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레스터 (비디오 게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레스터는 1988년 세가 마스터 시스템으로 처음 출시된 슈팅 게임 시리즈이다. 이 시리즈는 MSX2, 메가 드라이브, 게임 기어, 슈퍼 패미컴, 메가 CD 등 다양한 플랫폼으로 확장되었으며, 2020년에는 알레스타 컬렉션이 출시되었다. 각 작품은 독자적인 세계관을 가지며, 다양한 주인공과 설정을 선보인다. 알레스터 시리즈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특히 마스터 시스템 버전은 좋은 평가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컴파일의 게임 - 뿌요뿌요 2
뿌요뿌요 2는 컴파일에서 개발하고 세가에서 출시한 대전 퍼즐 게임으로, 상쇄 시스템, 전부 지우기 보너스, 퀵 턴 등의 새로운 요소가 추가되어 전략성이 강화되었으며, 대전형 퍼즐 게임 장르를 개척하고 e스포츠 종목으로도 채택되는 등 큰 인기를 얻었다. - 컴파일의 게임 - 알레스터
알레스터는 컴파일에서 제작한 슈팅 게임 시리즈로, 다양한 플랫폼으로 이식 및 변형되어 출시되었으며, 빠른 전개와 높은 난이도, 독창적인 게임 디자인으로 슈팅 게임 장르와 대한민국 게임 시장에 큰 영향을 미쳤다. - 21세기를 배경으로 한 비디오 게임 - 도쿄 정글
도쿄 정글은 멸망한 도쿄에서 다양한 동물들이 생존을 위해 싸우는 액션 게임으로, 플레이어는 스토리 모드와 서바이벌 모드를 통해 육식 동물과 초식 동물을 조작하며 영역을 확장하고 세대를 거듭하여 생존을 목표로 한다. - 21세기를 배경으로 한 비디오 게임 - 페르소나 5
페르소나 5는 아틀라스에서 개발한 2016년 롤플레잉 게임으로, 도쿄를 배경으로 고등학생 주인공이 '마음의 괴도단' 리더로서 '메타버스'에서 악인들의 왜곡된 욕망을 훔쳐 개심시키는 이야기와 페르소나 수집 및 육성, 코옵 시스템을 특징으로 한다. - 종스크롤 슈팅 게임 - 건 프론티어
건 프론티어는 우주 서부극을 배경으로 리볼버 모양의 전투기를 조종하여 우주 해적에게 잡힌 생존자를 구출하는 수직 스크롤 슈팅 게임이다. - 종스크롤 슈팅 게임 - 레이디언트 실버건
레이디언트 실버건은 3개의 버튼 조합으로 8가지 공격을 구사하고 체인 보너스로 무기를 강화하는 독특한 시스템을 가진 트레져의 세로 스크롤 슈팅 게임으로, 혁신적인 게임성과 뛰어난 그래픽으로 호평받으며 아케이드, 세가 새턴, Xbox 360, 닌텐도 스위치, Steam 등으로 발매되었고, 2520년 지구 멸망 후 인류 생존을 건 전투를 그린 독특한 세계관과 비선형적 스토리 전개가 특징이다.
| 알레스터 (비디오 게임)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장르 | 스크롤 슈팅 게임 |
| 모드 | 싱글 플레이어 |
| 개발 정보 | |
| 개발사 | 컴파일 |
| 배급사 | 세가 (마스터 시스템) CP 커뮤니케이션즈 (MSX2) D4 엔터프라이즈 (WVC) 스퀘어 에닉스 모바일 (JM) |
| 디렉터 | 니이타니 마사미츠 |
| 디자이너 | 테라모토 코지 코메히카 카즈나리 |
| 프로그래머 | 히로노 타카유키 (MSX) 신타니 켄지 (MS) |
| 아티스트 | 테라모토 코지 스에요시 히로미치 (MS) |
| 작곡가 | 미야모토 마사모토 산토 타케시 |
| 플랫폼 | |
| 플랫폼 | 세가 마스터 시스템 MSX2 Wii 버추얼 콘솔 자바 미들릿 |
| 출시일 | |
| 세가 마스터 시스템 | 일본: 1988년 2월 29일 북미/유럽: 1988년 12월 |
| MSX2 | 일본: 1988년 7월 23일 |
| 자바 미들릿 | 유럽: 2004년 7월 8일 |
| Wii 버추얼 콘솔 | 일본: 2008년 5월 27일 |
| 시리즈 | |
| 시리즈 | 알레스터 |
2. 시리즈 작품
''알레스트''는 여러 속편으로 이어졌다:
- ''알레스트 외전''(MSX2, 1989)
- ''알레스트 2''(MSX2, 1989)
- ''무샤 알레스트''(메가 드라이브, 1990)
- ''GG 알레스트''(게임 기어, 1991)
- ''슈퍼 알레스트''(SNES, 1992)
- ''덴닌 알레스트''(메가 CD, 1992)
- ''GG 알레스트 II''(게임 기어, 1993)
- ''GG 알레스트 3''(게임 기어 마이크로, 2020)[8]
- ''선진 알레스트'' (아케이드, 2021)
- ''알레스트 브랜치'' (TBA)
; 알레스타
: (세가 마크 III) 1MbitROM 카트리지 FM 음원 대응
: 1988년 2월 29일, 5,000엔. 발매원은 세가 엔터프라이즈 (현: 세가).
