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안산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산군은 현재의 안산시, 시흥시, 군포시, 의왕시, 수원시 권선구 일부 지역에 해당했던 옛 행정 구역이다. 처음에는 장항구로 불리다가 고려 시대 이후 안산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백제, 고구려, 신라를 거쳐 고려 시대에 안산군으로 개칭되었으며, 조선 시대에는 지군사로 승격되었다. 1895년 인천부에, 1896년 경기도에 편입되었다가 1914년 시흥군과 수원군으로 분할 편입되었다. 이후 1986년 안산시가 승격되면서 옛 안산군 지역 일부가 포함되어 사실상 부활했다.

2. 유래

처음 이름은 장항구(獐項口) 또는 고사야홀차(古斯也忽次)이다. 장항구를 한자의 뜻으로 풀면 노루의 입(또는 목)이 된다. 신라시대에 장단군 대강면에 있던 임강현(臨江縣)의 초기 이름도 '장항'으로 가차 표기가 같은데, 고대 고구려어인지는 확실치 않다. 장항구라는 이름이 당항성과 비슷하다는 점이 주목되기도 한다. '안산(安山)'이라는 이름은 고려시대 이후부터 쓰였다.

3. 역사

백제의 영토였으나, 백제가 고구려에 패하여 웅진으로 천도한 후 고구려는 이 지역을 장항구현(獐項口縣)이라 하였다. 757년(신라 경덕왕 16년) 행정제도 개편으로 장구군(獐口郡)으로 개칭하였다. 영현(領縣)은 설치되지 않았다. 940년 안산군(安山郡)으로 개칭하였다. 1018년 안산현(安山縣)이 되었다. 1308년 지군사(知郡事)로 승격되었다.

1895년 음력 윤 5월 1일 인천부 안산군으로 개편되었다.[1] 1896년 8월 4일 경기도 안산군으로 개편되었다.[2] 1906년 9월 24일에는 1577년부터 존속해 온 광주군의 견아상입지(또는 월경지)인 북방면(北方面)[3]·성곶면(聲串面)[4]·월곡면(月谷面)[5]이 편입되었다.[6] 1912년 2월 5일 안산군의 동리 명칭이 개정되었다.[7]

1914년 4월 1일 군이 폐지되고 시흥군수원군에 분할 편입되었다. 8년 전에 광주군에서 편입되었던 북방면·성곶면·월곡면은 수원군 반월면(半月面)이 되었다.[8] 1986년 1월 1일 경기도 반월지구출장소(시흥군 군자면, 수암면의 각 일부와 화성군 반월면 일부)가 안산시로 승격되면서 옛 안산군이 사실상 부활되었다. 오리지널 안산군 지역은 3분의 1만 얻었다 나머지는 다 오리지널 아님[9]

3. 1. 고대

백제의 영토였으나, 백제가 고구려에 패하여 웅진으로 천도한 후 고구려는 이 지역을 장항구현(獐項口縣)이라 하였다. 757년 (신라 경덕왕 16년) 행정제도 개편으로 장구군(獐口郡)으로 개칭하였다. 영현(領縣)은 설치되지 않았다. 940년 안산군(安山郡)으로 개칭하였다. 1018년 안산현(安山縣)이 되었다.

3. 2. 고려 시대

안산군은 백제의 영토였으나, 백제가 고구려에 패하여 웅진으로 천도한 후 고구려는 이 지역을 장항구현(獐項口縣)이라 하였다. 757년 (신라 경덕왕 16년) 행정제도 개편으로 장구군(獐口郡)으로 개칭하였다. 영현(領縣)은 설치되지 않았다. 940년 안산군(安山郡)으로 개칭하였고, 1018년 안산현(安山縣)이 되었다. 1308년 지군사(知郡事)로 승격되었다.

3. 3. 조선 시대

백제 영토였으나, 백제가 고구려에 패하여 웅진으로 천도한 후 고구려는 이 지역을 장항구현(獐項口縣)이라 하였다. 757년(신라 경덕왕 16년) 행정제도 개편으로 장구군(獐口郡)으로 개칭하였다. 영현(領縣)은 설치되지 않았다. 940년 안산군(安山郡)으로 개칭하였다. 1018년 안산현(安山縣)이 되었다. 1308년 지군사(知郡事)로 승격되었다.

