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우구스타 폰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대공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우구스타 폰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대공녀는 1811년 작센바이마르에서 태어났으며, 프로이센 왕자 빌헬름과 결혼하여 1남 1녀를 두었다. 자유주의적인 성향을 지녔으며, 1861년 빌헬름 1세가 프로이센 국왕이 되면서 왕비가 되었고, 1871년 독일 제국 성립 후에는 독일 황후가 되었다. 오토 폰 비스마르크와 정치적 갈등을 겪었으며, 독일 통일 전쟁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 자선 활동에도 적극적이었으며, 1890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 황후 - 아우구스테 빅토리아 폰 슐레스비히홀슈타인 공녀
    아우구스테 빅토리아 폰 슐레스비히홀슈타인 공녀는 슐레스비히홀슈타인 공작 프리드리히 8세의 장녀로, 빌헬름 2세와 결혼하여 독일 황후 및 프로이센 왕비가 되었으며, 사회복지 활동과 복음주의 교회 후원에 헌신하다 독일 제국 붕괴 후 네덜란드로 망명하여 생을 마감했다.
  • 독일 황후 - 프린세스 로열 빅토리아
    프린세스 로열 빅토리아는 영국 빅토리아 여왕의 장녀로, 독일 황제 프리드리히 3세와 결혼하여 독일 황후가 되었으며, 아들 빌헬름 2세의 정책에 비판적이었고 예술,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가졌다.
  •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가 - 베른하르트 폰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베른하르트 폰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는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대공의 아들로 나폴레옹 전쟁과 네덜란드령 동인도 군 사령관을 역임한 군인이자 네덜란드 왕국 군 장군으로 십일 전쟁과 발리 원정에도 참여했으며, 유럽 왕가와 혼인한 명문 가문 출신이다.
  •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가 - 마리야 파블로브나 라시스키 황녀
    마리야 파블로브나 라시스키 황녀는 1786년 러시아에서 태어나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대공비가 되어 예술과 과학을 후원하고 바이마르 대공국의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며, 프란츠 리스트, 요한 볼프강 폰 괴테 등 예술가들을 후원하고 예나 대학교 교육 환경 개선에 힘썼다.
  • 프로이센의 왕비 - 아우구스테 빅토리아 폰 슐레스비히홀슈타인 공녀
    아우구스테 빅토리아 폰 슐레스비히홀슈타인 공녀는 슐레스비히홀슈타인 공작 프리드리히 8세의 장녀로, 빌헬름 2세와 결혼하여 독일 황후 및 프로이센 왕비가 되었으며, 사회복지 활동과 복음주의 교회 후원에 헌신하다 독일 제국 붕괴 후 네덜란드로 망명하여 생을 마감했다.
  • 프로이센의 왕비 - 엘리자베트 루도비카 폰 바이에른 왕녀
    엘리자베트 루도비카 폰 바이에른 왕녀는 바이에른 왕의 딸로 태어나 프로이센 왕세자와 결혼하여 프로이센 왕비가 되었으며, 남편의 예술 활동을 지원하고 자선 사업에 헌신하다가 사망했다.
아우구스타 폰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대공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아우구스타 폰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독일 황후이자 프로이센 왕비
"프란츠 자버 빈터할터, 1853년 작."
전체 이름아우구스타 마리 루이제 카타리나
출생일1811년 9월 30일
출생지바이마르,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공국
사망일1890년 1월 7일
사망지베를린, 독일 제국
매장지샤를로텐부르크 궁전 묘소
서명
가문
가문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가문
아버지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대공 카를 프리드리히
어머니러시아의 마리아 파블로브나
결혼과 자녀
배우자빌헬름 1세 (독일 황제) (1829년 결혼, 1888년 사별)
자녀프리드리히 3세 (독일 황제)
바덴 대공비 루이제
왕족으로서의 정보
작위프로이센 왕비
재위 시작1861년 1월 2일
재위 종료1888년 3월 9일
작위독일 황후
재위 시작1871년 1월 18일
재위 종료1888년 3월 9일

2. 생애

1811년 9월 30일, 카를 프리드리히와 그의 아내이자 러시아 황제 파벨 1세의 딸인 마리아 파블로브나 사이에서 셋째로 바이마르에서 태어났다. 풀네임은 아우구스타 마리 루이제 카타리나 폰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Augusta Marie Luise Katharina von Sachsen-Weimar-Eisenach)이다.

