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손 혜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이손 혜성은 2012년 9월 21일 러시아의 국제 과학 광학 네트워크(ISON)에 의해 발견된 혜성이다. C/2012 S1로 명명되었으며, 2013년 11월 28일 태양에 근접하며 붕괴되었다. 발견 당시에는 목성 궤도 부근에서 겉보기 등급 18.8등급이었으나, 태양에 가까워지면서 밝기가 증가했다. 1680년 대혜성과 궤도 요소가 유사하다는 추측이 있었으나, 추가 관측을 통해 관련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아이손 혜성은 '세기의 혜성'으로 불리며 대중의 기대를 모았으나, 붕괴로 인해 관측 기회가 줄어들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3년 근지구 천체 - 367943 두엔데
367943 두엔데는 2012년 발견된 아텐군 소행성으로, 2013년 지구 근접 통과 후 궤도가 바뀌어 공전 주기가 단축되었고 L형 소행성으로 분류되며, 20m x 40m 크기의 길쭉한 형태를 띠는 것으로 추정된다. - 2013년 근지구 천체 - 러브조이 혜성 (2013년)
아마추어 천문가 테리 러브조이가 2013년 8월에 발견한 러브조이 혜성은 그해 11월 초 예상보다 밝게 빛나 육안 관측이 가능했으며, 11월 19일 지구에 가장 근접한 후 12월 22일 근일점을 통과했다. - 2012년 발견한 천체 - 367943 두엔데
367943 두엔데는 2012년 발견된 아텐군 소행성으로, 2013년 지구 근접 통과 후 궤도가 바뀌어 공전 주기가 단축되었고 L형 소행성으로 분류되며, 20m x 40m 크기의 길쭉한 형태를 띠는 것으로 추정된다. - 2012년 발견한 천체 - 2012 VP113
2012 VP113은 태양계에서 발견된 소행성으로, 세드노이드에 속하며 궤도가 태양계 외부에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행성9의 존재를 시사한다. - 2013년 11월 - 타타르스탄 항공 363편 추락 사고
타타르스탄 항공 363편 추락 사고는 2013년 11월 17일 카잔 국제공항 착륙 중 조종 미숙과 시스템 오류로 인해 발생하여 50명이 사망한 사고이다. - 2013년 11월 - LAM 모잠비크 항공 470편 추락 사고
LAM 모잠비크 항공 470편 추락 사고는 2013년 11월 29일 기장의 고의적인 조작으로 인해 보츠와나 상공에서 추락하여 탑승자 33명 전원이 사망한 사고이다.
아이손 혜성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아이손 혜성 |
영어 이름 | Comet ISON |
가명/별칭 | C/2012 S1, CK12S010 |
천체 분류 | 혜성 |
궤도 종류 | 비주기 혜성, 태양 스침 혜성 |
발견 | |
발견일 | 2012년 9월 21일 |
발견자 | 비탈리 네프스키, 아르티옴 노비초노크 |
발견 장소 | 아이손-키슬로보스크, 러시아 |
망원경 | 0.4미터 반사망원경 |
궤도 요소 | |
기준 시점 | TDB 2456259.5 (2012년 11월 28.0일) |
근일점 거리 | 0.012514 ± 0.000001 천문단위(187만2100 ± 200 km) |
이심률 | 1.0000026 ± 0.0000002 |
궤도 경사 | 61.790 ± 0.004 도 |
근일점 인수 | 345.5016 ± 0.0004 도 |
승교점 황경 | 295.7499 ± 0.0006 도 |
평균 근점 이각 | 359.9989 ± 0.0002 도 |
이전 근일점 통과 | JED 2456625.695 ± 0.005 (2013년 11월 28일) |
다음 근일점 통과 | 없음 |
물리적 특성 | |
핵의 크기 | 4.8 km |
절대 등급 | 6.0 ± 0.5 |
핵의 절대 등급 | 9.7 ± 0.5 |
궤도 정보 (영어) | |
궤도 | 오르트 구름 |
근일점 | 0.01244 천문 단위(AU) (q) |
이심률 (1950년) | 1.000000086 |
이심률 (근일점 부근) | 0.9999947 |
이심률 (2050년) | 1.0002 |
주기 (2050년) | 쌍곡선 궤도, 방출 궤도 |
궤도 경사 (각도) | 62.4° |
최근 근일점 통과 | 2013년 11월 28일 |
최대 속도 | 337.3 km/s |
2. 발견
아이손 혜성은 2012년 9월 21일 러시아 키슬로보츠크 인근 국제 과학 광학 네트워크(ISON)의 0.4m 반사 망원경을 사용하여 비탈리 네프스키(Vitaly Nevsky)와 아르툠 노비초노크(Artem Novichonok)에 의해 발견되었다.[21][23][25] 데이터 처리는 자동 소행성 발견 프로그램 CoLiTec으로 이루어졌다.[4]
발견 당시 혜성은 겉보기 등급 18.8등급으로 매우 어두웠지만,[5][6] 목성 궤도 부근의 먼 거리에서 발견된 점을 고려하면 이례적으로 밝은 편이었다.[21][7]
이후 마운트 레몬 탐사와 Pan-STARRS에서 촬영한 사전 발견 이미지도 확인되었다.[4] 이탈리아 Remanzacco 천문대의 팀 등이 2012년 9월 22일 후속 관측을 진행했고, 발견 사실은 9월 24일 소행성 센터에서 공식 발표했다.
