리 (또는 마리치)의 중요한 지역이었던 클라스티디움의 오피둠을 점령했다. 이들은 아마도 인근의 호전적인 인수브레스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전년도에 이미 로마와의 동맹을 받아들였다.[50]

로마군은 처음으로 포강 너머로 진군하여 갈리아 트란스파다나로 진출했다. 기원전 222년 클라스티디움 전투가 벌어졌고, 로마는 인수브레스의 수도인 메디올라눔 (오늘날의 밀라노)을 점령했다. 로마는 지배력을 강화하기 위해 보이족 영토에 플라켄티아 식민지를, 인수브레스 영토에 크레모나 식민지를 건설했다.[51]

3. 7. 제2차 포에니 전쟁

기원전 218년에 발발한 제2차 포에니 전쟁에서 리구리아 부족들은 서로 다른 입장을 취했다. 서부 리비에라와 아푸아니 부족 등 일부는 카르타고와 동맹을 맺고, 한니발이 북부 이탈리아에 도착했을 때 병력을 제공하여 카르타고 장군이 이웃한 로마인들로부터 자신들을 해방시켜 주기를 희망했다. 반면에 타우리니와 같은 다른 부족들은 로마를 지지했다.[52]

친 카르타고 리구리아인들은 카르타고가 승리한 트레비아 전투에 참여했다. 다른 리구리아인들은 하스드루발 바르카가 시스알파인 골(기원전 207년)에 도착했을 때 그의 형제인 한니발의 군대와 합류하기 위해 그의 군대에 입대했다. 사보나 항구에는 한니발의 형제인 마고 바르카가 지휘하는 카르타고 함대의 삼단 노선이 정박하여 티레니아 해에서 로마의 무역로를 차단하려 했다.[53]

전쟁 초기에 친 로마 리구리아인들은 고통을 겪었다. 타우리니는 한니발의 이탈리아 진군 경로에 있었으며, 기원전 218년에 그들은 오랜 적이었던 인수브레스와 동맹을 맺은 한니발에게 공격을 받았다. 타우리니의 주요 도시인 토리노는 3일간의 포위 공격 끝에 한니발 군대에 의해 점령되었다.[54]

기원전 205년에 제노바는 마고에 의해 공격을 받아 폐허가 되었다.[55]

제2차 포에니 전쟁 말기에 마고는 잉가우니와 함께 로마의 진격을 막으려 했다. 인수브리아 전투에서 그는 패배했으며, 이후 전투에서 입은 부상으로 사망했다. 제노아는 같은 해에 재건되었다.

리구리아 군대는 기원전 202년 자마 전투에 참여했는데, 이 전투는 카르타고가 강대국으로서의 종말을 고하는 계기가 되었다.[56]

3. 8. 로마의 리구리아 정복

풀리카 헬멧의 복제품, 아푸아니 무덤에서 발견됨


리구리아 무덤, 기원전 3세기, 국립 빌라 기니지 박물관, 루카


기원전 200년, 리구리아인과 보이족은 로마 식민지인 플라첸티아를 약탈하고 파괴하여, 포 강 유역에서 가장 중요한 여울을 효과적으로 통제했다.[57]

같은 시기에 로마는 아푸아니와 전쟁을 벌였다. 기원전 182년에 양쪽 집정관 군대와 속주 총독 군대가 리구리아인에 대항하여 파견되면서 본격적인 로마의 군사 작전이 시작되었다. 전쟁은 기원전 150년대까지 이어졌고, 승리한 장군들은 리구리아인에 대한 두 번의 개선식을 거행했다. 로마인들은 많은 원주민들을 그들의 땅에서 몰아내고 그 자리에 식민지를 건설했다 (예: 기원전 170년대의 루나와 루카).[58] 같은 시기에 로마는 북부 아펜니노 산맥의 리구리아 부족과도 전쟁을 벌였다.

제2차 포에니 전쟁 말에도 적대 행위는 끝나지 않았다. 산악 지역에서 활동하는 리구리아 부족과 카르타고 잔존 세력은 게릴라 전술로 계속 싸웠다. 따라서 로마는 북부 이탈리아에서 지속적인 군사 작전을 수행해야 했다. 기원전 201년, 잉가우니는 로마와 평화 조약을 맺었다.[59]

기원전 197년에야 미누키우스 루푸스의 지도 아래 로마인들은 첼레라테스, 케르디카테스, 일바티 및 보이족 갈리아인들을 제압하고 오피둠인 클라스티디움을 점령하여 플라첸티아 지역에 대한 통제권을 되찾는 데 성공했다.[60]

