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바니아 의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바니아 의회는 알바니아 공화국의 입법 기관으로, 알바니아 시민을 대표하며 국가의 입법부 역할을 수행한다. "Kuvend"라는 용어는 알바니아어로 의회, 모임 등을 의미하며, 15세기부터 사용되었다. 레자 연맹은 알바니아 의회의 초기 형태로 간주되며, 1912년 블로라 의회에서 알바니아 독립을 선언했다. 알바니아 의회는 다양한 시대를 거치며 명칭과 형태가 변화했고, 현재는 140명의 의원으로 구성되며, 4년 임기로 선출된다. 의회는 헌법에 따라 권한과 의무를 가지며, 경제, 법률, 정치 관련 사항을 결정하고, 대통령을 선출하며, 알바니아 군대의 파병을 결정할 수 있다. 의회는 위원회를 통해 특정 정책, 정부 행정, 성과 문제를 조사하며, 2021년 선거 이후 사회당과 민주당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바니아의 정치 - 호자주의
    호자주의는 엔베르 호자의 사상과 실천을 따르는 마르크스-레닌주의 분파로, 스탈린의 유산을 옹호하며 수정주의로 간주되는 다른 공산주의 조류와 구별되고, 미국, 소련, 중국 등을 사회 제국주의로 비판하며,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을 규탄하고 바르샤바 조약 기구에서 탈퇴한 알바니아의 독자적인 노선을 지향하며, 마오쩌둥 사상의 일부 측면과 종속 이론을 비판하는 특징을 가진다.
  • 알바니아의 정치 - 알바니아의 대통령
    알바니아의 대통령은 알바니아의 국가 원수이며, 다양한 정치 체제를 거쳐 현재 바이람 베가이가 대통령으로 재임하고 있다.
  • 나라별 의회 - 이탈리아 의회
    이탈리아 의회는 상원과 하원으로 구성되며, 1948년 헌법에 따라 설립되었으며, 입법, 행정부 감시, 대통령 선출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2020년 헌법 개정으로 상원 의원 수와 하원 의원 수가 감축되었다.
  • 나라별 의회 - 크로아티아 의회
    크로아티아 의회(사보르)는 9세기 귀족 의회에서 기원하여 다양한 형태로 크로아티아인들의 정체성을 대변해 왔으며, 1990년 다당제 선거 이후 151명의 의원으로 구성되어 헌법 개정, 법률 제정, 정부 감시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알바니아 의회 - [의회]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알바니아 의회 로고
알바니아 의회 로고
유형단원제
개원1920년 3월 27일 ()
이전 의회블로러 의회
위치데시모레트 에 콤비트 대로, 티라나, 알바니아
구성
의원 정수140석
임기4년
선거 제도개방형 비례대표제 (드혼트 방식)
최근 선거2021년 4월 25일
차기 선거2025년 5월 11일
지도부
의장엘리사 스피로팔리
소속 정당사회당
의장 선출일2024년 7월 30일
정부 대표블레다르 추치
소속 정당사회당
정부 대표 선출일2023년 7월 26일
야당 대표살리 베리샤
소속 정당민주당
야당 대표 선출일2022년 5월 22일
의석 분포
알바니아 의회 의석 분포
알바니아 의회 의석 분포
정부75석 라마 3기 정부
지원 세력3석 신임 획득
야당62석 야당
기타 정보
웹사이트알바니아 의회 공식 웹사이트

2. 어원

알바니아어 단어 "Kuvend"(쿠번드, 정관사가 붙으면 "kuvendi")는 매우 오래된 단어로, 사람들의 모임이나 회합을 의미하는 라틴어 단어 "conventus"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진다.[7] 이 단어는 15세기부터 사용되었는데, 당시 주로 알바니아 북부 출신 남성들이 모여 레크 두카기니와 스칸데르베그 간의 논쟁, 즉 허용되는 것과 허용되지 않는 것을 듣는 자리가 있었다.[8] 이러한 법들은 이후 세대를 거쳐 계승되는 구전법으로 성문화되었는데, 특히 알바니아 북부 지역, 두카기니 지역에서 "Kanuni i Lekë Dukagjinit" 또는 간단히 "카누니"라고 불리는 법전까지 이어졌다. 19세기에 슈테펜 예초비 신부가 이 법들을 표기하면서 처음으로 이 단어의 제도적 의미가 서면으로 나타났다. 카누니 제148장, 제1106조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Kuvendi''는 족장, 어른, 장로, 젊은이 또는 어린이 등과 함께 친족이나 여러 족속의 연합체로, 어떤 문제를 해결하거나 ''베사''를 맺기 위해 모인다."