1829년, 프로이센 왕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의 차남인 빌헬름 왕자와 결혼하여 1남 1녀를 낳았다. 그러나 남편 빌헬름은 서로 사랑하는 약혼녀 엘리자 라지비우프나와의 결혼을 정치적인 이유로 허락받지 못하고, 어쩔 수 없이 아우구스타를 왕비로 선택한 사정이 있었기에 결혼 생활은 불행했다.[4]

2. 1. 어린 시절과 교육 (1811년 ~ 1826년)

아우구스타 폰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대공녀는 1811년 9월 30일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대공 카를 프리드리히와 러시아 여대공 마리아 파블로브나 사이에서 셋째로 태어났다. 풀네임은 아우구스타 마리 루이제 카타리나 폰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Augusta Marie Luise Katharina von Sachsen-Weimar-Eisenach)이다.

아우구스타는 바이마르 궁정에서 성장하며, 유모 아말리아 바츠의 보살핌을 받았다. 영어, 러시아어, 프랑스어, 라틴어 등 4개 외국어를 비롯하여 수학, 지리학, 종교, 역사, 춤, 그림, 승마, 음악 등 다양한 분야의 교육을 받았다. 궁정 화가 루이제 자이들러, 작곡가 요한 네포무크 훔멜, 화폐학자 프레데릭 소레 등 당대 최고의 전문가들이 그녀의 교육을 담당했다. 특히, 요한 볼프강 폰 괴테는 아우구스타의 교육 과정 구성에 참여하고 예나 대학교에서 가르침을 주었으며, 아우구스타는 훗날 괴테를 어린 시절 가장 소중한 친구로 회고했다.

역사가 로타어 갈에 따르면, 아우구스타의 정치적 입장은 자유로운 가정 환경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1] 그녀의 할아버지 카를 아우구스트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대공은 1816년 대공국에 헌법을 도입했으며,[1] 이는 아우구스타가 훗날 프로이센을 입헌군주제로 전환하는 것을 옹호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2]

2. 2. 프로이센 왕자와의 결혼 (1829년)

1811년 9월 30일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대공 칼 프리드리히와 러시아 여대공 마리아 파블로브나의 세 번째 자식으로 태어났다.[3] 풀네임은 아우구스타 마리 루이제 카타리나 폰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Augusta Marie Luise Katharina von Sachsen-Weimar-Eisenach)이다.

아우구스타의 어머니 마리아 파블로브나는 프로이센으로 두 딸의 결혼 계획을 세웠는데, 이는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에 인접해 위협이 된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3] 아우구스타와 빌헬름 1세의 결혼, 그리고 프로이센의 카를 왕자와 마리의 결혼은 대공국의 지속적인 존속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었다. 프로이센 측의 동기는 아우구스타가 니콜라이 1세 황제의 조카였기 때문에 러시아와의 왕실 관계를 더욱 확장하는 것이었다.[3] 나폴레옹에 대한 공동 승리 이후, 프로이센과 러시아는 동맹 정치 측면에서 특히 가까웠다. 프로이센 국왕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의 딸인 샤를로테 공주는 이미 1817년에 알렉산드르 1세 황제의 동생이자 후계자인 니콜라이와 결혼했다.

1829년경 신부로서의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의 아우구스타


1829년, 프로이센의 왕자 빌헬름과 결혼했지만, 빌헬름은 서로 사랑하던 연인 엘리자 라지비우가 있었다.[4] 그러나 엘리자의 혈통이 문제가 되어 그녀와의 결혼이 불가능해지자, 빌헬름은 어쩔 수 없이 아우구스타와 결혼했다.[4] 역사학자 로베르트-타레크 피셔에 따르면, 결혼은 여러 가지 이유로 긴장 상태였는데, 한편으로는 14살 연상인 빌헬름이 엘리사에 대한 지속적인 애정을 숨기지 않았기 때문이다.

공작부인 아우구스타, 카를 요제프 베가스 작, 1838년. 클라시크 재단 바이마르, 바이마르.


다른 한편으로는 아우구스타의 자유주의적 견해와 지적 관심사를 빌헬름과 프로이센 궁정의 많은 사람들이 공유하지 않았다. 역사학자 비르기트 아쉬만은 아우구스타가 호엔촐레른 가문과는 달리 바이마르 궁정에서 더 큰 "문화적 개방성"에 익숙했다고 추정한다. 남편의 관점에서 그녀는 부르주아 여성의 이상에 충분히 부합하지 않았다. 빌헬름이 1829년 10월에 비판했듯이 그녀는 "마음의 여성이 아니라 정신의 여성"이었다. 그렇게 함으로써 아우구스타는 남성은 이성적이어야 하고 여성은 감성적이어야 한다는 당시의 성 역할을 위반했다. 역사학자 위르겐 앙겔로에 따르면, 정치적 동기에도 불구하고 결혼은 "그렇게 불행하지 않았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두 사람 사이에는 신뢰와 존경의 관계가 발전했다.

