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단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단군은 삼한 시대 습천군으로 시작하여 고구려, 신라, 고려, 조선 시대를 거치며 여러 차례 명칭이 변경되었다. 1895년 개성부, 1896년 경기도에 속했다. 한국 전쟁 이후 대부분 지역이 민간인 출입 통제 구역으로 지정되었으며, 1972년 파주군에 편입되어 폐지되었다. 현재는 파주시 장단면과 연천군 장남면으로 나뉘어 있다. 한편, 38선 이북 지역은 황해도 장풍군으로, 이후 판문군을 거쳐 판문구역으로 개편되었다. 서울과 개성을 잇는 주요 교통로가 지나갔으며, 경의선 장단역은 비무장 지대에 위치해 복구되지 못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장단군 | |
---|---|
지도 | |
기본 정보 | |
명칭 | 장단군 (長湍郡) |
로마자 표기 | Jangdan-gun |
국가 | 조선 (분단 이전) |
역사 | |
형성 | 고려 시대 |
소속 | 경기도 (분단 이전) |
폐지 | 한국 전쟁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편입 및 폐지 |
현재 | 대한민국 행정구역상 경기도 파주시와 연천군 일부에 해당 |
지리 | |
위치 | 경기도 북서부 |
교통 | |
철도 | 경의선 |
기타 | |
관련 링크 | 이북5도위원회 장단군 정보 파주 민통선마을 관할 출장소명 '군내→장단' 변경 |
2. 역사
삼한시대에는 습천군(濕川郡)이었다. 삼국시대 고구려는 장천성현(長淺城縣)이라 칭하였다. 757년(신라 경덕왕 16년)에 장단현(長湍縣)으로 고쳤다. 1001년(고려 목종 4)에 단주(湍州)로 고쳤다가, 1018년(고려 현종 9)에 다시 장단현으로 고쳤다. 1414년(조선 태종 14년) 임단현(臨湍縣)으로 칭했다가, 1419년(조선 세종 1년)에 다시 장단현으로 고쳤다. 1456년(조선 세조 2년) 임진현(臨津縣)으로 칭했다가, 1459년(조선 세조 5년)에 장단군으로 승격되었고, 1469년(조선 예종 1년)에 장단도호부로 승격되었다.
1895년 23부제 시행으로 개성부 장단군이 되었다가, 1896년에 경기도 장단군이 되었다. 1906년 개성부 대남면, 소남면을 편입하고, 장동면, 강동면을 마전군으로 이관하였다. 1914년 군면 통폐합이 이루어졌다. 1934년 4월 1일 장단군청을 군내면에서 진남면(장단역전)으로 이전하였는데,[4] 이에 대해 군청이 장단군의 끝에 위치하게 되어 군민의 불편이 가중될 것이라는 비판이 있었다.[5] 1938년 1월 1일 진남면을 장단면으로 개칭하였다.[6]
1945년 9월 2일 38선을 경계로 한반도가 분할 점령되면서 장단면·군내면·장남면·진동면·진서면은 미군정 관할, 38선 이북인 강상면·대강면·대남면·소남면·장도면은 소련군정 관할이 되었다.
