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타카마 대형 밀리미터 간섭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타카마 대형 밀리미터 간섭계(ALMA)는 칠레에 위치한 국제 전파 천문 시설로, 유럽, 북미, 동아시아가 공동으로 건설하고 운영한다. 66개의 고정밀 안테나로 구성되어 0.3mm에서 9.6mm의 파장에서 작동하며, 은하, 별, 행성계 형성 및 우주에서의 물질 진화를 연구하는 데 사용된다. 16km 범위에 안테나를 배치하여 높은 분해능과 감도를 제공하며, 주요 연구 분야는 은하 형성, 별과 행성계의 형성, 우주에서의 물질 진화 등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국립과학재단 - 아레시보 천문대
아레시보 천문대는 푸에르토리코에 위치했던 전파 망원경과 관련 시설을 갖춘 천문대로, 이온층 연구와 전파 천문학 관측을 목적으로 건설되어 운영되었으며, 305m 직경의 전파 망원경은 수많은 천문학적 발견에 기여했으나 2020년 붕괴되었고 현재는 STEM 교육 센터가 운영 중이다. - 미국 국립과학재단 - NCSA
NCSA는 미국 국립 과학 재단의 지원으로 설립된 슈퍼컴퓨터 센터로서, 슈퍼컴퓨터 개발, 모자이크 웹 브라우저와 아파치 HTTP 서버 초기 버전 개발을 통해 월드 와이드 웹 발전에 기여했으며, 과학 시각화 분야에서도 국제적인 명성을 얻고 있다. - 칠레의 천문대 - 유럽 남방 천문대
유럽 남방 천문대(ESO)는 남반구 천체 관측과 대형 천문 장비 운영을 위해 유럽 국가들이 공동 설립한 국제 천문 연구 기구로서, 칠레에 세계적인 천문 관측 시설을 운영하며 극대망원경(ELT) 건설을 추진하는 등 천문학 연구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 칠레의 천문대 - 파라날 천문대
파라날 천문대는 칠레 아타카마 사막에 위치한 유럽 남방 천문대의 천문 관측 시설로, 초거대 망원경 등을 갖추고 있으며, 영화 촬영지로도 사용되었다. - 유럽 남방 천문대 - VISTA (망원경)
남반구 적외선 영역의 천체 관측 망원경인 VISTA는 대구경 망원경 연구를 위한 관측 대상 선정에 기여하며 칠레 파라날 천문대에 위치하고, 영국 주도로 건설되어 ESO 가입 후 회원국 천문학자들에게 개방, 암흑 에너지부터 지구 근접 소행성 연구까지 수행한다. - 유럽 남방 천문대 - 파라날 천문대
파라날 천문대는 칠레 아타카마 사막에 위치한 유럽 남방 천문대의 천문 관측 시설로, 초거대 망원경 등을 갖추고 있으며, 영화 촬영지로도 사용되었다.
아타카마 대형 밀리미터 간섭계 | |
---|---|
개요 | |
![]() | |
공식 명칭 (영어) | Atacama Large Millimeter/submillimeter Array |
위치 | 칠레 아타카마 사막, 차흐난토르 천문대 |
좌표 | (표시 안 함) |
구글 지도 검색어 | 아타카마 대형 밀리미터/서브밀리미터 집합체 |
고도 | 5,058.7 m |
기술 정보 | |
파장 | 3mm – 420 micron (84 - 720 GHz) |
망원경 유형 | 전파망원경 간섭계 |
구경 | 12m 및 7m 배열 |
분해능 | 675 GHz에서 0.7" - 6 mas, 110 GHz에서 4.8" - 37 mas |
운영 및 관리 | |
관리 기관 | Joint ALMA Observatory (JAO) |
연혁 | |
건설 시작 | 2003년 |
첫 관측 | 2011년 |
완공 | 2013년 3월 |
웹사이트 | |
공식 웹사이트 | Official ALMA site Official NRAO ALMA site Official ESO ALMA site Official NAOJ ALMA site |
2. 역사
ALMA는 미국의 밀리미터 배열(MMA), 유럽의 대형 남부 배열(LSA), 일본의 대형 밀리미터 배열(LMA)이라는 세 가지 천문학 프로젝트에서 시작되었다. 1997년 미국 국립 전파 천문대(NRAO)와 유럽 남방 천문대(ESO)는 MMA와 LSA를 통합하는 공동 프로젝트를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통합된 배열은 LSA의 감도와 MMA의 주파수 범위 및 우수한 부지를 결합한 것이다. ESO와 NRAO는 기술, 과학 및 관리 그룹에서 함께 협력하여 캐나다와 스페인(나중에 ESO 회원국이 됨)의 참여와 함께 두 천문대 간의 공동 프로젝트를 정의하고 구성했다.
1999년 3월, 여러 협의와 합의를 거쳐 새로운 배열의 이름으로 "아타카마 대형 밀리미터 배열(Atacama Large Millimeter Array)", 즉 ALMA가 선택되었고, 2003년 2월 25일에 북미 및 유럽 측 간에 ALMA 협정이 체결되었다. 이후 일본 국립 천문대(NAOJ)는 아타카마 소형 배열(ACA)과 대형 배열을 위한 세 개의 추가 수신기 밴드를 제공하여 향상된 ALMA를 구성하겠다는 제안을 했다. 2004년 9월 14일, ALMA와 NAOJ 간의 고위급 협정이 체결되어 일본은 향상된 ALMA에 공식적으로 참여하게 되었고, 망원경 이름은 아타카마 대형 밀리미터/서브밀리미터 배열(ALMA)로 변경되었다.
ALMA 계획 초기 단계에서, 단일 디자인을 사용하는 대신 북미, 유럽, 일본의 알려진 회사에서 설계하고 제작한 ALMA 안테나를 사용하기로 결정되었다. 이는 주로 정치적인 이유 때문이었다.
1980년대에 일본천문학회의 천체 전파 연구 위원회와 미국천문학회의 천체 전파 연구 연합이 서로 별개로 정밀도가 높은 천체 전파 연구에 관한 차세대 계획의 컨셉을 만들었다. 미국 국립 전파 천문대에서는 구경 10m 안테나 50대의 밀리미터파 간섭계에 의한 관측 계획과 설치 장소로 칠레의 아타카마 고원을 제안했고, 유럽 남방 천문대(ESO)와 캐나다 연구자도 참가했다. 일본의 국립천문대에서는 구경 8m 안테나 40대의 서브밀리미터파 간섭계에 의한 관측 계획을 제안했다.
북미, 유럽, 일본의 학술 기관에 소속된 기술자 및 연구자가 국제 학회에서의 논의나 제안을 실시하여, 1990년대 후반에는 기술 사양을 시작으로 설치 장소를 포함해 계획으로 정리되었다. 각국의 연구자 팀은 각각 자국의 정부에 대해 건설 예산 요구를 실시했고, 참가 각국의 중앙 천문대에서는 제3자 평가를 실시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재무 당국 및 입법부에 제안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각국 정부의 합의에 의해 현재의 계획이 되었다. 2001년에 NRAO와 ESO의 계획 승인이 이루어졌고, 일본은 문부과학성에서 2001년에 조인했으나, 국회 승인은 2004년이 되어서야 이루어졌다.
장치 개발, 관측 기기 개발, 운영 계획에서 각국이 불평등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ALMA 합동 사무소를 칠레에 설치하고, 각국의 기술자 및 연구자가 상근 또는 비상근으로 참가해 준비를 진행하고 있다.