: 총 6스테이지로 구성되어 있다. 해외에서는 『POWER STRIKE』라는 타이틀로 발매.
; 알레스타
: (MSX2) 2MbitROM 카트리지 FM 음원 (MSX-MUSIC) 대응
: 1988년 7월 23일 발매, 6,800엔.
: 세가 마크 III판에 2스테이지를 추가한 총 8스테이지로 구성되어 있다.
: 또한, 오프닝 등에서 비주얼 씬도 준비되어 있다. 에펙트가 화려한 만큼 처리 지연이 많다. MSX-MUSIC에 처음 대응.
: 2008년 5월 27일부터 Wii의 버추얼 콘솔(VC)에서 배포 시작 (800Wii 포인트 필요).
:: ※2019년 1월 31일에 Wii의 VC가 서비스를 종료함에 따라, 신규 콘텐츠 구매는 불가능해졌다 (이미 다운로드 및 결제한 경우는 당분간 플레이 가능).
: 2008년 12월부터 App Store에서 iPhone / iPod touch용으로 배포 시작 (32bit 앱이므로 2017년 9월 출시된 iOS 11부터는 비대응).
; 알레스타 외전
: (MSX2) 3.5inch2DD×3매조
: 1989년 9월 발매, 3,880엔.
: 단품 발매가 아닌, 『디스크 스테이션 Special 가을호』에 수록되었다.
: 세계관이 일본풍. 자기는 전투기가 아닌, 강화복을 착용한 인간이다.
; 알레스타 2
: (MSX2) 3.5inch2DD×3매조 FM 음원 (MSX-MUSIC) 대응
: 1989년 11월 발매, 6,800엔.
: 처리 지연이 적다는 점을 내세웠으며, 총 8스테이지로 구성되어 있다.
: 에펙트는 전작보다 억제되었지만, 지상의 서브 웨폰 배치가 폐지되어 특정 서브 웨폰 이외에는 붉은 적탄을 파괴할 수 없게 되어 난이도가 현저히 상승했다. 또한, 비주얼 씬이 전작에 비해 증강되었으며, 일부 씬에서는 주인공이 PSG 샘플링으로 말한다.
; 무사 알레스타
: (메가 드라이브) 4MbitROM 카트리지
: 1990년 12월 21일 발매, 6,800엔. 발매원은 토아 플랜.
: 세계관이 일본풍. 자기는 암드 아머라고 불리는 로봇. 해외판 타이틀은 『MUSHA』.
; GG 알레스타
: (게임 기어) 2MbitROM 카트리지
: 1991년 12월 29일 발매, 4,800엔.
: 게임 기어용 완전 신작. 고속 스크롤과 템포가 빠른 전개이다. 액정 화면의 성능 때문에 시인성이 낮다.
: ; 개발
:: 원래, 이 작품의 기획은 모리타 푸요도가 담당했으며, 이 시점에서 엘리노어가 주인공으로 정해져 있었다. 그 후, 급하게 코다마 히로키가 이어받는 형태로 담당했다. 이 시점에서 코다마는 가정용 게임기용 소프트 개발 경험이 없었지만, 컴파일로서 부끄러운 것은 만들 수 없다는 프라이드에서 필사적으로 만들었다고 2021년 인터뷰에서 회상하고 있다. 또한, 코다마는 MSX용 소프트 개발 경험이 있었기 때문에, 스펙의 차이를 의식하지 않고 개발할 수 있었다고 2021년 인터뷰에서 회상하고 있다.
