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홀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홀뮴은 원자 번호 67번의 은백색 금속으로, 스톡홀름의 라틴어 이름에서 유래하여 명명되었다. 상온에서 육방최밀충진구조를 가지며, 희토류 금속 중 가장 큰 자기 모멘트를 갖는 특징이 있다. 홀뮴은 공기 중에서 산화되며, 물, 산, 할로겐과 반응한다. 자연에는 안정 동위 원소 홀뮴-165가 존재하며, 다양한 인공 방사성 동위 원소도 알려져 있다. 홀뮴은 산화물, 할로겐화물, 유기 화합물 형태로 존재하며, 강력한 자석, 고체 레이저, 광학 분광 광도계 보정 표준, 의료용 레이저 수술, MRI 조영제 등으로 사용된다. 홀뮴은 생물학적 역할은 없으나, 섭취 시 약간의 독성을 나타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홀뮴 - 홀뮴 동위 원소
    홀뮴은 여러 동위 원소를 갖지만 홀뮴-165만이 유일한 안정 동위 원소이며, 방사성 동위 원소들은 핵 특성 및 다양한 붕괴 방식을 통해 다른 원소로 변환되고 핵 이성질체를 갖기도 한다.
  • 강자성 물질 - 가돌리늄
    가돌리늄은 은백색의 연성과 전성을 가진 희토류 원소로, 특정 온도에서 강자성 또는 강한 상자성을 띠어 MRI 조영제, 중성자 차폐물, 합금, 형광체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며, 핀란드 화학자의 이름을 딴 원소이다.
  • 강자성 물질 - 캘리포늄
    캘리포늄은 원자 번호 98번의 악티늄족 방사성 원소로, 은백색 금속이며, 20가지 방사성 동위원소 중 캘리포늄-252는 강력한 중성자 방출원으로 활용되고, 1950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합성되어 이름 붙여졌다.
  • 란타넘족 - 가돌리늄
    가돌리늄은 은백색의 연성과 전성을 가진 희토류 원소로, 특정 온도에서 강자성 또는 강한 상자성을 띠어 MRI 조영제, 중성자 차폐물, 합금, 형광체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며, 핀란드 화학자의 이름을 딴 원소이다.
  • 란타넘족 - 루테튬
    루테튬은 원소 기호 Lu, 원자 번호 71을 갖는 희토류 원소로, 란타넘족 중 밀도, 녹는점, 경도가 가장 높고, 주로 +3의 산화 상태를 가지며, 안정 동위원소와 방사성 동위원소 형태로 존재하고, 제한적인 상업적 용도에도 불구하고 촉매, LED, PET, 연대 측정, 암 치료 등에 사용된다.
홀뮴
일반 정보
홀뮴
은백색의 홀뮴
원자 번호67
원소 기호Ho
발음호울미엄
영어 이름Holmium
일본어 이름ホルミウム
위치주기율표 6주기 3족
원소 종류란타넘족
물리적 성질
겉모습은백색
상태고체
밀도8.79 g/cm3
액체 밀도8.34 g/cm3
녹는점1734 K (1461 °C)
끓는점2993 K (2720 °C)
융해열17.0 kJ/mol
기화열265 kJ/mol
열용량27.15 J/(mol·K)
증기압 (Pa)1: 1432
10: 1584
100: (1775)
1 k: (2040)
10 k: (2410)
100 k: (2964)
결정 구조육방정계
전기 저항(r.t.) (poly) 814 nΩ·m
열 전도율16.2 W/(m·K)
열팽창 계수(r.t.) (poly) 11.2 µm/(m·K)
음속 (얇은 막대)2760 m/s
영률64.8 GPa
전단 탄성 계수26.3 GPa
부피 탄성 계수40.2 GPa
포아송 비0.231
비커스 경도481 MPa
브리넬 경도746 MPa
원자 정보
산화 상태3 (약한 염기성 산화물)
전기 음성도1.23 (폴링 척도)
이온화 에너지1차: 581.0 kJ/mol
2차: 1140 kJ/mol
3차: 2204 kJ/mol
원자 반지름176 pm
공유 반지름192 ± 7 pm
자기 정렬상자성
전자 배치[Xe] 4f11 6s2
껍질 당 전자 수2, 8, 18, 29, 8, 2
동위 원소
주요 동위 원소질량수: 163
기호: Ho
존재 비율: syn
반감기: 4570 y
붕괴 방식: ε
붕괴 에너지: 0.003 MeV
생성 원소: Dy-163
질량수: 164
기호: Ho
존재 비율: syn
반감기: 29 min
붕괴 방식: ε
붕괴 에너지: 0.987 MeV
생성 원소: Dy-164
질량수: 165
기호: Ho
존재 비율: 100 %
중성자 수: 98
질량수: 166
기호: Ho
존재 비율: syn
반감기: 26.763 h
붕괴 방식: β-
붕괴 에너지: 1.855 MeV
생성 원소: Er-166
질량수: 167
기호: Ho
존재 비율: syn
반감기: 3.1 h
붕괴 방식: β-
붕괴 에너지: 1.007 MeV
생성 원소: Er-167
기타 정보
CAS 등록 번호7440-60-0