2004년부터 미국 국립 전파 천문대의 애리조나 사이트에서 국립천문대·미국 국립 전파 천문대·유럽 남방 천문대가 개발한 구경 12m 파라볼라 안테나의 테스트를 각각 실시했고, 2007년에 실험이 종료되었다. 각 망원경을 기반으로 제작한 망원경을 운용 예정 순으로 현지에 반입을 실시하고 있다.
일본이 담당하는 안테나 본체는 미쓰비시 전기가, 수신기는 국립천문대가 자체적으로, 그리고 상관기는 후지쯔가 제작하고 있으며, ACA용 12m 사이즈 안테나 16대 중 4대가 2008년에 조정을 종료했다. 2011년에 모든 관측 기기가 갖춰져 시험 관측을 실시하고, 2012년부터 본격 운용이 시작될 예정이다.
일본천문학회 춘계 학술 대회 중 2008년3월 18일에는 일본이 담당하는 파라볼라 안테나 1대를 이용하여 시험 관측 중에 촬영한 달의 전파 사진을 공개했다. 2008년 12월 19일, 일본에서 제작한 ACA용 12m 안테나가 ALMA의 제1호 안테나로 관측소에 인도되었다. 2009년 11월 20일, ALMA 관측소에 세 번째 안테나가 산정 시설(해발 5,000미터)에 설치되어, 천문학자와 기술자들이 결합된 직경 12미터의 안테나 3대를 사용하여 천체로부터의 첫 번째 신호를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
2011년 9월 30일에 안테나 16대로 초기 과학 운용이 시작되었다.[57] 2013년 3월 13일, 66기의 안테나 중 59기가 가동을 시작하여 개소식이 열렸다.[56] 2014년 6월 16일, 알마 망원경 마지막 안테나가 산정 시설에 도착하여 총 66대의 안테나가 완성되었다.[58]
2. 1. 초기 구상 및 국제 협력
ALMA는 미국의 밀리미터 배열(MMA), 유럽의 대형 남부 배열(LSA), 일본의 대형 밀리미터 배열(LMA)이라는 세 가지 천문학 프로젝트가 모여서 만들어졌다.[10] 1997년, 미국 국립 전파 천문대(NRAO)와 유럽 남방 천문대(ESO)는 MMA와 LSA를 통합하기로 합의했다. 이는 LSA의 감도, MMA의 주파수 범위 및 좋은 부지를 결합한 것이다. ESO와 NRAO는 기술, 과학 및 관리 그룹에서 협력하여 공동 프로젝트를 정의하고 구성했으며, 캐나다와 스페인(이후 ESO 회원국이 됨)이 참여했다.1999년 3월, 여러 협의와 합의를 거쳐 새 배열의 이름이 "아타카마 대형 밀리미터 배열(Atacama Large Millimeter Array)", 즉 ALMA로 결정되었고, 2003년 2월 25일에 북미와 유럽 간에 ALMA 협정이 체결되었다.[10] ("Alma"는 스페인어로 "영혼"을, 아랍어로는 "배운" 또는 "지식이 풍부한"을 의미한다.) 이후 일본 국립 천문대(NAOJ)는 ACA(아타카마 소형 배열)와 대형 배열을 위한 세 개의 추가 수신기 밴드를 제공하여 향상된 ALMA를 구성하겠다는 제안을 했다. 2004년 9월 14일, ALMA와 NAOJ 간의 고위급 협정이 체결되어 일본은 향상된 ALMA의 공식 파트너가 되었고, 망원경 이름은 아타카마 대형 밀리미터/서브밀리미터 배열로 변경되었다. 2003년 11월 6일에는 기공식이 거행되었고 ALMA 로고가 공개되었다.[10]
ALMA 계획 초기 단계에서는 단일 디자인 대신 북미, 유럽, 일본의 회사에서 설계 및 제작한 ALMA 안테나를 사용하기로 결정했는데, 이는 주로 정치적인 이유 때문이었다.[11] 각 안테나 디자인은 ALMA의 엄격한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날짜 | 활동 |
---|---|
1995년 | 유럽 남방 천문대(ESO)/미국 국립 전파 천문대(NRAO)/일본 국립 천문대(NAOJ)의 칠레 공동 현장 테스트 |
1998년 5월 | 1단계 시작 (설계 및 개발) |
1999년 6월 | 설계 및 개발을 위한 유럽/미국 양해 각서 |
2003년 2월 | 최종 유럽/북미 협정, ESO에서 자금의 50%, 미국과 캐나다에서 자금의 50% 분담 |
2003년 4월 | 최초의 프로토타입 안테나 테스트가 뉴멕시코주 소코로의 ALMA 테스트 시설(ATF)에서 시작됨 |
2003년 11월 | ALMA 부지 기공식 |
2004년 9월 | 유럽, 북미 및 일본 초안 합의, 일본이 ALMA에 새로운 확장 제공 |
2004년 10월 | 칠레 산티아고에 ALMA 공동 사무소 개소 |
2005년 9월 | 대만이 일본을 통해 ALMA 프로젝트에 참여 |
2006년 7월 | 유럽, 북미 및 일본은 향상된 ALMA에 대한 협정을 수정 |
2. 2. 프로젝트 진행 및 참여 확대
ALMA는 미국의 밀리미터 배열(MMA), 유럽의 대형 남부 배열(LSA), 일본의 대형 밀리미터 배열(LMA)이라는 세 가지 천문학 프로젝트가 합쳐져 만들어졌다. 1997년, 미국 국립 전파 천문대(NRAO)와 유럽 남방 천문대(ESO)는 MMA와 LSA를 통합하기로 합의했다. 이는 넓은 주파수 대역과 좋은 관측소 위치를 추구하는 MMA와 높은 감도를 추구하던 LSA의 장점을 결합한 것이다. 이후 캐나다와 스페인(나중에 ESO 회원국이 됨)이 참여하였다.1999년 3월, 새로운 망원경의 이름이 "아타카마 대형 밀리미터 배열(Atacama Large Millimeter Array, ALMA)"로 결정되었고, 2003년 2월 25일에 북미와 유럽 사이에 최종 계약이 체결되었다.[10] 한편, 일본 국립 천문대(NAOJ)는 아타카마 소형 배열(ACA)과 세 개의 추가 수신기 대역을 추가하여 향상된 ALMA를 만들자는 제안을 했다. 2004년 9월 14일, ALMA (유럽+북미)와 NAOJ 간의 고위급 협정이 체결되어 일본은 공식 파트너가 되었고, 망원경 이름은 아타카마 대형 밀리미터/서브밀리미터 배열(ALMA)로 최종 결정되었다.
