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안세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세고는 148년 중국 뤄양에 정착하여 인도 불교 경전을 번역한 인물이다. 파르티아 제국과 관련된 '안시' 출신으로 추정되며, '안'이라는 성씨를 사용했다. 그는 명상, 아비달마, 기본 불교 교리에 관한 십여 편 이상의 경전을 번역했으며, 설일체유부와 관련이 깊다고 알려져 있다. 에릭 쥐르처와 스테파노 자케티의 연구를 통해 안세고에게 귀속된 번역본의 진위 여부가 논의되었으며, 추가적인 텍스트가 그의 작품일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그의 제자 안현 또한 불교 경전을 번역했다.

2. 생애와 활동

안세고의 생애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출삼장기집》과 《고승전》에 실린 그의 남중국 방랑에 대한 이야기는 성인전의 영역으로 간주해야 한다.[3] 안세고는 서양 자료에 등장하는 어떤 파르티아 왕자와도 동일시되지 않았다.[3]

2. 1. 파르티아 왕자, 불교에 귀의하다

안(安)이라는 이름의 접두사 "안(安)"은 안세고의 출신과 이야기에 대한 많은 질문과 가설을 제기했다. 일부에서는 이를 파르티아 제국이 통치하던 지역에 붙여진 중국 이름인 ''안시(安息)''의 약자라고 믿는다. 중국식 이름을 가진 그 나라 출신의 방문객들은 대부분 ''안시(安息)'' 출신임을 나타내기 위해 "안(安)"이라는 접두사를 받았다.[3] 그는 승려였는지 재가자였는지, 아니면 설일체유부 또는 대승 불교의 추종자로 간주해야 하는지는 여전히 알려져 있지 않다.[4] 이 두 그룹과의 제휴는 상호 배타적인 것으로 간주될 필요는 없다. 안세고가 누구였는지에 대한 미해결의 수수께끼는 안토니노 포르테의 학문적 연구에서 연구되었다.[5]

2. 2. 중국으로의 이주와 번역 활동

안(安)이라는 이름의 접두사 "안(安)"은 안세고의 출신과 이야기에 대한 많은 질문과 가설을 제기했다. 일부에서는 이는 파르티아 제국이 통치하던 지역에 붙여진 중국 이름인 ''안시(安息)''의 약자라고 믿는다. 중국식 이름을 가진 그 나라 출신의 방문객들은 대부분 ''안시(安息)'' 출신임을 나타내기 위해 "안(安)"이라는 접두사를 받았다.[3] 그는 승려였는지 재가자였는지, 아니면 설일체유부 또는 대승 불교의 추종자로 간주해야 하는지는 여전히 알려져 있지 않다.[4]

안세고는 동쪽으로 중국으로 이주하여, 148년에 한나라의 수도인 뤄양에 정착하여 많은 수의 인도 불교 경전을 번역했고, 헌신적인 추종자 공동체를 끌어모았다. 안세고가 번역한 십여 편 이상의 작품이 현재 남아 있으며, 명상, 아비달마, 기본 불교 교리에 관한 텍스트를 포함한다. 안세고의 저작물에는 어떤 대승 경전도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그는 초기 중국 자료에서 정기적으로 "보살"로 언급된다. 그의 번역에 대한 학문적 연구에 따르면, 그의 번역은 설일체유부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다.

2. 3. 대승 불교와의 관계

"안(安)"이라는 이름은 안세고의 출신에 대한 여러 가설을 제시한다. 일부에서는 이 이름이 파르티아 제국이 통치하던 지역에 붙여진 중국 이름인 '안시(安息)'의 약자라고 믿는다. 중국식 이름을 가진 파르티아 출신 방문객들은 '안시(安息)' 출신임을 나타내기 위해 "안(安)"이라는 성씨를 받았다.[3]

안세고가 승려였는지 재가자였는지, 설일체유부 또는 대승 불교의 추종자였는지는 여전히 알려져 있지 않다.[4] 안세고가 누구였는지에 대한 연구는 안토니노 포르테의 학문적 연구에서 다루어졌다.[5]

안세고의 저작에는 대승 경전이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초기 중국 자료에서 그는 "보살"로 언급된다. 그의 번역에 대한 학문적 연구에 따르면, 그의 번역은 설일체유부와 가장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3. 주요 번역 경전

안세고는 초기 불교 경전 번역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로, 그의 번역으로 알려진 경전은 많지만, 실제로 그가 번역했는지 확실하지 않은 경우도 많다.

