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천운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천운수는 대한민국의 시내버스 운송 업체로, 2018년 신설되었다. 2004년 오케이버스로 시작하여 신흥운수를 거쳐 현재의 양천운수에 이르렀다. 602번, 5524번, 6516번 등 서울 시내 여러 노선을 운행하며, 양천구 신정동에 본점, 관악구 신림동에 영업소를 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천운수 계열사 - 신흥기업
신흥기업은 1955년 신흥교통으로 설립되어 서진교통을 흡수합병하고 문학사상사, 오케이버스에 인수되어 현재 오케이버스 계열사로 운행되는 운수업체이다. - 양천운수 계열사 - 신흥운수 (서울)
신흥운수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운송 업체이며, 2023년 5월 13일 기준으로 여러 노선을 운행하고 자양동에 본사를, 오금동에 영업소를 두고 있다. - 2017년 설립된 교통 기업 - 동부고속
동부고속은 2017년 동부익스프레스에서 분할 설립된 고속버스 운송 기업으로, 강원도 중심 노선과 주요 노선에서 고속버스와 시외버스를 운행하며 2022년 코리아와이드에 인수되어 코리아와이드 계열에 속해 현대 유니버스와 기아 그랜버드 차량을 운용한다. - 2017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신수교통
신수교통은 2004년 서울운수로부터 서울특별시 면허 버스 노선 등을 양도받아 설립되었고 이후 신성교통으로부터 일부 노선을 인수받았으며, 현재 서울특별시 은평구를 연고로 간선버스 4개 노선과 지선버스 3개 노선을 운행하는 버스 운송 회사이다. - 서울 양천구의 교통 - 경인고속도로
경인고속도로는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월동과 인천광역시 서구 가정동을 잇는 총 8차로의 고속도로로, 일부 구간의 고속도로 지정 해제 및 관리권 이관으로 현재 총연장 13.44km이며 서울, 인천, 경기를 연결하는 주요 교통 시설이지만 신월 나들목 부근은 상습 정체 구간이다. - 서울 양천구의 교통 - 평택파주고속도로
평택파주고속도로는 경기도 평택시에서 파주시를 잇는 총 연장 117.9km의 고속국도 제17호선으로, 평택화성고속도로와 수원문산고속도로의 통합으로 지정되었으며 단계적으로 개통되어 현재는 파주시 월롱면까지 개통되었고, 구간별 차로 수와 제한속도가 다르며 광명-서울 구간은 2026년 개통 예정이다.
| 양천운수 - [회사]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주식회사 양천운수 |
| 원어 | Yangcheon Bus |
| 산업 | 여객자동차 운수사업, 자동차제작 및 수리, 광고업 |
| 창립일 | 2017년 12월 12일 |
| 국가 | 대한민국 |
| 위치 |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정로7길 17 (신정동) |
| 사업 지역 | 서울특별시 관악구 난곡로 93 |
| 대표 | 김선우 (대표이사) |
| 대표 제품 | 시내버스 |
| 자본금 | 1,100,000,000원 (2020.12) |
| 매출액 | 26,792,801,254원 (2020) |
| 영업이익 | 1,249,130,604원 (2020) |
| 순이익 | 1,074,916,734원 (2020) |
| 자산 총액 | 14,175,711,602원 (2020.12) |
| 종업원 수 | 322명 (2020.12) |
| 웹사이트 | 양천운수 |
2. 연혁
2017년 12월 12일 오케이버스는 '''양천운수'''라는 법인을 신설하고, 2018년 8월 1일부터 기존 오케이버스의 운송 면허, 노선, 순자산 등을 양천운수로 이관하여 운행을 시작했다.
| 날짜 | 내용 |
|---|---|
| 2018년 5월 29일 | 김선우 대표이사 취임. (여상현, 김선우 2인 대표이사 체제) |
| 2018년 8월 1일 | 6649, 6654번을 신흥운수로 양도 및 기존 오케이버스의 운행 노선을 이어받아 시내버스 운송업 개시 |
| 2018년 8월 2일 | 자본금을 11억원으로 증자. |
| 2020년 2월 4일 | 여상현 대표이사 사임. (김선우 대표이사 단독 대표이사 체제) |
2. 1. 오케이버스 (현 신흥운수)
2004년 6월 18일 '''오케이버스'''로 법인이 설립되었다. 2004년 7월 1일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과 함께 서울특별시 구로구 신도림동과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신길동 마을버스 업체를 중심으로 구성해 전환 시내버스 업체로 출발하였다. 간선버스 602번의 운영 규정 준수에 따라 전환 시내버스 업체 최초로 시내버스 업체로 법인이 승격·전환되었다.[1]2017년 12월 12일 오케이버스는 '''양천운수'''라는 법인을 신설하고, 2018년 8월 1일부터 기존 오케이버스의 운송 면허, 노선, 순자산 등을 오케이버스에서 양천운수로 이관하여 운행을 시작했다.