2. 1. 명명

아이손 혜성의 공식 명칭은 C/2012 S1이다.[45][16] 이 혜성은 일반적으로 아이손(ISON)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는데, 이는 혜성을 발견한 러시아 기반의 국제 과학 광학 네트워크( International Scientific Optical Network영어, ISON)의 이름을 딴 것이다.[25] 국제천문연맹(IAU)의 혜성 명명 규정에 따라, 개별 발견자가 아닌 발견팀의 이름이 혜성에 부여되었다.[4][7]
아이손 혜성은 2012년 9월 21일 러시아 키슬로보츠크 인근 천문대에서 비탈리 네프스키(Vitaly Nevsky)와 아르툠 노비초노크(Artem Novichonok)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다.[21][23][25] 발견 당시 연구팀은 ISON 프로젝트의 0.4m 반사 망원경과 CCD 영상을 이용하여 쌍둥이자리와 게자리 부근을 관측하던 중이었다.[4][7] 처음에는 이 천체가 소행성으로 여겨져 천문전보중앙국과 소행성 센터에 보고되었고, 근지구 천체 확인 페이지 목록에 오르기도 했다. 그러나 이후 추가 관측을 통해 약 8분각 크기의 코마가 확인되면서 혜성임이 밝혀졌다.[7]
발견 당시 아이손 혜성의 겉보기 등급은 18.8에서 19.1 사이였으며,[5][6] 목성 궤도 너머, 지구로부터 약 10억km 떨어진 거리에 있었다.[21] 이처럼 먼 거리에서 발견되었음에도 상대적으로 밝은 점 때문에 주목받았다.
한편, 아이손 혜성은 공식 발견 이전에 촬영된 사진들에서도 확인되었는데, 이를 사전 발견(prediscovery)이라고 한다. 가레스 V. 윌리엄스는 마운트 레몬 천문대에서 2011년 12월 28일에 촬영한 이미지(추정 등급 19.5~19.9)와 판스타-RS가 할레아칼라에서 2012년 1월 28일에 촬영한 이미지(추정 등급 19.8~20.6)에서 아이손 혜성의 존재를 확인했다.[4]
3. 궤도
아이손 혜성은 2013년 11월 28일 근일점, 즉 태양에 가장 가까운 지점을 통과했다. 이때 태양 중심으로부터의 거리는 0.0124AU (약 186만 km)였다. 이는 태양 표면으로부터는 약 1165000km 떨어진 거리에 해당한다.
