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판 놀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판 놀리는 1882년 오스만 제국에서 태어난 알바니아계 미국인으로, 알바니아 정교회 주교이자 정치인, 작가, 외교관이었다. 그는 하버드 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에서 알바니아 민족주의 운동에 참여했으며, 1920년대 알바니아 정치에 참여하여 총리직을 역임했다. 알바니아 정교회의 독립을 주도하고 알바니아어 사용을 장려했으며, 알바니아 문학 발전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판 놀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24년경 놀리
본명테오판 스틸리안 놀리
다른 이름(판 놀리)
출생일1882년 1월 6일
출생지이브리크테페, 빌라예트 오브 아드리아노플, 오스만 제국
사망일1965년 3월 13일
사망지포트 로더데일, 플로리다, 미국
직업작가, 주교, 번역가, 작곡가, 정치인
종교정교회
정치 경력
소속 정당알바니아 인민당, 알바니아 민주인민당
학력
모교하버드 대학교, 보스턴 대학교
종교 경력
직위알바니아 정교회 코르차 주교 및 두러스 대주교
임기 시작1923년 11월 21일
임기 종료미상
정치 경력
직위알바니아 총리
임기 시작1924년 6월 16일
임기 종료1924년 12월 23일
군주빌헬름 1세
이전일리아스 브리오니
이후일리아스 브리오니

2. 생애

판 놀리는 1882년 오스만 제국 에디르네의 이브리크테페에서 태어났다. 젊은 시절 그리스 아테네이집트 알렉산드리아에서 배우와 번역가로 활동했다. 1906년 미국으로 건너가 1912년 하버드 대학교를 졸업했다.

알바니아 귀국 후, 아흐메트 조구(후일 국왕 조구 1세)에 대한 1924년 쿠데타를 주도하여 신정부의 수상이 되었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조구의 반격으로 실각하고, 미국으로 망명하였다.

그의 생애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시기주요 활동
1882년 ~ 1906년출생 및 초기 생애 (오스만 제국, 그리스, 이집트)
1906년 ~ 1920년미국 이주 및 알바니아 민족주의 운동 참여
1921년 ~ 1965년알바니아 정치 활동, 망명 및 사망



놀리는 알바니아 의회에서 "인민당"(Partia e Popullitsq) 대표로 활동했으며,[29] 1924년에는 총리 겸 섭정으로 임명되기도 했다.[37] 그러나 그의 정부는 그해 크리스마스 이브에 조구에게 충성하는 세력에 의해 전복되었다.[38] 이후 놀리는 미국으로 돌아와 조구에 대한 공화주의적 반대 운동을 펼치며,[41] 알바니아 정교회 발전에 힘썼다. 1965년 플로리다주 포트 로더데일에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1882년 ~ 1906년)

1882년 오스만 제국의 아드리아노플주(오늘날의 터키) 이브리크테페에서 테오파니스 스틸리아노스 마브로마티스라는 이름으로 태어났다. 이곳은 퀴테자 출신의 알바니아인들이 정착한 곳이었다.[5][6][7][8][9][10][11][12][13] 그는 알바니아인[14][15] 동방 정교회 신자였다. 놀리는 지역 분쟁으로 인구가 감소한 남부 알바니아 지역에서 도망쳐 트라키아에 재정착한 정교 알바니아 기독교인 정착민의 후손이었다.[16]

젊은 시절 놀리는 그리스 초등학교와 중등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42] 청년 시절에는 그리스 아테네, 이집트 알렉산드리아, 러시아 오데사 등 지중해 지역을 떠돌며 배우와 번역가로 생계를 유지했다. 그는 모국어인 알바니아어뿐만 아니라 그리스어, 영어, 프랑스어, 터키어, 아랍어 등 여러 언어를 구사했다.[21] 교사가 되기 위해 아테네로 갔고, 그곳에서 테오파니스 마브로마티스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그 후 교사 또는 이집트 알바니아 디아스포라의 극단 단원으로 가서 알바니아 민족주의 프로그램을 따랐다.[17] 알바니아 망명 운동과의 접촉을 통해 조국의 민족주의 운동에 열렬한 지지자가 되었고 1906년 미국으로 이주했다.[18]

