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인슈타이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인슈타이늄은 1952년 아이비 마이크 핵실험의 잔해에서 발견된 악티늄족 원소로, 원자 번호 99번이며, 기호는 Es이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을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으며, 은백색의 방사성 금속이다. 아인슈타이늄은 주로 특수 원자로에서 가벼운 악티늄족 원소에 중성자를 조사하여 극미량 생산되며, 초우라늄 원소 및 초중원소 연구에 활용된다. 아인슈타이늄은 강력한 방사성 원소로, 인체에 유해하며 뼈, 폐, 생식기 등에 축적되어 암을 유발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인슈타이늄 - 아인슈타이늄 동위 원소
아인슈타이늄 동위 원소는 인공적으로 생성된 방사성 원소인 아인슈타이늄의 다양한 형태로, 고유한 반감기와 붕괴 방식을 가지며 핵물리학 연구 및 초우라늄 원소의 화학적 성질 연구에 활용된다. - 악티늄족 - 토륨
토륨은 은백색의 방사성 악티늄족 금속 원소로, 높은 녹는점과 끓는점을 가지며 지구 지각에 풍부하게 존재하고 핵연료로서의 잠재력을 지니지만, 방사능으로 인해 사용이 감소하고 있다. - 악티늄족 - 플루토늄
플루토늄은 명왕성에서 유래된 이름의 방사성 은백색 금속 원소로, 산화 시 황갈색으로 변하며 여러 동소체와 산화 상태를 가지고 핵무기와 원자력 발전 연료, 우주 탐사용 열원으로 사용되지만 높은 방사능 독성으로 주의가 필요하다. - 인명이 포함된 화학 원소 - 가돌리늄
가돌리늄은 은백색의 연성과 전성을 가진 희토류 원소로, 특정 온도에서 강자성 또는 강한 상자성을 띠어 MRI 조영제, 중성자 차폐물, 합금, 형광체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며, 핀란드 화학자의 이름을 딴 원소이다. - 인명이 포함된 화학 원소 - 로렌슘
로렌슘은 기호 Lr, 원자 번호 103번의 악티늄족 초우라늄 인공 방사성 원소로, 1961년과 1965년 각각 다른 방법으로 합성되어 발견 공로를 인정받았으며, 현재 13개의 동위원소가 알려져 있고, 화학적 성질은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3가 이온으로 존재하며 d-구역 원소의 특징을 보인다.
아인슈타이늄 | |
---|---|
일반 정보 | |
원소 이름 | 아인슈타이늄 |
영어 이름 | Einsteinium |
일본어 이름 | アインスタイニウム (Ainsutainiumu) |
발음 (한글) | 아이ㄴ스타이니엄 |
원자 번호 | 99 |
원소 기호 | Es |
이전 원소 | 칼리포르늄 |
다음 원소 | 페르뮴 |
위쪽 원소 | 홀뮴 |
아래쪽 원소 | 운쿼드엔늄 (Uqe) - 미확인 |
분류 | 악티늄족 원소 |
족 | 3족 원소 (n/a) |
주기 | 7 |
블록 | f |
겉모습 | 은백색 |
원자 질량 | [252] |
전자 배치 | [Rn] 5f11 7s2 |
껍질당 전자 수 | 2, 8, 18, 32, 29, 8, 2 |
상태 | 고체 |
밀도 (g/cm3, 실온) | 8.84 |
녹는점 | 1133 K (860 °C, 1580 °F) |
산화 상태 | 2, 3, 4 |
전기 음성도 | 1.3 |
이온화 에너지 (기본) | 619 kJ/mol |
자기 정렬 | 상자성 |
CAS 등록 번호 | 7429-92-7 |
원자 속성 | |
공유 반지름 | 165 pm |
결정 구조 | 육방 최밀 충전 구조 (α-Es) |
결정 구조 2 | 면심 입방 격자 (β-Es) |
결정 구조 전환 온도 | 300 °C (상전이) |
동위 원소 | |
동위 원소 정보 | mn: 252Es na: 인공 hl: 471.7 d dm1: α de1: 6.760 MeV pn1: 248Bk ps1: Bk dm2: ε de2: 1.260 MeV pn2: 252Cf ps2: Cf dm3: β- de3: 0.480 MeV pn3: 252Fm ps3: Fm mn: 253Es na: 인공 hl: 20.47 d dm1: SF de1: - pn1: - ps1: - dm2: α de2: 6.739 MeV pn2: 249Bk ps2: Bk mn: 254Es na: 인공 hl: 275.7 d dm1: ε de1: 0.654 MeV pn1: 254Cf ps1: Cf dm2: β- de2: 1.090 MeV pn2: 254Fm ps2: Fm dm3: α de3: 6.628 MeV pn3: 250Bk ps3: Bk mn: 255Es na: 인공 hl: 39.8 d dm1: β- de1: 0.288 MeV pn1: 255Fm ps1: Fm dm2: α de2: 6.436 MeV pn2: 251Bk ps2: Bk dm3: SF de3: - pn3: - ps3: - |