제노아는 같은 해 속주 총독 스푸리우스 루크레티우스에 의해 재건되었다. 카르타고를 물리친 로마는 북쪽으로 영토를 확장하려 했고, 기원전 191년에서 154년 사이에 수십 년 동안 카르타고와 동맹을 맺었던 배후지의 리구리아 부족을 상대로 한 습격을 위한 지원 기지로 제노아를 사용했다.[48]

두 번째 갈등 단계(기원전 197-155년)는 아푸아니 리구리아인들이 아펜니노 산맥에 웅거하여 주기적으로 주변 영토를 약탈하기 위해 내려온다는 특징을 보였다. 로마는 매복에 의해 파괴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리구리아인들을 포위하고 물리치기 위해 지속적인 산악 원정을 조직했다. 이 전쟁 과정에서 로마는 15번의 개선식을 거행했고 적어도 한 번의 심각한 패배를 겪었다.[53]

역사적으로, 이 작전은 리구리아 콩실리아불라(연맹)가 기원전 193년에 시작하여 아르노 강 오른쪽 둑까지 가는 대규모 습격을 조직한 데서 시작되었다. 로마의 작전이 이어졌고(기원전 191, 188 및 187년) 승리했지만 결정적이지는 않았다.

기원전 186년의 작전에서 로마인들은 마그라 계곡에서 리구리아인에게 패했다. 좁고 가파른 곳에서 벌어진 이 전투에서 로마인들은 약 4천 명의 군인, 제2군단의 세 개의 독수리 휘장, 라틴 동맹국의 11개의 깃발을 잃었다. 게다가 집정관 퀸투스 마르티우스도 전투에서 사망했다. 이 전투의 장소와 집정관의 죽음은 마르시아소라는 지명, 혹은 후에 로마인들이 세운 루니 시의 폐허 근처인 레리치 마을의 카프리오네 산에 있는 3월의 운하라는 지명을 낳았다고 생각된다. 이 산은 마그라 계곡과 바다를 통제했기 때문에 전략적 중요성을 지녔다.[61]

기원전 185년, 잉가우니와 인티밀리이도 반란을 일으켜 기원전 180년에 항복하기 전까지 다음 5년 동안 로마 군단에 저항했다. 아푸아니와 배후 지역의 사람들은 여전히 저항했다.[62]

그러나 로마는 골에서 추가적인 정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리구리아를 영구적으로 평화롭게 만들기를 원했다. 이를 위해 그들은 속주 총독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케테구스와 마르쿠스 베비우스 탐필루스의 지휘 아래 거의 36,000명의 병력으로 구성된 대규모 군대를 준비하여 리구리아의 독립에 종지부를 찍으려 했다.

기원전 180년, 로마인들은 아푸아니 리구리아인에게 심각한 패배를 안겨주고 그들 중 4만 명을 삼니움 지역으로 추방했다. 이 추방 후 이듬해에 7,000명의 리구리아인에 대한 또 다른 추방이 이어졌다. 이것은 로마인들이 그렇게 많은 수의 패배한 인구를 추방한 몇 안 되는 사례 중 하나였다. 기원전 177년, 다른 아푸아니 리구리아인 집단이 로마 군대에 항복했고, 기원전 2세기 동안 로마 문화에 동화되었으며 군사 작전은 더욱 북쪽으로 계속되었다.[63]

프리티아테스는 기원전 175년에 항복했고, 스타티엘리 (기원전 172년)와 벨레이아테스(기원전 158년)가 뒤를 이었다. 마지막 아푸아니의 저항은 기원전 155년 집정관 마르쿠스 클라우디우스 마르켈루스에 의해 진압되었다.

해안 리구리아인에 대한 정복과 알프스 마리타마에의 합병은 기원전 14년에 이루어졌으며, 기원전 15년에 중앙 알프스의 점령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64]

마지막 자치 리구리아 부족(예: 보콘티이와 살루비이)은 프로방스를 점령했고, 기원전 124년에 진압되었다.[65]

3. 9. 로마 통치 하의 리구리아

스트라보는 알프스산맥에 수많은 민족이 살고 있는데, 리구리아인을 제외하고는 모두 켈트족이며, 리구리아인은 다른 종족이지만 생활 방식은 켈트족과 매우 유사하다고 기록했다.[16] 이 지역은 현재 이탈리아리구리아주와 옛 니스 백작령에 해당하며, 오늘날의 알프마리팀주와 비슷하다.

