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폴리나리우스주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폴리나리우스주의는 4세기 기독교 신학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본성에 대한 논쟁에서 발생한 기독론으로, 예수가 인간의 정신을 가지지 않았다고 주장하는 단성론의 한 형태이다. 아폴리나리우스는 인간의 정신이 죄를 범하기 쉽다고 보아, 예수의 무죄성을 위해 인간의 정신 대신 신성한 로고스가 자리했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견해는 362년 알렉산드리아 시노드에서 정죄되었고, 381년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서 이단으로 선언되었다. 현대에는 윌리엄 레인 크레이그가 신 아폴리나리우스주의 기독론을 제안하여 로고스가 인간의 본성을 완성한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4세기 기독교 - 라바룸
    라바룸은 그리스도의 처음 두 글자를 본뜬 키 로 문양을 새긴 기독교 깃발의 일종으로, 콘스탄티누스 1세가 사용하기 시작하여 기독교 로마 황제와 비잔티움 제국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그리스도를 상징하는 기호로 사용된다.
  • 4세기 기독교 - 밀비우스 다리 전투
    312년 10월 28일에 콘스탄티누스 1세가 막센티우스를 상대로 밀비우스 다리 인근에서 승리한 전투는 로마 제국 내전의 전환점이 되어 콘스탄티누스가 서로마 제국의 지배권을 확보하고 기독교 공인의 길을 열었다.
  • 고대 기독교 이단 - 마니교
    마니교는 3세기경 마니가 창시한 종교로, 빛과 어둠의 이원론적 우주관, 금욕주의, 종말론적 세계관을 특징으로 하며 여러 종교 세력의 탄압으로 쇠퇴했으나 그 영향이 중세 유럽과 동아시아까지 미쳤고, 현재는 대부분 소실된 경전의 파편과 번역본만 남아 있다.
  • 고대 기독교 이단 - 에비온파
    에비온파는 1세기에서 4세기경에 존재했던 유대계 기독교 종파로, 모세 율법을 철저히 준수하고 예수를 메시아로 인정했지만 그의 신성, 선재, 동정녀 탄생을 부정하는 독특한 신학적 견해를 가졌다.
  • 기독교 용어 - 선교사
    선교사는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교리 전파나 지역 주민 지원을 위해 파견하는 사람으로, 기독교 선교사는 타문화권에 복음을 전파하고 토착 교회 설립을 추구하며, 역사적으로 서구에서 비서구 지역으로 확장되었으나 식민주의 연관, 문화적 존중 부족 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기독교 용어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아폴리나리우스주의
기본 정보
유형기독교 이단
기원4세기
창시자아폴리나리오스
주요 인물아폴리나리오스
지역시리아, 소아시아
영향 받은 것플라톤주의
소멸5세기 초
신학적 특징
주요 주장예수의 인성은 완전하지 않고, 신성인 로고스가 인간의 정신을 대체했다.
반대 입장니케아 신조
정죄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381년)
역사적 맥락
발생 배경아리우스주의에 대한 반발, 예수의 신성을 강조하려는 시도
전개 과정아폴리나리오스의 주장이 확산되었으나, 교회 지도자들에 의해 이단으로 정죄됨
쇠퇴 원인정통 교리의 확립, 교회의 강력한 반대
관련 용어
누스 (Nous)영혼, 이성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아폴리나리오스주의에서는 예수의 인간적인 정신(누스)이 로고스로 대체되었다고 주장함.
참고 자료
관련 문서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381년), 칼케돈 공의회

2. 역사

삼위일체는 325년 제1차 니케아 공의회에서 인정되었지만, 그것이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논쟁은 계속되었다. 예수 그리스도가 두 개의 본성을 가졌다는 일반적인 믿음에 대한 경쟁자로서는 단성론("하나의 본성")이 있었는데, 이는 그리스도가 단 하나의 본성만을 가졌다는 교리였다. 아폴리나리우스주의와 유티케스주의는 단성론의 두 가지 형태였다. 아폴리나리우스가 그리스도가 인간의 정신을 가졌다는 것을 거부한 것은 아리우스주의와 그리스도가 덜 중요한 신이라는 가르침에 대한 과도한 반발로 여겨졌다.[3]