:: 기획서를 다시 만드는 단계에서 주변 사람들의 의견을 들어 결정했다. 프로그래머로부터 "콜로니를 회전시키자?"라는 제안이 있었던 것이 인상이 컸다.
:: 게임 기어의 제약에 고생했던 점은 하드웨어에서의 고생인지 화면 제작의 고생인지 알 수 없는 상태였다. 히로노를 비롯한 메인 프로그래머의 지원이 충분했고, 그림 제작에 집중할 수 있어서 편했다고 코다마는 말하고 있다. 또한, 보스 캐릭터의 디자인은 외주 스탭인 나카시마 카즈유키가 담당했다.
:: 나카시마는 2021년 인터뷰에서, "제가 낸 아이디어의 버릇과, 『무사 알레스타』를 좋아한다는 코다마 씨의 버릇이 잘 맞아떨어졌기 때문인지, 『GG 알레스타』는 『무사 알레스타』의 느낌이 강하네요."라고 지적하면서도, 축이 되는 부분에 알레스타다움이 있기 때문에, 알레스타 시리즈의 하나로서 성립하고 있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 그래픽의 사양은, 프로그래머 히로노 타카유키 (제미니 히로노)와 타니구치 유키노리 (아카베이)가 제시했다. 코다마는 타니구치와 본작의 개발 중에 만나, 코다마가 스페이스 콜로니를 등장시키려고 제안했을 때, 타니구치로부터 콜로니를 돌리는 것은 어떻냐는 제안을 받았다는 일화가 있다.
:: 라운드 7의 "MOON CHILD"의 이름은 적대 조직에 이름이 필요하다는 이유에서, 제작 중에 자주 들었던 밴드의 앨범명을 힌트로, 그래픽을 채우는 소재로서 적어 넣었다.
; 슈퍼 알레스타
: (슈퍼 패미컴) 8MbitROM 카트리지
: 1992년 4월 28일 발매, 8,700엔. 발매원은 토호.
: 확대 축소 회전을 도입했다. 처리 지연은 적다. 해외판은 『SPACE MEGAFORCE』라는 타이틀로 발매.
: 개발 기간은 4~5년이 걸렸다.
: 만화판이 존재한다. 원작은 쿠보 무네오, 작화는 오카자키 사미. 게임에서의 주인공 라즈와 히로인 티, 슈퍼 알레스타의 설정을 크게 부풀린 내용으로, 수수께끼의 구체를 둘러싼 지구 측의 음모와 같은 요소를 더해 서스펜스 색채가 강한 SF 스카이 액션으로 만들어져 있다. 『아스키 코믹』에서 연재 후, 단행본 전 1권으로 묶였다.
; 전인 알레스타
: (메가 CD) CD-ROM×1매
: 1992년 11월 20일 발매, 6,800엔.
: 전국 시대를 모티브로 한 일본풍 슈팅. 해외판은 텐겐에서 『ROBO ALESTE』라는 타이틀로 발매.
: 타이틀에도 있는 "전인"은 극 중 전국 시대의 주력 병기인 철갑병을 닌자용으로 개조한 기체의 총칭으로 알레스타도 전인 중 하나이다.
: 『전인 알레스타』는 당초 『뇌인(라이닌) 알레스타』라는 타이틀이었지만, 회의 때 어떤 스탭이 화이트보드에 "전인"이라고 잘못 적은 것이 어감의 좋음 등으로 채택되었다.
: 컴파일 창립 10주년 기념 작품으로 제작되었으며, 오프닝 나레이션에 모리야마 슈이치로, 주인공에 미도리카와 히카루, 라이벌에 카미야 아키라, 히로인에 쿠와하라 아야, 적을 그림자에서 조종하는 존재에 테라세 메구미 등 호화 성우진이 배치된 것도 화제가 되었다.
; GG 알레스타 II
: (게임 기어) 2MbitROM 카트리지
: 1993년 10월 1일 발매, 3,800엔. 1작품은 자사 판매였지만, 본작의 발매원은 세가 엔터프라이즈.
: 해외 타이틀은 『POWER STRIKE II』(마스터 시스템판과 동명이나, 다른 내용)라는 타이틀로 발매.
: 전작보다 더 에펙트가 많다. 화면의 보기 어려움은 작화 방법에 의해 약간 개선되었다. 보너스 스테이지가 의사 3D이다.