2. 명칭

페르 테오도르 클레베가 스톡홀름의 라틴어 명칭인 'Holmia'를 따서 명명하였다.

3. 성질

홀뮴은 은백색 금속으로, 상온 및 상압에서 안정적인 육방최밀충진구조(HCP)를 갖는다. 안정된 원자가는 3가이며, 희토류 금속 중 가장 큰 자기 모멘트를 가진다.[63]

3. 1. 물리적 성질

홀뮴은 비교적 무르고 가단성이 있는 원소로 표준 온도와 압력의 건조한 공기에서 상당히 내식성이 있고 안정하다. 습기가 많고 온도가 높을 때는 노란색 산화물을 만들며 산화된다. 순수한 상태에서는 금속적인 밝은 은색 광택을 가지고 있다.[63]

홀뮴 산화물은 빛의 종류에 따라서 상당히 극적으로 색깔이 변하는 성질이 있다. 자연적인 빛에서는 황갈색을 띤 노란색이다. trichromatic light 밑에서는 불타는 듯한 주홍색을 띠는데 이 색은 같은 종류의 빛 아래에 있는 어븀 산화물과 거의 구별되지 않는다.

홀뮴은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모든 원소들 중에서 가장 높은 자기 모멘트(10.6μB)를 가지고 있고 특이한 자기적 성질을 가지고 있다.[11] 이트륨과 결합하면 높은 자성을 가진 물질을 만든다.[47] 홀뮴은 보통 때는 상자성을 띠지만 19,000 이하의 온도에서는 강자성을 띤다.[5]

끓는점이 3,000,000인 홀뮴은 이터븀, 유로피움, 사마륨, 툴륨, 디스프로슘 다음으로 여섯 번째로 휘발성이 높은 란타넘족 원소이다.[2] 표준 온도 및 압력에서 홀뮴은 육방밀집구조(hcp)를 갖는다.[2] 67개의 전자는 [Xe] 4f11 6s2 배열로 구성되어 있다.[3] 비중은 8.80, 녹는점은 1461 ℃, 끓는점은 2600 ℃이다.[63]

3. 2. 화학적 성질

홀뮴은 공기 중에서 천천히 산화되며, 쉽게 연소하여 산화 홀뮴(III)을 생성한다.[6]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4 Ho + 3 O2 → 2 Ho2O3

홀뮴은 전기 양성적이며, 폴링 전기 음성도 척도에서 1.23의 전기 음성도를 갖는다.[8] 일반적으로 +3의 산화수를 갖는다. 찬물과 천천히 반응하고 뜨거운 물과 빠르게 반응하여 수산화 홀뮴을 생성한다.[9]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2 Ho (s) + 6 H2O (l) → 2 Ho(OH)3 (aq) + 3 H2 (g)

홀뮴 금속은 모든 할로젠과 반응하여 화합물을 형성한다.[10]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2 Ho (s) + 3 F2 (g) → 2 HoF3 (s) [분홍색]