3. 4. 현대

1895년 음력 윤 5월 1일 인천부 안산군으로 개편되었다.[1] 1896년 8월 4일 경기도 안산군으로 개편되었다.[2] 1906년 9월 24일에는 1577년부터 존속해 온 광주군의 견아상입지(또는 월경지)인 북방면(北方面)[3]·성곶면(聲串面)[4]·월곡면(月谷面)[5]이 편입되었다.[6] 1912년 2월 5일 안산군의 동리 명칭이 개정되었다.[7]

1914년 4월 1일 군이 폐지되고 시흥군수원군에 분할 편입되었다. 8년 전에 광주군에서 편입되었던 북방면·성곶면·월곡면은 수원군 반월면(半月面)이 되었다.[8] 1986년 1월 1일 경기도 반월지구출장소(시흥군 군자면, 수암면의 각 일부와 화성군 반월면 일부)가 안산시로 승격되면서 옛 안산군이 사실상 부활되었다. 오리지널 안산군 지역은 3분의 1만 얻었다 나머지는 다 오리지널 아님[9]

4. 행정구역

wikitext

1912년 이전1914년 이후현재
대월면(大月面) 거모포동(去毛浦洞)·석곡동(石谷洞)시흥군 군자면(君子面) 거모리(去毛里)시흥시 군자동 거모동
대월면 선부동(仙府洞)·달산리(達山里)시흥군 군자면 선부리안산시 단원구 선부동
마유면(馬遊面) 조현리(鳥峴里)·장상리(長上里)시흥군 군자면 장현리(長峴里)시흥시 장현동 장현동
마유면 장하리(長下里)·조촌리(鳥村里)·응곡리(鷹谷里)시흥군 군자면 장곡리(長谷里)시흥시 장곡동 장곡동
마유면 월동리(月東里)·월서리(月西里)시흥군 군자면 월곶리(月串里)시흥시 월곶동 월곶동
마유면 정왕리(正往里)·오이리(烏耳里)시흥군 군자면 정왕리시흥시 정왕동, 배곧동
마유면 죽율리(竹栗里)시흥군 군자면 죽율리시흥시 정왕본동 죽율동
마유면 구정리(九井里)·산북리(山北里)시흥군 군자면 군자리(君子里)시흥시 군자동 군자동
와리면(瓦里面) 원당포동(元堂浦洞)·초지동(草芝洞)시흥군 군자면 초지리안산시 단원구 초지동 초지동
와리면 성두리(城頭里)·무곡동(茂谷洞)시흥군 군자면 성곡리(城谷里)안산시 단원구 초지동 성곡동
와리면 이목동(梨木洞)·능산리(陵山里)시흥군 군자면 목내리(木內里)안산시 단원구 초지동 목내동
와리면 원하리(元下里)·시우동(時雨洞)시흥군 군자면 원시리(元時里)안산시 단원구 초지동 원시동
와리면 원상리(元上里)·모곡리(茅谷里)시흥군 군자면 원곡리(元谷里)안산시 단원구 원곡동
와리면 선곡리(船谷里)·신각동(新角洞)·성내리(城內里)·적길리(赤吉里)시흥군 군자면 신길리(新吉里)안산시 단원구 신길동 신길동
군내면(郡內面) 수암리(秀岩里)·서정리(西亭里)시흥군 수암면(秀巖面) 수암리안산시 상록구 안산동 수암동
군내면 장상리(章上里)·동곡리(東谷里)시흥군 수암면 장상리안산시 상록구 안산동 장상동
군내면 장하리(章下里)시흥군 수암면 장하리안산시 상록구 안산동 장하동
군내면 부곡리(釜谷里)·신리(新里)시흥군 수암면 부곡리안산시 상록구 부곡동, 월피동
군내면 양상리(楊上里)·양하리(楊下里)시흥군 수암면 양상리안산시 상록구 월피동 양상동