: ; 개발
:: 이 작품은 『스프리건 mark2』 개발 종료 후에, 컴파일의 개발 총괄 과장이 된 타니다가 코다마에게 제작을 의뢰했던 것도 있어, 처음부터 코다마가 디렉터를 맡았다.
:: 프로그래밍은 야마시타 타쿠미(TAKIN)가 담당했다. 즉, 본작은 『전인 알레스타』보다 전에 제작이 시작되었으며, 코다마는 이 작품의 제작에 들어가기 전에 재능을 피워야 한다는 의도가 있었을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단, 야마시타는 프로그래밍에 대한 고집 때문에, 때로는 동료와 몸싸움으로 번지는 일이 있었기 때문에, 『GG 알레스타 II』에서는, 자유롭게 한다는 방침이 취해진 것 외에도, 스탭 크레딧에는 기획으로 그의 이름이 기재되었다. 또한, 유사 3D 슈팅 형식의 보너스 스테이지와 래스터 스크롤을 사용한 "G 스트라이크"는, 코다마가 "지금까지와 같아서는 재미없으니, 뭔가 있으면 아이디어를 전해줬으면 좋겠다"라고 부탁한 결과, 채택된 것이다.
:: 코다마는 사운드 총괄인 츠카모토 마사노부에게 발주한 후, 사운드의 오야치 지에와 미나미 토모키와 함께 내용을 채웠다.
:: 『GG 알레스타 3』의 기획·디렉션을 맡은 나미키 마나부는 『GG 알레스타』와 『GG 알레스타 II』의 작품에 공통되는 효과음이 거의 없고, 사운드 담당자가 바뀐 것인가라고 2021년 인터뷰에서 코다마에게 질문하고 있다. 이에 대해 코다마는 사운드 드라이버의 변경은 있을지 모르지만, 잘 모르겠다고 답하고 있다.
:: 당초에는 4메가비트의 ROM을 상정하고 개발했지만, 2~3면을 만들었을 때, 『GG 알레스타』와 같은 2메가비트로 절반으로 줄어들었기 때문에, 다양한 요소가 삭감되었다. 이 중, 잡몹 캐릭터의 패턴은 『GG 알레스타』 때부터 줄인 한편, 보스의 대형화를 실현했다. 게다가, 게임 기어의 액정은 잔상이 생기기 쉽기 때문에, 시인성 개선을 위해, 적탄은 빨강과 녹색을 중심으로 한 것이 사용되었다.
; 알레스타 컬렉션
: (PS4 Switch)
: 2020년 12월 24일 발매, Pa는 6,800엔, DL은 4,500엔. 발매원은 엠투.
: 세가 마크 III판 알레스타 (해외판도 포함), GG 알레스타 1·II (2), 마스터 시스템판 POWER STRIKE II (후술)의 4작품에 더해 GG 규격으로 완전 신규 제작된 『'''GG 알레스타 3'''』도 더해, 총 5작품을 수록한 컬렉션 게임.
: 한정판에는, 이 5작품을 모두 즐길 수 있는 복각형 휴대 게임기 · 게임 기어 미크로의 별주판 "게임 기어 미크로 화이트"가 동봉된다 ("미크로"의 자세한 내용은 별항 참조).
; 알레스타
: (AC) ALL.Net P-ras MULTI Ver.3 (세가)
: 2021년 7월 16일부터 가동을 시작한 아케이드 게임. 같은 해 1월에 엠투가 배포한 방송에서, 정식 명칭과 함께 알레스타 시리즈의 1작품이 될 것이 발표되었다. 캐치프레이즈는 "'''이것이 레이와의 알레스타다!'''".
: 2020년, 당초 『전인』(가제)로 제작 중임을 발표, 원래는 2020년 후반~2021년 초두에는 가동할 수 있는 상황이었지만, 이른바 "코로나 재앙"의 영향으로 로케 테스트 등이 연기될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최종적으로는 상기의 시기부터 가동 개시되었다.
: 알레스타 시리즈로서는 첫 아케이드 게임이며, 게임 화면이 전통적인 아케이드 게임의 종스크롤 슈팅의 "세로 화면"을 의식한 "가로 3: 세로 4"의 세로 길이 비율이 되었다. 실제로는, 가로 화면의 중앙에 세로로 긴 화면이 배치되어, 좌우의 여백에 인스트럭션 카드를 본뜬 사용법 설명이 표시되어 있다.