2. 1. 고대 ~ 조선 시대
삼한시대에는 습천군(濕川郡)이었다. 삼국시대 고구려는 장천성현(長淺城縣)이라 칭하였다. 757년(신라 경덕왕 16년)에 장단현(長湍縣)으로 고쳤다. 1001년(고려 목종 4)에 단주(湍州)로 고쳤다가, 1018년(고려 현종 9)에 다시 장단현으로 고쳤다. 1414년(조선 태종 14년) 임단현(臨湍縣)으로 칭했다가, 1419년(조선 세종 1년)에 다시 장단현으로 고쳤다. 1456년(조선 세조 2년) 임진현(臨津縣)으로 칭했다가, 1459년(조선 세조 5년)에 장단군으로 승격되었고, 1469년(조선 예종 1년)에 장단도호부로 승격되었다. 1895년 23부제 시행으로 개성부 장단군이 되었다가, 1896년에 경기도 장단군이 되었다.2. 2. 일제강점기
구역 | 통합된 면 |
---|---|
진현내면·진북면 | 군내면 |
하도면·상도면·중서면 | 진남면 |
송남면·송서면 | 진서면 |
강서면·강북면 | 강상면 |
강남면·대위면 | 대강면 |
서도면·동도면·장북면 | 장도면 |
장서면 일부·고남면·장현내면 | 장남면 |
진동면·장서면 일부 | 진동면 |
- 1934년 4월 1일: 장단군청을 군내면에서 진남면(장단역전)으로 이전하였다.[4] 이에 대해 군청이 이전하면 장단군의 최종단에 위치하게 되어 군민의 불편이 가중될 것이라는 비판이 있었다.[5]
- 1938년 1월 1일: 진남면을 장단면으로 개칭하였다.[6]
2. 3. 대한민국
- 1945년 11월 4일: 장도면과 개풍군 영남면의 38선 이남지역이 진서면에 편입되었다.[7]
- 1953년 7월 27일: 한국 전쟁의 결과, 군(郡)의 거의 전 지역이 민간인출입통제구역으로 설정되어 사실상 행정구역의 기능을 상실했다. 판문점이 위치하는 진서면 대부분이 군사분계선 이북 지역이 되고 대강면과 장도면은 극히 일부가 수복되었는데, 대강·장도면의 수복지구와 군사분계선 이남의 진서면은 모두 비무장지대 안에 위치하고 있다.[8]
- 1954년 11월 17일: 대강면, 장도면 등의 수복지구가 연천군에 편입되었다.[9]
- 1963년 1월 1일: 군내면이 파주군 임진면에, 장남면이 연천군 백학면에 각각 편입되었다.[10]
- 1965년 5월 1일: 연천군 백학면 원당리(장남면)에 원당출장소가 설치되었다.[11]
- 1972년 12월 28일: 진동면 및 장단면·진서면의 수복지구가 파주군에 편입되어 장단군이 '''폐지'''되고, 파주군 군내면이 면으로 복구되었다.[12]
- 1979년 5월 1일: 파주군 군내면에 군내출장소가 설치되었다.
- 1989년 4월 1일: 연천군 원당출장소가 장남면으로 승격하였다.[13]
- 2011년 5월 1일: 파주시 군내출장소가 장단출장소로 개칭되었다.[14]
- 2021년 7월 1일: 파주시 장단출장소가 폐지되고 장단면 행정복지센터가 대신 설치되었다.[15]
2. 4.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1945년 9월 38선 이북의 장단군(강상면·대강면·대남면·소남면·장도면)과 개풍군(영남면·영북면·북면)을 합쳐 황해도 장풍군이 설치되었다.
- 1952년 12월 장단군 진서면과 개풍군 봉동면·상도면·중면·흥교면·임한면에 판문군이 신설되었다.
- 2002년 11월 판문군이 폐지되었다.
- 2020년 판문구역으로 개편되었다.
3. 교통
서울과 개성, 평양, 신의주를 잇는 길목으로 주요 도로(국도 제1호선)와 철도(경의선)가 지나며, 경의선에는 장단역이 있었다. 남북 간에 다시 경의선이 연결되면서 현재 장단군 지역에는 남측에 도라산역이 설치되었으나, 장단역은 비무장지대(DMZ) 내에 위치하고 있어 복구되지 못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미수복경기
http://www.ibuk5do.g[...]
2014-11-29
[2]
웹사이트
장남면 홈페이지
http://www.yeoncheon[...]
[3]
뉴스
파주 민통선마을 관할 출장소명 '군내→장단' 변경
https://news.v.daum.[...]
연합뉴스
2011-05-16
[4]
간행물
쇼와 9년 조선총독부령 제14호
1934-02-17
[5]
뉴스
長湍郡廳移轉反對 陳情員總督府에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33-07-22
[6]
뉴스
군청소재 면명을 군명에 따라 개정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37-12-16
[7]
법률
군정법령 제22호 시도직제
1945-11-03
[8]
웹사이트
장단군 지도 (1945년 8월 15일)
http://encykorea.aks[...]
2017-07-03
[9]
법률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
1954-10-21
[10]
법률
수복지구와동인접지구의행정구역에관한임시조치법
1962-11-21
[11]
법률
연천군 군조례 제111호
1965-04-30
[12]
법률
수복지구와동인접지구의행정구역에관한임시조치법
1972-12-28
[13]
법률
연천군 군조례 제2026호
1989-03-30
[14]
법률
파주시 조례 제939호 행정기구 및 정원조례
2011-04-15
[15]
법률
파주시 조례 제1706호 파주시 행정운영면 설치에 관한 조례
2021-07-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