대 플리니우스는 그의 저서 "박물지"에서 리구리아 해안이 바르강과 마그라강 사이 211마일에 걸쳐 있다고 언급했다.[17] 스트라보와 마찬가지로 대 플리니우스는 리구리아를 바르강과 마그라강 사이에 위치시켰다. 또한 바르강과 알프스 반대편에 사는 리구리아인에 대해서도 언급하며, 갈리아가 바르강과 알프스산맥에 의해 이탈리아와 분리된다고 썼다.[18]

알프스 너머의 리구레스는 현대 프랑스의 남동부, 알프스와 론강 사이에 거주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곳에서 그들은 그리스 식민지인 마살리아와 끊임없이 전투를 벌였다.[19] 리비우스는 집정관 퀸투스 오피미우스가 마살리아에 속한 두 도시인 안티폴리스와 니카이아를 약탈한 알프스 너머의 리구리아인을 물리쳤다고 기록했다.[5]

스트라보는 초기의 그리스 작가들은 살리에스를 "리구레스"라고 불렀고, 마살리아인들이 소유한 지역을 "리구스티카"라고 불렀지만, 후대의 작가들은 그들을 "켈톨리구레스"라고 부르고, 그들의 영토를 뤼베롱산과 론강까지의 평야 전체에 걸쳐 지정했다고 언급했다.[4]

리구리아를 보여주는 로마 이탈리아


알프스 이북 갈리아는 기원전 4세기와 3세기 동안 켈트족이 거주했던 현대 이탈리아의 일부였다. 기원전 220년대에 로마 공화국에 정복된 후, 기원전 81년경부터 기원전 42년까지 로마 속주였다가 로마 이탈리아로 병합되었다.[66][67] 기원전 49년 북부 이탈리아의 모든 주민은 로마 시민권을 받았다.[68]

기원전 7년경, 아우구스투스는 이탈리아를 11개의 '레기오네'로 나누었고, 대 플리니우스는 그의 저서 《박물지》에서 '레기오 IX: 리구리아'를 언급했다.[69] 제노바는 이 지역의 중심지가 되었고, 리구리아인들은 점차 로마화되었다.

공식적인 역사적 명칭에는 리구리아의 부가어가 없었는데, 이는 아우구스투스 시대의 지역을 그들이 포함하는 인구에 따라 명명하는 당시 학문적 사용 때문이었다. 레기오 IX는 리구리아 영토만을 포함했다. 이 영토는 해양 및 코티안 알프스와 바르 강(서쪽)에서 트레비아 강과 마그라 강(동쪽)의 경계선인 레기오 VIII 에밀리아와 레기오 VII 에트루리아, 그리고 북쪽의 포 강까지 뻗어 있었다.[70]

플리니우스는 이 지역을 "바르 강과 마크라 강 사이의 리구리아 해안은 31000passuum에 달한다. 이 지역은 아우구스투스의 설명에 따르면 9번째 지역이다"라고 묘사했다.[71]

193 A.D. 로마 황제 알바 폼페이아 출신 페르티나크스, 리구리아


리구리아 이름의 사람들은 서기 102년까지 이탈리아의 플라센티아 남쪽에 살고 있었다.[15]

서기 126년 리구리아 지역은 로마 황제가 된 페르티나크스의 출생지였다.

4. 리구리아인의 기원에 대한 이론

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 리구리아인은 스스로를 북유럽의 암브로네스와 연관이 있을 수 있는 '암브로네스'라고 불렀다.[15]

19세기에 리구리아인의 기원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졌다. 프랑스 역사학자 아메데 티에리는 리구리아인을 이베리아인과 연결시켰다.[72] 부르고뉴의 역사가 도미니크-프랑수아-루이 로제는 리구리아인의 갈리아 기원을 주장했다.[73] 철기 시대 리구리아 지역에서 발견된 유물(예: 수많은 토크)은 구어, 주요 신성, 솜씨가 켈트 문화와 유사했다.[74]

칼 뮐렌호프는 아비에누스의 ''오라 마리티마''를 연구하여 '리구리아인'이라는 이름이 서유럽의 다양한 민족을 통칭하는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진정한 리구리아인"은 선(先) 인도유럽어족의 인구라고 생각했다.[76] 아르투로 이셀은 리구리아인을 중석기 시대부터 갈리아 전역에 살았던 크로마뇽인의 직계 후손으로 여겼다.[77]

앙리 다르부아 드 쥐뱅빌은 리구리아인이 서유럽의 가장 초창기 인도유럽어족 언어 사용자들이라고 주장했다. 그의 "켈토-리구리아 가설"은 깔때기 목 항아리 문화와 연관되어 "중앙 유럽의 많은 지역을 아우르도록 확장"되었다.[78]