2. 역사
아인슈타이늄은 1952년 12월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의 알베르트 기오르소 연구팀이 아르곤 국립 연구소, 로스앨러모스 국립 연구소와 공동으로 아이비 마이크 핵실험의 낙진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처음 발견되었다.[2] 이 실험은 1952년 11월 1일 태평양 에네웨탁 환초에서 실시된 최초의 열핵무기 실험이었다.[2] 초기 분석 결과, 우라늄-238이 여러 개의 중성자를 포획하고 베타 붕괴를 거듭하여 플루토늄의 새로운 동위원소가 생성된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캘리포늄보다 무거운 새로운 원소가 생성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2]
기오르소 연구팀은 폭발 구름을 통과시킨 여과지 및 환초의 산호 잔해를 분석하여 아인슈타이늄을 포함한 새로운 원소들을 분리해냈다.[2] 최종적으로 회수된 아인슈타이늄 원자는 200개 미만이었다.[4] 그럼에도 불구하고, 99번 원소(아인슈타이늄), 특히 Es는 6.6 MeV의 특징적인 고에너지 알파 붕괴를 통해 검출될 수 있었다.[1] 이는 우라늄-238 핵이 15개의 중성자를 포획하고 7번의 베타 붕괴를 거쳐 생성되었으며, 반감기는 20.5일이었다.[2] 일부 U 원자는 추가로 두 개의 중성자(총 17개)를 흡수하여 Es를 생성할 수 있었고, 다른 새로운 원소인 페르뮴의 Fm 동위원소도 생성되었다.[5]
당시 냉전 상황으로 인해 새로운 원소의 발견은 1955년까지 비밀에 부쳐졌다.[2][6][7] 한편, 버클리와 아르곤 연구소에서는 질소-14와 우라늄-238의 핵반응으로, 또는 플루토늄이나 캘리포늄의 강한 중성자 조사로 99번, 100번 원소의 동위원소를 생산하였다. 이 결과는 1954년에 여러 논문에 발표되었다.[10][11][12][13][14]
미국 연구팀은 스웨덴 스톡홀름의 노벨 물리학 연구소와 경쟁적으로 연구를 진행했으나, 버클리 연구팀의 발표가 더 빨랐고 핵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했기 때문에 우선권을 인정받았다.[17] 1955년 제네바 원자 회의에서 아인슈타이늄과 페르뮴의 발견이 공식적으로 발표되었다.[2]
2. 1. 명칭
이 원소의 이름은 저명한 물리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1] 처음 제안된 원소 기호는 "E"였으나, 이후 국제 순수·응용 화학 연합(IUPAC)에 의해 "Es"로 변경되었다.[20][21] 아이비 마이크 실험을 이끈 프로젝트 판다(Project PANDA)라는 코드명 때문에, 99번 원소는 한때 "판데모니엄"(Pandemonium)이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했다.[19]
3. 특성
아인슈타이늄은 핵분열 비율이 높아 지속적인 핵 연쇄 반응을 위한 임계 질량이 낮다. 254Es 동위원소의 경우, 아무것도 씌우지 않은 구(bare sphere) 형태에서 9.89kg이며, 30cm 두께의 강철 중성자 반사체를 추가하면 2.9kg, 물로 만든 20cm 두께의 반사체를 사용하면 2.26kg까지 낮아진다. 그러나 이처럼 작은 임계 질량조차도 현재까지 분리된 아인슈타이늄의 총량, 특히 희귀한 254Es의 양을 훨씬 초과한다.[39]
1952년 최초의 수소폭탄 폭발 잔해에서 발견되었다. 가장 흔한 동위원소인 아인슈타이늄-253(반감기 20.47일)은 몇몇 고출력 전용 원자로에서 캘리포늄-253의 붕괴를 통해 연간 1밀리그램 정도만 인공적으로 생성된다. 원자로에서의 합성 후에는 아인슈타이늄-253을 다른 악티늄족 원소 및 그 붕괴 생성물로부터 분리하는 복잡한 과정이 필요하다. 다른 동위원소들은 여러 실험실에서 무거운 악티늄족 원소에 가벼운 이온을 충돌시켜 합성되지만, 아인슈타이늄-253에 비해 훨씬 소량이다. 생성되는 아인슈타이늄의 양이 적고, 가장 쉽게 생성되는 동위원소의 반감기가 짧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실용적인 용도가 거의 없으며, 주로 기초 과학 연구에 사용된다. 특히 아인슈타이늄은 1955년에 처음으로 새로운 원소 멘델레븀의 17개 원자를 합성하는 데 사용되었다.