2. 1. 주요 작품
아레스타/アレスタ일본어는 원래 1988년 2월 마스터 시스템으로 출시되었다. 이 버전은 일본 외 지역에서 ''파워 스트라이크''라는 이름으로 출시되었다. 미국 출시판은 처음에는 우편 주문 한정판이었지만, 나중에는 토이저러스 및 북미의 다른 체인점에서 소매 유통되었다. 유럽 출시판은 일반적인 소매 패키지였다.그 해 7월에는 MSX2 버전이 출시되었으며, 두 개의 새로운 스테이지, 낮아진 난이도, 그리고 일련의 컷신을 특징으로 했다.
스퀘어 에닉스가 휴대전화용 게임 버전을 출시했는데, MSX2 버전을 기반으로 한 것으로 추정된다. MSX2 버전은 닌텐도의 Wii 버추얼 콘솔 서비스를 통해 일본에서 재출시되었다. 이 게임은 ''알레스트 2''와 함께 현재는 서비스가 종료된 WOOMB 서비스를 통해서도 재출시되었다.
판매 가격은 모두 당시 가격(Pa=패키지 소프트, DL=다운로드 소프트)이다.
- 알레스타 (세가 마크 III) 1MbitROM 카트리지 FM 음원 대응
- : 1988년 2월 29일, 5,000엔. 발매원은 세가 엔터프라이즈 (현: 세가).
- : 총 6스테이지로 구성되어 있다. 해외에서는 『POWER STRIKE』라는 타이틀로 발매.
- 알레스타 (MSX2) 2MbitROM 카트리지 FM 음원 (MSX-MUSIC) 대응
- : 1988년 7월 23일 발매, 6,800엔.
- : 세가 마크 III판에 2스테이지를 추가한 총 8스테이지로 구성되어 있다.
- : 또한, 오프닝 등에서 비주얼 씬도 준비되어 있다. 에펙트가 화려한 만큼 처리 지연이 많다. MSX-MUSIC에 처음 대응.
- : 2008년 5월 27일부터 Wii의 버추얼 콘솔(VC)에서 배포 시작 (800Wii 포인트 필요).
- :: ※2019년 1월 31일에 Wii의 VC가 서비스를 종료함에 따라, 신규 콘텐츠 구매는 불가능해졌다 (이미 다운로드 및 결제한 경우는 당분간 플레이 가능).
- : 2008년 12월부터 App Store에서 iPhone / iPod touch용으로 배포 시작 (32bit 앱이므로 2017년 9월 출시된 iOS 11부터는 비대응).
- 알레스타 외전 (MSX2) 3.5inch2DD×3매조
- : 1989년 9월 발매, 3,880엔.
- : 단품 발매가 아닌, 『디스크 스테이션 Special 가을호』에 수록되었다.
- : 세계관이 일본풍. 자기는 전투기가 아닌, 강화복을 착용한 인간이다.
- 알레스타 2 (MSX2) 3.5inch2DD×3매조 FM 음원 (MSX-MUSIC) 대응
- : 1989년 11월 발매, 6,800엔.
- : 처리 지연이 적다는 점을 내세웠으며, 총 8스테이지로 구성되어 있다.
- : 에펙트는 전작보다 억제되었지만, 지상의 서브 웨폰 배치가 폐지되어 특정 서브 웨폰 이외에는 붉은 적탄을 파괴할 수 없게 되어 난이도가 현저히 상승했다. 또한, 비주얼 씬이 전작에 비해 증강되었으며, 일부 씬에서는 주인공이 PSG 샘플링으로 말한다.
- 무사 알레스타 (메가 드라이브) 4MbitROM 카트리지
- : 1990년 12월 21일 발매, 6,800엔. 발매원은 토아 플랜.
- : 세계관이 일본풍. 자기는 암드 아머라고 불리는 로봇. 해외판 타이틀은 『MUSHA』.
- GG 알레스타 (게임 기어) 2MbitROM 카트리지
- : 1991년 12월 29일 발매, 4,800엔.
- : 게임 기어용 완전 신작. 고속 스크롤과 템포가 빠른 전개이다. 액정 화면의 성능 때문에 시인성이 낮다.
- 슈퍼 알레스타 (슈퍼 패미컴) 8MbitROM 카트리지
- : 1992년 4월 28일 발매, 8,700엔. 발매원은 토호.
- : 확대 축소 회전을 도입했다. 처리 지연은 적다. 해외판은 『SPACE MEGAFORCE』라는 타이틀로 발매.
- : 개발 기간은 4~5년이 걸렸다.