알바니아 국가의 근대사에서 이 용어는 국가 건설 첫날부터 사용되었다. 1912년 11월 28일, 알바니아의 가장 영향력 있고 저명한 인물들이 블로라에서 열린 범알바니아 회의에 모여 "Kuvendi i Vlorës"(블로라 의회)를 구성했고, 그 첫 번째 결정으로 오스만 제국으로부터의 알바니아 독립을 만장일치로 선포했다.[9][10] 1946년 공산주의자들이 집권한 후에는 외국어에서 빌린 단어나 이전 정권이나 정부가 사용했던 단어를 사용하지 않고 다시 "Kuvend"를 사용하여 국가의 입법 기관의 이름으로 삼았다.[8] 오늘날 "Asambleja"(의회), "Parlamenti"(국회) 또는 "Kuvendi" 자체와 같은 단어는 알바니아 과학 아카데미가 정기적으로 발행하는 ''알바니아 사전''에 포함되어 있으며, 서로 다른 단어들이 서로의 동의어로서 번역이 아닌 같은 것을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고, 계속해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3. 역사

레자 조약은 1444년 3월 2일 레자에서 결성된 알바니아 귀족들의 군사 및 외교 동맹이었다. 레자 조약은 중세 시대 알바니아 국가로서 최초의 통합된 독립 국가로 여겨지며, 오스만 제국에 맞서 연합한 알바니아 지역 수장들과 귀족들의 지도자인 스캔데르베그가 이끌었다.[11] 스캔데르베그는 "알바니아인들의 연맹 지도자"로 선포되었으며, 항상 자신을 "''Dominus'' ''Albaniae''" (Zot i Arbërisë|알바니아의 영주sq)로 서명했다.[12][13]

카스트리오티 가문, 아리아니티 가문, 자하리아 가문, 무자카 가문, 스파니 가문, 토피아 가문 및 모계 혈통이나 결혼을 통해 카스트리오티 가와 연관된 발시치 귀족 가문과 크르노예비치 귀족 가문이 레자 회의에 참석했다. 구성원들은 자체 영지의 내정을 유지하면서 인원과 자금을 연맹에 기여했다. 건설 직후 친 베네치아파인 발시치 가문과 크르노예비치 가문은 알바니아-베네치아 전쟁(1447-1448)으로 이어지는 사건들 속에서 연맹을 탈퇴했다. 1448년 10월 4일에 체결된 알바니아-베네치아 전쟁 평화 조약은 연맹이 독립체로 등장하는 최초의 외교 문서이다. 바를레티는 이 회의를 ''generalis concilium'' 또는 ''universum concilium'' ("총회" 또는 "전체 회의")이라고 언급했으며, "레자 연맹"이라는 용어는 그 이후의 역사가들에 의해 만들어졌다.[14]

레자 연맹은 알바니아 의회의 최초 형태로 간주된다.

1914년, 국제 통제 위원회는 알바니아 기본 규약을 통해 입법 기관인 ''Asambleja Kombëtare''(국민의회) 설립을 계획했다. 국민의회는 국민이 선출한 36명의 의원, 빌헬름이 임명한 의원, 그리고 직권 의원으로 구성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발칸 전쟁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설립되지 못했다.[15]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1918년 12월 25일부터 27일까지 두르러스 의회는 임시 정부 구성과 상원 역할의 ''Pleqësia''(장로회) 설립을 결정했다.[16] 상원은 두 달에 한 번 소집되며, 정부는 국가 주요 문제에 대해 상원과 협의해야 했다.[17] 그러나 내부 분열로 상원은 소집되지 못했고, 1920년 1월 두르러스 정부 해임의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18]