빌헬름과의 사이에서 1남 1녀( 프리드리히 3세, 프로이센의 루이제)를 두었다.

사진이름생일사망기타
120px
프리드리히 3세1831년 10월 18일1888년 6월 15일 (56세)제위 계승, 슬하 4남 4녀
120px
프로이센의 루이제1838년 10월 15일1923년 1월 2일 (84세)바덴의 프리드리히 1세와 결혼. 슬하 2남 1녀


2. 3. 프로이센 왕세자비 시절 (1840년 ~ 1861년)

1840년 6월 7일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가 서거하면서 남편 빌헬름이 왕위 계승자가 되었다. 아우구스타는 매부이자 프로이센의 새 국왕인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의 개혁 부재를 비판하며, "자발적인 항복"과 신하들의 "일반적인 소망" 실현을 옹호했다. 또한 영국의 작센코부르크고타의 앨버트 공과 함께 프로이센이 영국 모델을 따라 입헌군주제를 도입해야 독일 통일을 이룰 수 있다고 믿었다.

아우구스타는 정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1843년부터 남편과 프로이센 정치인들에게 제출할 메모를 작성했다. 알렉산더 폰 슈라이니츠 등과 연락하며 조언을 구했지만, 정치적으로 민감한 편지는 파기되거나 검열을 우려하여 돌려보내졌다. 빌헬름은 아우구스타의 정치적 발언에 대한 공식 지침을 제공하고, 서신 업무 일부를 맡기며, 그녀를 자신의 서신 공동 저자로 삼았다.

1848~1849년 혁명 기간 동안, 아우구스타는 신속한 개혁을 요구하며 빌헬름에게 "군주국과 왕조를 구하는 문제"라고 강조했다. 프로이센이 독일 문제에서 주도권을 잡고 헌법을 통해 국민의 정치 참여를 보장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 시기, 오토 폰 비스마르크와의 갈등이 시작되었다. 아우구스타는 비스마르크가 자신을 반혁명에 끌어들이려 했고, 빌헬름에 대항하는 음모를 꾸몄다고 비난했다. 비스마르크는 아우구스타가 아들 프리드리히 빌헬름을 위해 섭정을 맡으려 했다고 주장했다.

1848년에서 1849년사이의 혁명은 아우구스타와 미래의 수상이 될 오토 폰 비스마르크사이의 관계에 장기적인 영향을 미쳤다. 1848년 3월 23일, 1848년 3월 혁명 직후, 그녀는 포츠담의 시 궁전에서 그를 만났다. 아우구스타에 따르면, 비스마르크는 그녀를 국왕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에 대항하는 반혁명 음모에 가담시키려 했다. 비스마르크는 그녀의 남편의 위치를 알아내어 그에게 베를린으로 진군하라는 명령을 내리려 했다. 이것은 국왕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가 명령한 군인들의 철수에 대한 반역 행위였을 것이다.

그녀는 또한 비스마르크가 자신의 매형인 카를 왕자(빌헬름의 동생)를 대신하여 행동하고 있다고 말한 것에 불쾌감을 느꼈다. 불과 며칠 전, 카를은 국왕과 빌헬름 왕자가 퇴위하거나 왕위 계승을 포기할 것을 제안했었다. 아우구스타는 따라서 그가 스스로 왕위를 차지하고 비스마르크의 도움을 받아 쿠데타를 일으키려 한다고 의심했다. 그 후 비스마르크는 아우구스타가 1848년에 빌헬름에 대항하여 음모를 꾸몄다고 비난했다. 그녀는 아들 프리드리히 빌헬름을 위해 섭정을 직접 맡으려고 했다. 비스마르크에 따르면, 그는 군대의 도움을 받아 혁명으로부터 왕을 보호하려 했을 뿐이었다. 역사가이자 비스마르크 전기 작가인 에버하르트 콜브에 따르면, 아우구스타와 비스마르크의 사건 기록이 서로 모순되기 때문에 대화 내용을 더 이상 재구성할 수 없다. 확실한 것은 이 만남 이후 아우구스타가 비스마르크에게 적대적이었다는 것이다.

역사가 데이비드 E. 바클레이는 아우구스타가 봄과 여름에 빌헬름의 왕위 계승자 지위를 성공적으로 지켜냈다고 평가한다. 그 결과 빌헬름과 아내의 관계가 개선되었고, 빌헬름은 아우구스타의 영향으로 점차 온건한 보수주의적이지만 입헌적인 방향으로 나아갔다.

