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운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아운수는 1964년 설립된 서울특별시의 버스 운송 업체이다.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이후 간선, 지선, 순환버스 노선을 운행했으며, 현재는 간선, 지선, 심야버스 및 출퇴근 맞춤형 노선을 운영한다. 2020년 사모펀드에 인수되었으며, 현재 본사 및 영업소를 운영하며 여러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4년 설립된 교통 기업 - 한남여객운수
한남여객운수는 1962년 서울 용산구에서 설립되어 간선 및 지선버스를 운행하며, 2024년 제일여객을 인수하여 제일교통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 1964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영주여객
영주여객은 1958년에 설립되어 경상북도 영주시를 중심으로 시내 및 주변 지역을 운행하는 시내버스 운송 업체이며, 2024년 1월 1일 봉화여객이 분사되었다. - 차파트너스 - 한국비알티자동차
서울특별시 송파구에 본사를 둔 한국비알티자동차는 간선, 심야 버스 노선을 운행하며, 과거에는 순환, 맞춤 버스 노선도 운영했던 시내버스 운송 업체이다. - 차파트너스 - 도원교통 (서울)
도원교통은 1957년 설립되어 서울 성북구 정릉동에 본사를 둔 시내버스 회사로, 간선, 지선, 심야버스 등 다양한 노선을 운영하며 2023년 성원여객 노선 양수 및 전기버스 도입 등 친환경 차량 도입에 적극적이다. - 서울 강북구의 교통 - 덕릉로
덕릉로는 서울 강북구에서 시작해 도봉구, 노원구를 지나 경기 남양주시 별내동까지 이어지는 도로로, 2개 이상 시·도에 걸쳐 있는 도로로 지정되었으며 주변에 다양한 공공기관, 복지시설, 교육기관이 위치한다. - 서울 강북구의 교통 - 우이령
우이령은 북한산국립공원의 고개로, 출입 통제 후 2009년 개방되었으며, 환경 문제 논란 속에 탐방 예약제를 통해 시민들에게 개방되었다.
| 동아운수 - [회사]에 관한 문서 | |
|---|---|
| 동아운수 정보 | |
| 회사 이름 | 동아운수 주식회사 |
| 원어 | Dong-A Transportation Co., Ltd. |
![]() | |
| 종류 | 주식회사 |
| 창립 | 1964년 12월 2일 |
| 위치 | 서울특별시 강북구 삼양로 648 (우이동) |
| 사업 지역 | 화계사영업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인수봉로 145 (수유동) |
| 국가 | 대한민국 |
| 대표 | 이강식 (대표이사) |
| 산업 | 운수업 |
| 제품 | 시내버스 |
| 자본금 | 1,050,000,000원 (2020.12) |
| 매출액 | 47,401,086,982원 (2020) |
| 영업이익 | -840,966,474원 (2020) |
| 순이익 | 3,053,729,484원 (2020) |
| 자산 총액 | 49,461,461,539원 (2020.12) |
| 주주 | 강북모빌리티제1호 : 100% |
| 종업원 수 | 556명 (2020.12) |
2. 연혁
2. 1.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이전
1964년 12월 2일 회사 설립.[2] 1965년 좌석버스 82번을 당시 계열사인 신동아운수(현 오케이버스)로 분사시켰다.[2] 1995년 상원여객(1961년 설립)을 인수하여 계열사로 편입하고 동아여객으로 상호를 변경했다. 1998년 동북운수(1962년 설립)를 인수, 계열사로 편입하여 동아버스로 상호를 변경했다. 2001년 강북구 마을버스 11번을 지역순환버스 441번(개편 후 1116번)으로 승격시키고 동아여객과 동아버스를 흡수합병하였다.2. 2.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이후
2004년 7월 1일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시행과 함께 간선버스 4개, 지선버스 7개, 순환버스 1개 노선으로 운행을 시작하고 한국BRT 컨소시엄에 지분을 출자했다.2005년 6월 1일에는 지선버스 1116번과 1121번을 통합하여 1165번으로 운행했고, 2005년 9월 1일에는 지선버스 1216번을 간선버스 410번으로 형간 전환 및 압구정동으로 연장했다. 2007년 1월 20일 지선버스 5529번을 간선버스 152번과 노선 통합 및 경인교대 안양캠퍼스로 연장했고, 2007년 4월 23일 지선버스 5711번과 간선버스 170번 노선을 통합하여 간선버스 153번으로 운행 및 당곡사거리로 단축했다.