아이손 혜성의 궤도는 쌍곡선 궤도로 나타났으며, 이는 이 혜성이 수백만 년 동안 머물렀던 오르트 구름에서 갓 도착한 역학적으로 새로운 혜성 이거나, 심지어 성간 혜성일 가능성도 있음을 시사했다.[8][9] 근일점 부근에서의 초기 계산은 약 40만 년의 주기를 가질 가능성을 제시하기도 했으나, 이는 태양만을 고려한 단순 계산이었다. 장주기 혜성의 궤도는 행성들의 중력 영향을 크게 받으므로, 행성들의 영향을 벗어난 후 태양계의 질량 중심을 기준으로 계산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 NASA의 제트추진연구소(JPL)에서 호라이즌 시스템을 이용해 태양계 질량 중심 기준으로 계산한 결과, 아이손 혜성은 1950년과 2050년 시점 모두에서 주기가 없는 쌍곡선 궤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1950년 시점의 궤도 이심률은 1.000000086으로, 1보다 아주 약간 커서 태양계를 탈출하는 궤도이지만, 그 값이 1에 매우 가까워 아이손 혜성이 태양계 외부가 아닌 오르트 구름에서 기원했음을 시사한다. 즉, 아이손 혜성은 태양계를 한 번 방문하고 다시 돌아오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발견 초기에는 1680년 대혜성과의 궤도 유사성 때문에 연관성이 제기되기도 했으나, 추가 관측 결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태양계 내부를 통과하면서 아이손 혜성은 다른 행성 근처를 지나기도 했다. 2013년 10월 1일에는 화성에서 약 0.07248AU 떨어진 거리를 통과했고, 혜성이 부서진 후 그 잔해는 2013년 12월 26일에 지구로부터 약 0.43AU 떨어진 곳을 지나갔다.
2014년 1월 14일에서 15일 사이 지구가 아이손 혜성의 궤도 부근을 통과할 때, 혜성이 남긴 미세한 먼지 입자들이 유성우나 야광운을 일으킬 수 있다는 예측이 있었다. 하지만 두 현상 모두 발생 가능성은 매우 낮게 여겨졌다. 지구는 혜성의 꼬리를 직접 통과하는 것이 아니라 궤도 근처를 지나는 것이었기 때문에 유성우 발생 가능성은 희박했고, 아이손 혜성처럼 단 한 번 태양계를 방문하는 비주기 혜성이 유성우를 일으킨 기록은 거의 없었다. 야광운 역시 혜성 핵이 지나간 지 약 100일 후에 남은 미세 입자가 형성할 가능성은 희박했으며, 과거 유사한 사례에서도 관측된 바 없었다. 실제로 유성우나 야광운은 관측되지 않았다.
3. 1. 1680년 대혜성과의 관계
발견 초기, 아이손 혜성의 궤도 요소가 1680년 대혜성(키르히 혜성, C/1680 V1)과 놀라울 정도로 비슷하여 두 혜성 사이에 연관성이 있을 것이라는 추측이 제기되었다.[24] 1680년 대혜성은 역사상 매우 밝았던 혜성으로 알려져 있어, 아이손 혜성 역시 이에 필적하거나 능가하는 밝기를 가질 대혜성이 될 것이라는 기대도 있었다.[24] 그러나 이후의 관측을 통해 두 혜성은 서로 관련이 없는 것으로 최종 확인되었다.4. 밝기 변화 및 관측
발견 당시 아이손 혜성의 밝기는 +18.8등급 정도로, 육안으로는 볼 수 없었지만 대형 망원경을 가진 아마추어 천문가들이 사진을 찍을 수 있을 정도였다. 이후 혜성은 태양에 가까워지면서 점차 밝아지는 일반적인 패턴을 보였다.
적어도 12대의 우주 탐사선이 아이손 혜성을 관측했다. 스위프트 감마선 관측 위성이 처음 촬영했고, 이후 딥 임팩트 탐사선이 2013년 1월과 2월에 촬영하여 혜성의 활동과 긴 꼬리를 확인했다. 2013년 4월과 5월에는 허블 우주 망원경이 아이손 혜성의 크기, 색깔, 먼지 방출 범위 및 편광을 측정했다. 6월 13일에는 스피처 우주 망원경이 아이손 혜성을 관측하여, 하루 약 1000ton의 이산화 탄소와 약 5만 4000톤의 먼지를 방출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22] 2013년 6월 5일부터 8월 29일까지 아이손 혜성은 태양과의 이각이 30도 미만으로 관측이 어려웠다. 아마추어 천문가 브루스 게리(Bruce Gary)는 2013년 8월 12일, 혜성이 지평선 위 6도, 태양 이각 19도일 때 다시 발견했다. 하지만 아이손 혜성은 예상보다 느리게 밝아져, 2013년 10월 초까지는 소형 망원경으로만 관측할 수 있었다.