두르러스 정부 해임 후, 루시냐 의회는 알바니아 최초의 입법부인 ''Këshilli Kombëtar''(국민평의회)를 설립했다. 평의회는 의회 대표들이 직접 선출한 37명의 의원으로 구성되었고, 선거가 실시될 때까지 임시 권한을 가졌다. 이때 의회주의 원칙, 즉 평의회의 정부 임명 및 해임, 정부에 대한 의회 감시가 처음 확립되었다.[19]

국민평의회는 1920년 3월 27일 새 수도 티라나에서 처음 회의를 열었다. 첫 회의는 Mytesim Këlliçi가 주재했고, 투표로 Xhemal Naipi가 국민평의회 의장으로 선출되었다.[20] 최초의 알바니아 입법부는 짧은 활동 기간 동안 헌법 성격의 루시냐 규약과 12월 5일에 통과된 새로운 선거법 등 중요 법률을 통과시켰다. 이 법은 2차 투표를 통한 간접 선거 방식을 확립했다. 1차 투표에서 알바니아 행정구역을 기준으로 500명의 남성마다 대표를 선출하고, 2차 투표에서 이 대표들이 국민평의회 의원 75명을 선출하여, 약 12,000명의 유권자당 1명의 의원이 선출되도록 했다.[21] 이 법은 판 놀리의 ''Partia Popullore''(인민당)와 호지 카드리우, 셰프케트 베를라치의 ''Partia Përparimtare''(진보당) 창당의 길을 열었다.[21] 국민평의회는 1920년 12월 20일에 활동을 종료하고, 1921년 4월 21일 최초의 선거를 위해 해산되었다.[22]

1921년 국민평의회 의원들


알바니아 공화국 시대에 알바니아는 상원(알바니아어: ''Senati'')과 하원으로 구성된 양원제 입법부를 가지고 있었다.[23] 1928년부터 1939년까지 알바니아 왕국 시대에는 알바니아의 입법부가 단순히 의회(알바니아어: Parlamenti)로 알려져 있었다.[23]

이탈리아의 알바니아 침공 및 1939년-1943년 알바니아 왕국 시대에 알바니아의 입법부는 최고 파시스트 협의회(알바니아어: ''Korporativi i Epërm Fashist'')였다.[23] 1943년부터 1944년까지 나치 독일 점령기와 1943년-1944년 알바니아 왕국 수립 동안, 알바니아의 입법부는 국민의회(알바니아어: ''Kuvendi Kombëtar'')였다.[23] 1944년부터 1945년 후반까지 나치 괴뢰 정부에 반대하는 정치인들에 의해 국민 반파시스트 해방 평의회(알바니아어: ''Këshilli Antifashist Nacional Çlirimtar'')가 구성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의 정권 교체 기간 동안 알바니아의 입법부는 제헌의회(알바니아어: ''Asambleja Kushtetuese'' 또는 ''Kuvendi Kushtetues'')로 알려져 있었다. 이는 1924년 알바니아 공화국 수립 이전, 1928년 알바니아 왕국의 첫 번째 수립 이전, 그리고 1946년부터 1947년까지 알바니아 민주 정부 시대와 알바니아 인민사회주의공화국 수립 이전에 발생했다.[23]

1947년부터 1991년까지 알바니아 인민사회주의공화국 시대에 알바니아의 입법부는 인민의회(알바니아어: ''Kuvendi Popullor'')였다.[23]

3. 1. 초기 역사

레자 조약은 1444년 3월 2일 레자에서 결성된 알바니아 귀족들의 군사 및 외교 동맹이었다. 레자 조약은 중세 시대 알바니아 국가로서 최초의 통합된 독립 국가로 여겨지며, 오스만 제국에 맞서 연합한 알바니아 지역 수장들과 귀족들의 지도자인 스캔데르베그가 이끌었다.[11] 스캔데르베그는 "알바니아인들의 연맹 지도자"로 선포되었으며, 항상 자신을 "''Dominus'' ''Albaniae''" (Zot i Arbërisë|알바니아의 영주sq)로 서명했다.[12][13]