아인슈타이늄은 부드럽고 은색을 띠는 상자성 금속이다. 화학적 성질은 악티늄족 원소 후반부의 전형적인 성질을 보이며, +3의 산화 상태가 우세하고 +2 산화 상태도 가질 수 있다(특히 고체 상태). 아인슈타이늄-253의 높은 방사능은 가시광선의 섬광을 발생시키고, 그램당 약 1000와트의 열을 방출하여 결정성 금속 격자를 빠르게 손상시킨다. 하루에 약 3%의 아인슈타이늄-253이 버클륨-249로 붕괴되고, 거기서 더 캘리포늄-249가 되기 때문에 특성 연구가 어렵다. 반감기가 가장 긴 아인슈타이늄 동위원소인 아인슈타이늄-252(반감기 471.7일)는 물리적 성질 연구에 적합하지만, 제조가 매우 어려워 미량만 얻을 수 있으며 대량으로 확보할 수 없다.[100] 순수한 형태로 거시적인 양으로 관찰된 가장 큰 원자 번호를 가진 원소이며, 이는 일반적인 단수명 동위원소인 아인슈타이늄-253에서 확인되었다.[125]
모든 인공 초우라늄 원소와 마찬가지로 아인슈타이늄 동위원소는 매우 방사성이 높아 섭취 시 건강에 매우 위험하다고 여겨진다.[122]
3. 1. 물리적 특성
아인슈타이늄은 은백색의 부드러운 방사성 금속이다. 밀도는 8.84 g/cm³로 캘리포늄(15.1 g/cm³)보다 낮고 홀뮴(8.79 g/cm³)과 거의 같다. 녹는점은 860°C로 캘리포늄(900°C), 페르뮴(1527°C), 홀뮴(1461°C)보다 낮다.[23][24] 벌크 탄성률은 15 GPa로 알칼리 금속을 제외한 원소들 중 가장 낮은 값 중 하나이다.[25]상온에서 이중육방정계 구조로 결정화되는 버클륨, 퀴륨, 아메리슘과 달리, 아인슈타이늄은 공간군 ''Fm''''m''과 격자 상수 ''a'' = 575 pm을 갖는 면심입방(fcc) 대칭을 가질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a'' = 398 pm과 ''c'' = 650 pm을 갖는 상온 육방정계 아인슈타이늄 금속에 대한 보고가 있으며, 이는 300°C로 가열하면 fcc 상으로 전환되었다.[70]
아인슈타이늄-253(253Es)의 방사능은 매우 강력하여 결정 격자를 빠르게 파괴하며,[77] 1g당 1000와트의 에너지를 방출하여 눈에 보이는 빛을 생성한다.[26] 이러한 자체 방사선 손상은 아인슈타이늄의 밀도와 녹는점이 낮은 원인일 수 있다.[27] 또한, 시료의 크기가 작아 전자 현미경으로 시료를 가열하면서 녹는점을 관찰하기도 한다.[28]
아인슈타이늄 금속은 2가 금속이며 휘발성이 높다.[29] 아인슈타이늄과 그 화합물은 자체 방사선 손상을 줄이기 위해 열처리 직후 측정한다.[30]
아인슈타이늄 금속, 산화물, 불화물은 액체 헬륨에서 상온까지 퀴리-와이스 상자기적 거동을 보였다. Es2O3와 EsF3의 유효 자기 모멘트는 각각 와 로, 아크티늄족 원소 중 가장 높은 값이며, 해당 퀴리 온도는 각각 53K와 37K이다.[33][34]
3. 2. 화학적 특성
모든 악티늄족 원소와 마찬가지로 아인슈타이늄은 반응성이 매우 크다. 고체 및 수용액에서 가장 안정적인 산화 상태는 +3가이며, 옅은 분홍색을 띤다.[35] +2가 아인슈타이늄은 특히 고체 상태에서 확실히 입증되었는데, 이러한 +2 상태는 프로트악티늄, 우라늄, 넵투늄, 플루토늄, 퀴륨, 버클륨을 포함한 다른 많은 악티늄족 원소에서는 관찰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마륨(II) 염화물로 아인슈타이늄(III)을 환원시켜 아인슈타이늄(II)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36]3. 3. 동위원소
아인슈타이늄은 질량수 240에서 257 사이에 19개의 동위원소와 3개의 핵 이성체가 알려져 있다. 모두 방사성이며, 가장 안정적인 것은 252Es로 반감기는 471.7일이다.[137] 그 다음으로 안정적인 동위원소는 254Es (반감기 275.5일)[138], 255Es (39.8일), 253Es (20.47일)이다. 나머지 동위원소는 모두 반감기가 40시간 미만이며, 대부분 30분 안에 붕괴한다. 핵 이성체 중 가장 안정적인 것은 254mEs이며 반감기는 39.3시간이다.[139]아인슈타이늄은 핵분열률이 높아 지속적인 핵 연쇄 반응을 위한 임계 질량이 낮다. 254Es 동위원소의 경우, 아무것도 씌우지 않은 구(bare sphere) 형태에서 9.89kg이며, 30cm 두께의 강철 중성자 반사체를 추가하면 2.9kg, 물로 만든 20cm 두께의 반사체를 사용하면 2.26kg까지 낮아진다. 그러나 이처럼 작은 임계 질량조차도 현재까지 분리된 아인슈타이늄의 총량, 특히 희귀한 254Es의 양을 훨씬 초과한다.[140]
아인슈타이늄의 모든 동위원소는 반감기가 짧아 지구가 생성될 때 존재했을 원시 아인슈타이늄은 이미 오래전에 붕괴했다. 지구 지각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우라늄과 토륨으로부터 아인슈타이늄을 합성하려면 여러 번의 중성자 포획이 필요하지만, 이는 매우 드문 현상이다. 따라서 지구상의 모든 아인슈타이늄은 과학 실험실, 고출력 원자로 또는 핵실험에서 생성되며, 합성된 시점으로부터 수년 이내에만 존재한다.[103]
아인슈타이늄을 포함한 아메리슘부터 페르뮴까지의 초우라늄 원소는 오클로 천연 원자로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되었지만, 현재는 더 이상 생성되지 않는다.[141]
2008년에는 프시빌스키 별에서 아인슈타이늄이 관측되었다.[142]
4. 합성 및 추출