초기 단계에는 66개의 안테나를 단일 디자인으로 만드는 대신 북미, 유럽, 일본 기업에서 각각 다른 디자인의 안테나를 설계 및 제조하기로 결정되었는데, 이는 과학적인 결정이라기보다는 정치적인 이유 때문이었다.[11]
2011년 9월 30일에 안테나 16대로 초기 과학 운용이 시작되었으며,[57] 2013년 3월 13일에는 66기의 안테나 중 59기가 가동을 시작하여 개소식이 열렸다.[56] 2014년 6월 16일, 마지막 안테나가 산정 시설에 도착하여 총 66대의 안테나가 완성되었다.[58]
날짜 | 활동 |
---|---|
1995년 | 유럽 남방 천문대(ESO)/미국 국립 전파 천문대(NRAO)/일본 국립 천문대(NAOJ)의 칠레 공동 현장 테스트 |
1998년 5월 | 1단계 시작 (설계 및 개발) |
1999년 6월 | 설계 및 개발을 위한 유럽/미국 양해 각서 |
2003년 2월 | 최종 유럽/북미 협정, ESO에서 자금의 50%, 미국과 캐나다에서 자금의 50% 분담 |
2003년 4월 | 최초의 프로토타입 안테나 테스트가 뉴멕시코주 소코로의 ALMA 테스트 시설(ATF)에서 시작됨 |
2003년 11월 | ALMA 부지 기공식 |
2004년 9월 | 유럽, 북미 및 일본 초안 합의, 일본이 ALMA에 새로운 확장 제공 |
2004년 10월 | 칠레 산티아고에 ALMA 공동 사무소 개소 |
2005년 9월 | 대만이 일본을 통해 ALMA 프로젝트에 참여 |
2006년 7월 | 유럽, 북미 및 일본은 향상된 ALMA에 대한 협정을 수정 |
2007년 4월 | 칠레에 첫 번째 안테나 도착 |
2008년 2월 | 칠레에 두 대의 ALMA 운반기 도착 |
2008년 7월 | 운반기를 사용한 첫 번째 안테나 이동 |
2008년 12월 | 첫 번째 ALMA 안테나 인수 |
2009년 5월 | 운영 지원 시설(OSF)에서 두 개의 안테나를 이용한 첫 번째 간섭계 측정 |
2009년 9월 | ALMA 안테나의 차이난토르로의 첫 이동 |
2009년 11월 | 차이난토르에서 세 개의 안테나를 이용한 위상 폐쇄 |
2010년 | 위험 분담 조기 과학 제안 요청 |
2011년 9월 | 조기 과학 사이클 0 시작. 12-m 배열의 16개의 12-m 안테나 |
2012년 2월 | ALMA 데이터를 사용한 첫 번째 논문 출판 |
2013년 1월 | 조기 과학 사이클 1 시작. 12-m 배열의 32개의 12-m 안테나 |
2013년 3월 13일 | ALMA 준공 |
2013년 9월 23일 | 66번째이자 마지막 안테나가 도착하여 인수됨 |
2014년 6월 | 조기 과학 사이클 2 시작. 12-m 배열의 34개의 12-m 안테나, 7-m 배열의 9개의 7-m 안테나 및 TP 배열의 2개의 12-m 안테나 |
2018년 6월 | ALMA 1000번째 논문 출판 |
2020년 3월 | 코로나19 위기로 인해 ALMA 폐쇄 |
2. 3. 대한민국 참여
대한민국은 2014년 7월 한국천문연구원을 통해 아타카마 대형 밀리미터 간섭계(ALMA) 프로젝트 참여를 위한 협약을 체결하면서 ALMA 건설 및 운영에 공식적으로 참여하게 되었다. 이 협약은 동아시아 ALMA 지역 센터(East Asia ALMA Regional Center, EA ARC)의 일원으로서 대한민국이 ALMA 운영에 참여하고, 관측 시간을 배정받을 수 있는 권한을 갖게 됨을 의미한다.3. 기술 사양
ALMA는 유럽 남방 천문대(ESO), 미국 국립 과학 재단(NSF), 일본 자연 과학 연구 기구(NINS) 등이 협력하여 건설한 전파 망원경이다. 0.3mm에서 9.6mm의 파장에서 관측을 수행하는 66개의 고정밀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다.
ALMA는 주 배열(main array)과 아타카마 소형 배열(ACA, 일명 '모리타 배열')로 구성된다. 주 배열은 12m 안테나 50대로 구성되며, ACA는 12m 안테나 4대와 7m 안테나 12대로 구성된다. ACA는 넓은 영역을 관측하는 데 유리하며, 주 배열과 함께 사용하여 더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ALMA의 안테나는 150m에서 최대 16km까지 이동 가능하며, 이는 다양한 분해능으로 관측할 수 있게 해준다. 안테나의 이동은 고무 타이어가 장착된 특수 대차를 이용한다.
ALMA의 주요 기술 사양은 다음과 같다.
항목 | 내용 |
---|---|
안테나 | 12m 안테나 54대, 7m 안테나 12대 (총 66대) |
개구 합성 구경 | ALMA 전체 18km, ACA 80m |
광학계 | 카세그레인식 |
경면 재질 | 알루미늄 패널 + 코팅 |
경면 정밀도 | 12m 안테나 25μm, 7m 안테나 20μm |
가대 | 경위의식 |
지향 정밀도 | 0.6초각 |
관측 장치 | 초전도 반도체형 수신기 (높은 주파수에서 효율적인 전파 수신 목적) |
관측 보조 장치 | 병렬 분산형 디지털 분광기 (FX형 및 XF형) |
관측 주파수 | 31.3GHz ~ 950GHz (10mm ~ 0.3mm 파장) |
공간 분해능 | 10밀리초 (VLA의 10배, 허블 우주 망원경의 5배) |
속도 분해능 | 50m/s 미만 |
데이터 처리 | CASA(Common Astronomy Software Applications) 소프트웨어 사용[59] |
각 안테나에는 10개의 관측 주파수대에 대응하는 10개의 수신기가 탑재될 예정이다. 이 중 국립 천문대가 3개, 캐나다, 미국, 네덜란드, 프랑스가 각각 하나씩을 담당하고 있다.
3. 1. 주요 특징
ALMA 간섭계는 총 66개의 고정밀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으며, 0.3 - 9.6 mm의 파장에서 작동한다. ALMA는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 망원경 (JCMT) 같은 단일 안테나 망원경이나 Submillimeter 간섭계, IRAM의 Plateau de Bure 간섭계와 같은 기존의 간섭계 네트워크보다 훨씬 높은 감도와 높은 해상도를 갖는다. 이는 총 66개에 달하는 안테나로 보다 많은 빛을 모을 수 있고, 이 안테나들을 150m부터 최장 16km까지 펼침으로써 다양한 분해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9]ALMA의 전파망원경들은 유럽, 북미와 동아시아 파트너들에 의해 제공된다. 미국과 유럽이 각각 망원경의 주 배열(main ALMA array)을 이룰 25개의 지름 12m 망원경을 제공하며, 동아시아는 Atacama Compact Array (ACA)를 이룰 16개의 안테나(4개의 12m 안테나와 12개의 7m 안테나)를 제공한다. 보다 작은 안테나들로 이루어진 ACA는 같은 파장대에서 보다 넓은 영역을 동시에 관측할 수 있게 해준다.
안테나는 150m에서 16km까지 사막 고원을 가로질러 이동할 수 있으며, 이는 ALMA에게 센티미터 파장 거대 배열 전파 망원경(VLA)이 위치한 미국 뉴멕시코주와 유사한 강력한 가변 "줌"을 제공한다. 높은 감도는 주로 배열을 구성하는 다수의 안테나 접시를 통해 달성된다.

ALMA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지름 12m의 안테나 50개 이상이 차이난토르 고원 천문대 해발 5,000m에 위치하며, 4 x 12m 및 12 x 7m 크기의 소형 안테나 배열로 강화된다.
- 350μm에서 10mm 사이의 모든 대기 창에서 디지털 영상 장비
- 약 150m에서 14km까지의 배열 구성
- 공간 분해능 10 밀리초 (10−7 라디안)으로, 거대 배열 (VLA)보다 10배, 허블 우주 망원경보다 5배 더 뛰어나지만, 광학 및 적외선 간섭계로 달성되는 분해능보다는 여전히 상당히 낮다.