카스트리오티 가문, 아리아니티 가문, 자하리아 가문, 무자카 가문, 스파니 가문, 토피아 가문 및 모계 혈통이나 결혼을 통해 카스트리오티 가와 연관된 발시치 귀족 가문과 크르노예비치 귀족 가문이 레자 회의에 참석했다. 구성원들은 자체 영지의 내정을 유지하면서 인원과 자금을 연맹에 기여했다. 건설 직후 친 베네치아파인 발시치 가문과 크르노예비치 가문은 알바니아-베네치아 전쟁(1447-1448)으로 이어지는 사건들 속에서 연맹을 탈퇴했다. 1448년 10월 4일에 체결된 알바니아-베네치아 전쟁 평화 조약은 연맹이 독립체로 등장하는 최초의 외교 문서이다. 바를레티는 이 회의를 ''generalis concilium'' 또는 ''universum concilium'' ("총회" 또는 "전체 회의")이라고 언급했으며, "레자 연맹"이라는 용어는 그 이후의 역사가들에 의해 만들어졌다.[14]

레자 연맹은 알바니아 의회의 최초 형태로 간주된다.

3. 2. 1912년 ~ 1924년

1920년~1939년 알바니아 의회 건물


1914년, 국제 통제 위원회는 알바니아 기본 규약을 통해 입법 기관인 ''Asambleja Kombëtare''(국민의회) 설립을 계획했다. 국민의회는 국민이 선출한 36명의 의원, 빌헬름이 임명한 의원, 그리고 직권 의원으로 구성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발칸 전쟁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설립되지 못했다.[15]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1918년 12월 25일부터 27일까지 두르러스 의회는 임시 정부 구성과 상원 역할의 ''Pleqësia''(장로회) 설립을 결정했다.[16] 상원은 두 달에 한 번 소집되며, 정부는 국가 주요 문제에 대해 상원과 협의해야 했다.[17] 그러나 내부 분열로 상원은 소집되지 못했고, 1920년 1월 두르러스 정부 해임의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18]

두르러스 정부 해임 후, 루시냐 의회는 알바니아 최초의 입법부인 ''Këshilli Kombëtar''(국민평의회)를 설립했다. 평의회는 의회 대표들이 직접 선출한 37명의 의원으로 구성되었고, 선거가 실시될 때까지 임시 권한을 가졌다. 이때 의회주의 원칙, 즉 평의회의 정부 임명 및 해임, 정부에 대한 의회 감시가 처음 확립되었다.[19]

국민평의회는 1920년 3월 27일 새 수도 티라나에서 처음 회의를 열었다. 첫 회의는 Mytesim Këlliçi가 주재했고, 투표로 Xhemal Naipi가 국민평의회 의장으로 선출되었다.[20] 최초의 알바니아 입법부는 짧은 활동 기간 동안 헌법 성격의 루시냐 규약과 12월 5일에 통과된 새로운 선거법 등 중요 법률을 통과시켰다. 이 법은 2차 투표를 통한 간접 선거 방식을 확립했다. 1차 투표에서 알바니아 행정구역을 기준으로 500명의 남성마다 대표를 선출하고, 2차 투표에서 이 대표들이 국민평의회 의원 75명을 선출하여, 약 12,000명의 유권자당 1명의 의원이 선출되도록 했다.[21] 이 법은 판 놀리의 ''Partia Popullore''(인민당)와 호지 카드리우, 셰프케트 베를라치의 ''Partia Përparimtare''(진보당) 창당의 길을 열었다.[21] 국민평의회는 1920년 12월 20일에 활동을 종료하고, 1921년 4월 21일 최초의 선거를 위해 해산되었다.[22]

  • 1열: 레오니다 코야, 코초 타시, 무스타파 메를리카-크루야, 카짐 코코시, 로니 크리스토, 바이람 페이지우, 무스타파 막수티, 케말 뮬라이, 세이피 블라마시, 베크타시 차크라니.
  • 2열: 스피로 요르고 콜레카, 슈크 구라쿠키, 마사르 켈리치, 렉젭 미트로비차, 스피로 파파, 아가토클리 지토니, 레오니다 프라셰리, 시르야 포야니, 스타브로 빈자우, 파툭 사라치, 타키 부다, 이브라힘 진디.
  • 3열: 셰프케트 다이우, 알리 켈치라, 콜 타치, 할리트 로지, 바누시 함디 베가, 케말 브리오니, 아흐메트 하스토팔리, 엔드레 므예다, 말릭 부샤티, 판델리 칼레, 안돈 베차.
  • 4열: 루이지 구라쿠키, 게르기 피슈타, 셰프케트 베를라치, 오스만 핵시아, 아흐메트 조골리, 에슈레프 프라셰리.
  • 5열: 람비 고크마니, 바흐리 오마리, 알리 코프렌차, 밀토 투툴라니.