아인슈타이늄은 가벼운 악티늄족 원소에 중성자를 쬐어 원자로에서 미량 생산된다. 세계 주요 조사 시설로는 미국 테네시 주 오크리지 국립 연구소(ORNL)의 85메가와트 고속 동위원소 반응로(HFIR)와 러시아 디미트로프그라드의 원자로 연구소(NIIAR)의 SM-2 루프 원자로가 있으며, 두 시설 모두 트란스쿠륨 원소(''Z''>96) 생산에 전념하고 있다. 이들 시설은 출력과 플럭스 수준이 비슷하며 트란스쿠륨 원소 생산 능력도 비슷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NIIAR에서 생산되는 양은 널리 보고되지 않는다.[47]
ORNL의 "일반적인 처리 과정"에서는 수십 그램의 퀴륨을 조사하여 데시그램 단위의 캘리포늄, 밀리그램 단위의 버클륨(249Bk)과 아인슈타이늄, 그리고 피코그램 단위의 페르뮴을 생산한다.[48][49] 1961년 HFIR에서 약 10나노그램의 253Es 시료가 처음으로 미량 생산되었으며, 무게를 측정하기 위해 특수 자력 저울이 설계되었다.[23][50] 이후 수 킬로그램의 플루토늄을 사용하여 더 많은 양을 생산하였으며, 아인슈타이늄(대부분 253Es)의 수율은 1967년~1970년에 0.48밀리그램, 1971년~1973년에 3.2밀리그램이었고, 1974년부터 1978년까지는 연간 약 3밀리그램을 꾸준히 생산했다.[51] 그러나 이 양은 조사 직후 표적 내의 총량을 나타내며, 이후 분리 과정을 거치면서 동위원소적으로 순수한 아인슈타이늄의 양은 약 10배 정도 감소했다.[47]
4. 1. 핵반응로 합성
아인슈타이늄은 주로 고속 중성자속을 가진 특수 원자로에서 가벼운 악티늄족 원소에 중성자를 조사하여 미량 생산된다.[44] 세계 주요 조사 시설로는 미국 테네시주 오크리지 국립 연구소(ORNL)의 85메가와트 고속 동위원소 반응로(HFIR)[45]와 러시아 디미트로프그라드의 원자로 연구소(NIIAR)의 SM-2 루프 원자로[46]가 있으며, 두 시설 모두 트란스쿠륨 원소 (''Z''>96) 생산에 전념하고 있다. 이들 시설은 출력과 플럭스 수준이 비슷하며 트란스쿠륨 원소 생산 능력도 비슷할 것으로 예상되지만,[47] NIIAR에서 생산되는 양은 널리 보고되지 않는다.ORNL의 "일반적인 처리 과정"에서 수십 그램의 퀴륨을 조사하여 데시그램 단위의 캘리포늄, 밀리그램 단위의 버클륨(249Bk)과 아인슈타이늄, 그리고 피코그램 단위의 페르뮴을 생산한다.[48][49] 1961년 HFIR에서 약 10나노그램의 253Es 시료가 처음으로 미량 생산되었으며, 무게를 측정하기 위해 특수 자력 저울이 설계되었다.[23][50] 이후 수 킬로그램의 플루토늄을 사용하여 더 많은 양을 생산하였으며, 아인슈타이늄(대부분 253Es)의 수율은 1967년~1970년에 0.48밀리그램, 1971년~1973년에 3.2밀리그램이었고, 1974년부터 1978년까지는 연간 약 3밀리그램을 꾸준히 생산했다.[51] 그러나 이 양은 조사 직후 표적 내의 총량을 나타내며, 이후 분리 과정을 거치면서 동위원소적으로 순수한 아인슈타이늄의 양은 약 10배 정도 감소했다.[47]
합성 후에는 아인슈타이늄을 다른 악티늄족 원소 및 그 붕괴 생성물로부터 분리하는 복잡한 과정이 필요하다.
4. 2. 핵실험 합성


아인슈타이늄은 1952년 아이비 마이크 핵실험의 방사성 낙진에서 처음 발견되었다.[2] 이 실험은 최초로 성공한 열핵무기 실험이었다.[2] 핵폭발은 강력한 중성자원으로, 마이크로초 이내에 1023개/cm2 정도(약 1029개/(cm2·s))의 중성자 밀도를 제공한다.[3] 이는 인공적인 환경에서 초우라늄 원소를 합성하는데 필요한 여러 번의 중성자 포획 확률을 비약적으로 높여, 우라늄이 더 많은 중성자를 포획하여 캘리포늄보다 무거운 새로운 원소를 생성할 수 있게 한다.[2]
1960년대 네바다 핵실험장에서 진행된 지하 핵실험 데이터는 아인슈타이늄을 포함한 초우라늄 원소의 생성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했다.[3] 그러나 핵폭발로 인해 주변 암석이 녹고 증발하면서 파편이 흩어져 생성물을 분리하고 수집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3][60]
4. 3. 분리
아인슈타이늄 분리 과정은 합성 방법에 따라 달라진다. 사이클로트론을 이용해 합성할 경우, 조사(照射) 후 표적에서 아인슈타이늄을 간단히 씻어낼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생산량이 적다.[66]원자로에서 합성하면 수율은 높지만, 생성물은 여러 악티늄족 동위원소와 핵분열로 생성된 란타넘족 원소의 혼합물이다. 따라서 아인슈타이늄을 분리하려면 고온, 고압에서 양이온 교환,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용매 추출 등 복잡한 과정을 여러 번 반복해야 한다.[68]
핵반응로에서 생성되는 가장 일반적인 아인슈타이늄 동위원소인 253Es는 반감기 20일 만에 249Bk(버클륨)으로 붕괴하므로, 버클륨에서 빠르게 분리해야 한다. 버클륨은 고체 상태에서 +4 산화 상태로 쉽게 침전되지만, 아인슈타이늄을 비롯한 다른 악티늄족 원소는 용액에서 +3 상태를 유지하는 성질을 이용해 분리한다.[67]
3가 악티늄족 원소는 90% 물과 10% 에탄올 혼합 용액에 염산(HCl)을 포화시킨 용리액(溶離液)을 사용하여 양이온 교환 수지 컬럼을 통해 란타넘족 핵분열 생성물에서 분리할 수 있다. 그 후, 6몰 HCl을 용리액으로 사용하는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를 거친다. 이어서 암모늄염으로 처리된 양이온 교환 수지 컬럼(Dowex-50 교환 컬럼)을 사용하여 원소 99(아인슈타이늄), 100(페르뮴), 101(멘델레븀)을 포함하는 분획을 분리한다. 이 원소들은 α-히드록시이소부티르산(α-HIB) 용액을 용리액으로 사용하면 용출 위치와 시간을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다.[68]