2013년 10월 1일, 아이손 혜성은 화성으로부터 0.07AU 거리까지 근접했으며, 9월 29일부터 10월 2일 사이 화성 정찰 위성(MRO)이 혜성을 포착했다. 두 대의 STEREO 관측 위성도 10월 둘째 주부터 아이손 혜성을 관측하기 시작했다. 2013년 10월 촬영된 이미지에서 아이손 혜성은 녹색 빛을 띠기 시작했는데, 이는 시아노겐과 이원자 탄소(C2)의 방출 때문으로 추정된다. 2013년 10월 31일에는 10×50 규격 쌍안경으로도 관측이 가능해졌다.
2013년 11월 14일, 일부 숙련된 관측자들이 어두운 곳에서 아이손 혜성을 육안으로 관측했다고 보고하기 시작했다. 이 시기에는 또 다른 혜성인 C/2013 R1도 육안 관측이 가능해 비슷한 모습으로 보였다. 아이손 혜성은 11월 중순까지 +6등급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지 않았으며, 일반 대중이 쉽게 관측하려면 +4등급까지 밝아져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11월 17일에서 18일 사이 혜성이 밝아지면서 처녀자리의 스피카 부근을 지났지만, 보름달과 새벽 여명 때문에 광학 장비 없이는 일반 대중이 쉽게 관측하기 어려웠다.
초기에 언론에서는 아이손 혜성이 보름달보다 60배 밝은 -17등급까지 밝아질 수 있다고 예측했지만, 이후 관측 데이터를 바탕으로 최대 밝기는 -3등급에서 -5등급 사이, 즉 금성과 비슷한 수준일 것으로 수정되었다. 이는 1965년 최대 밝기 -10등급을 기록했던 이케야-세키 혜성보다는 훨씬 어두운 것이다. 2013년 2월의 연구에서는 1,897개의 관측 데이터를 이용해 광도 곡선을 분석했는데, 초기에는 밝기가 비교적 빠르게 증가했지만 이후 다른 오르트 구름 혜성처럼 밝기 증가 속도가 느려지는 '둔화 현상'이 나타났다.
아이손 혜성은 태양에 가장 가까워지는 근일점에서 가장 밝을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이때 태양과 너무 가까워(1도 미만) 강한 태양 빛 때문에 관측이 매우 어려울 것으로 예측되었다. 만약 근일점을 무사히 통과했다면 2013년 12월 중순부터 하순까지 북반구에서 좋은 조건으로 관측될 수 있었고, 2014년 1월까지 육안 관측이 가능하며 1월 8일경에는 북극성에서 2도 이내까지 접근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4. 1. 근일점 통과 및 붕괴
SOHO는 2013년 11월 27일부터 LASCO 장비를 이용해 아이손 혜성을 관측하기 시작했다.[42] 같은 날, 혜성은 겉보기 등급 -2등급까지 밝아졌으며[43] 전갈자리 델타 부근을 통과했다.2013년 11월 28일, 아이손 혜성은 근일점을 통과했다. 이때 혜성은 태양 표면으로부터 불과 117만km (0.0125 AU) 거리까지 접근했으며,[20] 표면 온도는 철을 녹일 수 있는 약 2700°C에 달했을 것으로 계산되었다. 또한 태양의 강력한 조석력이 작용하는 로슈 한계 안쪽을 통과하면서 붕괴될 가능성이 높았다.

실제로 근일점 통과 직후 NASA는 아이손 혜성이 태양의 열과 조석력으로 인해 소멸한 것으로 보인다고 발표했다.[28][29][30] 그러나 이후 SOHO 등 태양 관측 위성 영상에 희미하게나마 혜성의 잔해가 다시 나타나자, NASA 아이손 혜성 관측 캠페인(CIOC) 회원들은 코마와 유사한 특징을 발견하고 혜성의 작은 조각이 살아남았을 가능성을 제기했다.[1][2][31]
하지만 다시 나타난 혜성의 잔해는 급격히 어두워졌다. 11월 29일에는 밝기가 +5등급으로 떨어졌고, 11월 30일 말에는 +7등급 이하로 어두워져 육안 관측이 불가능해졌다.[12][44] 12월 1일에는 SOHO의 관측 시야를 통과하면서 더욱 희미해지는 모습이 관측되었다.[3] SOHO 영상 분석 결과, 혜성은 근일점 통과 직전인 11월 28일 19시(한국 시간)경부터 광도가 급격히 떨어졌으며, 근일점 통과 후에는 새로운 먼지를 방출하지 못하는, 즉 혜성 활동이 완전히 멈춘 상태였던 것으로 추정된다.[33] 남은 것은 먼지 꼬리뿐이었고, 이마저도 점차 흩어지며 어두워졌다.[33] 12월 1일 시점의 밝기는 8.5등급, 12월 5일에는 약 11등급까지 떨어졌다.[34]
결국 2013년 12월 2일, CIOC는 아이손 혜성이 완전히 붕괴되었다고 최종적으로 발표했다.[32] 이후 2013년 12월 18일, 허블 우주 망원경이 아이손 혜성이 있었던 영역을 관측했지만 어떤 잔해도 발견하지 못했다.[35][36] 이는 혜성의 파편 크기가 허블 망원경의 관측 한계(밝기 25등급, 이는 대략 160m 이상의 크기에 해당) 미만으로 작아져 완전히 분해되었음을 시사한다.[35][36] 2014년 5월 발표된 상세 분석 연구에서는 아이손 혜성이 근일점을 통과하기 몇 시간 전에 이미 완전히 붕괴되었다는 결론을 내렸다.