- : 만화판이 존재한다. 원작은 쿠보 무네오, 작화는 오카자키 사미. 게임에서의 주인공 라즈와 히로인 티, 슈퍼 알레스타의 설정을 크게 부풀린 내용으로, 수수께끼의 구체를 둘러싼 지구 측의 음모와 같은 요소를 더해 서스펜스 색채가 강한 SF 스카이 액션으로 만들어져 있다. 『아스키 코믹』에서 연재 후, 단행본 전 1권으로 묶였다.
- 전인 알레스타 (메가 CD) CD-ROM×1매
- : 1992년 11월 20일 발매, 6,800엔.
- : 전국 시대를 모티브로 한 일본풍 슈팅. 해외판은 텐겐에서 『ROBO ALESTE』라는 타이틀로 발매.
- : 타이틀에도 있는 "전인"은 극 중 전국 시대의 주력 병기인 철갑병을 닌자용으로 개조한 기체의 총칭으로 알레스타도 전인 중 하나이다.
- : 『전인 알레스타』는 당초 『뇌인(라이닌) 알레스타』라는 타이틀이었지만, 회의 때 어떤 스탭이 화이트보드에 "전인"이라고 잘못 적은 것이 어감의 좋음 등으로 채택되었다.
- : 컴파일 창립 10주년 기념 작품으로 제작되었으며, 오프닝 나레이션에 모리야마 슈이치로, 주인공에 미도리카와 히카루, 라이벌에 카미야 아키라, 히로인에 쿠와하라 아야, 적을 그림자에서 조종하는 존재에 테라세 메구미 등 호화 성우진이 배치된 것도 화제가 되었다.
- GG 알레스타 II (게임 기어) 2MbitROM 카트리지
- : 1993년 10월 1일 발매, 3,800엔. 1작품은 자사 판매였지만, 본작의 발매원은 세가 엔터프라이즈.
- : 해외 타이틀은 『POWER STRIKE II』(마스터 시스템판과 동명이나, 다른 내용)라는 타이틀로 발매.
- : 전작보다 더 에펙트가 많다. 화면의 보기 어려움은 작화 방법에 의해 약간 개선되었다. 보너스 스테이지가 의사 3D이다.
- 알레스타 컬렉션 (PS4 Switch)
- : 2020년 12월 24일 발매, Pa는 6,800엔, DL은 4,500엔. 발매원은 엠투.
- : 세가 마크 III판 알레스타 (해외판도 포함), GG 알레스타 1·II (2), 마스터 시스템판 POWER STRIKE II (후술)의 4작품에 더해 GG 규격으로 완전 신규 제작된 『'''GG 알레스타 3'''』도 더해, 총 5작품을 수록한 컬렉션 게임.
- : 한정판에는, 이 5작품을 모두 즐길 수 있는 복각형 휴대 게임기 · 게임 기어 미크로의 별주판 "게임 기어 미크로 화이트"가 동봉된다 ("미크로"의 자세한 내용은 별항 참조).
- 알레스타 (AC) ALL.Net P-ras MULTI Ver.3 (세가)
- : 2021년 7월 16일부터 가동을 시작한 아케이드 게임. 같은 해 1월에 엠투가 배포한 방송에서, 정식 명칭과 함께 알레스타 시리즈의 1작품이 될 것이 발표되었다. 캐치프레이즈는 "'''이것이 레이와의 알레스타다!'''".
- : 2020년, 당초 『전인』(가제)로 제작 중임을 발표, 원래는 2020년 후반~2021년 초두에는 가동할 수 있는 상황이었지만, 이른바 "코로나 재앙"의 영향으로 로케 테스트 등이 연기될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최종적으로는 상기의 시기부터 가동 개시되었다.
- : 알레스타 시리즈로서는 첫 아케이드 게임이며, 게임 화면이 전통적인 아케이드 게임의 종스크롤 슈팅의 "세로 화면"을 의식한 "가로 3: 세로 4"의 세로 길이 비율이 되었다. 실제로는, 가로 화면의 중앙에 세로로 긴 화면이 배치되어, 좌우의 여백에 인스트럭션 카드를 본뜬 사용법 설명이 표시되어 있다.