2. 2. 미국 이주와 알바니아 민족주의 운동 (1906년 ~ 1920년)

1906년 놀리는 미국으로 이주하여 처음에는 뉴욕주 버펄로에서 제재소 노동자로, 이후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에서 캔 라벨 부착 기계 조작원으로 일했다.[21] 그는 알바니아 망명 운동에 참여하며 조국의 민족주의 운동에 열렬한 지지자가 되었다.[18] 당시 청년 투르크당은 놀리와 같이 외부 세력의 지원을 받아 정치 활동을 하는 알바니아 지도자들을 적대시했다.[19]

보스턴의 초기 정교회 알바니아인들은 그리스 정교회 소속이었으나, 그리스 정교회 지도부는 알바니아 민족주의 운동을 격렬히 반대했다. 1908년, 허드슨 사건이 발생했다. 젊은 공장 노동자 크리스탁 디쉬니차가 인플루엔자로 사망했으나, 정교회 알바니아인이라는 이유로 그리스 정교회에서 자동 파문되었다는 이유로 장례를 거부당했다. 이에 놀리와 뉴잉글랜드의 알바니아 이민자들은 독립적인 알바니아 정교회 설립을 추진했다.[20][42] 놀리는 미국 러시아 정교회의 플라톤 대주교에게서 서품을 받고 알바니아 정교회의 첫 성직자가 되었다.[21][42][22] 그는 정교회 전례를 그리스어 원문에서 토스크 알바니아어로 번역하여 알바니아 정교회 내 그리스의 영향력을 줄이고, 정교회 알바니아인들이 종파적인 메갈리 아이디어에 휩쓸리지 않고 세속 공화국에서 그리스 이웃과 공존할 권리를 옹호하고자 했다.[23] 놀리는 알바니아의 애국적 단결과 종교와 국가의 분리를 지지했으며, 알바니아어를 유창하게 구사하고 알바니아 시민권을 가진 성직자가 종교직을 맡아야 한다고 주장했다.[24]

1912년, 놀리는 하버드 대학교에서 문학사 학위를 취득했다. 같은 해, 그는 파이크 코니차와 함께 범알바니아계 미국인 연합인 '바트라'(Vatra)를 설립하고 지도자로서 오스만 제국에 대한 알바니아의 사회 정치적 자결권을 옹호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미국에서 바트라 조직을 이끌며 알바니아 독립을 위한 외교 활동을 펼쳤고, 우드로 윌슨 대통령의 알바니아 독립 지지를 확보하는 데 기여했다.

2. 3. 알바니아 정치 활동과 망명 (1921년 ~ 1965년)

1921년, 놀리는 알바니아 의회에 친영국적인 자유주의 정당인 "인민당"(Partia e Popullitsq) 대표로 입성했다.[29] 이 당은 알바니아에서 가장 중요한 자유주의 운동이었다.[29] 메흐디 프라셰리가 창당하고 아흐메트 조구가 이끄는 친이탈리아 보수 정당인 "진보당"(Partia Përparimtaresq)과 자페르 이피의 "국민당"()도 있었다.[29] 조구의 보수 세력이 정치 무대를 장악했다.[30][31] 1922년 베라트 회의에서 알바니아 정교회의 독립이 공식적으로 선언되었고, 놀리는 코르차 주교이자 알바니아 전체의 수장으로 성성되었다.[20][32]

놀리는 자페르 이피 정부에서 잠시 외무 장관을 역임했다.[33] 이 시기는 자유주의자와 보수주의자 사이의 격렬한 혼란기였다.[34] 아브니 루스테미 암살 사건 이후, 자유주의 지지자들은 봉기했고, 아흐메트 조구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으로 도망갔다.[35][36] 1924년 6월 16일, 놀리는 총리 겸 섭정으로 임명되었다.[37]

놀리는 국가 개혁을 위해 "20개조 강령"을 발표했지만, 그해 크리스마스 이브에 조구에게 충성하는 세력에 의해 정부가 전복되었다.[38] 2주 후, 조구가 알바니아로 돌아왔고, 놀리는 사형 선고를 받고 이탈리아로 망명했다.[39]