군내면 성포리(聲浦里)·점성리(占星里)시흥군 수암면 성포리안산시 상록구 성포동 성포동
인화면(仁化面) 능곡리(陵谷里)·북곡리(北谷里)시흥군 수암면 능곡리시흥시 능곡동 능곡동
인화면 화정리(花井里)·광곡리(廣谷里)시흥군 수암면 화정리안산시 단원구 선부동, 시흥시 능곡동 화정동
인화면 와상리(瓦上里)·와하리(瓦下里)시흥군 수암면 와리(瓦里)안산시 단원구 와동 와동
인화면 고잔리(古棧里)시흥군 수암면 고잔리안산시 단원구 고잔동
인화면 월입피리(月入陂里)시흥군 수암면 월피리(月陂里)안산시 상록구 월피동 월피동
초산면(草山面) 조남리(鳥南里)·제청리(祭廳里)시흥군 수암면 조남리시흥시 목감동 조남동
초산면 목감리(木甘里)·율포리(栗浦里)시흥군 수암면 목감리시흥시 목감동 목감동
초산면 물왕리(物旺里)·상직리(上職里)시흥군 수암면 물왕리시흥시 목감동 물왕동
초산면 산현리(山峴里)·궤곡리(潰谷里)시흥군 수암면 산현리시흥시 목감동 산현동
초산면 하상리(下上里)·중직리(中職里)시흥군 수암면 하상리시흥시 연성동 하상동
초산면 광석리(廣石里)·하하리(下下里)시흥군 수암면 광석리시흥시 연성동 광석동
초산면 하중리(下中里)시흥군 수암면 하중리시흥시 연성동 하중동
초산면 논곡리(論谷里)시흥군 수암면 논곡리시흥시 목감동 논곡동
북방면 속달이리(速達二里)·속달삼리(速達三里)수원군 반월면 속달리군포시 대야동 속달동
북방면 둔대동(屯垈洞)수원군 반월면 둔대리군포시 대야동 둔대동
북방면 대야미(大夜味)·속달일리(速達一里)수원군 반월면 대야미리군포시 대야동, 송부동 대야미동
북방면 도마교(渡馬橋)수원군 반월면 도마교리군포시 송부동 도마교동
북방면 건건리(乾乾里)수원군 반월면 건건리안산시 상록구 반월동 건건동
북방면 팔곡일리(八谷一里)수원군 반월면 팔곡일리안산시 상록구 반월동 팔곡일동
북방면 팔곡이리(八谷二里)수원군 반월면 팔곡이리안산시 상록구 본오동 팔곡이동
성곶면 일리(一里)수원군 반월면 일리안산시 상록구 일동 일동
성곶면 이리(二里)수원군 반월면 이리안산시 상록구 일동, 이동 이동
성곶면 삼리(三里)·사리(四里)수원군 반월면 사리안산시 상록구 사동
성곶면 본오리(本五里)·분오리(分五里)수원군 반월면 본오리안산시 상록구 본오동 본오동
월곡면 사사리(沙士里)수원군 반월면 사사리안산시 상록구 반월동 사사동
월곡면 당수리(棠樹里)·오룡동(五龍洞)수원군 반월면 당수리수원시 권선구 입북동 당수동
월곡면 입북리(笠北里)수원군 반월면 입북리수원시 권선구 입북동 입북동
월곡면 상초평리(上草坪里)·하초평리(下草坪里)수원군 반월면 초평리(草坪里)의왕시 부곡동 초평동
월곡면 월암동(月岩洞)·일리동(一里洞)·대대동(大垈洞)수원군 반월면 월암리의왕시 부곡동 월암동


4. 1. 1914년 이전 행정구역

1912년 일제강점기 초기, 안산군은 현재의 안산시, 시흥시, 군포시, 의왕시, 수원시 권선구 일부 지역을 관할했다.