- 1초 각 해상도로 소스를 분(arcminute)에서 수 도까지 영상화하는 능력
- 50m/s 미만의 속도 분해능
- 거대 배열보다 더 빠르고 유연한 영상 장비
- 밀리미터 및 서브밀리미터 파장에서 세계 최대이자 가장 민감한 장비
- 점광원 감지 감도는 거대 배열보다 20배 우수
-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AIPS++를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소프트웨어 패키지인 CASA(Common Astronomy Software Applications)가 될 것이다.
아타카마 소형 배열(Atacama Compact Array, ACA)은 분자 구름이나 인접 은하와 같이 각 크기가 큰 천체를 연구하는 ALMA의 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16개의 밀집된 안테나 하위 집합이다. 아타카마 소형 배열을 형성하는 안테나는 4개의 12미터 안테나와 12개의 7미터 안테나로, 일본에서 제작 및 인도되었다. 2013년에 아타카마 소형 배열은 2012년 5월 7일 산티아고에서 사망한 ACA의 설계자이자 일본 ALMA 팀의 일원인 모리타 코이치로 교수의 이름을 따서 모리타 배열로 명명되었다.[42]
ALMA는 동아시아(일본, 타이완, 대한민국)·북미(미국, 캐나다)·유럽의 국제 공동 프로젝트이다. 안데스 산맥 중 해발 약 5,000m의 고지 사막(아타카마 사막)에 고정밀 파라볼라 안테나를 총 66대 설치하여, 이들을 전체적으로 하나의 전파 망원경으로 관측 가능한 개구 합성형 전파 망원경으로 활용한다. 관측에 사용하는 파장대는 1cm(31.3GHz)에서 0.3mm(950GHz)이다.
ALMA 망원경은 16.5km 범위에 66대의 안테나를 배치한다. ACA는 16대의 안테나를 소형으로 배치하여, 분해능은 낮지만 넓게 퍼진 천체 구조를 높은 감도로 관측한다. 반면에 50대의 안테나로 구성된 간섭계는 넓게 퍼진 천체 구조에 대한 감도는 없지만, 세밀한 구조를 고분해능으로 관측한다. 양쪽의 데이터를 푸리에 공간상에서 영상 합성함으로써 높은 감도·높은 분해능의 양쪽을 갖춘 신뢰성 높은 관측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각 안테나에는 10개의 관측 주파수대에 대응하는 10개의 수신기가 탑재될 예정이다.
ALMA의 공통 기본 사양은 다음과 같다.
항목 | 내용 |
---|---|
구경 | 12m 안테나 54대/개구 합성 구경 |
구경 | 7m 안테나 12대 |
개구 합성 구경 | ALMA 전체 18km/ACA 80m |
광학계 | 카세그레인식 |
경면 재질 | 경면 알루미늄 패널 + 코트 |
경면 정밀도 | 25μm @ 12m 안테나, 20μm @ 7m 안테나 |
가대 | 경위의식 |
지향 정밀도 | 0.6초각 |
관측 장치 | 초전도 반도체형 (주파수가 높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전파를 수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관측 보조 장치 | 병렬 분산형 디지털 분광기 (FX형 및 XF형의 병렬기) |
3. 2. 안테나 및 수신기
ALMA 간섭계는 총 66개의 고정밀 안테나로 구성되어 0.3 ~ 9.6 mm의 파장에서 작동한다. ALMA는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 망원경 (JCMT) 같은 단일 안테나 망원경이나 Submillimeter 간섭계, IRAM의 Plateau de Bure 간섭계와 같은 기존의 간섭계 네트워크보다 훨씬 높은 감도와 높은 해상도를 갖는다. 이는 총 66개에 달하는 안테나로 보다 많은 빛을 모을 수 있고, 이 안테나들을 150m부터 최장 16km까지 펼침으로써 다양한 분해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ALMA의 전파망원경들은 유럽, 북미와 동아시아 파트너들에 의해 제공된다. 미국과 유럽이 각각 망원경의 주 배열(main ALMA array)을 이룰 25개의 지름 12m 망원경을 제공하며, 동아시아는 Atacama Compact Array (ACA)를 이룰 16개의 안테나(4개의 12m 안테나와 12개의 7m 안테나)를 제공한다. 보다 작은 안테나들로 이루어진 ACA는 같은 파장대에서 보다 넓은 영역을 동시에 관측할 수 있게 해준다.
안테나는 150m에서 16km까지 사막 고원을 가로질러 이동할 수 있으며, 이는 ALMA에게 센티미터 파장 거대 배열 전파 망원경(VLA)이 위치한 미국 뉴멕시코주와 유사한 강력한 가변 "줌"을 제공한다. 높은 감도는 주로 배열을 구성하는 다수의 안테나 접시를 통해 달성된다.
아타카마 소형 배열(Atacama Compact Array, ACA)은 분자 구름이나 인접 은하와 같이 각 크기가 큰 천체를 연구하는 ALMA의 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16개의 밀집된 안테나 하위 집합이다. ACA를 형성하는 안테나는 4개의 12미터 안테나와 12개의 7미터 안테나로, 일본에서 제작 및 인도되었다. 2013년에 아타카마 소형 배열은 2012년 5월 7일 산티아고에서 사망한 ACA의 설계자이자 일본 ALMA 팀의 일원인 모리타 코이치로 교수의 이름을 따서 모리타 배열로 명명되었다.[42]
ALMA는 구경 12m의 안테나 50대와 일본제 안테나 16대(구경 7m×12대, 구경 12m×4대, 애칭 "이자요이(음력 16일 밤)")로 구성된 망원경 시스템 "아타카마 소형 배열(ACA, 별명 "모리타 배열")[59]"의 총 66대로 구성된다. 밀리미터파·서브밀리미터파 영역에서는 세계 최대의 기선 길이를 자랑하며, 분해능·감도 모두 세계 최고 수준이다.
ALMA는 미국 국립 전파 천문대의 VLA나 국립 천문대 노베야마 우주 전파 관측소의 밀리미터파 간섭계와 같은 이동형 전파 간섭계이다. VLA나 노베야마 밀리미터파 간섭계가 레일을 부설하고 그 위를 이동하는 대차로 안테나를 운반하는 데 반해, ALMA의 경우에는 도로 위를 고무 타이어를 장착한 대차가 이동함으로써 안테나를 운반한다.
ALMA 망원경은 16.5km 범위에 66대의 안테나를 배치한다. ACA는 16대의 안테나를 소형으로 배치하여, 분해능은 낮지만 넓게 퍼진 천체 구조를 높은 감도로 관측한다. 반면에 50대의 안테나로 구성된 간섭계는 넓게 퍼진 천체 구조에 대한 감도는 없지만, 세밀한 구조를 고분해능으로 관측한다. 양쪽의 데이터를 푸리에 공간상에서 영상 합성함으로써 높은 감도·높은 분해능의 양쪽을 갖춘 신뢰성 높은 관측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각 안테나에는 10개의 관측 주파수대에 대응하는 10개의 수신기가 탑재될 예정이다. 이 중 국립 천문대가 3개, 캐나다·미국·네덜란드·프랑스가 각각 하나씩을 담당하고 있다. 본 관측 프로젝트에서 사용되는 개구 합성 관측 시 기준이 되는 관측 시각을 새기는 원자 시계는 루비듐형으로 결정되었다.