에릭 쥐르처(Erik Zürcher)와 스테파노 자케티(Stefano Zacchetti) 등의 연구에 따르면, 안세고의 번역으로 확실시되는 경전은 13개 정도이며, 추가로 몇몇 경전이 안세고의 번역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6][7][8]

하지만, '안세고 역'이라고 전해지는 경전 중에는 후대에 다른 사람이 안세고의 이름을 빌려 쓴 경우(가탁)도 많다. 예를 들어 팔대인각경은 출삼장기집에 기록되지 않았고, 내용상으로도 안세고의 번역 경전과는 차이가 있어, 안세고의 번역이 아닌 것으로 여겨진다.[14]

안세고의 제자였던 안현(An Xuan) 역시 번역가로 활동했으며, 중국인 협력자 염불조(Yan Fotiao)와 함께 우그라파리프르차 수트라(대정 322번)를 번역하기도 했다.[11][12]

3. 1. 확실시되는 경전

에릭 쥐르처(Erik Zürcher)는 안세고(An Shigao)에게 귀속된 저작물에 대한 연구에서, 후대 중국의 목록과 내부 문체 증거를 바탕으로 안세고의 번역본으로 확실시되는 것은 16개라고 결론 내렸다.[6][7] 스테파노 자케티(Stefano Zacchetti)는 최근 연구를 바탕으로 쥐르처가 나열한 16개의 텍스트 중 13개가 안세고의 작품으로 확실하게 귀속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8] 이 13개의 경전은 다음과 같다(대정장 번호 순):

대정장 번호경전 이름
T 13장아함십보법경 (長阿含十報法經)
T 14인본욕생경 (人本欲生經)
T 31일체류섭수인경 (一切流攝守因經)
T 32사제경 (四諦經)
T 36본상의치경 (本相猗致經)
T 48시법비법경 (是法非法經)
T 57누분포경 (漏分佈經)
T 98보법의경 (普法義經)
T 112팔정도경 (八正道經)
T 150a칠처삼관경 (七處三觀經)
T 603음지입경 (陰持入經)
T 607도지경 (道地經)
T 1508아함구해십이인연경 (阿含口解十二因緣經)



쥐르처가 언급한 나머지 3개의 번역본(T 602 대안반수의경(大安般守意經), T 605 선행법상경(禪行法想經), T 792 법수진경(法受塵經))은 재검토가 필요하다.

최근 학계에서는 안세고에게 귀속될 수 있는 추가 텍스트를 여러 개 제안했다. 폴 해리슨(Paul Harrison)은 안세고가 이전에 익명으로 수집된 수트라 모음인 잡아함경(雜阿含經중국어) (대정 101)을 번역했다는 증거를 제시했다.[9] 스테파노 자케티는 대정 1557번, 아비담오법행경(阿毘曇五法行經중국어)이 실제로 안세고의 작품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

1999년 일본 오사카부의 콩고지(Kongōji) 소장품에서 카지우라 스스무(Kajiura Susumu)가 발견한 두 개의 필사본은, 안세고에게 귀속될 수 있는 네 개의 이전에는 알려지지 않은 작품을 제시한다. 이 텍스트 중 처음 세 개는 '아나파나스므리티'(호흡에 대한 마음챙김) 및 "12문"과 같은 명상 수행과 관련이 있다. 네 번째는 앞선 텍스트에서 다룬 주제에 대한 구두 해설 기록인 것으로 보인다.[10]

3. 2. 재고가 필요한 경전

에릭 쥐르처(Erik Zürcher)는 안세고(An Shigao)의 저작물에 대한 연구에서, 후대 중국 목록의 정보와 내부 문체 증거를 바탕으로 안세고에게 귀속된 약 200개의 번역본 중 16개만이 진본으로 간주될 수 있다고 결론 내렸다.[6][7] 스테파노 자케티(Stefano Zacchetti)는 최근 연구를 통해 쥐르처가 제시한 16개의 텍스트 중 13개가 안세고의 작품으로 확실시된다고 제안했다.[8] 이 13개의 텍스트는 다음과 같다(대정장 번호 순):