5. 언론 보도 및 대중의 반응
2012년 아이손 혜성이 발견된 이후, 일부 언론에서는 이 혜성을 Comet of the Century|세기의 혜성영어이라 부르며 보름달보다 더 밝아질 것으로 예상했다.[46][17] ''Astronomy Now''의 한 칼럼니스트는 2012년 9월 "만약 예상이 실현될 경우 아이손 혜성은 인류 역사상 최고의 혜성 중 하나가 될 것이다"라고 썼다. 2013년 10월에는 ''데일리 메일''의 칼럼니스트가 아이손 혜성을 "세기의 혜성"으로 묘사하며 보름달보다 15배 이상 밝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그러나 천문학자 칼 바탐스(Karl Battams)는 언론에서 아이손 혜성이 보름달보다 더 밝아질 것이라고 추측하는 것에 대해 비판하며, 아이손 혜성 관측 캠페인(CIOC) 관계자들은 혜성이 그 정도로 밝아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예상한다고 밝혔다.
아이손 혜성은 1973년부터 1974년까지 관측되었던 코후테크 혜성과 비교되기도 했다. 코후테크 혜성 역시 오르트 구름에서 온 혜성으로, 발견 초기에는 매우 밝을 것으로 예측되었으나 실제로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예상보다 어둡게 관측되었다.[18][19]
참조
[1]
웹사이트
Alright we're calling it...
https://twitter.com/[...]
2013-11-28
[2]
뉴스
Comet ISON, Presumed Dead, Shows New Life
https://www.nytimes.[...]
2013-11-29
[3]
뉴스
Comet ISON's leftovers fade away, right before a satellite's eyes
http://www.nbcnews.c[...]
2013-11-30
[4]
웹사이트
C/2012 S1 (ISON)
http://cometography.[...]
2013-12-12
[5]
문서
[6]
웹사이트
Comet C/2012 S1 (ISON)
http://www.csc.eps.h[...]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12-09-24
[7]
웹사이트
Comet C/2012 S1 (ISON)
http://www.csc.eps.h[...]
Central Bureau for Astronomical Telegrams,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13-12-12
[8]
논문
Where the Solar system meets the solar neighbourhood: patterns in the distribution of radiants of observed hyperbolic minor bodies
2018-02-06
[9]
문서
[10]
웹사이트
BRRISON
http://solarsystem.n[...]
2013-09-29
[11]
웹사이트
LASCO image dated 27 November 16:08
http://soho.esac.esa[...]
2013-11-27
[12]
웹사이트
If #ISON had a nucleus ...
https://twitter.com/[...]
2013-11-30
[13]
논문
Preliminary Results of the Observations of a Meteor Shower of Comet C/2012 S1 (ISON) in January 2014
http://comet.sai.msu[...]
2014-05
[14]
웹사이트
NASA's 3-D Study of Comets Reveals Chemical Factory at Work
http://www.nasa.gov/[...]
NASA
2014-08-11
[15]
논문
Mapping the Release of Volatiles in the Inner Comae of Comets C/2012 F6 (Lemmon) and C/2012 S1 (ISON) Using the Atacama Large Millimeter/Submillimeter Array
[16]
문서
[17]
뉴스
Comet Nears Sun, Offering Planetary Clues
https://www.nytimes.[...]
