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단일신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단일신론은 2세기부터 4세기까지 기독교 신학에서 나타난, 하나님의 단일성을 강조하는 사상이다. 이는 삼위일체 교리와 대립하며, 크게 양태론적 군주신론과 역동적 군주신론의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양태론적 군주신론은 신의 위격이 하나이며, 성부, 성자, 성령은 하나님의 다른 현현 양태라고 주장하며, 역동적 군주신론은 예수가 신성을 타고난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능력을 받아 신성을 얻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단일신론은 로고스 신학자들에 의해 비판받았으며, 4세기 이후 이단으로 간주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반삼위일체론 - 여호와의 증인
    여호와의 증인은 1870년 미국에서 시작된 성경 연구 모임에서 유래한 그리스도인 국제 종교 단체로, 여호와라는 하나님의 이름을 사용하며 중앙 장로회를 중심으로 전 세계에 걸쳐 성경 교육과 전도 활동을 하지만, 수혈 거부, 양심적 병역 거부 등 독특한 신앙과 사회적 논쟁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반삼위일체론 -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는 조셉 스미스가 1830년에 창립한 기독교 종교로, 성경과 몰몬경 등을 경전으로 사용하며 초대 기독교의 회복을 표방하고, 현재 전 세계적으로 1,600만 명 이상의 신도를 보유하며 선교, 교육, 복지 사업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다.
  • 하나님 - 독력주의
    독력주의는 기독교 신학에서 구원이 오직 하나님의 주권적인 은혜로만 이루어지며 인간의 의지나 협력이 필요 없다는 교리로서, 도르트 신조, 벨기에 신앙고백, 일치신조 등 다양한 신앙고백 표준에서 정의되고, 특히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의 사상과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을 통해 강조되며, 인간의 전적 타락과 하나님의 무조건적인 선택을 강조하며, 루터교와 칼뱅주의를 포함한 일부 교파에서 옹호된다.
  • 하나님 - 성령론
    성령론은 기독교 신학에서 성령의 인격과 역사에 관해 연구하며, 성경에서 창조, 지도자 선택, 인간의 거듭남 등에 관여하는 성령에 대한 다양한 신학적 논의를 포함한다.
  • 고대 기독교 이단 - 마니교
    마니교는 3세기경 마니가 창시한 종교로, 빛과 어둠의 이원론적 우주관, 금욕주의, 종말론적 세계관을 특징으로 하며 여러 종교 세력의 탄압으로 쇠퇴했으나 그 영향이 중세 유럽과 동아시아까지 미쳤고, 현재는 대부분 소실된 경전의 파편과 번역본만 남아 있다.
  • 고대 기독교 이단 - 에비온파
    에비온파는 1세기에서 4세기경에 존재했던 유대계 기독교 종파로, 모세 율법을 철저히 준수하고 예수를 메시아로 인정했지만 그의 신성, 선재, 동정녀 탄생을 부정하는 독특한 신학적 견해를 가졌다.
단일신론
개요
유형기독교 이단
특징삼위일체 부정,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 부정
관련 인물노에티우스
프락세아스
사벨리우스
바울로스 사모사타
포티누스
역사적 배경
발생 시기2세기 후반 ~ 3세기
발생 장소로마, 소아시아, 안티오키아
주요 주장
동적 군주신론 (양자론)예수는 단순한 인간이며, 신의 힘을 받아 신으로 격상되었다고 주장
양태론적 군주신론 (사벨리우스주의)성부, 성자, 성령은 하느님의 다른 '양태' 또는 '현현'이라고 주장
반박
삼위일체 옹호교부들을 중심으로 삼위일체 교리를 옹호하며 군주신론을 이단으로 규정
영향
기독론 발전삼위일체 교리 확립에 기여, 예수 그리스도의 본성에 대한 논의 심화
이단이후 유사한 주장을 하는 이단 사상의 등장에 영향

2. 역사

군주신론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주요 흐름이 있었다.[12]


  • '''양태론적 군주신론(모달리즘)''': 성부, 성자, 성령은 하나의 신이 드러내는 세 가지 다른 양태라고 주장한다. 사벨리우스가 대표적인 주창자였기 때문에 '''사벨리우스주의'''라고도 한다. 테르툴리아누스로마의 히폴리투스는 이 견해가 성부가 직접 수난을 겪는다는 의미로 이어진다고 비판하며 아버지 수난설이라고 불렀다.[15]
  • '''역동적 군주신론''': 예수는 원래 평범한 인간이었으나 세례자 요한에게 세례를 받을 때 하느님의 능력을 받아 하느님의 양자가 되었다고 주장한다. 양자론이라고도 불린다. 피혁업자 테오도투스, 은행가 테오도투스, 아르테몬, 사모사타의 바울 등이 이 견해를 주장했다.[13][15]


이 두 가지 군주신론은 모두 테르툴리아누스, 로마의 히폴리투스,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 오리게네스로고스 기독론자들에게 강하게 비판받았다.[16]

2. 1. 초기 기독교와 군주신론의 등장

교부 시대 동안, 기독교 신학자들은 성부, 성자, 성령 간의 관계를 명확히 하려고 노력했다. 기독교는 본래 엄격한 일신교인 유대교에서 시작된 종교 운동이었으나, 예수와 성령의 신성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하는 문제에 직면했다. 이러한 배경에서 신의 유일성을 강조하는 군주신론이 등장했다. 군주신론은 2세기에 발전하여 3세기까지 지속되었다.[1]

군주신론(그리스어 ''monarkhia''에서 유래, "하나의 통치"를 의미)은 삼위일체 교리와 대조적으로 하나님의 절대적이고 타협 없는 단일성을 강조한다.[1]