3. 3. 1925년 ~ 1990년

알바니아 공화국 시대에 알바니아는 상원(알바니아어: ''Senati'')과 하원으로 구성된 양원제 입법부를 가지고 있었다.[23] 1928년부터 1939년까지 알바니아 왕국 시대에는 알바니아의 입법부가 단순히 의회(알바니아어: Parlamenti)로 알려져 있었다.[23]

이탈리아의 알바니아 침공 및 1939년-1943년 알바니아 왕국 시대에 알바니아의 입법부는 최고 파시스트 협의회(알바니아어: ''Korporativi i Epërm Fashist'')였다.[23] 1943년부터 1944년까지 나치 독일 점령기와 1943년-1944년 알바니아 왕국 수립 동안, 알바니아의 입법부는 국민의회(알바니아어: ''Kuvendi Kombëtar'')였다.[23] 1944년부터 1945년 후반까지 나치 괴뢰 정부에 반대하는 정치인들에 의해 국민 반파시스트 해방 평의회(알바니아어: ''Këshilli Antifashist Nacional Çlirimtar'')가 구성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의 정권 교체 기간 동안 알바니아의 입법부는 제헌의회(알바니아어: ''Asambleja Kushtetuese'' 또는 ''Kuvendi Kushtetues'')로 알려져 있었다. 이는 1924년 알바니아 공화국 수립 이전, 1928년 알바니아 왕국의 첫 번째 수립 이전, 그리고 1946년부터 1947년까지 알바니아 민주 정부 시대와 알바니아 인민사회주의공화국 수립 이전에 발생했다.[23]

1947년부터 1991년까지 알바니아 인민사회주의공화국 시대에 알바니아의 입법부는 인민의회(알바니아어: ''Kuvendi Popullor'')였다.[23]

4. 권한, 의무 및 책임

알바니아 의회의 권한은 알바니아 헌법에 명시되어 있다. 의회는 대표하는 알바니아 공화국 시민들의 기관으로, 국가의 입법부 역할을 한다. 의회는 매년 두 차례 정기 회의를 소집하는데, 첫 번째 회기는 1월 셋째 주 월요일, 두 번째 회기는 9월 첫째 주 월요일에 시작된다.[28] 그러나 알바니아 대통령, 알바니아 총리 또는 의원 5분의 1 이상의 요청에 따라 임시 회의가 소집될 수 있다.[29] 또한 회의는 공개적으로 진행된다.[30] 의회는 구성원 과반수 이상 출석 하에 과반수 득표로 결정하며, 헌법에서 특별 다수결을 규정한 경우를 제외한다. 하지만 특정 결정은 5분의 3 이상의 득표로 이루어진다.[31]

의회의 다른 권한으로는 알바니아의 경제적, 법적, 정치적 관계 설정, 알바니아의 자연 및 문화 유산 보존 및 활용, 다른 국가와의 동맹 체결 등이 있다. 의회는 대통령을 비밀 투표로, 토론 없이 의원 5분의 3의 득표로 선출한다. 대통령은 의회에 메시지를 전달하고 의회 선거, 지방 자치 단체 선거, 국민투표 실시 시기를 결정한다. 대통령은 의회의 제안에 따라 총리를 임명하며, 총리가 승인되지 않으면 의회는 10일 이내에 다른 총리를 선출한다. 헌법에 명시된 바와 같이, 의회가 승인한 법률을 제외하고는 어떠한 외국 군대도 알바니아 국경 내에 주둔하거나 통과할 수 없다. 따라서 의회는 알바니아군을 국경 밖으로 파병할 권한을 갖는다.[32]