- 공통 기본 사양
항목 | 내용 |
---|---|
구경 | 12m 안테나 54대/개구 합성 구경, 7m 안테나 12대 |
개구 합성 구경 | ALMA 전체 18km/ACA 80m |
광학계 | 카세그레인식 |
경면 재질 | 경면 알루미늄 패널 + 코트 |
경면 정밀도 | 25μm @ 12m 안테나, 20μm @ 7m 안테나 |
가대 | 경위의식 |
지향 정밀도 | 0.6초각 |
관측 장치 | 초전도 반도체형 (주파수가 높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전파를 수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관측 보조 장치 | 병렬 분산형 디지털 분광기 (FX형 및 XF형의 병렬기) |
3. 3. 데이터 처리 및 소프트웨어
ALMA의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AIPS++를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소프트웨어 패키지인 CASA(Common Astronomy Software Applications)를 사용한다.[59] 각 안테나에는 10개의 관측 주파수대에 대응하는 10개의 수신기가 탑재될 예정이다. 이 중 국립 천문대가 3개, 캐나다, 미국, 네덜란드, 프랑스가 각각 하나씩을 담당하고 있다. 관측 프로젝트에서 사용되는 개구 합성 관측 시 기준이 되는 관측 시각을 새기는 원자 시계는 루비듐형으로 결정되었다.4. 관측 대상 및 연구 분야
ALMA는 2011년 여름, 초기 과학 단계에 앞서 진행된 광범위한 테스트 프로그램을 통해 첫 번째 이미지를 캡처했다.[26] 이는 새로운 배열의 잠재력을 보여주는 것으로, 배열 규모가 커짐에 따라 더 높은 품질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LMA는 밀리미터파 및 서브밀리미터파를 사용하여 은하 형성, 별과 행성계 형성, 우주에서의 물질 진화(유기 분자 합성 등)와 같은 다양한 천문학적 현상을 연구하며, 천문학 및 행성 과학 분야에서 범용적인 장치로 활용된다.
칠레에 설치되어 대한민국에서는 관측이 어려운 궁수자리 방향의 은하 중심부나 대마젤란 은하, 소마젤란 은하 등 남쪽 하늘 천체 관측에 유리하다.
4. 1. 주요 연구 분야
ALMA의 주요 연구 분야는 다음과 같다:[9]- 2014년 8월 11일, 천문학자들은 ALMA를 사용하여 혜성 C/2012 F6 (레몬) 및 C/2012 S1 (ISON)의 코마 내 수소 시안화물(HCN), 수소 이소시안화물(HNC), 포름알데히드(H2CO) 및 먼지 분포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27][28]
- 2014년, 황소자리에 위치한 매우 어린 T Tauri 별인 HL Tauri를 둘러싼 원시 행성 원반의 이미지가 공개되었다. 이 이미지는 틈새로 구분된 일련의 동심원 밝은 고리들을 보여주며, 원시 행성 형성을 나타냈다. 대부분의 이론은 이처럼 어린(10만~100만 년 된) 시스템에서의 행성 형성을 예상하지 못했기 때문에, 새로운 데이터는 원시 행성 발달에 대한 새로운 이론을 촉진했다. 한 이론은 더 빠른 강착률이 원시 행성 원반의 복잡한 자기장 때문일 수 있다고 제안한다.[30]
- ALMA는 2019년에 발표된 블랙홀의 최초 직접 이미지를 생성한 사건의 지평선 망원경 프로젝트에 참여했다.[31]
- ALMA는 생체 지표인 포스핀 탐지에 참여했다. 금성 대기에서 포스핀이 검출된 농도로는 알려진 비생물학적 기원으로는 포스핀을 생성할 수 없으므로, 이는 금성 대기에 생물체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것이다.[32][33] 이후 재분석에서 탐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지만,[34] 이후 분석에서 결과를 확인했다.[35] 탐지는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추가 측정을 기다리고 있다.[36][37]
- 밀리미터파 및 서브밀리미터파라는 짧은 파장의 전파를 사용하여 은하의 형성, 별과 행성계의 형성, 우주에서의 물질 진화(유기 분자의 합성 등) 등을 밝히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그 외에도 천문학·행성 과학 분야에서 범용적인 장치로 활용된다.
- 남반구 칠레에 설치되기 때문에 궁수자리 방향에 있어 일본에서는 관측하기 어려운 은하 중심부나 일본에서는 전혀 볼 수 없는 대마젤란 은하·소마젤란 은하 등 남쪽 하늘의 천체 관측에도 적합하다.
4. 2. 주요 관측 대상 (예시)
ALMA의 초기 관측 대상은 극적으로 왜곡된 형태를 가진 한 쌍의 충돌하는 은하, 즉 안테나 은하였다. ALMA는 은하 전체의 합병을 관측하지는 않았지만, 그 결과는 안테나 은하의 전파-서브밀리미터 파장으로 촬영된 최고의 이미지로, 새로운 별이 형성되는 밀도가 높은 차가운 가스 구름을 보여주며 가시광선으로는 볼 수 없었다.[26]2014년 8월 11일, 천문학자들은 ALMA를 처음 사용하여 수소 시안화물(HCN), 수소 이소시안화물(HNC), 포름알데히드(H2CO) 및 먼지의 분포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으며, 이는 혜성 코마 내의 혜성인 C/2012 F6 (레몬) 및 C/2012 S1 (ISON)에 대한 내용이었다.[27][28]
황소자리 HL성 (황소자리에 위치한 매우 어린 T Tauri 별[29])을 둘러싼 원시 행성 원반의 이미지가 2014년에 공개되었는데, 이는 틈새로 구분된 일련의 동심원 밝은 고리들을 보여주며, 원시 행성 형성을 나타냈다. 현재 대부분의 이론은 이처럼 어린(10만~100만 년 된) 시스템에서의 행성 형성을 예상하지 못했기 때문에, 새로운 데이터는 원시 행성 발달에 대한 새로운 이론을 촉진했다. 한 이론은 더 빠른 강착률이 원시 행성 원반의 복잡한 자기장 때문일 수 있다고 제안한다.[30]

ALMA는 2019년에 발표된, 블랙홀의 최초 직접 이미지를 생성한 사건의 지평선 망원경 프로젝트에 참여했다.[31]
ALMA는 생체 지표인 포스핀 탐지에 참여했다. 금성 대기에서 포스핀이 검출된 농도로는 알려진 비생물학적 기원으로는 포스핀을 생성할 수 없으므로, 이는 금성 대기에 생물체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것이다.[32][33] 이후 재분석에서 탐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지만,[34] 이후 분석에서 결과를 확인했다.[35] 탐지는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추가 측정을 기다리고 있다.[36][37]
5. 국제 협력 및 운영
아타카마 대형 밀리미터/서브밀리미터 간섭계(ALMA)는 유럽 남방 천문대(ESO), 미국 국립 과학 재단(NSF), 일본 국립 천문대(NAOJ) 등 여러 국제 기관이 칠레와 협력하여 운영하는 대규모 전파 망원경 시설이다. ALMA 건설 및 운영은 유럽을 대표하여 ESO가, 북미를 대표하여 국립 전파 천문대(NRAO)가, 동아시아를 대표하여 NAOJ가 주도하고 있으며, 공동 ALMA 관측소(JAO)는 이러한 협력 관계를 총괄하고 조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38]
ALMA의 운영 비용은 참여 기관들이 분담하고 있다. 유럽에서는 ESO가, 북미에서는 NSF가 캐나다 국립 연구 위원회(NRC) 및 대만의 국가과학위원회(NSC)와 협력하여, 동아시아에서는 일본의 자연과학연구기구(NINS)가 대만의 중앙 연구원(AS)과 협력하여 자금을 지원한다.