2013-11-27
[18]
뉴스
Back Story: Comet Kohoutek was another flameout
http://www.baltimore[...]
2013-12-05
[19]
뉴스
10 Lessons from the "Comet of the Century"
http://blogs.discove[...]
2014-01-05
[20]
웹사이트
C/2012 S1 (ISON)
https://ssd.jpl.nasa[...]
NASA
2013-09-02
[21]
웹사이트
MPEC 2012-S63 : COMET C/2012 S1 (ISON)
https://www.minorpla[...]
IAU
2013-09-02
[22]
웹사이트
NASA's Spitzer Observes Gas Emission From Comet ISON
http://www.jpl.nasa.[...]
NASA
2013-09-02
[23]
웹사이트
New Comet: C/2012 S1 (ISON)
http://remanzacco.bl[...]
2013-09-02
[24]
웹사이트
新彗星「アイソン」、満月より明るい?
https://natgeo.nikke[...]
ナショナルジオグラフィック 公式日本語サイト(ナショジオ)
2023-11-25
[25]
웹사이트
肉眼でも見える? 来年暮れに期待の新彗星「アイソン」
https://www.astroart[...]
AstroArts
2013-09-02
[26]
웹사이트
NASA's Deep Impact Spacecraft Eyes Comet ISON
http://www.nasa.gov/[...]
NASA
2013-09-02
[27]
뉴스
急増光したアイソン彗星を分光観測
https://natgeo.nikke[...]
ナショナルジオグラフィック ニュース
[28]
웹사이트
Comet ISON Fizzles as it Rounds the Sun
http://www.nasa.gov/[...]
NASA
2013-11-30
[29]
웹사이트
アイソン彗星が消滅か、太陽に最接近で蒸発の可能性
https://jp.reuters.c[...]
ロイター.co.jp
2013-11-30
[30]
웹사이트
アイソン彗星の核が太陽最接近でほぼ消滅
https://www.astroart[...]
AstroArts
2013-11-30
[31]
웹사이트
Comet ISON May Have Survived
http://www.nasa.gov/[...]
NASA
2013-11-30
[32]
웹사이트
NASA Investigating the Life of Comet ISON
http://www.nasa.gov/[...]
NASA
2014-01-04
[33]
웹사이트
アイソン彗星、残骸が観測されるも彗星活動は終了
https://www.astroart[...]
AstroArts
2015-02-25
[34]
웹사이트
Comet ISON's Current Status
http://www.isoncampa[...]
NASA Comet ISON Observing Campaign
2014-01-04
[35]
웹사이트
BREAKING NEWS: Comet ISON Is Still Dead
https://web.archive.[...]
Hubblesite.org
2014-01-04
[36]
웹사이트
아이ソン혜성의 잔해, 허블에서도 찍히지 않음
https://www.astroart[...]
AstroArts
2014-01-04
[37]
웹사이트
Mars Reconnaissance Orbiter achieves imaging of comet ISON from Mars
http://www.planetary[...]
惑星協会
2013-12-27
[38]
Twitter
https://twitter.com/[...]
[39]
뉴스
Comet ISON, Presumed Dead, Shows New Life
http://www.nytimes.c[...]
The New York Times
2013-11-29
[40]
뉴스
Comet ISON's leftovers fade away, right before a satellite's eyes.
http://www.nbcnews.c[...]
NBC News
2013-11-30
[41]
이미지
Possible C/2012 S1? - By Jose Francisco Hernandez
http://www.aerith.ne[...]
[42]
웹인용
LASCO image 27 November 16:08
https://web.archive.[...]
2014-01-24
[43]
문서
Astronomical magnitudes decrease as brightness increases, from large positive values, through zero, to negative values for very bright objects.
[44]
Twitter
https://twitter.com/[...]
[45]
문서
"C"는 비주기 혜성을 뜻하며, 뒤에 발견연도가 붙는다. "S"는 9월 16~30일을 뜻하며, 뒤에는 발견 순서가 붙는다. 예를 들어 C/2012 S1의 경우 2012년 9월 16~30일 주기에 발견된 첫 번째 혜성이라는 뜻이다.
[46]
뉴스
Comet Nears Sun, Offering Planetary Clues
http://www.nytimes.c[...]
The New York Times
2013-11-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