5. 구성

알바니아 의회는 최소 140명의 의원으로 구성되며, 비밀투표로 선출된다.[1] 의원 임기는 4년이지만, 알바니아 대통령이 의회를 조기에 해산하는 등 특정한 경우에는 선거가 더 일찍 치러질 수 있다.[33] 의회는 폐쇄 명부 비례 대표제로 구성되며, 알바니아의 12개 주에 해당하는 12개의 다수 선출구에서 덴트 방식을 통해 의석이 배분된다. 정당은 3%, 선거 전 연합은 5%의 득표율을 충족해야 의석을 확보할 수 있다.[35][36]

5. 1. 선거 제도

알바니아 헌법은 의회가 최소 140명의 의원으로 구성되며, 비밀투표로 선출되고, 그중 100명은 직접 선출된다고 규정하고 있다.[1] 의원 임기는 4년이지만, 알바니아 대통령이 의회를 조기에 해산하는 비교적 드문 경우에는 선거가 더 일찍 치러질 수 있다.[33] 의회는 총리가 의회에서 불신임 투표에서 패배했을 경우, 의회가 새로운 총리를 선출하기 전에 총리의 권고가 이루어지고 수락된다면 대통령에 의해 해산될 수 있다.[34] 의회 선거는 임기 만료 30일에서 60일 전에 실시되며, 의회 해산 후 최대 45일 이내에 실시된다.

선거 제도는 폐쇄 명부 비례 대표제이다. 알바니아의 12개 주에 해당하는 12개의 다수 선출구가 있다. 좌석은 2.5%의 선거 기준을 적용한 덴트 방식을 사용하여 배분된다. 어떤 선출구에서든 정당은 3%의 득표율을, 선거 전 연합은 5%의 득표율을 충족해야 한다.[35][36]

5. 2. 최근 구성 (2021년 총선 결과)

2021년 4월 25일에 치러진 2021년 알바니아 총선 결과, 사회당(PS)과 민주당(PD)이 알바니아 의회의 주요 정당으로 구성되었다.

다음은 2021년 총선 결과에 따른 정당별 의석 현황이다.

이름약칭창당대표이념의원 수
알바니아 사회당PS1991년 8월 15일에디 라마사회민주주의, 제3의 길, 진보주의, 좌파, 서구, 근대주의, 사회자유주의74
알바니아 민주당 & 변화를 위한 연합PD & AN1990년 12월 19일공석자유보수주의, 보수주의, 민족주의, 친유럽주의, 우파, 신자유주의59
알바니아 자유당PL2004년 9월 23일일리르 메타사회민주주의, 진보주의, 좌파4
알바니아 사회민주당PSD1991년 4월 23일톰 도시사회민주주의, 좌파3



의석 수에 따른 정당 분류는 다음과 같다.

연합정당의석 수
사회당 (PS)74
rowspan="8"변화를 위한 연합민주당 (PD)49
공화당 (PR)3
정의, 통합, 연합당 (PDIU)2
합법성 운동당 (PLL)2
환경 농민당 (PAA)1
국가 발전 운동 (LZHK)1
인권을 위한 연합당 (PBDNJ)1
총 의석 수58
알바니아 자유당 (PL)4
사회민주당 (PSD)3
무소속1
총계140


6. 위원회

의회 위원회는 그 양으로 인해 의회가 직접 처리할 수 없는 특정 정책, 정부 행정 또는 성과 문제를 조사한다. 위원회는 조직과 개인이 정책 입안에 참여하고 그들의 의견을 공개 기록에 남기며, 의사 결정 과정의 일부로 고려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37]

알바니아 의회에는 다음과 같은 위원회가 있다.[37]


  • 법무, 공공행정 및 인권 위원회
  • 유럽 통합 위원회
  • 외교 위원회
  • 경제 및 재정 위원회
  • 국가 안보 위원회
  • 생산 활동, 무역 및 환경 위원회
  • 노동, 사회 및 보건 위원회
  • 교육 및 공공 정보 미디어 위원회

7. 역대 의회 (1920년 ~ 현재)