비스-(2-에틸헥실)인산(HDEHP)을 고정 유기상으로, 질산을 이동 수용액상으로 사용하는 용매 추출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서도 3가 악티늄족 원소를 분리할 수 있다. 악티늄족 원소의 용출 순서는 양이온 교환 수지 컬럼을 사용할 때와 반대이다. 이 방법으로 분리한 아인슈타이늄은 유기 착화제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68]
5. 화합물
아인슈타이늄은 주로 +3가 산화 상태를 가지는 다양한 화합물을 형성한다. +2가 산화 상태도 가능하다.[180][181]
아인슈타이늄(III) 산화물(Es₂O₃)은 무색의 고체로, 정육면체, 단사정계, 육방정계의 세 가지 결정 구조가 알려져 있다.[176][177] 제조 방법과 시료의 이력에 따라 특정 결정 구조가 형성되며, 이들 사이의 상호 변환은 자발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178]
할로겐화 아인슈타이늄은 +2가 및 +3가 산화 상태로 알려져 있으며,[180][181] +3가가 더 안정적이다. 아인슈타이늄(III) 플루오르화물(EsF₃)은 육방정계 결정 구조를 가지며,[182][183][184] 아인슈타이늄(III) 염화물(EsCl₃)은 주황색 고체로 육방정계 구조를 가진다.[185][183][186] 아인슈타이늄(III) 브로민화물(EsBr₃)은 옅은 노란색의 단사정계 고체이다.[174][183] 아이슈타이늄(III) 아이오다이드는 호박색의 육방정계 결정 구조를 가진다.[175][174]
아인슈타이늄의 옥시할로겐화물로는 EsOCl, EsOBr, EsOI 등이 알려져 있다.
다음은 몇몇 아인슈타이늄 화합물의 결정 구조와 격자 상수를 나타낸 표이다.
화합물 | 색 | 결정계 | 공간군 | No | 피어슨 기호 | a (pm) | b (pm) | c (pm) |
---|---|---|---|---|---|---|---|---|
Es₂O₃ | 무색 | 입방[177] | Ia | 206 | cI80 | 1076.6 | ||
Es₂O₃ | 무색 | 단사[179] | C2/m | 12 | mS30 | 1411 | 359 | 880 |
Es₂O₃ | 무색 | 육방[179] | Pm1 | 164 | hP5 | 370 | 600 | |
EsF₃ | 육방[182] | |||||||
EsF₄ | 단사[171] | C2/c | 15 | mS60 | ||||
EsCl₃ | 등황색 | 육방[172][185] | C6/m | hP8 | 727 | 410 | ||
EsBr₃ | 황색 | 단사[173] | C2/m | 12 | mS16 | 727 | 1259 | 681 |
EsI₃ | 호박색 | 육방[175][174] | R | 148 | hR24 | 753 | 2084 | |
EsOCl | 정방[175] | P4/nmm | 394.8 | 670.2 |
아인슈타이늄의 높은 방사능은 방사선 치료에 응용될 가능성이 연구되었으며,[125] 유기 아인슈타이늄 화합물이 합성되기도 했다.[191]
6. 응용
아인슈타이늄은 기초 과학 연구 외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94] 1955년 버클리 연구소의 사이클로트론에서 약 109개의 아인슈타이늄-253(253Es) 원자로 구성된 표적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멘델레븀을 합성했다. 이 반응으로 원자 번호 101번인 멘델레븀 원자 17개가 생성되었다.[95]
희귀한 동위원소인 아인슈타이늄-254(254Es)는 질량이 크고 반감기가 270일로 비교적 길며, 수 마이크로그램 정도를 얻을 수 있어 초중원소 합성에 유용하다.[96] 1985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의 superHILAC 선형 입자 가속기에서 우눈엔늄(원소 119) 합성을 시도할 때 254Es를 표적으로 칼슘-48 이온을 충돌시켰으나, 우눈엔늄 원자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 반응의 단면적 상한선은 300나노바른이었다.[97]
서베이어 5호의 화학 분석 분광계("알파 산란 표면 분석기")에서 254Es는 보정 마커로 사용되었다. 254Es의 큰 질량 덕분에 마커 신호와 달 표면의 가벼운 원소 신호 사이의 스펙트럼 중복이 줄었다.[98]
7. 안전성
아인슈타이늄은 모든 인공 초우라늄 원소와 마찬가지로 매우 방사성이 높아 섭취 시 건강에 매우 위험하다고 여겨진다.[122]
대부분의 아인슈타이늄 독성 데이터는 동물 연구에서 얻어졌다. 쥐가 아인슈타이늄을 섭취했을 때, 혈류에 도달하는 양은 약 0.01%에 불과하다. 그 중 약 65%는 뼈로 이동하며, 방사성 붕괴가 없다면 약 50년간 남아 있을 것이다. 25%는 폐로 이동하며 (생물학적 반감기는 약 20년이지만, 아인슈타이늄의 짧은 반감기로 인해 무의미해진다), 0.035%는 고환으로, 0.01%는 난소로 이동하여 아인슈타이늄은 무기한 머물게 된다. 섭취량의 약 10%는 배설된다. 뼈 표면에 대한 아인슈타이늄의 분포는 균일하며, 플루토늄과 유사하다.[99]
참조
[1]
웹사이트
Einsteinium
http://periodic.lanl[...]