놀리는 비엔나에서 "국민 위원회"(Komiteti Nacional Revolucionarsq, KONARE)를 설립했다.[40] 이 위원회는 "국민의 자유"(Liria Kombëtaresq)라는 정기 간행물을 발행했다.[40] KONARE는 코민테른과 코소보 국방 위원회로부터 재정 지원을 받았다.[40] 1928년, KONARE는 "국민 해방 위원회"(Komiteti i Çlirimit Kombëtarsq)로 이름을 변경했다.[41]

1932년, 놀리는 미국으로 돌아와 조구 1세에 대한 공화주의적 반대 운동을 펼쳤다.[41] 비잔틴 음악을 연구하고, 알바니아 정교회 발전에 힘썼다.

1945년, 보스턴 대학교에서 스칸데르베그 연구로 역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42][43][44] 루트비히 판 베토벤 전기를 출판하고, 1947년에는 "스칸데르베그" 교향곡을 작곡했다.

놀리는 엔베르 호자 공산주의 정권과 관계를 맺고, 미국 정부에 정권 인정을 촉구하기도 했다.

1965년, 플로리다주 포트 로더데일에서 사망했다.

3. 사상과 신념

판 놀리는 정치, 종교,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자신만의 뚜렷한 사상과 신념을 가졌다. 그는 중도진보적이고 사회 자유주의적인 정치 신념을 바탕으로 민주주의와 공화주의를 옹호했으며, 알바니아의 독립과 발전을 위해 노력했다.

3. 1. 정치적 신념

판 놀리는 중도진보적이고 사회 자유주의적인 정치 신념을 가졌다. 그는 민주주의와 공화주의를 옹호했으며, 아흐메트 조구의 왕정 복귀에 반대하는 반(反)조기스트, 반봉건적 입장을 취했다.[45] 놀리는 사회 개혁과 정의 실현을 추구했으며, 알바니아의 독립과 발전을 위해 노력했다.

놀리는 알바니아 의회에서 "인민당"(Partia e Popullitsq)을 대표하는 자유주의 정치인이었다.[29] 그는 자유주의자와 보수주의자 간의 갈등 속에서 아브니 루스테미 암살 사건 이후 조구에 대항하는 봉기를 이끌기도 했다.[35][36] 총리 겸 섭정으로 임명된 후에는 국가 개혁을 추진했지만, 조구 세력에 의해 정부가 전복되면서 이탈리아로 망명해야 했다.[37][38][39]

망명 중에도 놀리는 "국민 위원회"(KONARE)를 설립하여 조구 정권에 저항하고 민주주의 회복을 위한 활동을 펼쳤다.[40] 미국으로 돌아온 후에는 조구에 대한 공화주의적 반대 세력을 형성하고, 알바니아 정교회를 발전시키는 데 힘썼다.[41]

4. 업적과 유산

판 놀리는 정치, 종교, 학문, 문학 등 다방면에서 업적을 남겼다.

정치 분야에서는 1920년대 알바니아 정계에서 자유주의 정치인으로 활동하며 외무 장관과 총리 겸 섭정을 지냈다. 아흐메트 조구의 보수 세력에 맞서 민주주의를 옹호하고 국가 개혁을 시도했으나, "20개조 강령"은 큰 호응을 얻지 못하고 조구 세력에 의해 축출되었다.[38] 이후 망명하여 KONARE를 조직, 조구 정권에 저항했으나 큰 영향력은 없었다.[40]

종교 분야에서는 허드슨 사건을 계기로 독립적인 알바니아 정교회 설립을 주도했다.[20][42] 알바니아 정교회 자치와 정교회 전례의 알바니아어 번역을 통해 알바니아 내 그리스 영향력을 줄이고자 했다.[23]

학문 및 문학 분야에서는 스칸데르베그와 루트비히 판 베토벤을 연구하고, 셰익스피어 등 작품을 알바니아어로 번역해 알바니아 문학 발전에 기여했다.[44][45] 또한, "깃발 찬가", "그리스도의 행진" 등 여러 시를 창작해 반봉건 사상을 알렸다.[45]

놀리의 시 목록은 다음과 같다.