당시 안산군은 대월면(大月面), 마유면(馬遊面), 와리면(瓦里面), 군내면(郡內面), 인화면(仁化面), 초산면(草山面), 북방면(北方面), 성곶면(聖串面), 월곡면(月谷面)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 대월면은 현재의 시흥시 군자동, 거모동, 안산시 선부동 일대이다.
  • 마유면은 현재의 시흥시 장현동, 장곡동, 월곶동, 정왕동, 배곧동, 죽율동, 군자동 일대이다.
  • 와리면은 현재의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 성곡동, 목내동, 원시동, 원곡동, 백운동, 신길동 일대이다.
  • 군내면은 현재의 안산시 상록구 안산동, 수암동, 장상동, 장하동, 부곡동, 월피동, 양상동, 성포동 일대이다.
  • 인화면은 현재의 시흥시 능곡동, 안산시 단원구 선부3동, 화정동, 와동, 고잔동, 중앙동, 호수동, 안산시 상록구 월피동 일대이다.
  • 초산면은 현재의 시흥시 목감동, 조남동, 물왕동, 산현동, 하상동, 광석동, 하중동, 논곡동, 연성동 일대이다.
  • 북방면은 현재의 군포시 대야동, 속달동, 둔대동, 도마교동, 안산시 상록구 반월동, 건건동, 팔곡일동, 팔곡이동, 본오1동 일대이다.
  • 성곶면은 현재의 안산시 상록구 일동, 이동, 사동, 사이동, 해양동, 본오동 일대이다.
  • 월곡면은 현재의 안산시 상록구 반월동, 사사동, 수원시 권선구 입북동, 당수동, 의왕시 부곡동, 초평동, 월암동 일대이다.


이후 1914년 조선총독부의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안산군은 시흥군, 수원군, 과천군과 통합되어 시흥군으로 편입되었다.

4. 2. 1914년 이후 행정구역 변화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안산군은 폐지되고, 대부분 지역은 시흥군에 편입되었으며, 일부 지역은 수원군과 부천군으로 분할 편입되었다.

시흥군으로 편입된 지역은 군자면, 수암면, 반월면으로 재편되었다. 군자면은 대월면과 마유면을 통합하여 설치되었으며, 거모리, 선부리, 장현리, 장곡리, 월곶리, 정왕리, 죽율리, 군자리를 관할하였다. 이 중 선부리는 현재 안산시 단원구 선부1동, 선부2동, 선부3동으로, 정왕리는 시흥시 정왕본동, 정왕1동, 정왕2동, 정왕3동, 정왕4동, 배곧1동, 배곧2동으로, 나머지는 시흥시 관할이다.

수암면은 군내면과 인화면, 초산면 일부를 통합하여 설치되었으며, 수암리, 장상리, 장하리, 부곡리, 양상리, 성포리, 능곡리, 화정리, 와리, 고잔리, 월피리, 조남리, 목감리, 물왕리, 산현리, 논곡리, 하상리, 광석리, 하중리를 관할하였다. 이 중 수암리, 장상리, 장하리는 안산시 상록구 안산동, 부곡리는 안산시 상록구 부곡동과 월피동, 양상리는 안산시 상록구 월피동, 성포리는 안산시 상록구 성포동, 화정리는 안산시 단원구 선부3동과 시흥시 능곡동, 와리는 안산시 단원구 와동, 고잔리는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 중앙동, 호수동, 월피리는 안산시 상록구 월피동으로, 나머지는 시흥시 관할이다.

반월면은 북방면, 성곶면, 월곶면을 통합하여 설치되었으며, 속달리, 둔대리, 대야미리, 도마교리, 건건리, 팔곡일리, 팔곡이리, 일이, 이리, 삼리, 사리, 본오리, 사사리, 당수리, 입북리, 초평리, 월암리를 관할하였다. 이 중 속달리, 둔대리, 대야미리는 군포시 대야동과 송부동, 도마교리는 군포시 도마교동, 건건리와 팔곡일리는 안산시 상록구 반월동, 팔곡이리는 안산시 상록구 본오1동, 일리는 안산시 상록구 일동, 이리는 안산시 상록구 일동과 이동, 삼리와 사리는 안산시 상록구 사동, 사이동, 해양동, 본오리는 안산시 상록구 본오1동, 본오2동, 본오3동, 사사리는 안산시 상록구 반월동으로, 나머지는 수원시와 의왕시 관할이다.