2021-05-19
[2]
논문
Einsteinium and Fermium
http://pubs.acs.org/[...]
2007-04-15
[3]
문서
Seaborg
[4]
서적
Nature's building blocks: an A-Z guide to the element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5]
문서
254Es, 254Fm and 253Fm would not be produced because of lack of beta decay in 254Cf and 253Es
[6]
논문
New Elements Einsteinium and Fermium, Atomic Numbers 99 and 100
http://escholarship.[...]
1955
[7]
논문
Transplutonium Elements in Thermonuclear Test Debris
https://books.google[...]
1956
[8]
서적
Neutrons, Nuclei, and Matter
Dover Publications
[9]
논문
Reactions of U-238 with Cyclotron-Produced Nitrogen Ions
1954
[10]
논문
Transcurium Isotopes Produced in the Neutron Irradiation of Plutonium
https://digital.libr[...]
1954
[11]
논문
Further Production of Transcurium Nuclides by Neutron Irradiation
http://www.escholars[...]
1954
[12]
논문
Elements 99 and 100 from Pile-Irradiated Plutonium
1954
[13]
논문
Nuclear Properties of Some Isotopes of Californium, Elements 99 and 100
1954
[14]
논문
Additional Properties of Isotopes of Elements 99 and 100
1954
[15]
논문
Chemical Properties of Elements 99 and 100
http://www.osti.gov/[...]
Radiation Laboratory,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54-07-23
[16]
논문
Chemical Properties of Elements 99 and 100
https://digital.libr[...]
1954
[17]
논문
Element 100 Produced by Means of Cyclotron-Accelerated Oxygen Ions
1954
[18]
서적
Under the cloud: the decades of nuclear testing
Two-Sixty Press
1991
[19]
서적
The Curve of Binding Energy
Farrar, Straus & Giroux Inc.
1980
[20]
문서
Haire
[21]
서적
Modern alchemy: selected papers of Glenn T. Seaborg
https://books.google[...]
World Scientific
[22]
문서
Haire
[23]
서적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CRC Press
[24]
간행물
Properties of the Transplutonium Metals (Am-Fm)
ASM International, Materials Park, Ohio
[25]
문서
Haire
[26]
문서
Haire
[27]
논문
Studies of einsteinium metal
http://hal.archives-[...]
1979
[28]
문서
Seaborg
[29]
논문
Henry's Law vaporization studies and thermodynamics of einsteinium-253 metal dissolved in ytterbium
1984
[30]
문서
Seaborg
[31]
문서
Seaborg
[32]
문서
Seaborg
[33]
논문
Magnetism of the heavy 5f elements
1983
[34]
논문
Magnetic Properties of Es₂O₃ and EsF₃
1984
[35]
문서
Holleman
[36]
서적
Seaborg
[37]
논문
Half-life of the longest-lived einsteinium isotope-252Es
1977
[38]
논문
Decay Scheme of Einsteinium-254
1966
[39]
웹사이트
Evaluation of nuclear criticality safety data and limits for actinides in transport
https://ec.europa.eu[...]
Institut de Radioprotection et de Sûreté Nucléaire
[40]
서적
Nature's Building Blocks: An A-Z Guide to the Elements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41]
논문
Identification of absorption lines of short half-life actinides in the spectrum of Przybylski's star (HD 101065)
2008
[42]
논문
On the radioactive shells in peculiar main sequence stars: the phenomenon of Przybylski's star.
2005
[43]
논문
Nuclear structure investigations of {{sup|253−255}}Es by laser spectroscopy
2022
[44]
서적
Seaborg
[45]
웹사이트
High Flux Isotope Reactor
http://neutrons.ornl[...]
Oak Ridge National Laboratory
2010-09-23
[46]
웹사이트
Радионуклидные источники и препараты
http://www.niiar.ru/[...]
Research Institute of Atomic Reactors
2010-09-26
[47]
서적
Haire
[48]
서적
Greenwood
[49]
논문
Fermium Purification Using Teva Resin Extraction Chromatography
https://zenodo.org/r[...]
2018-05-18
[50]
서적
The Transuranium People: The Inside Story
Imperial College Press
2000
[51]
서적
Seaborg
[52]
논문
Isotopes of Einsteinium and Fermium Produced by Neutron Irradiation of Plutonium
1956
[53]
논문
Experiments on the production of einsteinium and fermium with a cyclotron
1956
[54]
서적
Lexikon der chemischen Elemente
S. Hirzel Verlag
1999
[55]
웹사이트
Эйнштейний
http://n-t.ru/ri/ps/[...]
[56]
논문
New Isotope Einsteinium-248
1956
[57]
논문
New Isotopes of Einsteinium
http://www.escholars[...]
2019-07-14
[58]
논문
Produc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einsteinium-253 by the reactor irradiation of californium
1985
[59]
논문
Structural and spectroscopic characterization of an einsteinium complex
2021-02-03
[60]
서적
Seaborg
[61]
문서
Anacostia, Kennebec, Par, Barbel, Tweed, Cyclamen, Kankakee, Vulcan, and Hutch
[62]
웹사이트
United States Nuclear Tests July 1945 through September 1992
http://www.nv.doe.go[...]