대정장 번호텍스트 제목
T 13장아함십보법경 (長阿含十報法經)
T 14인본욕생경 (人本欲生經)
T 31일체류섭수인경 (一切流攝守因經)
T 32사제경 (四諦經)
T 36본상의치경 (本相猗致經)
T 48시법비법경 (是法非法經)
T 57누분포경 (漏分佈經)
T 98보법의경 (普法義經)
T 112팔정도경 (八正道經)
T 150a칠처삼관경 (七處三觀經)
T 603음지입경 (陰持入經)
T 607도지경 (道地經)
T 1508아함구해십이인연경 (阿含口解十二因緣經)



쥐르처가 언급한 나머지 3개의 번역본(T 602 대안반수의경, T 605 선행법상경, T 792 법수진경)은 자케티에 따르면 재고가 필요하다.

최근 학계에서는 안세고에게 귀속될 수 있는 텍스트를 추가로 제안했다. 폴 해리슨(Paul Harrison)은 안세고가 이전에 익명으로 수집된 수트라 모음인 ''잡아함경'' 雜阿含經중국어(대정 101)을 번역했다는 증거를 제시했다.[9] 스테파노 자케티는 쥐르처의 보수적인 기준에 따라 처음에는 진본이 아닌 것으로 간주되었지만, 대정 1557번, ''아비담오법행경'' 阿毘曇五法行經중국어이 실제로 안세고의 작품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

1999년 일본 오사카부의 콩고지(Kongōji) 소장품에서 카지우라 스스무(Kajiura Susumu)가 발견한 두 개의 필사본은, 그들의 명백한 고대성에 근거하여 안세고에게 귀속될 수 있는 네 개의 이전에는 알려지지 않은 작품을 제시한다. 이 텍스트 중 처음 세 개는 ''아나파나스므리티''(호흡에 대한 마음챙김) 및 "12문"과 같은 명상 수행과 관련이 있다. 네 번째는 앞선 텍스트에서 다룬 주제에 대한 구두 해설 기록인 것으로 보인다.[10]

"안세고 역"이라고 쓰여 있는 불전이 많지만, 가탁(假託)인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팔대인각경은 출삼장기집에 보이지 않고, "보살·대승"과 같은 말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대승 불전을 번역하지 않은 안세고와는 무관하다고 생각된다.[14]

3. 3. 기타 가능성이 있는 경전

에릭 쥐르처(Erik Zürcher)는 안세고(An Shigao)에 대한 연구에서, 후대 중국 목록의 정보와 내부 문체 증거를 바탕으로 안세고에게 귀속된 약 200개의 번역본 중 16개만이 진본일 가능성이 있다고 결론 내렸다.[6][7] 스테파노 자케티(Stefano Zacchetti)는 최근 연구를 통해 쥐르처가 제시한 16개의 텍스트 중 13개가 안세고의 작품으로 확실시된다고 제안했다.[8] 이 13개의 텍스트는 다음과 같다(대정장 번호 순):

대정장 번호경전 이름
T 13장아함십보법경 (長阿含十報法經)
T 14인본욕생경 (人本欲生經)
T 31일체류섭수인경 (一切流攝守因經)
T 32사제경 (四諦經)
T 36본상의치경 (本相猗致經)
T 48시법비법경 (是法非法經)
T 57누분포경 (漏分佈經)
T 98보법의경 (普法義經)
T 112팔정도경 (八正道經)
T 150a칠처삼관경 (七處三觀經)
T 603음지입경 (陰持入經)
T 607도지경 (道地經)
T 1508아함구해십이인연경 (阿含口解十二因緣經)



쥐르처가 언급한 나머지 3개의 번역본(T 602 대안반수의경, T 605 선행법상경, T 792 법수진경)은 재검토가 필요하다.

최근 학계에서는 안세고에게 귀속될 가능성이 있는 텍스트를 추가로 제안했다. 폴 해리슨(Paul Harrison)은 안세고가 이전에 익명으로 수집된 수트라 모음인 잡아함경 雜阿含經중국어(대정 101)을 번역했다는 증거를 제시했다.[9] 스테파노 자케티는 아비담오법행경 阿毘曇五法行經중국어(대정 1557)이 안세고의 작품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