''1848년 3월 베를린의 프리드리히 거리의 바리케이드'', FG 노르만, 1848년. 프랑크푸르트 역사 박물관


프랑츠 크사버 빈터할터(Franz Xaver Winterhalter)가 그린 아우구스타 폰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대공녀, 1846년.


아우구스타는 자유주의적으로 통치되는 대영 제국에 대한 공감을 드러냈다. 빅토리아 여왕과의 관계를 통해 로열 공주와 아들 프리드리히 빌헬름의 결혼을 성사시켰다.

2. 4. 프로이센 왕비 시절 (1861년 ~ 1888년)

1861년 남편 빌헬름 1세가 프로이센 국왕으로 즉위하면서 아우구스타는 왕비가 되었다.[16] 같은 해 10월 18일 쾨니히스베르크 궁정 예배당에서 거행된 대관식에서 빌헬름 1세가 스스로 왕관을 쓴 후, 아우구스타에게 왕관을 씌웠다.[16] 아우구스타는 하노버의 조피 샤를로테에 이어 프로이센 역사상 두 번째로 대관식을 치른 여왕이었다.[17]

대관식 복장과 왕관을 착용한 아우구스타, Franz Xaver Winterhalter의 그림을 바탕으로 민나 퓔러가 묘사, 약 1864년. Prussian Palaces and Gardens Foundation Berlin-Brandenburg.


그러나 빌헬름 1세와 프로이센 의회 간의 갈등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아우구스타와 빌헬름 1세는 오토 폰 비스마르크를 총리로 임명하는 것을 막으려 했다.[18] 아우구스타는 비스마르크가 통합적이고 타협적인 효과를 낼 것이라고 믿지 않았고, 국내 정치 분쟁을 더욱 악화시킬 것으로 예상했다.[18] 1864년에 아우구스타는 비스마르크를 "원칙적이고 부주의한 인물"이며, 그의 말과 행동의 정신 건강에 대해 때때로 의심을 품어야 한다고 평가했다. 1862년 부활절 즈음에는 18페이지에 달하는 메모를 통해 남편에게 비스마르크를 총리로 임명하는 것에 대해 경고했다.

비스마르크는 아우구스타가 빌헬름 1세에게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을 경계하며 그녀를 정적(政敵)으로 간주했다. 그는 아우구스타의 행동을 여성의 자유 행동의 경계 침범으로 보았고, 약한 통치자에 대한 여성의 영향력은 피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비스마르크는 아우구스타의 의무감과 고상한 행동을 인정했지만, 황태자비 빅토리아에게는 그러한 자질을 완전히 부정했다. 비록 비스마르크의 임명에도 불구하고, 아우구스타는 남편에게 계속 조언을 하려고 노력했다. 아우구스타는 비스마르크의 정치에 비판적이었던 프란츠 폰 로겐바흐와 상의하여 빌헬름 1세에게 보낼 정치 메모를 작성했다. 비스마르크는 왕이 자신의 조언을 따르지 않을 경우 아우구스타에게 책임을 물었다.

아우구스타는 프로이센 주도의 독일 통일을 지지했지만, 평화적인 수단을 통해 통일이 이루어지기를 원했다. 1864년, 1866년, 1870-1871년의 세 차례의 독일 통일 전쟁에 대해 비판적인 태도를 보였다. 특히 1866년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을 앞두고, 각 궁정에 보낸 서신을 통해 외교적으로 중재하고 군사적 확대를 막으려 했다. 1866년 전쟁을 앞두고, 아우구스타는 빌헬름에게 다시 비스마르크를 해임하도록 설득하려 했다. 빅토리아, 프리드리히 빌헬름, 그리고 바덴 대공 프리드리히 1세도 프로이센 군주에게 그런 조치를 취하도록 조언했다. 그러나 빌헬름은 그의 총리를 옹호했다.

아우구스타가 야전 병원을 방문하는 이상적인 모습, "''아우구스타, 프로이센 여왕, 1870''"이라는 제목의 단면 인쇄물, 카이저라는 성을 가진 삽화가의 서명에 따르면, 베를린 국립 도서관 소장.