ALMA 프로젝트와 사용자 커뮤니티 간의 소통 창구 역할을 하는 ALMA 지역 센터(ARC)는 유럽, 북미, 동아시아의 세 주요 지역으로 나뉘어 운영된다. 유럽 ARC는 ESO가 주도하며, 본, 볼로냐, 온드르제요프, 온살라 우주 천문대, 밀리미터파 천문 연구소(IRAM), 레이던, 조드렐 뱅크 천체물리학 센터 등 유럽 전역에 위치한 여러 ARC 노드를 통해 사용자 지원, 데이터 관리, 관측 제안 지원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5. 1. 참여 기관
ALMA는 미국의 MMA(Millimetre Array), 유럽의 LSA(Large Southern Array), 일본의 LMA(Large Millimetre Array)의 세 천문학 프로젝트가 합쳐져 만들어졌다. 1997년 미국 국립 전파 천문대(NRAO)와 유럽 남방 천문대(ESO)는 MMA와 LSA를 통합하기로 합의했다. 이후 캐나다와 스페인(나중에 ESO 회원국이 됨)이 참여하였다. 여러 협상과 계약을 거쳐 1999년 3월, 망원경의 이름은 "Atacama Large Millimeter Array", 즉 ALMA로 결정되었고, 2003년 2월 25일 북미와 유럽 간 최종 계약이 체결되었다.한편, 일본국립천문대(NAOJ)는 ACA(Atacama Compact Array)와 세 개의 추가 수신기 대역을 추가하여 향상된 ALMA (Enhanced ALMA)를 만들 것을 제안했다. 2004년 9월 14일, ALMA (유럽+북미)와 NAOJ 간의 협정이 체결되어 일본은 공식 파트너가 되었고, 망원경 이름은 Atacama Large Millimeter/sub-millimeter Array (ALMA)로 최종 결정되었다.
초기 ALMA 계획 단계에서는 66개의 안테나를 단일 디자인으로 제작하는 대신, 북미, 유럽, 일본 기업이 각각 다른 디자인의 안테나를 설계 및 제조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과학적인 이유보다는 정치적인 이유 때문이었다.
망원경은 ALMA의 유럽, 북미, 동아시아 파트너가 제공했다. 미국과 유럽 파트너는 각각 25개의 12미터 직경 안테나를 제공하여 주 배열을 구성하는 총 50개의 안테나를 구성했다. 동아시아 파트너는 아타카마 소형 배열(ACA) 형태로 16개의 안테나(12미터 직경 4개 및 7미터 직경 12개)를 제공했다.
ALMA는 처음에 NRAO와 ESO의 50 대 50 공동 협력 사업으로 시작되었으나, 이후 일본, 대만, 칠레의 다른 파트너들의 도움을 받아 확대되었다.[12]
ALMA의 파트너는 다음과 같다.
- 유럽 남방 천문대 및 유럽 지역 지원 센터
- 국립 과학 재단 (NSF) (국립 전파 천문대(NRAO)와 북미 ALMA 과학 센터를 통해 지원)
- 캐나다 국립 연구 위원회
- 일본 국립 천문대(NAOJ) (자연 과학 연구소 (NINS) 산하)
- 중앙 연구원 천문학 및 천체 물리학 연구소 (ASIAA)의 ALMA-대만
- 칠레 공화국
ALMA 건설 및 운영은 유럽을 대표하여 ESO가, 북미를 대표하여 NRAO가, 동아시아를 대표하여 NAOJ가 주도한다. NRAO는 연합 대학 주식회사(AUI)에서 관리한다. 공동 ALMA 관측소(JAO)는 ALMA의 건설, 시운전 및 운영에 대한 통일된 리더십과 관리를 제공한다.[38]
5. 2. 운영
ALMA는 미국의 MMA(Millimetre Array), 유럽의 LSA(Large Southern Array), 일본의 LMA(Large Millimetre Array)라는 세 천문학 프로젝트가 합쳐져 만들어졌다. 1997년, 미국 국립 전파 천문대(NRAO)와 유럽 남방 천문대(ESO)는 MMA와 LSA를 통합하기로 합의했다. 이는 넓은 주파수 대역과 좋은 관측소 위치를 원했던 MMA와 높은 감도를 원했던 LSA의 장점을 모두 합친 것이다. NRAO와 ESO는 지상 최대의 전파 망원경 건설을 위해 협력하기 시작했고, 이후 캐나다와 스페인이 참여했다 (스페인은 나중에 ESO의 일원이 됨). 여러 협상과 계약을 거쳐 1999년 3월, 새로운 망원경의 이름이 "Atacama Large Millimeter Array", 즉 ALMA로 결정되었고, 2003년 2월 25일에 북미와 유럽 사이에 최종 계약이 체결되었다. 한편, 일본국립천문대 (NAOJ)는 ACA(Atacama Compact Array)와 세 개의 추가 수신기 대역을 추가하여 향상된 ALMA (Enhanced ALMA)를 만들자는 제안을 했다. 이후 ALMA (유럽+북미)와 NAOJ 간의 추가 논의가 진행되어 2004년 9월 14일에 높은 수준의 협정이 체결되면서 일본은 공식 파트너가 되었고, 망원경 이름은 Atacama Large Millimeter/sub-millimeter Array (ALMA)로 결정되었다.기획 초기 단계에는 66개의 안테나를 단일 디자인으로 만들기보다는 북미, 유럽, 일본 기업에서 각각 다른 디자인의 안테나를 설계 및 제조하기로 결정되었는데, 이는 과학적인 결정이라기보다는 정치적인 이유 때문이었다. 비록 이 안테나들은 각각 다른 방식으로 만들어졌지만, 모두 ALMA가 요구하는 엄격한 조건들을 충족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초기 ALMA 배열은 66개의 고정밀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으며, 3.6~0.32밀리미터(31~1000GHz) 파장에서 작동한다.[9] 이 배열은 단일 구경 서브밀리미터 천문학 망원경인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 망원경이나 서브밀리미터 배열, 유럽 천문학 연구소(IRAM) 플라토 드 뷰르 간섭계와 같은 기존 간섭계 네트워크보다 훨씬 더 높은 감도와 해상도를 가진다.
안테나는 150m에서 16km까지 사막 고원을 가로질러 이동할 수 있으며, 이는 ALMA에게 센티미터 파장 거대 배열 전파 망원경(VLA)이 위치한 미국 뉴멕시코주와 유사한 강력한 가변 "줌"을 제공한다. 높은 감도는 주로 배열을 구성하는 다수의 안테나를 통해 달성된다.
망원경은 ALMA의 유럽, 북미, 동아시아 파트너가 제공했다. 미국과 유럽 파트너는 각각 25개의 12미터 직경 안테나를 제공하여 주 배열을 구성하는 총 50개의 안테나를 구성했다. 참여하는 동아시아 국가들은 ACA 형태로 16개의 안테나(12미터 직경 4개 및 7미터 직경 12개)를 기여하고 있으며, 이는 향상된 ALMA의 일부이다.
주 ALMA 배열보다 작은 안테나를 사용하면 ACA를 사용하여 주어진 주파수에서 더 넓은 시야를 이미지화할 수 있다. 안테나를 더 가깝게 배치하면 더 큰 각도로 확장된 소스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ACA는 넓은 시야 이미징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주 배열과 함께 작동한다.