회기의회임기의원 수정당 수
제1회국민평의회1920년 3월 27일1920년 12월 20일370
제2회국민평의회1921년 4월 21일1923년 9월 30일652
제3회헌법회의1924년 1월 21일1924년 6월 2일952
제4회하원 – 상원1925년 6월 1일1928년 6월 7일46/160
제5회제헌의회/의회1928년 8월 25일1932년 5월 11일490
제6회의회1932년 11월 21일1936년 11월 16일540
제7회의회1937년 2월 10일1939년 4월 7일570
제8회헌법회의1939년 4월 12일1940년 4월 3일1621
제9회상위 파시스트 협의회1940년 4월 17일1943년 7월 31일691
제10회국민의회/의회1943년 10월 16일1944년 9월 14일1930
반파시스트 민족해방평의회1944년 5월 28일1945년 12월 22일1191
제11회헌법회의/인민회의1946년 1월 10일1950년 1월 21일1011
제12회인민회의1950년 6월 28일1954년 4월 14일1161
제13회인민회의1954년 7월 19일1958년 2월 21일1291
제14회인민회의1958년 6월 21일1962년 6월 3일1801
제15회인민회의1962년 7월 14일1966년 3월 12일2101
제16회인민회의1966년 9월 9일1970년 5월 4일2341
제17회인민회의1970년 11월 20일1974년 6월 19일2611
제18회인민회의1974년 10월 28일1978년 2월 21일2381
제19회인민회의1978년 12월 25일1982년 7월 14일2501
제20회인민회의1982년 11월 22일1987년 1월 10일2501
제21회인민회의1987년 2월 19일1990년 11월 13일2501
제22회헌법회의1991년 4월 15일1992년 2월 4일2503
제23회인민회의1992년 4월 6일1996년 3월 29일1405
제24회인민회의1996년 7월 1일1997년 5월 15일1405
제25회의회1997년 7월 23일2001년 5월 17일15013
제26회의회2001년 9월 3일2005년 5월 20일14012
제27회의회2005년 9월 2일2009년 5월 14일14012
제28회의회2009년 9월 7일2013년 5월 25일1406
제29회의회2013년 9월 9일2017년 5월 8일1406
제30회의회2017년 9월 9일2021년 7월 7일1405
제31회의회2021년 9월 10일현직14010


8. 개회 시 의장 의원

날짜의장 의원나이
1920년 3월 27일미테심 켈리치(Mytesim Këlliçi)53/54세
1921년 4월 21일판델리 에반젤리(Pandeli Evangjeli)62세
1924년 1월 21일페트로 포가(Petro Poga)63/64세
1925년 6월 1일요르지 차코(Jorgji Çako)76/77세
1928년 8월 25일판델리 에반젤리(Pandeli Evangjeli)69세
1932년 11월 21일페트로 포가(Petro Poga)71/72세
1937년 2월 10일페트로 포가(Petro Poga)76/77세
1939년 4월 12일자페르 이피59세
1940년 4월 17일테렌츠 토치(Terenc Toçi)60세
1943년 10월 16일레프 노시(Lef Nosi)66세
1946년 1월 10일페트락 포파(Petraq Popa)67세
1950년 6월 28일페트락 포파(Petraq Popa)72세
1954년 7월 19일알렉산더 즈후바니(Aleksandër Xhuvani)74세
1958년 6월 21일코초 타슈코(Koço Tashko)58세
1962년 7월 14일스피로 모이시우(Spiro Moisiu)62세
1966년 9월 9일스피로 모이시우(Spiro Moisiu)66세
1970년 11월 20일스피로 모이시우(Spiro Moisiu)70세
1974년 10월 28일질리프타르 벨레슈냐(Zylyftar Veleshnja)72세
1978년 12월 25일필로 페리스테리(Pilo Peristeri)69세
1982년 11월 22일셰프켓 페치(Shefqet Peçi)76세
1987년 2월 19일스피로 콜레카(Spiro Koleka)78세
1991년 4월 15일아딜 차르차니(Adil Çarçani)69세
1992년 4월 6일피에테르 아르브노리(Pjetër Arbnori)57세
1996년 7월 1일사브리 고도(Sabri Godo)67세
1997년 7월 23일드리트로 아골리(Dritëro Agolli)66세
2001년 9월 3일세르베트 펠룸비(Servet Pëllumbi)65세
2005년 9월 2일루프테르 즈후벨리(Lufter Xhuveli)64세
2009년 9월 7일파토스 베야(Fatos Beja)61세
2013년 9월 9일나믹 도클레(Namik Dokle)67세
2017년 9월 9일베스닉 바라이(Besnik Baraj)61세
2021년 9월 10일룰제타 보조(Luljeta Bozo)78세