2019년 6월 13일 오케이버스는 회사 명칭을 '''주식회사 신흥운수'''로 변경하고, 본점을 서울특별시 광진구 자양번영로 3 (자양동)으로 이전하였다.
2. 2. 양천운수
2017년 12월 12일 오케이버스는 '''양천운수'''라는 법인을 신설하고, 기존 오케이버스의 운송 면허, 노선, 순자산 등을 오케이버스에서 양천운수로 이관하여 2018년 8월 1일부터 운행을 시작했다.- 2018년 5월 29일: 김선우 대표이사 취임. (여상현, 김선우 2인 대표이사 체제)
- 2018년 8월 1일: 6649, 6654번을 신흥운수로 양도 및 기존 오케이버스의 운행 노선을 이어받아 시내버스 운송업 개시
- 2018년 8월 2일: 자본금을 11억 원(11억원)으로 증자.
- 2020년 2월 4일: 여상현 대표이사 사임. (김선우 대표이사 단독 대표이사 체제)
2. 3. 오케이버스 합류 이전
1990년대 중반, 15-10번(現 6649번) 운행을 시작하였다. 당시 사명은 주식회사 신도림마을버스였다.[1] 2002년 (주)신도림마을버스는 갑을운수와 통합되었고, 사명을 '''주식회사 굿모닝교통'''으로 변경하였다.[2]2. 3. 1. 굿모닝교통 (구 신도림마을버스)
1990년대 중반, (주)신도림마을버스는 15-10번(현 6649번) 운행을 시작했다.[1] 2002년, (주)신도림마을버스와 갑을운수가 통합되면서 '''(주)굿모닝교통'''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2] 2004년 7월 1일, (주)굿모닝교통은 오케이버스 컨소시엄에 합류했다.3. 운행 노선
양천운수는 현재 오케이버스로부터 이관받은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2] 2023년 7월 23일 기준 운행 노선은 다음과 같다.
| 노선번호 | 운행 구간 | 배차 간격 (분) | 인가 대수 | 비고 | ||
|---|---|---|---|---|---|---|
| 602번 | 양천공영차고지 | ↔ | 서소문 | 6~12 | 27 | 구 327번 |
| 5524번 | 난곡공영차고지 | ↔ | 중앙대학교 | 6~10 | 29 | 구 85-1번 |
| 6516번 | 양천공영차고지 | ↔ | 경동택배 | 12~22 | 19 | 구 5526, 5612, 6618번 통합 |
| 6623번 | 양천공영차고지 | ↔ | 여의도 | 8~17 | 14 | 구 326번 변경 |
| 6627번 | 양천공영차고지 | ↔ | 이대목동병원 | 11~20 | 12 | 구 22-1번 변경 |
| 6714번 | 양천공영차고지 | ↔ | 이대부고 | 13~20 | 11 | 구 328번 단축 |
| N16번 | 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 | ↔ | 온수동종점 | 20~30 | 6 | 서울교통네트웍, 아진교통과 공동 배차 |
3. 1. 간선버스
| 운행 노선 | 운행 구간 | 배차 간격 (분) | 인가 대수 | 비고 | ||
|---|---|---|---|---|---|---|
| 602번 | 양천공영차고지 | ↔ | 서소문 | 6~12 | 27 | 구 327번 |
| N16번 | 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 | ↔ | 온수동종점 | 20~30 | 6 | 서울교통네트웍, 아진교통과 공동 배차 |
3. 2. 지선버스
4. 이전 보유 노선