ALMA는 처음에는 국립 전파 천문대(NRAO)와 유럽 남방 천문대(ESO)의 50 대 50 공동 협력 사업으로 시작되었으며, 이후 일본, 대만, 칠레의 다른 파트너들의 도움을 받아 확대되었다.[12] ALMA는 14억달러에서 15억달러의 비용이 드는 지상 기반 천문학 프로젝트 중 가장 크고 비용이 많이 드는 프로젝트이다.[5][13]
;파트너
- 유럽 남방 천문대 및 유럽 지역 지원 센터
- 국립 과학 재단(NSF)는 국립 전파 천문대(NRAO)와 북미 ALMA 과학 센터를 통해 지원
- 캐나다 국립 연구 위원회
- 일본 국립 천문대(NAOJ) (자연 과학 연구소 (NINS) 산하)
- 중앙 연구원 천문학 및 천체 물리학 연구소 (ASIAA)의 ALMA-대만
- 칠레 공화국

ALMA는 국제 천문 시설로, 유럽, 북미, 동아시아가 칠레 공화국과 협력하여 운영하는 파트너십이다. ALMA는 유럽에서 유럽 남방 천문대(ESO)의 자금 지원을 받고, 북미에서는 미국 국립 과학 재단(NSF)이 캐나다 국립 연구 위원회(NRC) 및 대만 국가 과학 위원회(NSC)와 협력하여 지원하며, 동아시아에서는 일본 자연과학 연구기구(NINS)가 대만의 중앙 연구원(AS)과 협력하여 자금을 지원한다. ALMA 건설 및 운영은 유럽을 대표하여 ESO가, 북미를 대표하여 국립 전파 천문대(NRAO)가, 동아시아를 대표하여 일본 국립 천문대(NAOJ)가 주도한다. NRAO는 연합 대학 주식회사(AUI)에서 관리한다. 공동 ALMA 관측소(JAO)는 ALMA의 건설, 시운전 및 운영에 대한 통일된 리더십과 관리를 제공한다.[38] 2018년 2월부터 현재 관측소장은 션 도허티이다.[39]
ALMA 지역 센터(ARC)는 ALMA 프로젝트의 주요 기여국과 ALMA 관측소(JAO) 사용자 커뮤니티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도록 설계되었다. ARC 운영 활동 또한 관련된 세 주요 지역(유럽, 북미, 동아시아)으로 나뉘었다. 유럽 ARC는 ESO가 주도하며, 본-보훔-쾰른, 볼로냐, 온드르제요프, 온살라, IRAM(그르노블), 레이덴, 그리고 JBCA(맨체스터) 등 유럽 전역에 위치한 ARC 노드로 더 세분화되었다.
ARC의 핵심 목적은 관측 제안 준비를 사용자 커뮤니티에 지원하고, 관측 프로그램이 과학적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도록 보장하며, 제안서 및 관측 프로그램 제출을 위한 헬프 데스크를 운영하고, 주 연구자에게 데이터를 제공하며, ALMA 데이터 아카이브를 유지하고, 데이터 보정을 지원하며 사용자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1980년대에 일본천문학회의 천체 전파 연구 위원회와 미국천문학회의 천체 전파 연구 연합이 서로 별개로 정밀도가 높은 천체 전파 연구에 관한 차세대 계획의 컨셉을 만들었다.
미국 국립 전파 천문대에서는 구경 10m 안테나 50대의 밀리미터파 간섭계에 의한 관측 계획과 설치 장소로 칠레의 아타카마 고원을 제안했다. 미국 국립 전파 천문대에서는 유럽(유럽 남방 천문대: ESO)의 팀과 캐나다 연구자도 참가했다. 일본의 국립천문대에서는 구경 8m 안테나 40대의 서브밀리미터파 간섭계에 의한 관측 계획을 제안했다(이것은 1990년대에 노베야마 우주 전파 관측소에서 이시구로 마사토 교수 등이 작성한 기본 구상이다).
북미, 유럽, 일본의 학술 기관에 소속된 기술자 및 연구자가 국제 학회에서의 논의나 제안을 실시. 1990년대 후반에는 기술 사양을 시작으로 설치 장소를 포함해 계획으로 정리되었다.
각국의 연구자 팀은 각각 자국의 정부에 대해 건설 예산 요구를 실시. 참가 각국의 중앙 천문대에서는 제3자 평가를 실시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재무 당국 및 입법부에 제안을 실시. 최종적으로 각국 정부의 합의에 의해 현재의 계획이 되었다. 2001년에 NRAO·ESO의 계획 승인이 이루어졌다. 일본은 소관 관청인 문부과학성에서 2001년에 조인(과학기술정책국장에 의한 조인)했다. 국회 승인에 대해서는 행정 개혁 등 여러 사정에 의해 늦어져 최종 계획 승인은 2004년이 되어 본격적인 참가에 늦어졌다(그 외에도 여러 프로젝트가 영향을 받았다).
장치 개발, 관측 기기 개발, 운영 계획에서 각국이 불평등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ALMA 합동 사무소를 칠레에 설치하고, 각국의 기술자 및 연구자가 상근 또는 비상근으로 참가해 준비를 진행하고 있다.
2004년부터 장치 개발에서는 미국 국립 전파 천문대의 애리조나 사이트에서 국립천문대·미국 국립 전파 천문대·유럽 남방 천문대가 개발한 구경 12m 파라볼라 안테나의 테스트를 각각 실시했다. 이 실험은 2007년에 종료. 각 망원경을 기반으로 제작한 망원경을 운용 예정 순으로 현지에 반입을 실시하고 있다.
일본이 담당하는 안테나 본체는 미쓰비시 전기가, 수신기는 국립천문대가 자체적으로, 그리고 상관기는 후지쯔가 제작하고 있으며, ACA용 12m 사이즈 안테나 16대 중 4대가 2008년에 조정을 종료했다. 2011년에 모든 관측 기기가 갖춰져 시험 관측을 실시하고, 2012년부터 본격 운용이 시작될 예정이다.
일본천문학회 춘계 학술 대회 중 2008년3월 18일에는 일본이 담당하는 파라볼라 안테나 1대를 이용하여 시험 관측 중에 촬영한 달의 전파 사진을 공개했다. 2008년 12월 19일, 일본에서 제작한 ACA용 12m 안테나가 ALMA의 제1호 안테나로 관측소에 인도되었다. 2009년 11월 20일, ALMA 관측소에 세 번째 안테나가 무사히 산정 시설(해발 5,000미터)에 설치되어, 복잡한 기술 시험 종료 후, 천문학자와 기술자들은 결합된 직경 12미터의 안테나 3대 모두를 사용하여 천체로부터의 첫 번째 신호를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
2011년 9월 30일에 안테나 16대로 초기 과학 운용이 시작되었다.[57]
2013년 3월 13일, 66기의 안테나 중 59기가 가동을 시작하여 개소식이 열렸다.[56]
2014년 6월 16일, 알마 망원경 마지막 안테나가 산정 시설에 도착했다. 이 마지막 안테나는 유럽에 의해 개발된 직경 12m 안테나로, 이미 산정 시설에 운반되어 있는 유럽산 24대의 12m 안테나, 북미산 25대의 12m 안테나, 그리고 일본이 개발한 16대의 안테나(직경 12m가 4대, 7m가 12대)에 합류했다(단, 해발 2,900m의 산록 시설에 일시적으로 이설되어 유지 보수 작업을 받고 있는 것을 제외).[58]
참조
[1]
논문
Parque Astronómico de Atacama: An Ideal Site for Millimeter, Submillimeter, and Mid-Infrared Astronomy
2014
[2]
논문
Molecules with ALMA at Planet-forming Scales (MAPS): A Circumplanetary Disk Candidate in Molecular-line Emission in the AS 209 Disk
2022-08-01
[3]
웹사이트
A still-forming exoplanet predicted to exist is found in exactly the right spot
https://www.syfy.com[...]