2. 2. 관련 작품
《자낙》(MSX, FDS, NES, 1986)은 알레스터 시리즈의 틀을 세웠고, 컴파일의 거의 모든 미래 슈팅 게임에 영향을 미쳤다.[9] 《건헤드》(Gunhed)》(PC 엔진, 1989)는 슈퍼 패미컴용 《슈퍼 알레스터》(Super Aleste)에 영감을 주었다.[9] 1993년경 컴파일의 여러 직원이 회사를 나와 레이징(Raizing)에 합류하여 몇몇 유사한 게임을 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9]해외 마스터 시스템(Master System)판인 『POWER STRIKE』의 속편으로, 『POWER STRIKE II』가 1993년에 일부 해외 지역에서만 발매되었다. 주인공은 남성 파일럿이며, 『알레스타 2』나 『GG 알레스타 II』와는 다른 내용이다. 『알레스타 시리즈』와의 관계성에 대해서도 밝혀지지 않았다.
《Seirei Senshi Spriggan》(PC 엔진 CD, 1991)은 원래 『정령전사 알레스타』라는 제목으로 알레스타 시리즈의 일환으로 기획되었다가 변경되었다. 이 작품의 세계관을 계승한 작품으로 슈퍼 패미컴용 《스프리건 파워드》가 발매되었다.
《Spriggan Mark 2: Re-Terraform Project》(PC 엔진 CD, 1992)는 기획 초기에 《무사 알레스타》와 동일한 세계관을 가진 속편으로 여겨졌으며, 주인공 그레그 아윈은 엘리노어의 동료로 설정되었다.
2. 3. 취소된 게임
전인 알레스타 2메가 CD용으로 개발이 취소된 작품이다. 주인공은 쿠노이치이며, 무대는 전작으로부터 40년 후의 에도 시대이다. 전작의 주인공도 등장할 예정이었다. 컨셉은 "화풍 슈팅의 궁극의 형태 추구"이며 캐릭터 의상은 화풍 테이스트이다. 전작에서 속도감이 부족했던 점을 반성하여, 더욱 스피디하게 제작될 예정이었다. 1993년 10월부터 11월 발매를 목표로 개발되었지만 개발이 중단되었다.알레스타 X플레이스테이션 호환 기판을 사용한 아케이드판도 기획되었지만,[14] 컴파일의 화의 신청 전후와 겹쳐 실현되지 못했다.
알레스타 브런치2018년, 엠투에 의해 개발 중임이 발표되었고,[15] 2019년에는 타이틀이 발표되었다.[16] 2020년 중 릴리스를 목표로 한다고 했지만,[11] 여러 사정으로 인해 2021년 이후로 릴리스가 연기되었다. "게임 기어 미크로 화이트"는, 당초 이 작품에 부속되는 것을 전제로 계획을 진행했지만, 본작의 컨셉과 상성이 잘 맞지 않는 것과 본작 자체의 릴리스 연기에 의해, 예정에 없던 『알레스타 컬렉션』이 만들어지게 되어, 그쪽에 부속되게 되었다. 캐릭터 디자인은 코마츠 에이지가 담당하고 있다.
3. 세계관
알레스터의 이야기는 인류 제거를 목표로 하는 하이브리드 바이러스에 감염된 인공 슈퍼컴퓨터 DIA 51에 관한 것이다. DIA 51의 공격으로 레이의 여자친구 유리가 부상을 입자, 레이몬드 와이젠은 자신의 알레스터 전투기를 몰고 DIA 51을 제거하기 위한 싸움에 나선다.[12]
『전인 알레스타』를 제외한[12] 다른 작품들에서는 "알레스타"라는 이름의 비행체가 주역으로 등장하지만, 각 작품의 세계관은 여러 갈래로 나뉜다.
- MSX판 『알레스타』와 『알레스타 2』는 기축이 되는 세계관을 공유한다. 일본풍의 설정을 담은 『알레스타 외전』, 『무사 알레스타』, 『전인 알레스타』는 이 세계관의 패럴렐 월드로, 시간 순서대로 『전인』, 『외전』, 『무사』 순으로 배열된다.
- 마크 III판 『알레스타』는 MSX판의 기반이 되었지만, 무대가 지구가 아닌 행성 리마르이고 등장인물 설정이 없는 등 일부 설정이 달라 별개의 작품으로 간주된다.
- 『알레스타 2』, 『무사 알레스타』, 『GG 알레스타』의 주인공은 모두 "엘리노어(엘레노아) 와이젠"이라는 여성 파일럿이지만, 각각 패럴렐 월드에 존재하는 별개의 인물이다.