율리우스 포코르니는 켈토-리구리아 가설을 일리리아인과 리구리아인을 연결하는 가설로 각색하여 "리구리아-일리리아인"이 선사 시대의 고분 민족과 연관되었다고 주장했다.[79]

프레데릭 오턴은 리구리아인이 파슈툰 아프간 기원일 가능성을 제시했다.[80]

오늘날 일부 학설은 리구리아인이 원시 이탈리아어 민족과 다르고 그보다 더 오래된 언어학적 계층의 북부 분파를 나타낸다고 한다. "리구리아-시카니아" 문화가 리구리아에서 시칠리아와 이베리아에 이르는 남유럽의 광대한 지역을 점유했다고 믿어졌다.[81] 그러나 티레니아인과 리구리아인 사이의 알려진 연결 고리는 없다.

도미니크 가르시아는 리구리아인이 별개의 민족 집단이나 문화로 간주될 수 있는지 의문을 제기한다.[82][83]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 따르면, 리구리아인은 이미 알려진 세계 주변에 거주하는 아이티오피아영어인이나 스키타이와 함께 3개의 강력한 야만족 중 하나였다고 한다. 기원전 4세기 작가 아비에누스영어는 리구리아인의 세력이 북해에 도달했고, 거기에서 켈트족에 의해 밀려났다고 기록했다. 리구리아인의 흔적은 시칠리아섬, 론 계곡 (고대 언어)|론 계곡영어, 코르시카섬, 사르데냐에서도 발견된다.

고대 리구리아어는 비문 등 사료 부족으로 인해 선(先)인구어, 인도유럽어족이나 켈트어파와 같은 언어학적 분류가 불가능하다.

5. 문화

고대 로마 시대 이전에 리구리아인은 현재의 리구리아주, 피에몬테주, 포강 남쪽, 토스카나주 북서부, 프랑스 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 지역에 살았다. 그러나 기원전 2000년경에는 이탈리아 북서부 대부분, 아르노강 북쪽의 토스카나 북부, 남프랑스, 카탈루냐주 북부와 이베리아 반도 동부까지 더 넓은 지역을 점유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 따르면, 리구리아인은 스키타이와 함께 3개의 강력한 야만족 중 하나였다. 기원전 4세기 작가 아비에누스는 리구리아인의 세력이 북해에 도달했고, 켈트족에 의해 밀려났다고 기록했다. 리구리아인의 흔적은 시칠리아섬, 론 계곡, 코르시카섬, 사르데냐에서도 발견된다.

고대 리구리아어는 선(先)인구어, 인도유럽어족이나 켈트어파와 같은 언어학적 분류가 불가능하다. 켈트족의 언어와 문화에 대한 강한 영향으로 고대에는 켈토-리구리아인으로 알려졌다. 어떤 시점 이후, 고대 리구리아어는 켈트어와의 강한 친화성과 이탈리아어파와의 유사성을 지닌 인도유럽어족이 되었다고 일반적으로 믿어진다.

5. 1. 사회

석상 멘히르, 제노바 리구리아 고고학 박물관에서 발견된 전사상


리구리아인은 중앙 집권 국가를 형성하지 않았고, 독립적인 부족으로 나뉘어 작은 마을이나 성으로 조직되었다. 오피다는 드물었고, 이는 개별 부족의 연방 수도 또는 중요한 상업적 엠포리움에 해당했다.[84]

부족 내에서는 평등주의와 공동체 정신이 지배했다. 귀족 계급이 있었지만, 이는 모든 계급이 참여하는 "부족 집회"에 의해 완화되었다. 미리 조직된 행정 기관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왕조 지도자도 없었다. 리구리아의 ""은 부족 또는 부족 연합의 지도자로 선출되었고, 늦은 시기에 들어서야 진정한 왕조 귀족 계급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원래 노예 제도는 없었다. 포로는 학살되거나 인신 제사로 희생되었다.[85]

디오도루스 시쿨루스는 기원전 1세기에 여성들이 남성과 함께 노동에 참여한다고 기록했다.[86]

5. 2. 종교

루니지아나의 입상


가장 중요한 증거로는 신성한 산악 지대(몽 베고, 몬테 베이구아)와 거석 문화의 발달(루니지아나의 입상)을 언급할 가치가 있다.[87]