19세기에는 자선 활동이 공주들의 전통적인 활동 분야였으며,[2] 아우구스타는 독일 통일 전쟁에 대한 반작용으로 주로 군인 복지에 관여했다. 부상병 간호를 개선하기 위해 플로렌스 나이팅게일을 방문하고, 1863-64년에 적십자를 창설한 앙리 뒤낭을 만났다.[19][20] 그녀의 제안으로 적십자의 첫 번째 국제 회의가 1869년 베를린에서 열렸다.[19][20] 아우구스타는 1865년에 새로 설립된 루이제 훈장의 조직에 참여했다. 이 상은 주로 부상자를 돌보거나 피해를 입은 군인을 위한 기금을 모금하는 데 뛰어난 여성들에게 수여되었다.[22] 1866년에는 부상당하고 병든 군인을 돌보는 ''조국 여성 협회''(Vaterländischer Frauenverein)를 설립했다.[21]

프랑스 제2제국과의 외교적 긴장이 고조되자, 아우구스타는 1868년에 남편에게 화해적인 태도를 취할 것을 권고했다. 1870년 호엔촐레른-지그마링겐의 레오폴트 공의 스페인 왕위 계승을 지지하지 말 것을 권고하며, 이 계획을 "모험적인 프로젝트"라고 묘사했다. 프랑스-프로이센 전쟁이 발발했을 때, 아우구스타는 왕족 중 마지막으로 수도로 돌아왔고, 국왕이 프랑스에 있는 사령부로 떠난 후, 베를린에서 그의 많은 대표적인 임무를 수행했다. 그녀는 국무 장관을 접견하고 아돌프 폰 보닌 총독의 보고를 받았다. 또한 군사 분야에서 군대를 떠나보내거나, 전쟁에서 가족을 잃은 장교들을 방문하는 등의 임무를 수행했다. 그녀는 또한 군 병원에 나타나 부상자 간호를 위한 여러 클럽 회의에 참여했다.

2. 5. 독일 황후 시절 (1871년 ~ 1888년)

아우구스타는 1871년 독일 제국 성립 후 독일 황후가 되었다.[23] 독일 제국 선포 준비 과정에는 거의 관여하지 않았지만, 서신을 통해 남편 빌헬름 1세에게 정치적인 영향을 미치려 했다.[23] 황후는 문화 투쟁에서 오토 폰 비스마르크의 반 가톨릭 정책을 비판하고, 가톨릭 교회와의 화해를 모색했다.[24][25] 1872년에는 빌헬름 1세에게 가톨릭 교회를 진정시키고 신뢰를 회복할 것을 촉구하는 각서를 보내기도 했다.[25]

독일 재상 오토 폰 비스마르크(Otto von Bismarck), 1871년, Loescher, P. & Petsch의 사진, 독일 연방 기록 보관소.


1877년, 비스마르크는 아우구스타와의 갈등을 이유로 사임을 요청했고, 언론을 통해 황후에게 책임을 돌렸다.[26] 비스마르크는 황제에 대한 영향력을 놓고 아우구스타와 경쟁했으며, 그녀를 위협적인 존재로 여겼다.[26] 그러나 아우구스타와의 갈등은 역설적으로 황제가 비스마르크의 정치적 요구에 굴복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했다.[26]

1878년 독일 제국 의회 선거에서 가톨릭 중앙당이 득표수를 늘리자, 비스마르크는 문화 투쟁을 종식해야 했다. 아우구스타는 이를 자신의 개인적인 성공으로 여겼다.[27] 이후 아우구스타는 베를린 회의에서 비스마르크의 외교적 성과를 인정하고, 그를 손자 빌헬름 2세의 멘토로 여기며 관계 개선을 시도했다.[27]

아우구스타는 류머티즘 등 건강 문제로 고통받았으며, 1881년에는 심각한 부상으로 목발과 휠체어에 의존하게 되었다.[27] 1888년 남편 빌헬름 1세와 아들 프리드리히 3세가 사망하고 손자 빌헬름 2세가 즉위하는 과정을 겪었다.

2. 6. 사망 (1890년)

아우구스타는 1890년 1월 7일, 78세의 나이로 1889-1890년 유행성 독감 기간 중 구 궁전에서 사망했다.[28] 그녀는 미테의 운터 덴 린덴 대로에 있는 구 궁전에 공개 국장으로 안치되었고, 이후 샤를로텐부르크 궁전의 영묘에 남편 곁에 매장되었다.

3. 유산 및 평가

아우구스타는 자유주의적 신념과 종교적 관용을 가진 인물로 평가받는다.[2] 그녀는 보수적인 프로이센 왕실에서 고립된 삶을 살았으며, 특히 비스마르크와의 갈등으로 인해 정치적 영향력은 제한적이었다.[2] 동시대인들은 그녀가 자선 사업과 왕실 대표 역할에 부분적으로만 부합했다고 평가했다.