:2 Ho (s) + 3 Cl2 (g) → 2 HoCl3 (s) [황색]

:2 Ho (s) + 3 Br2 (g) → 2 HoBr3 (s) [황색]

:2 Ho (s) + 3 I2 (g) → 2 HoI3 (s) [황색]

홀뮴은 묽은 황산에 쉽게 용해되어 노란색 홀뮴(III) 이온을 포함하는 용액을 만드는데, 이는 [Ho(OH2)9]3+ 착물로 존재한다.[10]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2 Ho (s) + 3 H2SO4 (aq) → 2 Ho3+ (aq) + 3 SO42- (aq) + 3 H2 (g)

수용액 속의 홀뮴은 Ho3+이온이 분자 9개에 둘러싸인 형태로 존재한다.[11] 홀뮴은 산에 녹는다.[63]

3. 3. 동위 원소

자연에는 홀뮴-165라는 단 하나의 안정 동위 원소가 존재한다. 홀뮴-165는 매우 긴 반감기를 가지고 테르븀-161로 알파 붕괴될 것으로 예측되지만, 안정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유일한 홀뮴 동위 원소이다.[13]

인공 방사성 동위 원소도 다양한데, 이 중 가장 안정한 것은 홀뮴-163(163Ho)으로 반감기가 4570년이다.[14] 다른 모든 방사성 동위 원소는 1.117일을 넘지 않는 기저 상태 반감기를 가지며, 가장 긴 반감기를 가진 홀뮴-166(166Ho)의 경우 26.83시간이다.[15] 대부분은 3시간 미만의 반감기를 갖는다.

준안정한 동위 원소인 166m1Ho는 높은 스핀 때문에 약 1200년의 반감기를 갖는다.[16] 메타 안정 상태가 탈여기될 때 생성되는 붕괴 감마선의 특히 풍부한 스펙트럼을 초래하는 높은 여기 에너지는 이 동위원소를 감마선 분광계 보정에 유용하게 만든다.[17]

4. 화합물

홀뮴은 다양한 화합물을 형성한다.

Ho2O3은 홀뮴의 유일한 산화물로, 조명 조건에 따라 색상이 변한다. 일광에서는 황색을 띠지만, 삼색광 아래에서는 주황색을 띤다. 이는 3가 홀뮴 이온의 날카로운 방출선이 적색 형광체로 작용하기 때문이다.[19] 냉음극 형광등 아래에서는 분홍색을 보인다.

홀뮴은 할로젠과 반응하여 다음과 같은 할로겐화물을 생성한다.[24][25][10][27]

:2 Ho (s) + 3 F2 (g) → 2 HoF3 (분홍색)

:2 Ho (s) + 3 Cl2 (g) → 2 HoCl3 (노란색)

:2 Ho (s) + 3 Br2 (g) → 2 HoBr3 (노란색)

:2 Ho (s) + 3 I2 (g) → 2 HoI3 (노란색)

다른 란타넘족 원소와 유사하게, 유기 홀뮴 화합물은 대부분 이온성 시클로펜타디에닐(란타넘의 그것과 동형구조임) 및 σ-결합된 단순 알킬 및 아릴 화합물로 제한되며, 일부는 중합체일 수 있다.[28]

4. 1. 산화물 및 칼코겐화물

Ho2O3은 홀뮴의 유일한 산화물이다. 조명 조건에 따라 색상이 변한다. 일광에서는 황색을 띤다. 삼색광 아래에서는 주황색을 띠며, 같은 조명 조건에서 어븀 산화물의 모양과 거의 구분이 가지 않는다.[18] 색 변화는 3가 홀뮴 이온의 날카로운 방출선이 적색 형광체로 작용하기 때문이다.[19] 냉음극 형광등 아래에서는 분홍색으로 보인다.