방데 메르베유 계곡에 있는 웅장한 몽 베고는 암각화, 특히 컵 모양의 구멍, 골짜기, 의례용 수조로 덮여 있는 수많은 신성한 장소 중 가장 대표적인 곳이다. 후자는 고대 리구리아인의 의식에서 물(또는 우유, 피)의 사용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음을 시사한다. 몽 베고의 부지는 발 카모니카의 부지와 비교할 만한 규모와 장관을 자랑한다. 또 다른 중요한 성지로는 몬테 베이구아가 있는데,[88] 실제로 이탈리아 북서부알프스산맥의 많은 곶에서 이러한 유형의 성지를 찾아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리구리아 종교는 자연의 거대한 힘을 나타내는 초자연적인 수호신에게 헌신하는 다소 원시적인 종교로 여겨지며, 이를 통해 그들의 점을 통해 도움과 보호를 받을 수 있었다고 여겨진다.[89]

또 다른 중요한 신으로는 리구리아의 왕이자 파에톤의 사랑을 받고 그의 친족이었던 키크누스 오브 리구리아가 있는데, 그는 파에톤의 죽음을 애도하다가 결국 백조로, 나중에는 별자리로 변했다고 한다.[90]

5. 3. 복식

디오도로스 시쿨루스는 리구리아인들이 가죽 허리띠로 허리를 졸라매고 청동 버클로 잠근 튜닉을 입었으며, 다리는 맨발이었다고 기록했다.[97] 또한 "사굼" 망토와 겨울 추위를 막기 위한 동물 가죽을 사용했다고 한다.[91]

루카누스는 그의 저서 ''파르살리아''(기원후 61년경)에서 리구리아 부족을 장발족으로 묘사하며, 그들의 머리카락은 적갈색이었다고 썼다.[92]

6. 군사

디오도루스 시쿨루스는 리구리아인을 매우 무서운 적으로 묘사한다.

몬테포르티노식 헬멧, 볼로냐 고고학 시립 박물관 소장

6. 1. 전술, 부대 유형 및 장비

리구리아인의 무장은 계급과 재산에 따라 달랐지만, 대다수는 경보병으로 빈약하게 무장했다.[91][93] 주요 무기는 큐빗(약 45cm)이 넘는 창끝이 달린 창이었고, 갈리아식 검도 사용했다. 드물게 활과 화살을 갖춘 전사도 있었다.

방어는 켈트족 유형의 길쭉한 방패[94]와 몬테포르티노 헬멧형의 단순한 헬멧에 의존했다. 아푸아니 부족 지역에서 발견된 뿔 달린 헬멧은 의식용으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갑옷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부유한 전사들은 갈리아인[95]이나 그리스인처럼 가죽 갑옷과 같은 유기 재료로 만든 갑옷을 사용했을 수도 있다.[96]

6. 1. 1. 기병

스트라보와 디오도루스 시쿨루스는 리구리아인들이 지형 특성상 주로 보병으로 싸웠다고 언급했지만, 기병이 완전히 알려지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최근 발견된 두 개의 리구리아 무덤에서는 마구 장비가 발견되었다. 스트라보는 마살리아 북쪽에 위치한 살레스 부족이 상당한 기병대를 보유하고 있었다고 말했지만, 그들은 여러 켈트-리구리아 부족 중 하나였으며, 기병대는 아마도 켈트족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97]

앙트르몽 오피다의 기둥, 말의 목에 머리를 걸고 있는 기마병을 묘사.


마르세유 역사 박물관에 있는 로크페르튀스의 앉아 있는 전사

6. 2. 로마군 복무

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 리구리아 보조병들은 제3차 마케도니아 전쟁의 결정적인 전투인 피드나 전투에서 로마를 위해 싸웠다.[102][97]

살루스티우스와 플루타르코스는 리구리아인들이 유구르타 전쟁 (기원전 112년부터 105년까지)[103]과 킴브리 전쟁 (기원전 104년부터 101년까지)[104] 동안 로마 군대에서 보조병으로 복무했다고 말한다. 이 마지막 분쟁 과정에서 그들은 아쿠아이 섹스티아이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7. 경제

리구리아 경제는 원시적인 농업, 양치기, 사냥, 숲의 활용에 기반을 두었다. Διόδωρος Σικελιώτης|디오도로스 시켈로스grc는 리구리아인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 그들의 나라는 산이 많고 나무가 무성하기 때문에, 어떤 이들은 하루 종일 나무를 베는 데 시간을 보낸다. 튼튼하고 무거운 도구를 사용하여; 다른 이들은 땅을 경작하려 하지만, 돌을 깨는 데 어려움을 겪어야 한다. 땅이 너무 건조하여 도구를 사용하여 흙을 파내려 해도 돌이 함께 올라오지 않는 곳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들은 이처럼 많은 불행과 싸워야 함에도 불구하고, 끈기 있는 노동을 통해 자연을 극복한다 [...] 그들은 종종 사냥에 나서서 많은 야생 동물을 잡고, 이를 통해 식량 부족을 메운다; 그리하여 눈 덮인 산을 오가며 덤불 속에서 더 어려운 곳을 오가는 데 익숙해지면서, 그들의 몸은 단련되고 근육은 놀라울 정도로 강해진다. 그들 중 일부는 식량 부족으로 인해 물을 마시고, 가축과 야생 동물의 고기를 먹고 산다.[105]