아우구스타의 자선 활동은 프로이센에 국제적인 위신을 가져다주었지만, 독일 제국 내에서 그녀의 손자며느리인 아우구스타 빅토리아만큼의 인기를 얻지는 못했다. 그녀는 "왕조적 전통주의"에 얽매여 있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사후, 그녀의 자선 활동과 국제 적십자 운동 지원은 높이 평가받았다. 그녀를 기리기 위해 여러 기념물이 세워졌는데, 베를린의 베벨 광장에 세워졌던 프리츠 샤퍼의 기념물은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파괴되었다.[29][31] 바덴바덴에는 요제프 폰 코프의 흉상이,[32] 코블렌츠에는 카를 프리드리히 모에스트와 브루노 슈미츠의 기념물이 세워졌다.[33] 쾰른에도 기념물이 있었으나 1943년에 파괴되었다.[34]

현대 역사 연구는 아우구스타의 정치적 역할과 19세기 독일 사회에서 여성의 지위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2] 특히, 그녀의 정치적 영향력은 1848–1850년 프로이센 헌법이나 왕조의 가법에 의해 정의되지 않았지만, 왕조적 지위와 가족 관계로 인해 빌헬름 1세와 가까웠다는 점이 강조된다. 그녀는 가톨릭과의 화해를 추구했는데, 이는 종교적 갈등이 심했던 당시 독일 사회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4. 아우구스타 관련 논란

4. 1. 오토 폰 비스마르크와의 관계

아우구스타는 1848년 혁명 이후부터 오토 폰 비스마르크와 사이가 좋지 않았다.[26] 비스마르크는 아우구스타가 빌헬름 1세에게 해로운 영향을 미치고, 프랑스와 영국의 문화를 옹호하여 비애국적이라고 보았다.[26] 그는 아우구스타를 "반역자"라고 거짓 비난하기도 했다.[26] 비스마르크는 아우구스타가 자신의 보수적인 노선에 반대하며, 자유주의적인 사람들을 옹호한다고 생각했다. 반대로 자신이 자유주의적인 정책을 펼칠 때는 보수주의자 및 가톨릭교도와 편을 든다고 여겼다.[26]

1877년, 비스마르크는 아우구스타와의 지속적인 갈등을 이유로 빌헬름 1세에게 사임을 요청하기도 했다.[26] 빌헬름 1세는 휴가를 허락했고, 비스마르크는 언론을 통해 자신의 사임 계획 책임을 황후에게 돌렸다.[26] 비스마르크는 자신의 회고록인 ''회고와 추억''에서 아우구스타에 대해 부정적으로 묘사했다.[26] 역사가 페트라 빌헬미는 비스마르크가 아우구스타에게 "어느 정도 불공정했다"고 평가하며, 아우구스타는 비스마르크의 정책에 대해 근본적으로 반대했다기보다는 비교적 자유주의적이고 종교적으로 관용적인 입장이었다고 설명한다.[26]

4. 2. 1848년 혁명 당시의 역할

1848년 혁명 기간 동안, 아우구스타는 혁명에 대응하여 신속한 개혁을 요구했다.[8] 1848년 6월 5일 빌헬름에게 보낸 편지에서 그녀는 "이제 군주국과 그 지지세력인 왕조를 구하는 문제이며, 이는 어떤 희생도 감수할 만큼 큰 과제"라고 말했다. 그녀는 또한 독일 문제에서 프로이센이 주도권을 잡고 빈과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정치와 상관없이 국가적 합의를 추진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그녀는 다시 한번 프로이센 국민이 정치적 결정에 발언권을 가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헌법은 이를 위한 법적이고 명확하게 규제된 토대를 마련할 수 있었다.

1848~1849년 혁명은 아우구스타와 미래의 재상 오토 폰 비스마르크 사이의 관계에 장기적인 영향을 미쳤다. 1848년 3월, 1848년 3월 혁명 직후, 그녀는 포츠담 시 궁전에서 비스마르크를 만났다. 아우구스타의 설명에 따르면, 비스마르크는 그녀를 국왕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에 대항하는 반혁명에 끌어들이려 했다. 비스마르크는 그녀의 남편이 어디에 있는지 알아내 그에게 베를린으로 진군하라는 명령을 내릴 수 있도록 하고 싶어 했다. 그것은 국왕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가 명령한 군인들의 철수에 반역하는 행위였을 것이다. 그녀는 또한 비스마르크가 자신의 매형인 카를 왕자, 빌헬름의 동생을 대신하여 행동하고 있다고 말한 것에 불쾌감을 느꼈다. 아우구스타는 비스마르크가 스스로 왕위를 차지하고 비스마르크의 도움을 받아 쿠데타를 일으키려 한다고 의심했다. 비스마르크는 그 후 아우구스타가 1848년에 빌헬름에 대항하여 음모를 꾸몄다고 비난했다. 그녀는 아들 프리드리히 빌헬름을 위해 섭정을 직접 맡으려고 노력했다. 그에게 있어서 그것은 군대의 도움을 받아 혁명으로부터 통치하는 왕을 보호하는 것뿐이었다.