| 노선 번호 | 기점 | 종점 | 비고 |
|---|---|---|---|
| 85번 | 봉천동 | 성북동 | 구 풍양운수 노선. 2008년 6월 1일 5011번으로 용산역까지 운행하다 폐선.[1] |
| 85-1번 | 신림동 | 중앙대 | 구 풍양운수, 오케이버스 노선. 5524번으로 변경.[2] |
| 85-2번 | 신림동 | 서울대 | 구 풍양운수 노선. 6511번으로 변경, 현재 태진운수 운행. |
| 129번 | 신정동 | 종로2가 | 구 화곡교통 노선. 1979년 개통, 1986년 범양여객(현 선진운수) 매각, 1988년 한남운수 재매각. 1990년대 고척동 (신정동 기점) 및 광화문 (종로2가 종점)으로 변경. 2004년 7월 1일 개편으로 가산동(기점) 및 이대입구(종점)로 변경, 지선버스 5712번으로 현재 운행. |
| 325번 | 신월동 | 명동롯데 | 구 631번, 구 풍양운수 노선. 신인운수 5012번 일부 구간 대체 운행. |
| 326번 | 신월동 | 여의도 | 구 화곡교통, 풍양운수 노선. 6623번으로 변경. |
| 327번 | 신월동 | 서소문 | 구 1003번, 구 화곡교통, 풍양운수 노선. 602번으로 변경. |
| 328번 | 신월동 | 신세계 | 구 화곡교통, 풍양운수 노선. 6714번으로 변경. |
| 328-1번 | 신월동 | 신촌역 | 구 화곡교통, 풍양운수 노선. 6713번 변경 예정이었으나 백지화, 삼화상운 163번 신촌~목동 구간 대체 운행. |
| 491번 | 성북동 | 성북구청 | 구 풍양운수 노선. 2004년 7월 1일 개편 이전 폐선. |
| 85-2번 (좌석) | 봉천동 | 성북동 | 구 풍양운수 노선. 1997년 폐선. |
| 603번 (좌석) | 신월동 | 서울시청 앞 | 구 화곡교통 노선. |
| 631번 (좌석) | 신월동 | 미도파 | 구 화곡교통 노선. 2002년 후반 도시형 버스로 전환, 325번 변경 후 개편으로 폐선. |
| 1003번 (좌석) | 신월동 | 서울시청 앞 | 구 화곡교통 노선. 도시형 버스로 전환, 327번 변경 후 602번으로 운행. |
| 구로마을 15-10번 | 신도림역 | CBA수련원 | 6649번으로 변경. |
4. 1. 개편 전 노선
개편 전 양천운수는 다양한 노선을 운영했다. 이 노선들은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개편 과정에서 번호가 변경되거나, 다른 회사로 이관되거나, 폐선되는 등의 변화를 겪었다.- 85번, 85-1번, 85-2번은 구 풍양운수 노선이었다. 85번은 용산역까지 운행하다 폐선되었고, 85-1번은 5524번, 85-2번은 6511번으로 변경되었다. 85-2번은 현재 태진운수에서 운행 중이다.[1][2]
- 129번은 구 화곡교통 노선으로, 선진운수를 거쳐 한남운수에 인수되었으며, 5712번으로 변경되어 현재 운행 중이다. 노선은 고척동과 가산동으로 연장되었고, 광화문과 이대입구로 단축되었다.
- 325번은 구 풍양운수 노선으로, 신인운수 5012번이 일부 구간을 대체 운행하고 있다.
- 326번, 327번, 328번, 328-1번은 구 화곡교통과 풍양운수 노선이었다. 326번은 6623번, 327번은 602번, 328번은 6714번으로 변경되었다. 328-1번은 6713번으로 변경될 예정이었으나 무산되었고, 삼화상운 163번이 해당 구간을 대체 운행하고 있다.
- 491번은 구 풍양운수 노선이었으나, 2004년 7월 1일 개편 이전에 폐선되었다.