청동 "금속 탐구자"들과의 접촉 덕분에, 리구리아인들은 광업에도 종사하게 되었다.[106]

상업 활동 또한 중요했다. 이미 고대 시대에 리구리아인들은 귀중한 발트 해 호박의 무역으로 지중해 지역에 알려져 있었다. 켈트족의 발전과 함께, 리구리아인들은 바다로 가는 중요한 접근로를 통제하게 되었고, (때로는 원치 않게) 중요한 교통로의 관리자가 되었다.

그들은 유명한 항해사는 아니었지만, 작은 해상 함대를 갖게 되었으며, 그들의 항해에 대한 태도는 다음과 같이 묘사된다.

> 그들은 사르데냐리비아 해에서 상업을 위해 항해하며, 스스로 극심한 위험에 노출된다; 그들은 일반적인 배보다 작은 선체를 사용한다; 다른 배의 편의성을 활용하지 않으며; 놀라운 점은 그들이 폭풍의 심각한 위험을 감수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다는 것이다.[105]

리부이의 동전, 고대 리구리아인으로 현재 베르첼리 현, 피에몬테 주 지역에 정착

참조

[1] 웹사이트 Popoli e culture dell'Italia preromana. I Liguri http://www.treccani.[...] Treccani editore 2019-09-14
[2] 서적 The Latin Language Faber and Faber
[3] 서적 Toponomastica d'Italia. Nomi di luoghi, storie di popoli antichi Mursia 2010
[4] 문서 Geography
[5] 문서 History of Rome
[6] 서적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Geography J. Murray
[7] 웹사이트 Ligurian | people https://www.britanni[...]
[8] 문서 Los Indoeuropeos y los origines de Europa: lenguaje e historia Gredos
[9] 문서 '"Ligures en España" [[Martín Almagro Basch]]'
[10] 웹사이트 Sulle pietre dell'Appennino l'antica cultura dei Liguri https://gazzettadire[...] 2019-06-18
[11] 웹사이트 Pietre Con Scritte e Figure dei Liguri Friniati Alle Caselle di Ospitale (Appennino Modenese) https://www.academia[...]
[12] 뉴스 Liguri http://www.treccani.[...] Treccani -Istituto dell'Enciclopedia Italiana
[13] 웹사이트 Ligurian language http://www.britannic[...] Britannica.com 2014-12-16
[14] 서적 The Foundations of Latin Walter de Gruyter
[15]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Persia, Greece and the Western Mediterranean c. 525–479 BC
[16] 웹사이트 Strabo, Geography, BOOK II., CHAPTER V., section 28 http://www.perseus.t[...]
[17] 웹사이트 Pliny the Elder, the Natural History, BOOK III. AN ACCOUNT OF COUNTRIES, NATIONS, SEAS, TOWNS, HAVENS, MOUNTAINS, RIVERS, DISTANCES, AND PEOPLES WHO NOW EXIST OR FORMERLY EXISTED., CHAP. 7.—OF THE NINTH1 REGION OF ITALY. 1 Italy was divided by Augustus into eleven districts; the ninth of which nearly corresponded to the former republic of Genoa http://www.perseus.t[...]
[18] 웹사이트 Pliny the Elder, the Natural History, BOOK III. AN ACCOUNT OF COUNTRIES, NATIONS, SEAS, TOWNS, HAVENS, MOUNTAINS, RIVERS, DISTANCES, AND PEOPLES WHO NOW EXIST OR FORMERLY EXISTED., CHAP. 5. (4.)—OF THE PROVINCE OF GALLIA NARBONENSIS http://www.perseus.t[...]
[19] 서적 History of Rome Nabu Press 2010-08-14
[20] 연구 Mid fourth-millennium copper mining in Liguria, north-west Italy: The earliest known copper mines in Western Europe https://www.research[...]
[21] 서적 La civiltà dei Sardi. Dal Paleolitico all'età dei nuraghi Edizioni il Maestrale 2004
[22] 문서 Les influences italiques dans la céramique de l'Age du Bronze de la Corse
[23] 문서 Protostoria http://www.treccani.[...]
[24] 문서 An Early History of Horsemanship
[25] 서적 Les Indo-Européens. Histoire, langues, mythes. Payot 1995
[26] 문서 "Cfr. ''Rivista archeologica della provincia e antica diocesi di Como'', 1908, p. 135; ''Emilia preromana'' vol. 8-10, 1980, p. 69; Istituto internazionale di studi liguri, ''Studi genuensi'', vol. 9-15, 1991, p. 27."
[27] 문서 I tempi alimentari del Mediterraneo: cultura ed economia nella storia alimentare dell'uomo
[28] 서적 Literature and western civilization Aldus
[29] 문서 "Cfr. la voce ''fossa'' in Alberto Nocentini, ''l'Etimologico. Dizionario etimologico della lingua italiana'', Firenze, Le Monnier, 2010."