- 『알레스타 2』에서 엘리노어는 전작 주인공 레이 와이젠과 그의 연인 유리 레녹스의 딸로 처음 등장하며, 아버지에게서 물려받은 감각과 기술을 가진 파일럿으로 설정되었다. 초기에는 미사토 와이젠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 『GG 알레스타』와 『GG 알레스타 II』는 독자적인 세계관을 가진다. 『GG 알레스타 3』과 "1", "II (2)"와의 관계는 아직 발표되지 않았다.
- 『GG 알레스타』에서 엘리노어는 할아버지 세프트 와이젠이 개발한 GG 알레스타를 조종한다. 『GG 알레스타 2』의 주인공인 "앨리스 파이퍼 와이젠"은 엘리노어의 사촌이다.
- 『GG 알레스타 3』의 주인공은 "류나 와이젠"이라는 여성 파일럿이다. "1", "II (2)"에 등장하는 와이젠 가문의 파일럿들과의 관계는 아직 발표되지 않았다.
- 『무사 알레스타』에서 엘리노어는 최신 로봇 병기(아머드 아머) 알레스타를 보유한 부대의 파일럿으로 등장한다. 부대가 전멸했지만 유일하게 기체가 무사하여 혼자 작전을 수행하게 된다.
- 『슈퍼 알레스타』는 다른 작품들과 설정상의 연결이 없는 완전히 독립된 작품이다.
4. 평가
세가 마스터 시스템판 《알레스터》는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영국 잡지 〈컴퓨터 앤드 비디오 게임스〉는 1989년 10월호에서 86%를 매겼다.[17] 1992년 〈콘솔 XS〉는 90%를 매겼다.[18] 마스터 시스템 버전인 《파워 스트라이크》 역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1989년 《컴퓨터 & 비디오 게임》은 86%를 매겼다.[6] 1992년 《콘솔 XS》는 90%를 매겼다.[7]
참조
[1]
웹사이트
Square Enrix and Macrospace Team Up to launch mobile versions of Aleste, Actraiser and Drakengard in Europe
http://www.glu.com/c[...]
Midlet-review.com
2009-02-28
[2]
웹사이트
Software List (Released by Sega)
https://sega.jp/hist[...]
Sega
2023-05-15
[3]
뉴스
Availability Update
http://www.ataricomp[...]
1989-01
[4]
문서
https://retrocdn.net[...]
[5]
문서
Zanac USA Manual
http://www.gamersgra[...]
[6]
간행물
Complete Games Guide
https://retrocdn.net[...]
1989-10-16
[7]
잡지
Software A-Z: Master System
https://archive.org/[...]
Paragon Publishing
1992-04-23
[8]
웹사이트
How M2 went back to the Game Gear for its magnum opus • Eurogamer.net
https://web.archive.[...]
[9]
웹사이트
Zanac
http://www.hardcoreg[...]
[10]
웹사이트
ゲームファンが今遊びたい過去の名作とは?
http://news.denfamin[...]
2018-08-30
[11]
웹사이트
M2 Shows Us Aleste Branch, the Triumphant Return of a Classic 8-Bit Shmup
https://www.usgamer.[...]
Gamer Network
2020-06-03
[12]
문서
『戦刃アレスタ』では主人公格の4キャラが1チームを組んでいるが、各キャラの乗る戦闘機はそれぞれ別々の機体であり、いずれも「アレスタ」という名前ではない。
[13]
웹사이트
『GGアレスタ』シリーズ大鼎談! シリーズのキーマン小玉氏、並木氏、ナカシマ氏が裏話を語り尽くす
https://dengekionlin[...]
2021-01-14
[14]
웹사이트
さあ、『エスプレイド』&『アレスタ』が復活だ!全シューターの悲願を叶えたエムツーが明かす“移植決定の舞台裏”と“移植に賭けるたぎる想い”【『エスプレイド』新規イラストラフ画も公開!】
https://news.denfami[...]
マレ
2020-06-03
[15]
웹사이트
エムツー ショットトリガーズの新作ラインアップは、完全新作の『アレスタ』と『エスプレイド』の2本
https://www.famitsu.[...]
2018-12-06
[16]
웹사이트
M2Aプロジェクトの正式タイトルが『アレスタブランチ』に決定!駒都えーじ氏によるエリノア・ワイゼンの設定画が公開
https://www.famitsu.[...]
KADOKAWA Game Linkage
2020-06-03
[17]
간행물
Complete Games Guide
https://retrocdn.net[...]
1989-10-16
[18]
잡지
Software A-Z: Master System
https://archive.org/[...]
Paragon Publishing
1992-04-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