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진교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진교통은 1964년 12월 10일 '종공합승'으로 설립되어, 1969년 현재의 상호로 변경되었다.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체계 개편으로 지선버스 2개 노선과 간선버스 2개 노선을 운행하기 시작했으며, 심야 N16번 노선 공동 배차에 참여하고 있다. 현재 간선, 지선, 맞춤 버스를 포함한 여러 노선을 운행하며, KGM커머셜, 현대자동차, 하이거 버스 등 다양한 제조사의 버스를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4년 설립된 교통 기업 - 한남여객운수
한남여객운수는 1962년 서울 용산구에서 설립되어 간선 및 지선버스를 운행하며, 2024년 제일여객을 인수하여 제일교통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 1964년 설립된 교통 기업 - 동아운수
동아운수는 1964년 설립되어 서울 강북구를 기반으로 시내버스를 운행하는 업체로, 2004년 버스 개편 이후 간선, 지선, 순환 노선을 운영하며 2020년 사모펀드에 인수되었다. - 서울 도봉구의 교통 - 동부간선도로
동부간선도로는 경기도 의정부시에서 서울특별시를 남북으로 잇는 자동차 전용도로로, 분당수서로와 연결되어 수도권 간선 도로망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며, 이륜차 통행이 금지되고 일부 구간에서 화물차량 진입이 제한되며 지하화 사업이 추진 중이다. - 서울 도봉구의 교통 - 덕릉로
덕릉로는 서울 강북구에서 시작해 도봉구, 노원구를 지나 경기 남양주시 별내동까지 이어지는 도로로, 2개 이상 시·도에 걸쳐 있는 도로로 지정되었으며 주변에 다양한 공공기관, 복지시설, 교육기관이 위치한다. -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기업 - 도선여객
도선여객은 1973년 삼영교통으로 설립되어 서울여객을 인수하며 확장, 2004년 체계개편 후 간선 및 지선버스를 운영하며 개포동을 기점으로 현대자동차 버스를 운행하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운송업체이다. -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기업 - 한국도심공항
한국도심공항은 1985년 설립되어 시내 체크인 서비스와 공항버스 운수업을 운영했으며, 2023년 시내 체크인 서비스를 폐업하고 현재는 공항버스 사업과 수출입 물류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아진교통 - [회사]에 관한 문서 | |
---|---|
회사 정보 | |
이름 | 아진교통 주식회사 |
원어 | A-JIN TRAFFIC CO., LTD. |
형태 | 주식회사 |
인물 | 신성호 (대표이사) |
창립 | 1964년 12월 10일 |
국가 | 대한민국 |
장소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산길 50 (도봉동) |
산업 | 운수업 |
제품 | 시내버스 |
재무 정보 (2020년 기준) | |
자본금 | 1,321,900,000원 |
매출액 | 22,759,573,311원 |
영업이익 | 1,542,497,612원 |
순이익 | 1,330,402,120원 |
자산총액 | 9,353,169,835원 |
주주 구성 | |
주요 주주 | 현기옥: 12.84% 김일수: 8.72% 김종인: 7.80% 신성호: 5.50% 김광순 외 24인: 65.14% |
기타 정보 (2020년 기준) | |
종업원 수 | 272명 |
2. 연혁
1964년 12월 10일 : '''종공합승'''(鐘孔合乘)으로 설립되었다.
1969년 5월 22일 : 상호명을 '''종공합승'''(鐘孔合乘)에서 '''아진교통'''(亞進交通)으로 변경하였다.
1973년 11월 : 본사를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동에서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으로 이전하였다.
2004년 7월 1일 :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으로 지선버스 2개 노선과 간선버스 2개 노선을 운행하기 시작했다.
2022년 2월 10일 : 1128번 노선의 회차 구간이 변경되어 길음역을 경유하지 않게 되었다.
2022년 12월 1일 : 서울시 심야 N16번 노선이 증차되면서 아진교통도 공동 배차 운행에 참여하게 되었다.
2. 1.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이전
1964년 12월 10일 : '''종공합승'''(鐘孔合乘)으로 설립되었다.1969년 5월 22일 : 상호명을 '''종공합승'''(鐘孔合乘)에서 '''아진교통'''(亞進交通)으로 변경하였다.
1973년 11월 : 본사를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동에서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으로 이전하였다.
2. 2.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이후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으로 아진교통은 지선버스 2개 노선과 간선버스 2개 노선을 운행하기 시작했다. 2022년 2월 10일에는 1128번 노선의 회차 구간이 변경되어 길음역을 경유하지 않게 되었다. 같은 해 12월 1일, 서울시 심야 N16번 노선이 증차되면서 아진교통도 공동 배차 운행에 참여하게 되었다.3. 운행 노선
운행노선 | 운행구간 | 배차간격 (분) | 인가 대수 | 비고 | ||
---|---|---|---|---|---|---|
141번 | 도봉산 | ↔ | 염곡동 | 5~11 | 37 | 2004년 7월 1일 신설 |
142번 | 도봉산 | ↔ | 방배동 | 5~11 | 38 | 2004년 7월 1일 신설. 구 1번 노선 대부분 계승. |
1127번 | 도봉산 | ↔ | 수유역 | 10~14 | 9 | 2004년 7월 1일 신설 |
1128번 | 도봉산 | ↔ | 종암동 | 8~14 | 14 | 2004년 7월 1일 신설 |
N16번 | 도봉산역 | ↔ | 온수동 | 20~30 | 3 | 서울교통네트웍, 양천운수와 공동배차로 운행한다. |
8101번 | 도봉보건소 | ↔ | 시청역 | 5~10 | 1 | 맞춤버스. 선일교통, 한성여객, 진아교통, 삼양교통과 공동배차를 한다. |
서울10출근번 | 가능동 현대힐스테이트 | → | 도봉산역 | 1일4회 | 2 | 동아운수와 공동배차로 운행한다. |
서울10퇴근번 | 도봉산역 | → | 가능동 현대힐스테이트 | 1일 2회 | 1 | 2024년 6월 10일 신설[1] 동아운수와 공동배차로 운행한다. |
3. 1. 간선버스
(분)대수
동아운수와 공동배차로 운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