[30] 웹사이트 Ducato di Piazza Pontida http://www.ducatodip[...]
[31] 웹사이트 History of Brescia: the origins and the Roman Brescia http://www.turismobr[...] 2014-06-20
[32] 웹사이트 Storia del Colle Cidneo http://www.bresciamu[...] 2014-05-14
[33] 웹사이트 Ducato di Piazza Pontida http://www.ducatodip[...] 2019-12-08
[34] 웹사이트 Le origini https://www.brescias[...] Brescia Story 2019-12-09
[35] 서적 La grande storia dei celti. La nascita, l'affermazione e la decadenza Newton & Compton
[36] 문서
[37] 웹사이트 >Maps of the Golasecca culture http://members.fortu[...] 2010-08-10
[38] 간행물 Il territorio comasco dall'età della pietra alla fine dell'età del bronzo Società Archeologica Comense
[39] 서적 The Celts Thames and Hudson
[40] 서적 Old Celtic Languages http://www.univie.ac[...]
[41] 웹사이트 Other Italic peoples: The Ligurians https://www.britanni[...] 2024-08-21
[42]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2013-12-30
[43] 서적 Genova preromana. Città portuale del Mediterraneo tra il VII e il III secolo a.C. Frilli
[44] 서적 Scavi nell'oppidum preromano di Genova https://books.google[...] L'Erma di Bretschneider
[45] 서적 Scavi nell'oppidum preromano di Genova L'Erma di Bretschneider
[46] 백과사전 Liguria https://www.perseus.[...]
[47] 웹사이트 Other Italic peoples: The Ligurians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48] 웹사이트 IX REGIO AUGUSTEA - LIGURIA https://www.romanoim[...] 2023-08-09
[49] 웹사이트 GUERRE ROMANO- LIGURI https://www.arsmilit[...] 2023-08-09
[50] 웹사이트 BATTAGLIA DI CLASTIDIUM (222 a.c.) https://www.romanoim[...] 2023-08-09
[51] 문서
[52] 웹사이트 Il Piemonte in epoca romana https://www.piemonte[...] 2023-08-09
[53] 웹사이트 Sanremo Romana e Villa Matuzia https://www.sanremos[...] 2023-08-09
[54] 문서
[55] 문서
[56] 문서
[57] 웹사이트 Ancient Rome - Roman expansion in the western Mediterranean https://www.britanni[...] 2024-08-27
[58] 웹사이트 LUNI (insediamento) https://catalogo.ben[...] 2023-08-09
[59] 웹사이트 INGAUNI https://www.treccani[...] 2023-08-09
[60] 웹사이트 A proposito di penetrazione romana e controllo territoriale nel Piemonte orientale https://www.openstar[...] 2023-08-09
[61] 웹사이트 Storia di Roma e Medioevo s'intrecciano sul Caprione https://www.cittadel[...] 2023-08-09
[62] 웹사이트 GUERRE ROMANO- LIGURI https://www.arsmilit[...] 2023-08-09
[63] 학위논문 Internal migration and the transformation of Republican Italy http://discovery.ucl[...]
[64] 문서
[65] 문서
[66] 서적 Beyond the Rubicon: Romans and Gauls in Republican Ital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67] 서적 Decline of the Roman republic: Volume 2
[68] 문서
[69] 서적 Hiera Kala: Images of animal sacrifice in archaic and classical Greece
[70] 문서
[71] 서적 Naturalis Historia
[72] 서적 Histoire des Gaulois depuis les temps les plus reculés 1828, 1834, 1845
[73] 서적 Ethnogénie gauloise, ou Mémoires critiques sur l'origine et la parenté des Cimmériens, des Cimbres, des Ombres, des Belges, des Ligures et des anciens Celtes. 1868
[74] 서적 Paesaggio e architettura delle regioni padano-alpine dalle origini alla fine del primo millennio Priuli e Verlucc, editori 2002
[75] 서적 Ora maritima
[76] 서적 Deutsche Alterthumskunde 1870
[77] 서적 Liguria geologica e preistorica 1892
[78] 서적 The Penguin Atlas of Ancient History by Colin McEvedy 1967
[79] 서적 Language Contacts in Prehistory: Studies in Stratigraphy John Benjamins Publishing 2003
[80] 서적 Links with Past Ages https://books.google[...] W. Heffer & Sons, Limited 1935