2008년 9월 16일 삼양교통 지선버스 1115번과 동아운수 지선버스 1165번 노선을 통합하여 지선버스 1165번으로 운행 및 삼양교통과 공동배차했고, 2008년 11월 17일 간선버스 153번의 맞춤노선으로 8153번을 신설했다.
2010년 1월 8일 간선버스 101번을 우이동 기점으로 변경, 종암로·종로 경유 및 서대문역으로 연장, 한성운수와 공동배차 운행을 개시했고, 간선버스 153번은 여의도 구간을 직선화했으며, 간선버스 410번은 경동시장 경유로 변경, 지선버스 1165번은 화계사 기점 변경 및 미아삼거리역으로 단축했다. 2010년 7월 22일 지선버스 1115번을 개통하여 한성운수와 공동배차 운행을 시작했다. 2010년 8월 21일 간선버스 410번이 현대백화점 미아점 양방향 운행으로 변경되었다.
2011년 9월 15일 지선버스 1115번의 회차 경로가 삼각산동 → 미아초교 → 길음역 → 미아삼거리역 → 삼양사거리 → 삼각산동 순으로 변경되었다. 2013년 3월 19일 간선버스 410번이 서울숲 단축 및 번호가 121번으로 변경되었고, 2013년 9월 12일 맞춤버스 8153번이 153번과 노선 중복 및 수요 감소로 인해 9월 11일까지 운행 후 폐선하고, 같은 날 심야버스 N10번 (우이동 ↔ 서울역)을 신설 운행했다.
2014년 11월 17일 심야버스 N10번이 우신운수 소속 심야버스 N40번과 통합하여 N15번으로 노선번호를 변경함과 동시에 종점을 서울역에서 남태령으로 연장 및 우신운수와 공동배차로 운행을 개시하였다.
2020년 12월 사모펀드 '차파트너스'에 인수되었고, 2023년 1월 본사, 영업소 지점을 맞 변경했다.
3. 운행 노선
| 운행노선 | 운행구간 | 배차간격 (분) | 인가 대수 | 비고 | ||
|---|---|---|---|---|---|---|
| 101번 | 우이동 | ↔ | 서소문 | 4~8 | 24 | 한성운수와 공동배차로 운행한다. |
| 121번 | 화계사 | ↔ | 서울숲 | 5~13 | 27 | 구 117번 연장, 410번 단축 |
| 151번 | 우이동 | ↔ | 중앙대학교 | 4~10 | 34 | 구 84번 연장 |
| 152번 | 화계사 | ↔ | 삼막사사거리 | 3~8 | 51 | 구 25번 연장. 5529번 노선 통합·연장 |
| 163번 | 우이동 | ↔ | 대방역 | 4~15 | 45 | 153번 노선 단축 |
| 1115번 | 수유중학교.혜화여고 | ↔ | 미아사거리역 | 8~16 | 6 | 2010년 7월 22일 신설 |
| 1165번 | 화계사 | ↔ | 미아사거리역 | 5~10 | 17 | 1115번, 1116번, 1121번 통합. 삼양교통과 공동배차로 운행한다. |
| N15번 | 우이동성원아파트 | ↔ | 전원마을 | 20~30분, 6회 | 6 | N10번, N40번 통합. 우신운수와 공동배차로 운행한다. |
| 서울10출근번 | 가능동 현대힐스테이트 | → | 도봉산역 | 1일4회 | 2 | 아진교통과 공동배차로 운행한다. |
| 서울10퇴근번 | 도봉산역 | → | 가능동 현대힐스테이트 | 1일 2회 | 1 | 2024년 6월 10일 신설[3]아진교통과 공동배차로 운행한다. |
- 8111번 : 북악중학교 → 국민대 (2024.3.11 신설[3])