참조

[1] 웹사이트 1998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Albania http://www.osce.org/[...]
[2] 웹사이트 1998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Albania http://www.osce.org/[...]
[3] 웹사이트 1998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Albania http://www.osce.org/[...]
[4] 웹사이트 1998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Albania http://www.osce.org/[...]
[5] 웹사이트 CRL Foreign Official Gazette Database – Albania http://www-apps.crl.[...] 2017-06-20
[6] 웹사이트 Kuvendi i Lezhës (1444) http://www.letersia.[...]
[7] 서적 Etnografi e të folurit të shqipes: (përmbledhje studimesh socio dhe etnolinguistike) https://www.worldcat[...] Shtëpia Botuese e Librit Universitar 2004
[8] 서적 The Unwritten Law in Alban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12-03
[9] 웹사이트 Albania and Albanian Identities http://www.omda.bg/i[...] International Center for Minority Studies and Intercultural Relations 2011-01-24
[10] 서적 Encyclopedia of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Houghton Mifflin company 2011-01-24
[11] 서적 Mehmed the Conqueror and His Time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2] 서적 Catholics and Sultans: The Church and the Ottoman Empire 1453–1923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06-22
[13] 서적 Islam, Religions, and Pluralism in Europe Springer
[14] 서적 Kastriotët në Dardani Albanica
[15] 웹사이트 Statuti Organik i Shqipërisë https://constitution[...] 1914-04-10
[16] 서적 Gjurmime albanologjike: Seria e shkencave historike https://books.google[...] Instituti 1985
[17] 서적 Lufta çlirimtare antiimperialiste e popullit shqiptar në vitet 1918-1920 https://books.google[...] Universiteti Shtetëror i Tiranës, Instituti i Historisë dhe i Gjuhësisë 1969
[18] 서적 Studime historike https://books.google[...] Akademia e Shkencave, Instituti i Historisë. 1990
[19] 서적 The Balkans Since 1453 https://books.google[...] Hurst 2000
[20] 서적 History of the Balkans: Twentieth century. 2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
[21] 서적 Founding a Balkan State: Albania's Experiment with Democracy, 1920-1925 https://www.jstor.or[...]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12
[22] 웹사이트 Partitë politike në Shqipëri https://shtetiweb.or[...] 2021-10-17
[23] 웹사이트 Kronologji e legjislaturave në Shqipëri (Chronology of legislatures in Albania) https://www.parlamen[...] Albanian Parliament 2016-06-07
[24] 서적 Albanian-English, English-Albanian Standard Dictionary Hippocrene Books 2003
[25] 서적 Albanian-English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26] 웹사이트 Republic of Albania Parliament https://www.parlamen[...] Albanian Parliament 2016-06-07
[27] 뉴스 A cyberattack blocks Albania's Parliament https://apnews.com/a[...] Albanian Parliament 2023-12-27
[28] 웹사이트 1998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Albania http://www.osce.org/[...]
[29] 웹사이트 1998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Albania http://www.osce.org/[...]
[30] 웹사이트 1998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Albania http://www.osce.org/[...]
[31] 웹사이트 1998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Albania http://www.osce.org/[...]
[32] 웹사이트 1998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Albania http://www.osce.org/[...]
[33] 웹사이트 1998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Albania http://www.osce.org/[...]
[34] 웹사이트 1998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Albania http://www.osce.org/[...]
[35] 웹사이트 IFES Election Guide - Country Profile: Albania http://www.electiong[...] 2017-06-25
[36] 서적 The Electoral Code of the Republic of Albania (English translation by OSCE) http://www.osce.org/[...] 2014-09-22
[37] 웹사이트 Komisionet https://www.parlamen[...]
[38] 뉴스 Albania’s democracy hangs by a thread as opposition quits parliament, launches mass protests · Global Voices https://globalvoices[...] 2019-02-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