4. 1. 1. 도시형버스
- 85번: 봉천동 ↔ 성북동 (구 풍양운수 노선, 5011번으로 용산역까지 운행되다가 2008년 6월 1일에 폐선)[1]
- 85-1번: 신림동 ↔ 중앙대 (구 풍양운수,오케이버스 노선, 5524번)[2]
- 85-2번: 신림동 ↔ 서울대 (구 풍양운수 노선, 6511번으로 현재는 태진운수에서 운행)
- 129번: 신정동 ↔ 종로2가 (구 화곡교통 노선, 5712번으로 현재는 한남운수에서 운행. 1979년에 신정동 ↔ 종로2가 방면으로 개통, 1986년에 범양여객(이후 선진여객, 현 선진운수)에 매각, 1988년 한남운수에 재매각, 1990년대 기점은 신정동에서 고척동으로 연장 및 종점은 종로2가에서 광화문으로 단축. 2004년 7월 1일 서울시내버스 개편으로 기점을 고척동에서 가산동으로 연장 및 종점을 광화문에서 이대입구로 단축과 동시에 지선버스 5712번으로 재편되어 오늘날에 이르고 있음)
- 325번: 신월동 ↔ 명동롯데 (구 631번) (구 풍양운수 노선, 신인운수 5012번이 일부 구간 대체하여 운행)
- 326번: 신월동 ↔ 여의도 (구 화곡교통,풍양운수 노선, 6623번)
- 327번: 신월동 ↔ 서소문 (구 1003번) (구 화곡교통,풍양운수 노선, 602번)
- 328번: 신월동 ↔ 신세계 (구 화곡교통,풍양운수 노선, 6714번)
- 328-1번: 신월동 ↔ 신촌역 (구 화곡교통,풍양운수 노선, 개편 후 6713번으로 변경하려고 했으나 백지화되어 삼화상운 163번이 신촌 ~ 목동 구간을 대체하여 운행)
- 491번: 성북동 ↔ 성북구청 (구 풍양운수 노선, 2004년 7월 1일 개편 이전에 폐선)
4. 1. 2. 좌석버스
- 85-2번 (좌석): 봉천동 ↔ 성북동 《구 풍양운수 노선, 1997년 폐선》
- 603번 (좌석): 신월동 ↔ 서울시청 앞 《구 화곡교통 노선》
- 631번 (좌석): 신월동 ↔ 미도파 《구 화곡교통 노선, 2002년 후반에 도시형 버스로 형간 전환되면서 325번으로 변경되었다가 개편 후 폐선》
- 1003번 (좌석): 신월동 ↔ 서울시청 앞 《구 화곡교통 노선, 도시형 버스로 형간 전환되면서 327번으로 변경되었다가 개편 후 602번으로 운행》
4. 1. 3. 마을버스
구로마을 15-10번: 신도림역 ↔ CBA수련원 (6649번)4. 2. 개편 후 노선
- 0016번: 남정초등학교 ↔ 서울역 (구 용산마을 6번)
- 2223번: 서울신자초등학교 ↔ 강변역
- 4429번: 서울남부버스터미널 ↔ 예술의 전당 (구 서초마을 01-9번)
- 4430번: 공무원 연금매장 ↔ 양재역 (구 서초마을 08-1번)
- 4431번: 신사역 ↔ 학동역 (구 서초마을 01-6번)
- 5520번: 풍양운수 종점 ↔ 경인교육대학교 (관악교통과 공동배차로 운행하였다.)
- 5526번: 풍양운수 종점 ↔ 석수역 (구 550번)
- 5538번: 봉천역 ↔ 재넘이고개
- 5612번: 풍양운수 종점 ↔ 영등포구청 (구 105번)
- 6600번: 강서공영차고지 ↔ 경인아라뱃길 김포터미널 (다모아자동차, 공항버스, 김포교통과 공동배차로 운행하였다.)
- 6618번: 양천공영차고지 ↔ 신도림역 (도원교통과 공동배차로 운행하였다.)
- 6648번: 신도림역 ↔ 양천구청역 (구 양천마을 6번)
- 6649번: 신도림역 ↔ 도림사거리 (구 구로마을 15-10번)
- 6650번: 신도림역 ↔ 당산역 (구 영등포마을 16번 연장)
- 6651번: 대방천사거리 ↔ 신도림역 (구 영등포마을 16-2번)
- 6652번: 대방역 ↔ 신풍역 (구 영등포마을 16-7A번)
- 6653번: 신도림역 ↔ 영등포역 후문 (구 영등포마을 16-3번)
- 6654번: 해군회관 ↔ 여의도역 (구 영등포마을 16-9번)
- 6656번: 대방역 ↔ 해군회관
- 8001번: 남정초등학교 ↔ 서울역
- 8331번: 잠실역 ↔ 어도
- 8663번: 가양역 → 여의도역
- 광진05번: 서울신자초등학교 ↔ 강변역 (구 2223번)
- 관악01번: 봉천역 ↔ 숭실대입구역 (구 관악마을 2번)
- 영등포06번: 대방역 ↔ 해군회관 (구 6656번)
5. 사업장 현황
6. 보유 차량
- 에디슨모터스 화이버드
- 에디슨모터스 E-화이버드
- KGM 스마트 110
- 자일대우 BS106 뉴 로얄시티
- 현대 일렉시티
- 우진산전 아폴로 1100
참조
[1]
문서
이후 부일운수는 세운교통으로 사명이 변경되었다.
[2]
간행물
2023년 2월 시내버스 인가현황
http://news.seoul.go[...]
서울특별시청 교통기획관 버스정책과
2023-04-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