3. 1. 간선버스
3. 2. 지선버스
3. 3. 심야버스
3. 4. 맞춤버스
4. 과거 운행 노선
4. 1. 간선버스
우이동과 보라매병원역을 잇는 153번 간선버스는 구 170번과 5711번을 통합한 노선이었다. 2022년 10월 17일 163번으로 단축되었다. 우이동과 지하 신촌역을 연결하던 170번 간선버스는 구 동아버스 노선이었으며, 8번, 153번으로 통합되었다. 화계사와 압구정동을 잇던 410번 간선버스는 구 1216번을 연장한 노선이었다. 2013년 3월 19일 서울숲으로 단축된 후 121번으로 변경되었다.4. 2. 지선버스
- 1116번: 화계사 ↔ 미아삼거리역 (구 441번, 2005년 6월 1일 지선버스 1165번으로 노선 통합)
- 1117번: 현대백화점 미아점 ↔ 상월곡역 (구 443번, 2004년 10월 폐선)
- 1118번: 화계사 ↔ 도봉구청 (신설노선, 2005년 6월 1일 폐선)
- 1121번: 우이동 ↔ SK아파트 (구 400번, 2005년 6월 1일 지선버스 1165번으로 노선 통합)
- 1216번: 화계사 ↔ 왕십리 (구 117번 단축, 간선버스 410번으로 노선 연장 및 형간전환. 2013년 3월 19일부터 간선버스 121번으로 번호 변경)
- 5529번: 시흥2동 벽산APT(호압사 입구) ↔ 중앙대학교 입구 (구 25-1번, 간선버스 152번으로 노선 통합)
- 5711번: 시흥2동 벽산APT(호압사 입구) ↔ 대흥동 (522-2번 변경, 간선버스 153번으로 노선 통합)
4. 3. 순환버스
41번 순환버스는 종합운동장역을 출발하여 삼성역, 강남역, 서초역, 고속터미널역, 논현역, 신사동, 압구정역, 청담역을 거쳐 다시 삼성역과 종합운동장역으로 돌아오는 시계 방향 단방향 순환 노선이었다. 동성교통, 신길운수, 신성교통과 공동 배차 운행하였다. 2005년 4월 10일 동아운수가 철수하면서 한국비알티자동차(한국BRT)로 이관되었고, 이후 대원교통에 양도된 후 간선버스 242번으로 통합되었다.4. 4. 심야버스
2014년 11월 17일 우신운수 소속 N40번과 통합 및 종점을 서울역에서 사당역으로 연장과 동시에 노선번호도 N15번으로 변경되면서 폐지된 심야버스 노선이다. N10번은 우이동에서 서울역 구간을 운행했다.4. 5. 맞춤버스
5. 본사 및 영업소
우이동 본사에서는 101번, 151번, 163번, N15번 노선을, 수유동 영업소에서는 121번, 152번, 1115번, 1165번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6. 보유 차량
동아운수는 하이거 하이퍼스 1609HN, 하이거 하이퍼스 1609, 현대 뉴 슈퍼에어로시티, 현대 저상 뉴 슈퍼에어로시티, 현대 일렉시티를 보유하고 있다.
참조
[1]
문서
상법상 본사 소재지는 수유동 차고지로 등록되있다.
[2]
버스
개편 후 지선버스 5011번으로 용산역까지 단축운행하다가 2008년 6월 1일 폐선, 이와 유사한 도시형 85번도 있었음
[3]
뉴스
2023년 2월 시내버스 인가현황
http://news.seoul.go[...]
서울특별시청 교통기획관버스정책과
2023-04-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