4. 3. 현재 행정구역

안산군은 1914년 일제에 의한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안산군, 과천군, 시흥군이 시흥군으로 통합되었다. 이후 옛 안산군 지역은 여러 차례 행정구역 변화를 거쳤다.

1912년 이전 대월면(大月面) 거모포동(去毛浦洞)·석곡동(石谷洞)은 1914년 시흥군 군자면(君子面) 거모리(去毛里)가 되었다가 현재 시흥시 군자동 거모동이다. 대월면 선부동(仙府洞)·달산리(達山里)는 시흥군 군자면 선부리가 된 후 현재 안산시 단원구 선부1동, 선부2동, 선부3동 선부동이다. 마유면(馬遊面) 조현리(鳥峴里)·장상리(長上里)는 시흥군 군자면 장현리(長峴里)를 거쳐 현재 시흥시 장현동 장현동이다. 마유면 장하리(長下里)·조촌리(鳥村里)·응곡리(鷹谷里)는 시흥군 군자면 장곡리(長谷里)를 거쳐 현재 시흥시 장곡동 장곡동이다. 마유면 월동리(月東里)·월서리(月西里)는 시흥군 군자면 월곶리(月串里)가 된 후 현재 시흥시 월곶동 월곶동이다.

마유면 정왕리(正往里)·오이리(烏耳里)는 시흥군 군자면 정왕리가 된 후 현재 시흥시 정왕본동, 정왕1동, 정왕2동, 정왕3동, 정왕4동, 배곧1동, 배곧2동의 정왕동, 배곧동이다. 마유면 죽율리(竹栗里)는 시흥군 군자면 죽율리를 거쳐 현재 시흥시 정왕본동 죽율동이다. 마유면 구정리(九井里)·산북리(山北里)는 시흥군 군자면 군자리(君子里)가 된 후 현재 시흥시 군자동 군자동이다.

와리면(瓦里面) 원당포동(元堂浦洞)·초지동(草芝洞)은 시흥군 군자면 초지리를 거쳐 현재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 초지동이다. 와리면 성두리(城頭里)·무곡동(茂谷洞)은 시흥군 군자면 성곡리(城谷里)가 된 후 현재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 성곡동이다. 와리면 이목동(梨木洞)·능산리(陵山里)는 시흥군 군자면 목내리(木內里)를 거쳐 현재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 목내동이다. 와리면 원하리(元下里)·시우동(時雨洞)은 시흥군 군자면 원시리(元時里)가 된 후 현재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 원시동이다. 와리면 원상리(元上里)·모곡리(茅谷里)는 시흥군 군자면 원곡리(元谷里)를 거쳐 현재 안산시 단원구 백운동, 원곡동의 원곡동이다. 와리면 선곡리(船谷里)·신각동(新角洞)·성내리(城內里)·적길리(赤吉里)는 시흥군 군자면 신길리(新吉里)가 된 후 현재 안산시 단원구 신길동 신길동이다.

군내면(郡內面) 수암리(秀岩里)·서정리(西亭里)는 시흥군 수암면(秀巖面) 수암리가 된 후 현재 안산시 상록구 안산동 수암동이다. 군내면 장상리(章上里)·동곡리(東谷里)는 시흥군 수암면 장상리를 거쳐 현재 안산시 상록구 안산동 장상동이다. 군내면 장하리는 시흥군 수암면 장하리가 된 후 현재 안산시 상록구 안산동 장하동이다. 군내면 부곡리(釜谷里)·신리(新里)는 시흥군 수암면 부곡리를 거쳐 현재 안산시 상록구 부곡동, 월피동의 부곡동이다. 군내면 양상리(楊上里)·양하리(楊下里)는 시흥군 수암면 양상리가 된 후 현재 안산시 상록구 월피동 양상동이다. 군내면 성포리(聲浦里)·점성리(占星里)는 시흥군 수암면 성포리를 거쳐 현재 안산시 상록구 성포동 성포동이다.