테오도레토스는 아폴리나리우스가 신성의 위격을 혼동하고 사벨리우스주의의 이단적인 방식을 따랐다고 비난했다. 카이사레아의 바실은 그가 성경의 문자적인 의미를 포기하고 전적으로 비유적인 의미에 의존한다고 비난했다. 그의 견해는 362년 알렉산드리아에서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우스 주재 하에 열린 시노드에서 정죄되었으며, 이후 여러 이단으로 세분화되었는데, 그 주요한 것들로는 폴레미안과 반마리아주의가 있었다.

아폴리나리우스는 이성적인 영혼과 정신이 본질적으로 죄를 범하기 쉽고, 기껏해야 불안정한 노력만 할 수 있다고 여겼기에, 예수의 인간성에서 인간의 정신을 제거하고 그 자리에 신성한 로고스를 대치하는 것 외에는 그리스도의 무죄성과 구원의 무한한 가치를 보존할 방법이 없다고 보았다.[1] 아폴리나리우스주의는 381년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서 이단으로 선언되었다.[2]

3. 비판

381년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제2차 세계 공의회)에서 아폴리나리우스주의는 이단으로 배척되었고, 기독교 주류에서 이단으로 여겨진다.[6][7]

아폴리나리우스주의에 따르면 예수의 인간성은 완전한 이성적 인간이 아니라는 것이 된다.[8]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은 반론이 제기되었다. 예수는 인간성을 구원하기 위해 인간성을 짊어졌지만, 만약 그리스도가 인간의 정신(누스)을 짊어지지 않았다면 인간의 정신은 구원받지 못했을 것이다. 죄는 정신 속에서 가장 활동적이고 강력하며, 인간이 전체적으로 구원받기 위해서는 신의 말씀(로고스)이 완전한 인간 존재 안에서 성육신해야 한다.[8]

4. 현대적 재해석

기독교 철학자 윌리엄 레인 크레이그는 신성한 로고스가 그리스도의 인성을 완성한다는 신 아폴리나리우스주의 기독론을 제안했다. 크레이그는 자신의 제안이 잠정적이며 다른 학자들의 비판과 상호 작용을 환영한다고 말한다.[4]

크레이그는 또한 "내가 신 아폴리나리우스주의 기독론 모델이라고 부르는 것"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로고스'가 인간의 육신에 인간 본성을 완성하는 바로 그러한 속성들, 즉 합리성, 자기 의식, 자유 의지 등을 가져왔다는 것이다. 그리스도는 이미 자신의 신성에 그러한 것들을 가지고 있었고, 우리는 그것들 덕분에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되었다. 따라서 그가 그러한 속성들을 동물적인 육신, 즉 인간의 육신에 가져왔을 때, 그것은 그것을 완성하여 인간의 본성을 만든다. 아폴리나리우스에 반대하여, 나는 그리스도가 완전한 인간 본성을 가지고 있었다고 말하고 싶다. 그는 참으로 하나님이셨고, 참으로 인간이셨다. 그러므로 우리를 대신하여 하나님 앞에서 우리의 대표로서 그가 죽으신 것은 효력이 있었다."[5]

5. 같이 보기

참조

[1] 간행물 Apollinarianism
[2] 웹사이트 Apollinarianism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1907
[3] 서적 Historical Theology,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Christian Thought Blackwell Publishers 1998
[4] 서적 Philosophical Foundations for a Christian Worldview InterVarsity Press 2003
[5] 웹사이트 Does Dr. Craig Have an Orthodox Christology? https://www.reasonab[...]
[6] 웹사이트 Apollinarianism http://orthodoxwiki.[...]
[7] 웹사이트 Apollinarianism http://www.newadvent[...]
[8] 서적 キリスト教神学基本用語集 [[教文館]] 201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