다른 칼코겐화물도 홀뮴에 대해 알려져 있다. 홀뮴(III) 황화물은 단사정계에 주황색의 결정을 가지고 있다.[57] 공간군은 ''P''21/''m'' (No. 11)이다.[20] 고압 하에서 홀뮴(III) 황화물은 입방사방 결정계에서 형성될 수 있다.[21] 1,598,000에서 홀뮴(III) 산화물과 황화수소의 반응으로 얻을 수 있다.[22] 홀뮴(III) 셀레늄화물도 알려져 있으며, -267°C 이하에서는 반강자성을 띤다.[23]

4. 2. 할로겐화물

홀뮴은 모든 할로젠과 반응한다.[24][25][10][27]

:2 Ho (s) + 3 F2 (g) → 2 HoF3 (분홍색)

:2 Ho (s) + 3 Cl2 (g) → 2 HoCl3 (노란색)

:2 Ho (s) + 3 Br2 (g) → 2 HoBr3 (노란색)

:2 Ho (s) + 3 I2 (g) → 2 HoI3 (노란색)

홀뮴(III) 플루오르화물은 노란색 분말로, 홀뮴(III) 산화물과 플루오르화암모늄을 반응시킨 후 용액에서 생성된 암모늄 으로부터 결정화하여 생성할 수 있다.[24] 홀뮴(III) 염화물은 염화암모늄을 사용하여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25] 고체 상태에서는 YCl3 층상 구조를 갖는다.[26] 이러한 화합물과 홀뮴(III) 브로민화물, 홀뮴(III) 아이오딘화물은 원소의 직접 반응으로 얻을 수 있다.[10]

또한, 홀뮴(III) 아이오딘화물은 홀뮴과 요오드화수은(II)을 직접 반응시킨 후 증류를 통해 수은을 제거하여 얻을 수 있다.[27]

4. 3. 유기 홀뮴 화합물

다른 란타넘족 원소들과 매우 유사하게, 유기 홀뮴 화합물은 대부분 이온성 시클로펜타디에닐(란타넘의 그것과 동형구조임) 및 σ-결합된 단순 알킬 및 아릴 화합물로 제한되며, 일부는 중합체일 수 있다.[28]

5. 역사

1878년 스위스 화학자 자크 루이 소레(Jacques-Louis Soret)와 마르크 델라퐁텐(Marc Delafontaine)은 분광 분석을 통해 당시 알려지지 않은 원소를 발견했다. (그들은 이를 "X 원소"라고 불렀다.)[29][30]

같은 해, 스웨덴 화학자 페르 테오도르 클레베(Per Teodor Cleve)도 에르븀 산화물을 연구하던 중 독립적으로 이 원소를 발견하고 분리하였다.[31][32][33] 칼 구스타프 모산데르(Carl Gustaf Mosander)가 개발한 방법을 사용하여 클레베는 먼저 에르븀 산화물에서 알려진 모든 불순물을 제거했다. 그 결과 갈색 물질과 녹색 물질이라는 두 가지 새로운 물질이 생성되었다. 그는 갈색 물질을 그의 고향 스톡홀름의 라틴어 이름을 따서 "홀미아(holmia)"라고 명명하고, 녹색 물질은 "툴리아(thulia)"라고 명명했다. "홀미아"는 후에 홀뮴 산화물로, "툴리아"는 툴륨 산화물로 밝혀졌다.[37]

헨리 모즐리(Henry Moseley)는 홀뮴에 원자 번호 66을 부여했다. 그러나 그가 연구했던 홀뮴 시료는 불순물이 많았고, 당시 발견되지 않은 이웃 원소인 디스프로슘이 주를 이루었다. 그는 두 원소 모두에 대한 X선 방출 분광법(X-ray emission spectroscopy) X선 방출 선을 보았지만, 디스프로슘 불순물이 아닌 홀뮴에 속한 것으로 가정했다.[34]

페르 테오도르 클레베가 스톡홀름(Stockholm)의 라틴어 명칭인 holmia를 따서 명명했다.

1911년에 순수한 홀뮴 금속이 처음으로 분리되었다.