인화면(仁化面) 능곡리(陵谷里)·북곡리(北谷里)는 시흥군 수암면 능곡리가 된 후 현재 시흥시 능곡동 능곡동이다. 인화면 화정리(花井里)·광곡리(廣谷里)는 시흥군 수암면 화정리를 거쳐 현재 안산시 단원구 선부3동, 시흥시 능곡동의 화정동이다. 인화면 와상리(瓦上里)·와하리(瓦下里)는 시흥군 수암면 와리(瓦里)가 된 후 현재 안산시 단원구 와동 와동이다. 인화면 고잔리(古棧里)는 시흥군 수암면 고잔리를 거쳐 현재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 중앙동, 호수동의 고잔동이다. 인화면 월입피리(月入陂里)는 시흥군 수암면 월피리(月陂里)가 된 후 현재 안산시 상록구 월피동 월피동이다.

초산면(草山面) 조남리(鳥南里)·제청리(祭廳里), 초산면 목감리(木甘里)·율포리(栗浦里), 초산면 물왕리(物旺里)·상직리(上職里), 초산면 산현리(山峴里)·궤곡리(潰谷里)는 각각 시흥군 수암면 조남리, 목감리, 물왕리, 산현리가 된후 현재는 시흥시 목감동 조남동, 목감동, 물왕동, 산현동이다. 초산면 하상리(下上里)·중직리(中職里), 초산면 광석리(廣石里)·하하리(下下里), 초산면 하중리(下中里)는 각각 시흥군 수암면 하상리, 광석리, 하중리가 된후 현재 시흥시 연성동 하상동, 광석동, 하중동이다. 초산면 논곡리(論谷里)는 시흥군 수암면 논곡리가 된후 현재 시흥시 목감동 논곡동이다.

북방면 속달이리(速達二里)·속달삼리(速達三里), 북방면 둔대동(屯垈洞)은 각각 수원군 반월면 속달리, 둔대리가 된후 현재 군포시 대야동 속달동, 둔대동이다. 북방면 대야미(大夜味)·속달일리(速達一里)는 수원군 반월면 대야미리가 된후 현재 군포시 대야동, 송부동의 대야미동이다. 북방면 도마교(渡馬橋)는 수원군 반월면 도마교리가 된후 현재 군포시 송부동 도마교동이다.

북방면 건건리(乾乾里), 북방면 팔곡일리(八谷一里)는 각각 수원군 반월면 건건리, 팔곡일리가 된후 현재 안산시 상록구 반월동 건건동, 팔곡일동이다. 북방면 팔곡이리(八谷二里)는 수원군 반월면 팔곡이리가 된후 현재 안산시 상록구 본오1동 팔곡이동이다. 성곶면 일리(一里)는 수원군 반월면 일리가 된후 현재 안산시 상록구 일동 일동이다. 성곶면 이리(二里)는 수원군 반월면 이리가 된후 현재 안산시 상록구 일동, 이동의 이동이다. 성곶면 삼리(三里)·사리(四里)는 수원군 반월면 사리가 된후 현재 안산시 상록구 사동, 사이동, 해양동의 사동이다. 성곶면 본오리(本五里)·분오리(分五里)는 수원군 반월면 본오리가 된후 현재 안산시 상록구 본오1동, 본오2동, 본오3동의 본오동이다.

월곡면 사사리(沙士里)는 수원군 반월면 사사리가 된후 현재 안산시 상록구 반월동 사사동이다. 월곡면 당수리(棠樹里)·오룡동(五龍洞), 월곡면 입북리(笠北里)는 각각 수원군 반월면 당수리, 입북리가 된후 현재 수원시 권선구 입북동 당수동, 입북동이다. 월곡면 상초평리(上草坪里)·하초평리(下草坪里), 월곡면 월암동(月岩洞)·일리동(一里洞)·대대동(大垈洞)은 각각 수원군 반월면 초평리(草坪里), 월암리가 된후 현재 의왕시 부곡동 초평동, 월암동이다.

참조

[1] 법령 칙령 제98호 지방제도의 개정에 관한 안건
[2] 법령 칙령 제36호 지방제도와 관제 개정에 관한 안건
[3] 기타
[4] 기타
[5] 기타
[6] 법령 칙령 제49호 지방구역 정리 건
[7] 고시 경기도 고시 제7호 http://viewer.nl.go.[...]
[8]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9] 법률 법률 제3798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