2000-12
[63]
서적
Seaborg
[64]
서적
Seaborg
[65]
서적
Seaborg
[66]
서적
Haire
[67]
서적
Haire
[68]
서적
The new chemist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01-05
[69]
서적
Haire
[70]
논문
Preparation, properties, and some recent studies of the actinide metals
http://www.osti.gov/[...]
2010-11-24
[71]
문서
Haire
[72]
논문
Thermochemistry of the actinides
https://digital.libr[...]
2019-07-14
[73]
논문
Crystal structures and lattice parameters of einsteinium trichloride and einsteinium oxychloride
http://www.escholars[...]
2019-07-14
[74]
논문
X-ray diffraction and spectroscopic studies of crystalline einsteinium(III) bromide, 253EsBr3
1975-01-01
[75]
문서
Seaborg
[76]
문서
Haire
[77]
문서
Greenwood
[78]
논문
Identification and analysis of einsteinium sesquioxide by electron diffraction
1973-01-01
[79]
문서
Haire
[80]
서적
Handbook on the Physics and Chemistry of Rare Earths
1994-01-01
[81]
논문
Chemical consequences of radioactive decay. 2. Spectrophotometric study of the ingrowth of berkelium-249 and californium-249 into halides of einsteinium-253
1981-01-01
[82]
문서
Holleman
[83]
논문
Absorption spectrophotometric study of 253EsF3 and its decay products in the bulk-phase solid state
1981-01-01
[84]
문서
Greenwood
[85]
논문
Spectrophotometric studies of transcurium element halides and oxyhalides in the solid state
1978-01-01
[86]
서적
Analytical chemistry of transplutonium elements
Wiley
1974-01-01
[87]
논문
The solution absorption spectrum of Es3+
http://www.escholars[...]
2019-07-14
[88]
논문
Preparation, characterization, and decay of einsteinium(II) in the solid state
http://hal.archives-[...]
2010-11-24
[89]
서적
The Rare Earths in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Plenum Press, New York
1977-01-01
[90]
서적
Plutonium 1975
North Holland, Amsterdam
1976-01-01
[91]
문서
Seaborg
[92]
논문
Intramolecular energy transfer and sensitized luminescence in actinide(III) .beta.-diketone chelates
1969-01-01
[93]
논문
5f state interaction with inner coordination sphere ligands: Es3+ ion fluorescence in aqueous and organic phases
1983-01-01
[94]
웹사이트
It's Elemental – The Element Einsteinium
http://education.jla[...]
2007-12-02
[95]
논문
New Element Mendelevium, Atomic Number 101
https://books.google[...]
2016-01-05
[96]
논문
Heavy isotope production by multinucleon transfer reactions with 254Es
https://zenodo.org/r[...]
2018-10-29
[97]
논문
Search for superheavy elements using 48Ca + 254Esg reaction
1985-01-01
[98]
논문
Chemical Analysis of the Moon at the Surveyor V Landing Site
1967-01-01
[99]
서적
Limits for intakes of radionuclides by workers, Part 4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6-01-05
[100]
웹사이트
Einsteinium
http://periodic.lanl[...]
[101]
논문
Einsteinium and Fermium
http://pubs.acs.org/[...]
2003-01-01
[102]
문서
Seaborg
[103]
서적
Nature's building blocks: an A-Z guide to the element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3-01-01
[104]
문서
254Es, 254Fm and 253Fm would not be produced because of lack of beta decay in 254Cf and 253Es
[105]
논문
New Elements Einsteinium and Fermium, Atomic Numbers 99 and 100
https://books.google[...]
1955-01-01
[106]
논문
Transplutonium Elements in Thermonuclear Test Debris
https://books.google[...]
1956
[107]
서적
Neutrons, Nuclei, and Matter
Dover Publications
2011
[108]
논문
Reactions of U-238 with Cyclotron-Produced Nitrogen Ions
1954
[109]
논문
Transcurium Isotopes Produced in the Neutron Irradiation of Plutonium
https://digital.libr[...]
1954
[110]
논문
Further Production of Transcurium Nuclides by Neutron Irradiation
http://www.escholars[...]
1954
[111]
논문
Elements 99 and 100 from Pile-Irradiated Plutonium
1954
[112]
논문
Nuclear Properties of Some Isotopes of Californium, Elements 99 and 100
1954
[113]
논문
Additional Properties of Isotopes of Elements 99 and 100
1954
[114]
간행물
Chemical Properties of Elements 99 and 100
http://www.osti.gov/[...]
Radiation Laboratory,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54
[115]
논문
Chemical Properties of Elements 99 and 100
https://digital.libr[...]
1954
[116]
논문
Element 100 Produced by Means of Cyclotron-Accelerated Oxygen Ions
1954
[117]
서적
Under the cloud: the decades of nuclear testing
Two-Sixty Press
1991
[118]
서적
The Curve of Binding Energy
Farrar, Straus & Giroux Inc.
1980
[119]
문서
Haire
[120]
서적
Modern alchemy: selected papers of Glenn T. Seaborg
https://books.google[...]
World Scientific
1994
[121]
문서
Haire
[122]
서적
The elements
CRC Press
[123]
서적
Properties of the Transplutonium Metals (Am-Fm)
ASM International
1990
[124]
문서
Haire
[125]
문서
Haire
[126]
논문
Studies of einsteinium metal
http://hal.archives-[...]