6. 존재 및 생산

가돌리나이트 광물 표본 (홀뮴은 검은색 부분)


다른 모든 희토류 원소와 마찬가지로 홀뮴은 자연 상태에서 자유 원소로 발견되지 않으며, 모나자이트 등 희토류 광물에 섞여서 산출된다. 홀뮴이 주성분인 광물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주요 채굴 지역은 중국, 미국, 브라질, 인도, 스리랑카, 호주 등이며, 전 세계 홀뮴 매장량은 약 40만 톤으로 추산된다.[37] 연간 생산량은 약 10톤이다.[35]

홀뮴은 지구 지각에 질량 대비 1.3ppm(백만분율) 정도 존재한다.[36] 토양에는 1ppm, 해수에는 400ppt(parts per quadrillion, 사분의 일) 정도 존재하며, 지구 대기에는 거의 존재하지 않아 란타넘족 원소 중에서는 매우 드문 편이다.[37] 우주 공간에는 질량 대비 500ppt(조분율) 정도 존재한다.[38]

상업적으로 홀뮴은 모나자이트 모래(홀뮴 함량 0.05%)에서 이온 교환 방식으로 추출하지만, 다른 희토류 원소와 분리하기는 여전히 어렵다. 무수 염화물이나 플루오르화물을 금속 칼슘으로 환원시켜 분리한다.[57] 지각 내 홀뮴 함량은 1.3mg/kg으로 추정된다. 홀뮴은 오도-하킨스 규칙을 따르는데, 홀수 원자번호를 가지므로 디스프로슘이나 에르븀보다 존재량이 적다. 그러나 무거운 란타넘족 원소 중에서는 홀수 원자번호 원소 중 가장 많이 존재한다. 란타넘족 원소 중 프로메튬, 툴륨, 루테튬, 테르븀만이 홀뮴보다 희귀하다. 현재 주요 공급원은 중국 남부의 이온 흡착 점토 광상이며, 이 광상들의 희토류 조성은 제노타임이나 가돌리나이트와 유사하다. 이트륨이 질량의 약 2/3를 차지하고 홀뮴은 약 1.5%를 차지한다.[39] 희토류 금속 중에서는 비교적 저렴하여 가격은 kg당 약 1000USD이다.[40]

7. 이용

홀뮴은 희소하고 값이 비싸지만, 독특한 자기적 성질과 광학적 성질 덕분에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모든 원소들 중에서 가장 강한 자기적 성질을 가지고 있어 인공적으로 강력한 자기장을 만들 때 사용되는 강력한 자석의 자기 극편(magnetic pole piece)으로 사용된다.[45] 일부 영구 자석의 제조에도 사용된다.

홀뮴이 도핑된 이트륨 철 가넷(YIG)과 플루오린화 이트륨 리튬(YLF)은 고체 레이저에 사용되며, Ho-YIG는 광 절연체와 마이크로파 장치에 사용된다. 홀뮴 레이저는 2.1 마이크로미터 파장의 빛을 발생시키는데, 이는 의료 분야와 광섬유에서 사용된다.[46][47] 또한 전립선 전절제술에도 사용될 수 있다.[48]

큐빅 지르코니아유리에 노란색이나 붉은색 색상을 입히는 데 사용된다.[49][50] 홀뮴 산화물이나 홀뮴 산화물 용액(주로 과염소산에 용해된)을 포함한 유리는 200~900 nm의 분광 영역에서 뚜렷한 광학 흡수 피크를 나타내므로 광학 분광 광도계의 보정 표준으로 사용된다.[41][42][43]

10% 과염소산에 4% 홀뮴 산화물을 용해시킨 용액. 광학 보정 표준으로 석영 큐벳에 영구적으로 융합됨


방사성이지만 수명이 긴 166m1Ho는 감마선 분광계의 보정에 사용된다.[44]

핵분열에서 생성된 중성자를 흡수할 수 있으므로 원자로 제어를 위한 가연성 독극물로 사용된다.[37]

2017년 3월, IBM은 산화 마그네슘 기판 위에 단일 홀뮴 원자에 1비트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51] 충분한 양자 및 고전 제어 기술을 통해 홀뮴은 양자 컴퓨터를 만드는 데 좋은 후보가 될 수 있다.[52]