역사가 데이비드 E. 바클레이는 아우구스타가 "봄과 여름에 빌헬름의 왕위 계승자로서의 지위를 성공적으로 지켜냈다"고 평가한다. 그 결과 빌헬름과 아내의 관계가 개선되었다. 바클레이의 설명에 따르면, 그는 또한 아우구스타의 메모와 편지에 영향을 받아 정치적으로 그녀에게 다가갔다. 이전에 절대주의적인 생각을 가졌던 왕자는 "점차 온건한 보수주의적이지만 입헌적인 방향으로 나아갔다".

4. 3. 독일 통일 전쟁에 대한 입장

아우구스타는 프로이센 통치 하의 독일 민족 통일을 지지했지만, 평화로운 수단을 통해 통일이 이루어지기를 원했고, 1864년, 1866년, 그리고 1870-1871년의 세 차례의 독일 통일 전쟁을 비난했다. 카린 포이어슈타인-프라서는 이 때문에 아우구스타를 평화주의자로 묘사한다. 비르기트 아쉬만은 아우구스타가 소속되어 있었고, 군주가 특별히 지원했던 여왕 아우구스타 제4 근위 척탄병 연대를 언급하며 이러한 평가를 상대적으로 평가한다. 그럼에도 아쉬만은 대부분의 자유주의적 인물들과 달리 아우구스타는 군사적 승리에도 애국적인 열정을 보이지 않았다고 강조한다. 그녀는 비스마르크의 외교 정책에 대한 비판적인 태도를 유지했다. 특히 1866년의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을 앞두고, 그녀는 각 궁정에 보낸 서신을 통해 외교적으로 중재하고 군사적 확대를 막으려 했다. 아우구스타는 특히 오스트리아와의 전쟁이 불리하게 전개될 것을 두려워했다. 그녀는 프로이센이 군사적 대결에서 나폴레옹 3세의 호의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여왕은 또한 영국의 빅토리아 여왕에게 중재를 요청했다. 1866년 5월부터 그녀는 외교적 호소를 포기했다. 1866년 전쟁을 앞두고, 아우구스타는 빌헬름에게 다시 비스마르크를 해임하도록 설득하려 했다. 빅토리아, 프리드리히 빌헬름, 그리고 바덴 대공 프리드리히 1세도 프로이센 군주에게 그런 조치를 취하도록 조언했다. 그러나 빌헬름은 그의 총리를 옹호했다.