4. 1. 정치 및 외교

1921년, 놀리는 친영국적인 자유주의 정당인 "인민당"(Partia e Popullit|파르티아 에 포풀리트sq)의 대표로 알바니아 의회에 입성했는데, 이 당은 알바니아에서 가장 중요한 자유주의 운동이었다.[29] 다른 정당으로는 메흐디 프라셰리가 창당하고 아흐메트 조구가 이끄는 친이탈리아 보수 정당인 "진보당"(Partia Përparimtare|파르티아 퍼르파림타레sq)과 자페르 이피의 "국민당"(Partia Popullore|파르티아 포풀로레sq)이 있었다. 조구의 보수 세력이 정치 무대를 장악하게 된다.[30][31]

놀리는 자페르 이피 정부에서 잠시 외무 장관을 역임했다.[33] 이 시기는 자유주의자와 보수주의자 사이의 격렬한 혼란의 시기였다.[34] 조구에 대한 암살 시도가 실패한 후, 보수주의자들은 또 다른 인기 있는 자유주의 정치인인 아브니 루스테미를 암살함으로써 복수했다.[35] 루스테미의 장례식에서 놀리의 연설은 너무 강력하여 자유주의 지지자들이 조구에 대항하여 봉기했고 조구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으로 도망가게 되었다(1924년 3월).[36] 조구의 뒤를 그의 장인인 셰프케트 벰라치와 자유주의 정치인 일리야즈 브리오니가 잠시 이었고, 놀리는 1924년 6월 16일에 총리이자 섭정으로 임명되었다.[37]

놀리가 국가 개혁을 위해 노력했음에도 불구하고 놀리의 "20개조 강령"은 인기를 얻지 못했고, 그의 정부는 그해 크리스마스 이브에 조구에게 충성하는 세력에 의해 전복되었다.[38] 2주 후, 조구가 알바니아로 돌아왔고, 놀리는 사형 선고를 받고 이탈리아로 도망쳤다.[39]

놀리는 비엔나에서 "국민 위원회"(Komiteti Nacional Revolucionar|코미테티 나치오날 레볼루치오나르sq)를 설립했으며, KONARE라고도 알려져 있다. 이 위원회는 "국민의 자유"(Liria Kombëtare|리리아 콤버타레sq)라는 정기 간행물을 발행했다. 할림 제로 또는 리자 체로바와 같은 초기 알바니아 공산주의자들 중 일부는 이곳에서 출판 활동을 시작했다. 이 위원회는 조구와 그의 세력을 전복하고 민주주의를 회복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위원회의 알바니아 내 접근성과 영향력은 제한적이었다. 코스타 보스냐쿠, 오래된 공산주의자이자 KONARE 회원인 그의 개입으로 이 조직은 코민테른으로부터 무조건적인 재정 지원을 받게 되었다. 또한 놀리와 보스냐쿠는 조구에 의해 불법화된 코소보 국방 위원회의 망명 회원들이 동일한 재정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40]

1928년, KONARE는 "국민 해방 위원회"(Komiteti i Çlirimit Kombëtar|코미테티 이 칠리리미트 콤버타르sq)로 이름을 변경했다. 한편, 알바니아에서는 3년간의 공화정 이후 "국민 의회"가 알바니아를 입헌 군주제로 선포했고, 아흐메트 조구가 왕이 되었다.[41]

1912년 4월, 바트라(Hearth)라는 알바니아계 미국인 디아스포라 단체가 설립되었고, 놀리와 파이크 코니차가 지도자로 활동하며 오스만 제국에 대한 알바니아의 사회 정치적 자결권을 옹호했다.[25] 그는 알바니아 독립을 촉진하기 위해 유럽으로 돌아갔고, 1913년에 처음으로 알바니아 땅을 밟았다.[26] 놀리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미국으로 돌아와 바트라 조직의 수장으로 활동했으며, 이는 그를 알바니아 디아스포라의 지도자로 만들었다.[26] 그는 미국과 제네바에서 외교적 노력을 기울여 우드로 윌슨 대통령으로부터 독립 알바니아에 대한 지지를 얻었고, 1920년에는 신생 국제 연맹의 새로운 회원국 자격을 획득했다.[27] 알바니아는 이미 1912년에 독립을 선언했지만, 국제 연맹 가입은 그 전까지 얻지 못했던 국제적 인정을 제공했다.[28]