2022-09-08
[4]
뉴스
Alma telescope peers into space from Chile's mountains
https://www.bbc.com/[...]
2016-05-29
[5]
웹사이트
ALMA Inauguration Heralds New Era of Discovery
http://www.eso.org/p[...]
ESO - European Southern Observatory
2013-03-13
[6]
뉴스
At the End of the Earth, Seeking Clues to the Universe
https://www.nytimes.[...]
2012-04-07
[7]
뉴스
Alma telescope: Ribbon cut on astronomical giant
https://www.bbc.co.u[...]
BBC
2013-03-13
[8]
논문
Pierre Cox plenary: ALMA Update
2014
[9]
웹사이트
ALMA - Atacama Large Millimeter/submillimeter Array
https://www.eso.org/[...]
[10]
웹사이트
Ground breaking ceremony for the Atacama Large Millimeter Array (ALMA)
http://www.almaobser[...]
2014-11-15
[11]
웹사이트
Route To Space Alliance
http://www.route-to-[...]
2017-02-15
[12]
웹사이트
National Radio Astronomy Observatory - Legacy Content - ALMA (CV)
http://www.alma.nrao[...]
[13]
뉴스
Chile's ALMA probes for origins of universe
https://web.archive.[...]
Associated Press
2014-03-10
[14]
웹사이트
General Dynamics Receives $169 Million to Build 12-Meter Antennae for Advanced Radio Telescope
http://www.gdsatcom.[...]
[15]
웹사이트
ESO - 2005
http://www.eso.org/o[...]
[16]
웹사이트
ALMA
https://www.nao.ac.j[...]
2021-03-08
[17]
웹사이트
Result of the initial testing of the Japanese ACA 12-m antenna to be delivered to ALMA
https://www.almaobse[...]
2008-03-18
[18]
간행물
ALMA observatory equipped with its first antenna
https://www.almaobse[...]
2008-12-19
[19]
웹사이트
Monster Moves, Season 5, Episode 6: Mountain Mission
http://www.windfallf[...]
2012-03-17
[20]
문서
Scheuerle Fahrzeugfabrik
http://www.scheuerle[...]
[21]
뉴스
Giant truck set for sky-high task
http://news.bbc.co.u[...]
2007-07-30
[22]
문서
July 2008 NRAO ALMA newsletter article by Dr. Al Wootten
[23]
웹사이트
Beauty and a Beast
https://www.eso.org/[...]
2017-01-23
[24]
뉴스
European ALMA antenna brings total on Chajnantor to 16
http://www.eso.org/p[...]
2011-07-28
[25]
웹사이트
Birth of Planets Revealed in Astonishing Detail in ALMA's 'Best Image Ever' - NRAO: Revealing the Hidden Universe
https://public.nrao.[...]
[26]
뉴스
ALMA Opens its Eyes
http://www.almaobser[...]
2011-10-03
[27]
웹사이트
RELEASE 14-038 - NASA's 3-D Study of Comets Reveals Chemical Factory at Work
http://www.nasa.gov/[...]
2014-08-12
[28]
논문
Mapping the Release of Volatiles in the Inner Comae of Comets C/2012 F6 (Lemmon) and C/2012 S1 (ISON) Using the Atacama Large Millimeter/submillimeter Array
2014-08-11
[29]
논문
In Search of HL Tauri
1995-10
[30]
논문
Spatially resolved magnetic field structure in the disc of a T Tauri star
2014-10
[31]
웹사이트
Event Horizon Telescope Captures First Image of Black Hole {{!}} Astronomy {{!}} Sci-News.com
http://www.sci-news.[...]
2019-04-10
[32]
논문
Phosphine gas in the cloud decks of Venus
https://www.nature.c[...]
2020-09-14
[33]
뉴스
Scientists find gas linked to life in atmosphere of Venus
https://www.theguard[...]
2020-09-14
[34]
논문
No phosphine in the atmosphere of Venus
[35]
논문
Venus, Phosphine and the Possibility of Life
2023-01-12
[36]
뉴스
The hellish chemistry of Venus' atmosphere
https://www.chemistr[...]
Chemistry World
[37]
간행물
Ammonia and Phosphine in the Clouds of Venus as Potentially Biological Anomalies
2022-11-26
[38]
웹사이트
First Light for Band 5 at ALMA - New receivers improve ALMA's ability to search for water in the Universe
https://www.eso.org/[...]
European Southern Observatory
2016-12-21
[39]
문서
ALMA Observatory: ALMA Selects New Director
https://www.almaobse[...]
[40]
웹사이트
ARC-nodes
http://www.eso.org/s[...]
2014-11-15
[41]
웹사이트
ALMA regional centre
http://www.eso.org/s[...]
2014-11-15
[42]
뉴스
ALMA Compact Array Completed and Named After Japanese Astronomer
http://www.eso.org/p[...]
ESO Announcement
2013-05-08
[43]
웹사이트
ALMA Observatory Statement
http://almaobservato[...]
2014-11-15
[44]
뉴스
Workers at Earth's largest radio telescope in Chile strike over pay, working conditions
https://www.washingt[...]
The Washington Post
2013-08-22
[45]
뉴스
Alma telescope crew go on strike
https://www.bbc.com/[...]
BBC News
2014-11-15
[46]
웹사이트
Workers strike at world's largest radio telescope
https://www.huffingt[...]
Huffington Post
2014-11-15
[47]
웹사이트
ALMA resumes operations after end of workers' strike
http://www.almaobser[...]
2015-05-11
[48]
뉴스
17-Day ALMA Strike Ends in Resolution
http://www.skyandtel[...]
2013-09-06
[49]
웹사이트
COVID-19 (coronavirus) Measures at ALMA
https://www.almaobse[...]
2020-03-19
[50]
웹사이트
ALMA Update on the Recovery from Cyberattack
https://almascience.[...]
2022-11-18
[51]
웹사이트
ALMA successfully restarts observations after cyberattack
https://phys.org/new[...]
2022-12-20
[52]
뉴스
Final Antenna Delivered to ALMA
http://www.eso.org/p[...]
ESO Press Release
2013-10-02
[53]
간행물
Pre-ALMA observations of GRBs in the mm/submm range
2012-02
[54]
간행물
Spatial variations in Titan's atmospheric temperature: ALMA and Cassini comparisons from 2012 to 2015
2018-06
[55]
서적
海のすべて
ニュートンプレス
2017
[56]
뉴스
遂に動き出した、世界最大の電波望遠鏡・アルマとは?
https://www.zaikei.c[...]
zaikei
2013-03-16
[57]
웹사이트
アルマ望遠鏡、ついに開眼! - 初めての科学観測を開始
https://alma-telesco[...]
国立天文台
2011-10-03
[58]
뉴스
2014年6月16日 アルマ望遠鏡最後のアンテナが山頂施設に到着
https://alma-telesco[...]
国立天文台
2014-06-16
[59]
웹사이트
アルマ望遠鏡日本製パラボラアンテナ16台の山頂施設設置が完了
https://alma-telesco[...]
国立天文台
2013-05-07
[60]
뉴스
최대 우주망원경 ALMA 가동 시작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1-10-04
[61]
웹인용
ALMA Opens Its Eyes
http://www.almaobser[...]
2012-04-07
[62]
문서
ALMA Science Portal
http://almascience.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