2. 2. 군주신론 논쟁과 삼위일체 교리의 확립

군주신론은 2세기에 발전하여 3세기까지 지속되었으며, 삼위일체 교리와 대조적으로 하나님의 절대적이고 타협 없는 단일성을 강조한다.[1] 군주신론은 종종 비삼위일체 기독교인 및 다른 일신론자들에 의해 숨겨진 삼신론으로 비난받는다.[7]

군주신론자들은 테르툴리아누스, 로마의 히폴리투스,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 오리게네스와 같은 로고스 신학자들에게 반대받았다.[8] 삼위일체론은 두각을 나타내어 381년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서 채택되었다.[8] 군주신론은 4세기 이후 이단으로 간주되었다.[2]

3. 유형

단일신론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2]


  • '''양자론(역동적 단일신론)'''은 하느님이 본질적으로 하나이며 불가분한 존재라고 주장한다. 이들은 예수 그리스도가 하느님의 계획, 완벽한 삶과 행적을 통해 신성을 부여받았다고 본다.
  • '''양태론적 단일신론'''은 하느님이 아버지, 아들, 성령의 다른 "양태"를 통해 나타나고 작용한다고 본다.


"단일신론자"라는 이름은 엄밀하게는 양자론자에게는 적용되지 않는데, 이들은 "하느님의 단일성에서 시작하지 않았으며, 그들의 교리는 엄격하게 기독론적"이기 때문이다.[11]

군주신론은 기독교가 유대교에서 시작되어, 아버지 하느님, 아들 하느님 예수, 성령이라는 세 존재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하는 문제에 직면하면서, 신의 유일성을 강조하여 이 문제를 해결하려 한 시도였다.

두 유형의 군주신론 모두 로고스 기독론자(카르타고테르툴리아누스, 로마의 히폴리투스,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 오리게네스)로부터 강한 비판을 받았다.[16]

3. 1. 양태론적 군주신론 (Modalistic Monarchianism)

양태론적 군주신론은 성부, 성자, 성령을 한 분 하나님의 서로 다른 "양태"로 나타나고 작용한다고 본다. 이 견해에 따르면, 신성의 모든 것이 성육신 때부터 예수의 인격 안에 거하는 것으로 이해된다.[9] "아버지"와 "아들"이라는 용어는 하나님의 ''초월성''과 성육신 사이의 구분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성령은 별도의 실체가 아니라 하나님의 행위에 대한 단순한 설명어로 이해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10]

사벨리우스가 대표적인 옹호자였기 때문에 사벨리우스주의라고도 불린다. 하지만 사벨리우스의 저작은 남아 있지 않아 그의 신념에 대해 알려진 것은 부차적인 출처에서 비롯된 것이다.

비판자들(테르툴리아누스, 히폴리투스)은 이 견해에 따르면, 하늘의 아버지(patri-|la)가 십자가에 매달리는 수난(passio|la)을 겪게 된다고 하여, 성부수난설(Patripassianism)이라고 불렀다.[15]

3. 2. 역동적 군주신론 (Dynamic Monarchianism) / 양자론 (Adoptionism)

역동적 군주신론(Dynamic Monarchianism)은 양자론(Adoptionism)이라고도 불리며, 예수가 신성을 타고난 것이 아니라, 세례를 통해 하나님의 능력(뒤나미스)을 받아 신성을 얻게 되었다고 주장한다.[13] 예수는 본래 신이 아니었지만, 하느님의 능력을 받아 양자가 되었다는 것이다.[13] 이러한 주장은 예수 그리스도가 하나님의 계획과 그의 완벽한 삶과 행적을 위해 본질적으로 신성을 부여받았다고 설명한다.[2]

대표적인 옹호자로는 비잔티움의 테오도투스, 사모사타의 바울 등이 있다.[3] 이들은 로고스 기독론자(카르타고테르툴리아누스, 로마의 히폴리투스,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 오리게네스)로부터 강한 비판을 받았다.[16]

참조

[1] 간행물 Monarchianism Brill Publishers
[2] 웹사이트 Monarchianism http://www.britannic[...]
[3] 웹사이트 Monarchians http://www.newadvent[...]
[4] 서적 Monarchianism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5] 웹사이트 Monarchianism http://www.britannic[...]
[6] 웹사이트 Trinity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0
[7] 서적 Encyclopedia of ancient Christianity InterVarsity Press 2014
[8] 서적 The SCM Press A-Z of Patristic Theology https://books.google[...]
[9] 서적 The encyclopedia of Christian civilization Blackwell Pub. Ltd 2011
[10] 웹사이트 Bible Gateway passage: John 4:24 - King James Version https://www.biblegat[...]
[11]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 Monarchians http://www.newadvent[...] 2013-01-29
[12] 웹사이트 Monarchianism http://www.britannic[...]
[13] 웹사이트 Monarchians http://www.newadvent[...]
[14] 서적 Monarchianism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15] 문서 初代教会史論考
[16] 서적 The SCM Press A-Z of Patristic Theology https://books.google[...]
[17] 웹사이트 Monarchianism http://www.britannic[...]
[18] 웹사이트 Monarchians http://www.newadvent[...]
[19] 서적 Monarchianism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20] 뉴스 조덕영 칼럼 ‘양태론’이 이단인 이유는 무엇인가 http://www.christian[...] 크리스찬투데이 2012-09-13
[21] 뉴스 삼위일체론과 관련된 신학논쟁들 ‘단일신론과 양태론’ http://www.christian[...] 크리스천투데이 2006-07-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