정밀성과 최소한의 조직 손상으로 인해 신장 결석 제거 및 전립선 치료와 같은 시술에 사용되는 레이저 수술에서 특히 의료 분야에 사용된다.[53][54] 동위 원소인 홀뮴-166은 특히 간암에 대한 표적 암 치료에 사용되며,[55] 대조제로 MRI 영상을 향상시키기도 한다.[56]

8. 생물학적 역할 및 주의사항

홀뮴은 인체 내에서 생물학적 역할을 하지 않지만, 홀뮴 염은 신진대사를 촉진할 수 있다.[57] 사람은 일반적으로 1년에 약 1mg의 홀뮴을 섭취한다. 식물은 토양에서 홀뮴을 쉽게 흡수하지 않는다. 일부 채소의 홀뮴 함량을 측정한 결과, 1조 분의 100 정도였다.[58] 홀뮴과 그 수용성 염은 섭취 시 약간의 독성을 나타내지만, 불용성 홀뮴 염은 무독성이다. 금속 홀뮴은 분말 형태일 경우 화재 및 폭발 위험이 있다.[59][60][61] 다량의 홀뮴 염은 흡입, 경구 섭취 또는 주사 시 심각한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장기간에 걸친 홀뮴의 생물학적 영향은 알려져 있지 않다. 홀뮴은 낮은 수준의 급성 독성을 가지고 있다.[62]