5. 아우구스타 관련 인물

참조

[1] 간행물 Augusta und der Badische Hof. https://perspectivia[...] 2018
[2] 간행물 Familie, Hof, Staat. Königin Augusta von Preußen. https://perspectivia[...] 2018
[3] 서적 Die Ernestiner und die russische Heirat. Böhlau, Köln/Weimar/Vienna
[4] 서적 Wilhelm I. Deutscher Kaiser, König von Preußen, Nationaler Mythos. Mittler, Hamburg/Bonn
[5] 서적 Ludwig Persius. Architekt des Königs Mann, Berlin
[6] 간행물 Augusta von Preußen. Die Königin zu Gast in Branitz. https://perspectivia[...]
[7] 서적 Vorwort. Edition Branitz
[8] 웹사이트 Weimars Augusta und der Kartätschenprinz https://www.tlz.de/k[...] 2020-03-03
[9] 논문 Der verkannte Monarch. Wilhelm I. und die Herausforderungen wissenschaftlicher Biographik.
[10] 서적 Deutsche Gesellschaftsgeschichte. Band 3. Von der "Deutschen Doppelrevolution" bis zum Beginn des Ersten Weltkrieges 1849–1914. Beck, Munich
[11] 서적 Kulturleben. Theiss, Stuttgart
[12] 서적 Nur ein stilles Verdienst? Frauen als karitative Avantgarde im 19. Jahrhundert. Kohlhammer, Stuttgart
[13] 서적 Zur Einführung. Campus, Frankfurt am Main
[14] 서적 Geschlechterfragen und Partizipationsdebatten. Frauen und Männer im Kaiserreich. Campus, Frankfurt am Main/New York
[15] 서적 Eine katholische Stadt im protestantischen Preußen Theiss, Stuttgart
[16] 서적 Die Politik des Zeremoniells. Huldigungsfeiern im langen 19. Jahrhundert Campus, Frankfurt am Main
[17] 웹사이트 Mit Samt und Seide Status zeigen https://www.welt.de/[...] 2015-08-26
[18] 서적 Wilhelm II. Die Jugend des Kaisers 1859–1888. Beck, München
[19] 서적 Above the fray: The Red Cross and the making of the humanitarian NGO sector https://press.uchica[...] Univ. of Chicago Press 2020
[20] 웹사이트 Special Funds https://internationa[...] 1961-05-29
[21] 서적 Projecting Imperial Power. New Nineteenth-Century Emperors and the Public Sphere Oxford University Press
[22] 서적 Der Königin Luise-Mythos. Mediengeschichte des "Idealbilds deutscher Weiblichkeit", 1860–1960 V & R Unipress
[23] 서적 Eine "Titelaffaire" oder "mehr Schein als Wirklichkeit". Wilhelm I., Augusta und die Kaiserfrage 1870/71
[24] 서적 Der Kulturkampf in Preußen und Bayern. Eine vergleichende Betrachtung. Utz, Munich
[25] 서적 An Uncommon Woman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1997-11-13
[26] 서적 Bismarck. A Life Oxford University Press
[27] 서적 Wilhelm II. Die Jugend des Kaisers, 1859–1888. Munich
[28] 웹사이트 Erstaunliche Daten: Gab es vor 100 Jahren eine Corona-Pandemie? https://www.national[...] 2022-12-08
[29] 서적 Berlins verschwundene Denkmäler. Eine Verlustanalyse von 1918 bis heute. Lukas, Berlin
[30] 문서 Die Kunst unserer Zeit https://books.google[...]
[31] 서적 Fritz Schaper. 1841–1919. Prestel, Munich
[32] 문서 Das Kaiserin-Augusta-Denkmal in Baden-Baden https://books.google[...]
[33] 서적 Bruno Schmitz (1858–1916). Reformarchitekt zwischen Historismus und beginnender Moderne. PublIQation
[34] 서적 Kölner Denkmäler 1871 - 1918. Aspekte bürgerlicher Kultur zwischen Kunst und Politik Kölnisches Stadtmuseum
[35] 문서 Digital copy of the newspaper https://www.digitale[...]
[36] 간행물 Weimar und die Kaiserin Augusta https://archive.org/[...] Deutsche Rundschau 1912
[37] 웹사이트 Die Kaiserin, die es sogar mit Bismarck aufnahm https://www.welt.de/[...] 2024-03-17
[38] 웹사이트 "Frauensache" im Schloss Charlottenburg: Das klügere Geschlecht https://www.tagesspi[...] 2024-03-17
[39] 웹사이트 Schloss Babelsberg: Der Zauberer und die Kaiserin https://www.morgenpo[...] 2024-03-17
[40] 웹사이트 Ausstellungen – Fürst Pückler bekommt Besuch von Königin Augusta https://web.archive.[...] 2024-03-17
[41] 웹사이트 Pückler-Stiftung. Der Gourmet in Schloss Branitz https://www.abendbla[...] 2024-03-17
[42] 웹사이트 Majestät im Regen. Augusta feiert in Koblenz auch ohne Kaiserwetter https://www.rhein-ze[...] 2024-03-17
[43] 웹사이트 Fürstliche Korrespondenzen des 19. und 20. Jahrhunderts https://www.hsozkult[...] 2024-03-17
[44] 웹사이트 Neuere Forschungen zur Geschichte des 19. Jahrhunderts https://www.hsozkult[...] 2024-03-18
[45] 웹사이트 Die Briefkommunikation der Kaiserin Augusta (1811 – 1890) https://www.chest.un[...] 2024-03-18
[46] 간행물 Staatshandbuch für das Großherzogtum Sachsen / Sachsen-Weimar-Eisenach https://zs.thulb.uni[...] 1885
[47] 서적 Königlich Preussische Ordensliste Königlichen General-Ordens-Kommiſſion
[48] 논문 Königlich Preussische Ordensliste https://babel.hathit[...]
[49] 서적 Almanach de la cour: pour l'année ... 1817 https://books.google[...] l'Académie Imp. des Sciences
[50] 논문 Real orden de Damas Nobles de la Reina Maria Luisa http://hemerotecadig[...] 2019-03-21
[51] 논문 Soberanas y princesas condecoradas con la Gran Cruz de San Carlos el 10 de Abril de 1865 http://www.hndm.unam[...] National Digital Newspaper Library of Mexico 2020-11-14
[52] 서적 Staatshandbuch für den Freistaat Sachsen: 1873 http://opacplus.bsb-[...] Heinric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