1999년 일본 오사카부 콩고지(Kongōji) 소장품에서 카지우라 스스무(Kajiura Susumu)가 발견한 두 개의 필사본은 안세고에게 귀속될 수 있는, 이전에는 알려지지 않은 네 개의 작품을 제시한다. 이 텍스트 중 처음 세 개는 '아나파나스므리티'(호흡에 대한 마음챙김) 및 "12문"과 같은 명상 수행과 관련이 있다. 네 번째는 앞선 텍스트에서 다룬 주제에 대한 구두 해설 기록으로 보인다.[10]

안현(An Xuan)은 안세고의 제자였던 재가자였다.[11] 안현은 중국인 협력자 염불조(Yan Fotiao)와 함께 뤄양에서 활동하며 대승 경전인 우그라파리프르차 수트라(중국어로는 법경경, 대정 322번)를 기원후 181년경에 번역했다.[12]

3. 4. 진위 여부가 의심되는 경전

에릭 쥐르처(Erik Zürcher)는 안세고(An Shigao)에게 귀속된 저작물에 대한 연구에서, 후대 중국의 목록 정보와 문체적 증거를 활용하여, 그에게 귀속된 প্রায় 200개의 번역본 중 16개만이 진본으로 간주될 수 있다고 결론 내렸다.[6][7] 스테파노 자케티(Stefano Zacchetti)는 최근 연구를 바탕으로, 쥐르처가 나열한 16개의 텍스트 중 13개가 안세고의 작품으로 확실하게 귀속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8]

쥐르처가 열거한 나머지 3개의 번역본은 (자케티에 따르면) 재고려되어야 한다.

최근 학계에서는 안세고에게 귀속될 수 있는 추가 텍스트를 여러 개 제안했다. 폴 해리슨(Paul Harrison)은 안세고가 이전에 익명으로 수집된 수트라 모음인 ''잡아함경'' 雜阿含經|잡아함경중국어(대정 101)을 번역했다는 증거를 제시했다.[9] 스테파노 자케티는 쥐르처의 보수적인 기준에 따라 처음에는 진본이 아닌 것으로 간주되었지만, 대정 1557번, ''아비담오법행경'' 阿毘曇五法行經|아비담오법행경중국어이 실제로 안세고의 작품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

1999년 일본 오사카부의 콩고지(Kongōji) 소장품에서 카지우라 스스무(Kajiura Susumu)가 발견한 두 개의 필사본은, 그들의 명백한 고대성에 근거하여 안세고에게 귀속될 수 있는 네 개의 이전에는 알려지지 않은 작품을 제시한다.[10]

덧붙여, "안세고 역"이라고 쓰여 있는 불전이 많지만, 가탁인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팔대인각경』은 『출삼장기집』에 보이지 않고, "보살·대승"과 같은 말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대승 불전을 번역하지 않은 안세고와는 무관하다고 생각된다.[14]

참조

[1] 서적 The Princeton Dictionary of Buddh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
[2] 서적 The Buddhist Conquest of China: The Spread and Adaptation of Buddhism in Early Medieval China Brill 2007
[3] 서적 The Buddhist Conquest of China: The Spread and Adaptation of Buddhism in Early Medieval China Brill 2007
[4] 서적 The Princeton Dictionary of Buddh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
[5] 서적 The hostage: An Shigao and his offspring: an Iranian family in China Istituto Italiano du Cultura, Scuola di Studi sull'Asia Orientale 1995
[6] 간행물 Late Han Vernacular Elements in the earliest Buddhist Translations 1977
[7] 간행물 A new look at the earliest Chinese Buddhist texts Mosaic 1991
[8] 간행물 Defining An Shigao's 安世高 Translation Corpus: The State of the Art in Relevant Research 2010
[9] 서적 "Another Addition to An Shigao's Corpus? Preliminary Notes on an Early Chinese Saṃyuktāgama Translation," in Early Buddhism and Abhidharma Thought -- In Honour of Doctor Hajime Sakurabe on the Occasion of His Seventy-seventh Birthday Heirakuji Shoten 2002
[10] 간행물 Defining An Shigao's 安世高 Translation Corpus: The State of the Art in Relevant Research 2010
[11] 서적 The Buddhist Conquest of China: The Spread and Adaptation of Buddhism in Early Medieval China Brill 2007
[12] 서적 A Few Good Men: The Bodhisattva Path according to The Inquiry of Ugra (Ugraparipṛcchā)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3
[13] 웹사이트 https://elkoravolo.h[...]
[14] 웹사이트 https://elkoravolo.h[...]
[15] 문서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역사 > 안세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