참조

[1] 서적 A guide to the elements 1998
[2] 논문 Electrical and Magnetic Properties of Holmium Single Crystals https://link.aps.org[...] 1962-09-15
[3] 웹사이트 Holmium (Ho) - Periodic Table https://www.periodic[...] 2024-06-02
[4] 서적 Introduction to Magnetic Materials
[5] 서적 Introduction to magnetism and magnetic materials 1998
[6] 논문 Reviewing the properties of rare earth element-bearing minerals, rare-earth elements and cerium oxide compound https://jurnal.tekmi[...] 2015
[7] 논문 Oxidation of several lanthanide elements https://dx.doi.org/1[...] 1964-08-01
[8] 웹사이트 Holmium - 67Ho: electronegativity https://winter.group[...] University of Sheffield 2023-08-04
[9] 논문 Microstructure, morphology, wett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Ho2O3 films prepared by glancing angle deposition https://www.scienced[...] 2019-06-01
[10] 웹사이트 Chemical reactions of Holmium https://www.webeleme[...] Webelements 2009-06-06
[11] 서적 Nature's Building Blocks 2011
[12] 웹사이트 Periodic Table of Elements: Los Alamos National Laboratory https://periodic.lan[...] 2024-06-02
[13] 논문 Experimental searches for rare alpha and beta decays 2019
[14] 논문 Preparation of long-lived holmium-163 1960-09
[15] 논문 Biodistribution and kinetics of holmium-166-chitosan complex (DW-166HC) in rats and mice. https://jnm.snmjourn[...]
[16] 논문 The various therapeutic applications of the medical isotope holmium-166: a narrative review 2019-08-05
[17] 웹사이트 Holmium-166m: multi-gamma standard to determine the activity of radionuclides in semiconductor detectors https://inis.iaea.or[...] 2001-01-01
[18] 서적 Lanthanides Series Determination by Various Analytical Methods 2016-02-25
[19] 논문 Hydrothermal Synthesis of GdVO4:Ho3+ Nanorods with a Novel White-light Emission 2008
[20] 서적 Non-Tetrahedrally Bonded Binary Compounds II 2021-06-22
[21] 서적 Compounds and Alloys Under High Pressure A Handbook
[22] 서적 Synthesis of Lanthanide and Actinide Compounds
[23] 논문 Low-temperature thermodynamic properties of holmium selenide (2:3) https://www.scienced[...] 2018-03-01
[24] 서적 Riedel, moderne anorganische Chemie De Gruyter 2012
[25] 웹사이트 Holmium chloride {{!}} 10138-62-2 https://www.chemical[...] 2023-08-09
[26] 서적 Structural inorganic chemistry
[27] 논문 Preparation and crystal data for lanthanide and actinide triiodides https://digital.libr[...]
[28] 서적 Greenwood and Earnshaw
[29] 논문 Sur les spectres d'absorption ultra-violets des terres de la gadolinite http://gallica.bnf.f[...] 1878
[30] 논문 Sur le spectre des terres faisant partie du groupe de l'yttria https://gallica.bnf.[...] 1879
[31] 웹사이트 Holmium https://www.rsc.org/[...] 2020
[32] 논문 Rediscovery of the elements: The Rare Earths–The Confusing Years http://www.chem.unt.[...] 2015
[33] 서적 The discovery of the elements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1956
[34] 논문 The high-frequency spectra of the elements https://archive.org/[...] 1913
[35] 웹사이트 Ho - Holmium https://mmta.co.uk/m[...] MMTA 2022-12-05
[36] 서적 ABUNDANCE OF ELEMENTS IN THE EARTH’S CRUST AND IN THE SEA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2016-2017
[37] 서적 Nature's Building Blocks 2011
[38] 웹사이트 WebElements Periodic Table » Periodicity » Abundance in the universe » periodicity http://www.webelemen[...] 2018-03-27
[39] 서적 Handbook of Inorganic Chemical Compounds https://books.google[...] McGraw-Hill 2009-06-06
[40] 뉴스 Rare-Earth Metals http://minerals.usgs[...] USGS 2009-06-06
[41] 학술지 Holmium oxide glass wavelength standards
[42] 학술지 An International Evaluation of Holmium Oxide Solution Reference Materials for Wavelength Calibration in Molecular Absorption Spectrophotometry 2002-06-05
[43] 학술지 Uses for a Holmium Oxide Filter in Spectrophotometry http://www.clinchem.[...] 1964
[44] 학술지 The absolute counting of 166mHo, 58Co and 88Y 2002
[45] 학술지 Field enhancement of a 12.5-T magnet using holmium poles https://digital.libr[...] 1985
[46] 학술지 The holmium laser in urology 1998-02
[47] 서적 Extractive metallurgy of rare earths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04
[48] 학술지 Holmium Laser Enucleation of the Prostate: Results at 6 Years https://www.scienced[...] 2008-04-01
[49] 학술지 Cubic zirconia: An Update. https://www.gia.edu/[...] 1981
[50] 학술지 Interaction of Gamma Rays with Calcium Aluminoborate Glasses Containing Holmium or Erbium https://onlinelibrar[...] 2004-12-20
[51] 웹사이트 Storing data in a single atom proved possible by IBM researchers https://techcrunch.c[...] 2017-03-09
[52] 학술지 Quantum state manipulation of single atom magnets using the hyperfine interaction 2019-11-19
[53] 웹사이트 Holmium: Properties and Applications https://www.stanford[...] 2024-10-23
[54] 학술지 Influence of stone location on rate of stone clearance and complication for holmium laser lithotripsy
[55] 학술지 Clinical Results of Holmium-166 Radioembolization with Personalized Dosimetry for the Treatment of Hepatocellular Carcinoma
[56] 학술지 MRI-based biodistribution assessment of holmium-166 poly(L-lactic acid) microspheres after radioembolisation
[57] 서적 The Elements, in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CRC press 2000
[58] 서적 Nature's Building Blocks 2011
[59] 학술지 Pharmacology and toxicology of dysprosium, holmium, and erbium chlorides
[60] 학술지 Pharmacology and toxicology of the rare earth elements
[61] 학술지 The acute mammalian toxicity of rare earth nitrates and oxides
[62] 웹사이트 Holmium: Biological Action http://nautilus.fis.[...] 2011-04-15
[63] 보도자료 原子1個に情報は記録できるか?―従来の原子磁石の約10億倍の情報保持時間を観測― https://www.issp.u-t[...] 東京大学 2013-11-14
[64] 웹사이트 ホルミウムレーザー|国際親善総合病院 https://shinzen.jp/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