전쟁 후, 놀리는 1944년 권력을 장악한 엔베르 호자의 공산주의 정부와 일부 관계를 맺었다. 그는 미국 정부에 그 정권을 인정해 줄 것을 설득했지만, 호자의 종교 탄압이 증가하면서 놀리의 교회는 알바니아의 정교회 계층과의 관계를 유지할 수 없게 되었다.

4. 2. 종교

보스턴의 초기 정교회 알바니아인들은 그리스 정교회에 속해 있었으나, 그리스 정교회 지도부는 알바니아 민족주의 운동을 강하게 반대했다. 젊은 노동자 크리스탁 디쉬니차가 인플루엔자로 사망했을 때, 그리스 정교회는 그가 정교회 알바니아인이라는 이유로 자동 파문되었다며 장례를 거부했다. 이에 판 놀리와 뉴잉글랜드의 알바니아 이민자들은 독립적인 알바니아 정교회를 세우기 시작했다. 허드슨 사건으로 알려진 이 사건은 알바니아 정교회 독립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20][42]

놀리는 1908년 미국 러시아 정교회의 플라톤 대주교에게 서품을 받아 새 교회의 첫 성직자가 되었다.[21][42][22] 그는 알바니아 정교회의 자치 승인을 얻고 정교회 전례를 그리스어에서 토스크 알바니아어로 번역하여, 알바니아 정교회 내 그리스의 영향력을 약화시키려 했다. 놀리는 알바니아인들이 종파적인 메갈리 아이디어에 영향을 받지 않고 세속 공화국에서 그리스 이웃과 공존할 권리를 옹호했다.[23]

놀리는 종교와 국가의 분리를 지지했으며, 알바니아어를 유창하게 구사하고 알바니아 시민권을 가진 성직자가 종교직을 맡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24]

4. 3. 학문 및 문학

놀리는 역사, 음악, 문학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했다. 보스턴 대학교에서 역사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스칸데르베그에 대한 논문을 썼다.[42][43][44] 또한 루트비히 판 베토벤에 대한 전기를 출판하고, "스칸데르베그"라는 단악장 교향곡을 작곡하기도 했다.[44]

놀리는 셰익스피어, 오마르 카이얌, 빈센테 블라스코 이바녜스 등의 작품을 알바니아어로 번역하여 알바니아어 발전과 알바니아 문학 발전에 기여했다.[45] 특히 그의 반조기스트, 반봉건적 시들은 젊은이들에게 영감을 주었다.[45]

놀리는 시 창작에도 힘써 '깃발 찬가', '그리스도의 행진' 등 여러 편의 시를 남겼다.[45]

다음은 놀리가 쓴 시 목록이다.


5. 평가

판 놀리는 알바니아의 독립과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한 인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지만, 현실 정치에서는 한계를 보였다는 비판도 동시에 받는다.
긍정적 평가


  • 알바니아 독립과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 1912년 바트라를 설립하고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알바니아의 자결권을 옹호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외교적 노력을 통해 알바니아를 국제 연맹에 가입시키는 데 성공했다.[25][27][28]
  • 알바니아 정교회 독립과 발전에 헌신: 1922년 베라트 회의를 통해 알바니아 정교회의 기반을 마련하고 코르차의 주교이자 알바니아 전체의 수장으로 성성되었다.[20][32]
  • 알바니아어와 알바니아 문학 발전에 공헌: 셰익스피어, 오마르 카이얌 등의 작품을 알바니아어로 번역하여 알바니아 문학의 지평을 넓혔다.[45]
  • 혁명적 민주주의자: 1924년 총리 겸 섭정으로 임명되어 민주주의 회복을 위해 노력했다.[33][37]


1996년 100 레케 지폐에 있는 놀리.