[81] 서적 Toponomastica d'Italia. Nomi di luoghi, storie di popoli antichi Mursia 2010
[82] 서적 From the Pillars of Hercules to the Footsteps of the Argonauts (Colloquia Antiqua) https://www.academia[...] Peeters 2012
[83] 서적 Becoming Roman?: Diverging Identities and Experiences in Ancient Northwest Ital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84] 웹사이트 Dove e come vivevano gli antichi liguri https://www.consorzi[...] 2023-08-10
[85] 문서 Livius mentions the fate of the population of Mutina, once it fell into the hands of the Ligures.
[86] 서적 Bibliotheca historica
[87] 웹사이트 Megalitismo https://www.enciclop[...] 2018-03-15
[88] 웹사이트 UN PERCORSO RITUALE SULLE PENDICI MERIDIONALI DEL MONTE BEIGUA http://www.archaeoas[...] 2023-08-10
[89] 웹사이트 La religiosità degli antichi liguri http://www.tuttostor[...] 2023-08-10
[90] 웹사이트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https://www.perseus.[...]
[91] 서적 Bibliotheca historica
[92] 서적 Pharsalia 1896
[93] 서적 Livius
[94] 서적 Polibius
[95] 웹사이트 AD PUGNAM PARATI: Rievocazione Storica, Spettacolo, Sperimentazione http://www.adpvgnamp[...] 2019-09-09
[96] 문서 The commercial contacts with the Greeks and the militancy of Ligurian mercenaries in the ranks of the Greek and Carthaginian armies of the western Mediterranean, who effectively used this type of protection, may have led to their adoption by the Ligurians.
[97] 서적 Armies of the Macedonian and Punic Wars https://books.google[...] 2012
[98] 문서 Herodotus 7.165; Diodorus Siculus 11.1.
[99] 문서 Diodorus Siculus 21.3.
[100] 문서 They were on Carthaginian side during the Second Punic War also.
[101] 웹사이트 Ingauni http://www.treccani.[...]
[102] 서적 The Lives of Emilius Paul and Timoleon
[103] 서적 Giugurtine War (In French)
[104] 서적 Marius
[105] 문서 (Diodorus Siculus, in Luca Ponte, Le genovesi)
[106] 문서 Examples of mining activities are witnessed in the Labiola mine.
[107] 웹사이트 Tutto sui Liguri: chi sono, da dove provengono https://www.amegliai[...] 2023-05-12
[108] 웹사이트 The Polcevera Valley Palio of the Bronze Table {{!}} Visitgenoa.it The Polcevera Valley Palio of the Bronze Table http://www.visitgeno[...] 2023-05-12
[109] 웹사이트 Popoli e culture dell'Italia preromana. I Liguri in "Il Mondo dell'Archeologia" https://www.treccani[...] 2020-10-12
[110] 서적 Ligurian
[111] 웹인용 Popoli e culture dell'Italia preromana. I Liguri http://www.treccani.[...] Treccani editore 2019-09-14
[112] 웹인용 Ligurian | people https://www.britanni[...]
[113] 서적 Los Indoeuropeos y los origines de Europa: lenguaje e historia Gredos 1991
[114] 문서 '"Ligures en España" [[Martín Almagro Basch]]'
[115] 뉴스 Liguri http://www.treccani.[...] Treccani -Istituto dell'Enciclopedia Italiana
[116] 웹인용 Strabo, Geography, BOOK II., CHAPTER V., section 28 http://www.perseus.t[...]
[117] 웹인용 Pliny the Elder, the Natural History, BOOK III. AN ACCOUNT OF COUNTRIES, NATIONS, SEAS, TOWNS, HAVENS, MOUNTAINS, RIVERS, DISTANCES, AND PEOPLES WHO NOW EXIST OR FORMERLY EXISTED., CHAP. 7.—OF THE NINTH1 REGION OF ITALY. 1 Italy was divided by Augustus into eleven districts; the ninth of which nearly corresponded to the former republic of Genoa http://www.perseus.t[...]
[118] 웹인용 Sulle pietre dell'Appennino l'antica cultura dei Liguri https://gazzettadire[...] 2019-06-18
[119] 웹인용 Pietre Con Scritte e Figure dei Liguri Friniati Alle Caselle di Ospitale (Appennino Modenese) https://www.academ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