1979
[127]
문서
Seaborg
[128]
논문
Henry's Law vaporization studies and thermodynamics of einsteinium-253 metal dissolved in ytterbium
1984
[129]
문서
Seaborg
[130]
문서
Seaborg
[131]
문서
Seaborg
[132]
논문
Magnetism of the heavy 5f elements
1983
[133]
논문
Magnetic Properties of Es2O3 and EsF3
1984
[134]
문서
Holleman
[135]
문서
Seaborg
[136]
문서
Haire
[137]
논문
Half-life of the longest-lived einsteinium isotope-252Es
1977
[138]
논문
Decay Scheme of Einsteinium-254
1966
[139]
논문
The NUBASE2016 evaluation of nuclear properties
https://www-nds.iaea[...]
2017
[140]
간행물
Evaluation of nuclear criticality safety data and limits for actinides in transport
https://ec.europa.eu[...]
Institut de Radioprotection et de Sûreté Nucléaire
[141]
서적
Nature's Building Blocks: An A-Z Guide to the Elements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142]
논문
Identification of absorption lines of short half-life actinides in the spectrum of Przybylski's star (HD 101065)
[143]
문서
Seaborg
[144]
웹사이트
High Flux Isotope Reactor
http://neutrons.ornl[...]
Oak Ridge National Laboratory
2010-09-23
[145]
웹사이트
ru:Радионуклидные источники и препараты
http://www.niiar.ru/[...]
Research Institute of Atomic Reactors
2010-09-26
[146]
문서
Haire
[147]
문서
Greenwood
[148]
논문
Fermium Purification Using Teva Resin Extraction Chromatography
https://zenodo.org/r[...]
1997
[149]
서적
The Transuranium People: The Inside Story
Imperial College Press
2000
[150]
문서
Seaborg
[151]
논문
Isotopes of Einsteinium and Fermium Produced by Neutron Irradiation of Plutonium
1956
[152]
논문
The NUBASE2016 evaluation of nuclear properties
https://www-nds.iaea[...]
[153]
논문
Experiments on the production of einsteinium and fermium with a cyclotron
1956
[154]
서적
Lexikon der chemischen Elemente
S. Hirzel Verlag
1999
[155]
웹사이트
Эйнштейний
http://n-t.ru/ri/ps/[...]
[156]
논문
New Isotope Einsteinium-248
1956
[157]
논문
New Isotopes of Einsteinium
http://www.escholars[...]
1956
[158]
논문
Produc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einsteinium-253 by the reactor irradiation of californium
1985
[159]
문서
Seaborg
[160]
문서
Nuclear weapon tests codenamed
[161]
웹사이트
United States Nuclear Tests July 1945 through September 1992
http://www.nv.doe.go[...]
DOE/NV--209-REV 15
2000-12
[162]
문서
Seaborg
[163]
문서
Seaborg
[164]
문서
Seaborg
[165]
문서
Haire
[166]
문서
Haire
[167]
서적
The new chemist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168]
문서
Haire
[169]
논문
Preparation, properties, and some recent studies of the actinide metals
http://www.osti.gov/[...]
1986
[170]
문서
Haire
[171]
논문
Thermochemistry of the actinides
https://digital.libr[...]
1994
[172]
논문
Crystal structures and lattice parameters of einsteinium trichloride and einsteinium oxychloride
http://www.escholars[...]
1969
[173]
논문
X-ray diffraction and spectroscopic studies of crystalline einsteinium(III) bromide, 253EsBr3
1975
[174]
문서
Seaborg
[175]
문서
Haire
[176]
문서
Greenwood
[177]
논문
Identification and analysis of einsteinium sesquioxide by electron diffraction
1973
[178]
문서
Haire
[179]
서적
Handbook on the Physics and Chemistry of Rare Earths
1994
[180]
논문
Chemical consequences of radioactive decay. 2. Spectrophotometric study of the ingrowth of berkelium-249 and californium-249 into halides of einsteinium-253
1981
[181]
문서
Holleman
[182]
논문
Absorption spectrophotometric study of 253EsF3 and its decay products in the bulk-phase solid state
1981
[183]
문서
Greenwood
[184]
논문
Spectrophotometric studies of transcurium element halides and oxyhalides in the solid state
1978
[185]
서적
Analytical chemistry of transplutonium elements
Wiley
1974
[186]
논문
The solution absorption spectrum of Es3+
http://www.escholars[...]
1969
[187]
논문
Preparation, characterization, and decay of einsteinium(II) in the solid state
http://hal.archives-[...]
1979
[188]
서적
The Rare Earths in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Plenum Press, New York
1977
[189]
서적
Plutonium 1975
North Holland, Amsterdam
1976
[190]
문서
Seaborg
[191]
논문
Intramolecular energy transfer and sensitized luminescence in actinide(III) .beta.-diketone chelates
1969
[192]
논문
5f state interaction with inner coordination sphere ligands: Es3+ ion fluorescence in aqueous and organic phases
1983
[193]
웹사이트
It's Elemental – The Element Einsteinium
http://education.jla[...]
2007-12-02
[194]
논문
New Element Mendelevium, Atomic Number 101
https://books.google[...]
1955
[195]
논문
Heavy isotope production by multinucleon transfer reactions with 254Es
https://zenodo.org/r[...]
1986
[196]
논문
Search for superheavy elements using 48Ca + 254Esg reaction
1985
[197]
논문
Chemical Analysis of the Moon at the Surveyor V Landing Site
1967
[198]
서적
Limits for intakes of radionuclides by workers, Part 4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198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