알바니아 지도자 엔베르 호자는 놀리를 "이 세기의 시작을 대표하는 저명한 정치적, 문학적 인물 중 한 명"이라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45] 판 놀리는 1996년 발행된 알바니아 100 레크 지폐 앞면에 등장하기도 했다.[46]
부정적 평가

  • 현실 정치의 한계: 1924년 6월 혁명으로 집권했으나, 급진적인 개혁 정책은 아흐메트 조구 세력의 저항에 직면하여 짧은 기간 만에 실각하고 망명길에 오르게 되었다.[38][39]

5. 1. 긍정적 평가

판 놀리는 알바니아의 독립과 민주주의 발전에 크게 기여한 애국적인 지도자로 평가받는다. 1912년 바트라를 설립하고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알바니아의 자결권을 옹호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미국과 제네바에서 외교적 노력을 통해 우드로 윌슨 대통령의 지지를 얻어내고 알바니아를 국제 연맹에 가입시키는 데 성공했다.[25][27][28]

또한 놀리는 알바니아 정교회의 독립과 발전에 헌신한 종교 지도자였다. 1922년 베라트 회의를 통해 알바니아 정교회의 기반을 마련하고 코르차의 주교이자 알바니아 전체의 수장으로 성성되어, 교회를 통해 알바니아의 국가적 단결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20][32]

놀리는 알바니아어와 알바니아 문학 발전에 공헌한 학자, 번역가, 작가이기도 했다. 셰익스피어, 오마르 카이얌, 블라스코 이바녜스 등의 작품을 알바니아어로 번역하여 알바니아 문학의 지평을 넓혔으며, 그의 원작 시와 반조기스트, 반봉건적 비가는 젊은 세대에게 큰 영감을 주었다.[45]

정치적으로는 혁명적 민주주의자로 존경받았다. 자페르 이피 정부에서 외무 장관을 역임하고, 1924년에는 총리 겸 섭정으로 임명되어 민주주의 회복을 위해 노력했다.[33][37] 비록 그의 개혁은 실패했지만, 그의 반조기스트, 반봉건적 정치 활동은 알바니아 인민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알바니아 지도자 엔베르 호자는 놀리에 대해 "이 세기의 시작을 대표하는 저명한 정치적, 문학적 인물 중 한 명"이라며, "그의 삶의 결산은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또한 "그는 알바니아어의 저명한 홍보자였으며, 그의 원작과 번역은 불멸"이라고 덧붙였다.[45]

이러한 업적을 바탕으로 판 놀리는 1996년 발행된 알바니아 100 레크 지폐 앞면에 등장하기도 했다.[46]

5. 2. 부정적 평가

판 놀리는 이상주의적인 정치가였지만, 현실 정치에서는 한계를 보였다. 1924년 6월 혁명으로 집권했으나, 그의 급진적인 개혁 정책은 알바니아 사회의 보수적인 세력의 반발을 샀다. 특히 아흐메트 조구 세력의 저항에 직면하여, 짧은 기간 만에 실각하고 망명길에 오르게 되었다.[38][39] 그의 정치적 이상은 높았지만, 당시 알바니아의 복잡한 정치 현실을 극복하기에는 역량이 부족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참조

[1] 서적
[2] 간행물 Renegotiating the Empire, Forging the Nation-State: The Albanian Case through the Political Economic Thought of Ismail Qemali, Fan Noli, and Luigj Gurakuqi, c. 1890–1920s https://www.cambridg[...] 2020
[3] 서적
[4] 서적 English Language Bible Translators McFarland and Co.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Orthodox America, 1794–1976: Development of the Orthodox Church in America https://books.google[...] Orthodox Church in America, Department of History and Archives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Preparation for a Revolution: The Young Turks, 1902-1908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44] 웹사이트 George Castrioti Scanderbeg (1405-1468) https://archive.org/[...] 2018-02-21
[45] 웹사이트 Ditar: 1965 http://enver-hoxha.n[...] 8 Nëntori Publishing House
[46] 웹사이트 Banknotes Withdrawn from Circulation https://web.archive.[...] Bank of Albania 2009-03-23
[47]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