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지못하는 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지 못하는 신은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서 숭배되었던 미지의 신을 지칭하며, 기독교의 사도 바울이 아테네에서 '알지 못하는 신에게'라고 적힌 제단을 발견하고 설교한 일화가 사도행전에 기록되어 있다. 1820년 로마 팔라티노 언덕에서 '알지 못하는 신'에게 바쳐진 제단이 발견되기도 했다. 고대 이집트의 아문, 신플라톤주의의 '하나' 또한 알 수 없는 신으로 여겨진다.

2. 고대 그리스와 로마

1820년 로마 팔라티노 언덕에서 '알지 못하는 신'에게 바쳐진 제단이 발견되었다. 이 제단에는 다음과 같은 라틴어 비문이 새겨져 있다.[8]

SEI·DEO·SEI·DEIVAE·SAC
G·SEXTIVS·C·F·CALVINVSPR
DE·SENATI·SENTENTIA
RESTITVITla

이는 "신이든 여신이든 신성한 것, 가이우스 섹스티우스 칼비누스, 가이우스의 아들, 법무관(프라에토르), 원로원의 결정에 따라 이것을 복원했다"로 번역될 수 있다.[8]

이 제단은 현재 팔라티노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9]

알지 못하는 신에게 바쳐진 제단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서는 혹시라도 숭배에서 누락될 수 있는 신에 대한 경외심을 표현하기 위해 이와 같은 '알지 못하는 신'에게 바쳐진 제단을 만드는 경우가 있었다.

2. 1. 아테네의 알지 못하는 신

기독교의 신약 성경에 포함된 사도행전에 따르면, 사도 바울은 아테네에서 '알지 못하는 신에게'라고 새겨진 제단을 보고 이를 기독교 복음을 전하는 데 활용했다. 그는 아테네인들에게 그들이 알지 못하고 숭배하던 신이 바로 기독교의 하나님이라고 설명했다.[5]

바울이 야훼의 이름을 부를 수 없었기 때문에, 그의 백성의 관습에 따르면 바울의 아테네 청중들은 그의 하나님을 "탁월한 미지의 신"으로 여겼을 가능성이 있다.[6] 그의 청중들은 또한 새로운 신의 도입을 아이스킬로스의 ''에우메니데스''에 대한 암시를 통해 이해했을 수도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에우메니데스가 전혀 새로운 신이 아니라 새로운 형태로 나타난 푸리아이였던 것처럼, 기독교의 하나님도 새로운 신이 아니라 이미 그리스인들이 알지 못하는 신으로 숭배했던 하나님이었다.[7] 그의 청중들은 또한 사도행전 17장 28절의 인용구가 각각 에피메니데스와 아라투스에게서 온 것임을 인식했을 것이다.

2. 1. 1. 아레오파고 설교

기독교의 신약 성경에 포함된 사도행전에 따르면, 사도 바울이 아테네를 방문했을 때, (아마도 킬론의 사건과 관련된) 신에게 헌정된 비문이 있는 제단을 보았고,[5] 아레오파고스에서 아테네의 엘리트들에게 연설을 해달라는 요청을 받고 아레오파고 설교를 했다.

바울은 아레오파고스 한가운데 서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아테네 사람들아, 나는 모든 일에서 여러분이 매우 종교적임을 압니다. 내가 지나가면서 여러분의 숭배 대상들을 살펴보니 '알지 못하는 신에게'라고 적힌 제단도 있었습니다. 그러므로 여러분이 알지 못하고 숭배하는 것을 내가 여러분에게 알립니다. 세상과 그 안에 있는 모든 것을 만드신 하나님은 하늘과 땅의 주님이시니 손으로 지은 성전에 거하지 않으십니다. 그분은 어떤 것이 필요하다는 듯이 사람의 손으로 섬김을 받지도 않으십니다. 왜냐하면 그분은 모든 사람에게 생명과 호흡과 모든 것을 주시기 때문입니다. 그분은 한 혈통에서 땅의 모든 표면에 살도록 모든 민족을 만드시고, 그들의 거주지를 정하셨으니, 이는 그들이 주님을 찾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어쩌면 그들이 그분을 찾아 발견할 수도 있는데, 그분은 우리 각자에게서 멀리 떨어져 있지 않으십니다. '우리가 그 안에서 살고, 움직이고,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여러분의 시인들 중 일부가 말한 것처럼, '우리도 그의 자손입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하나님의 자손이므로 하나님의 본성은 금이나 은이나 돌과 같다고 생각해서는 안 됩니다. 그것은 인간의 기술과 디자인으로 조각된 것입니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는 무지의 시대를 간과하셨습니다. 그러나 이제 그분은 모든 사람들에게 어디에서나 회개하라고 명하십니다. 이는 그분께서 자신이 임명하신 한 사람이 의로 세상을 심판할 날을 정하셨기 때문입니다. 그분은 그분을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심으로써 모든 사람에게 이 사실을 보증하셨습니다."[5] (사도행전 17:22-31)

바울이 야훼 이름을 부를 수 없었기 때문에, 그의 백성의 관습에 따르면 바울의 아테네 청중들은 그의 하나님을 "탁월한 미지의 신"으로 여겼을 가능성이 있다.[6] 그의 청중들은 또한 새로운 신의 도입을 아이스킬로스의 ''에우메니데스''에 대한 암시를 통해 이해했을 수도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에우메니데스가 전혀 새로운 신이 아니라 새로운 형태로 나타난 푸리아이였던 것처럼, 기독교의 하나님도 새로운 신이 아니라 이미 그리스인들이 알지 못하는 신으로 숭배했던 하나님이었다.[7] 그의 청중들은 또한 28절의 인용구가 각각 에피메니데스와 아라투스에서 온 것임을 인식했을 것이다.

2. 2. 팔라티노 언덕의 제단



1820년 로마 팔라티노 언덕에서 발견된, 알지 못하는 신에게 바쳐진 제단이다. 제단에는 라틴어로 다음과 같은 비문이 새겨져 있다.

:SEI·DEO·SEI·DEIVAE·SACla

:G·SEXTIVS·C·F·CALVINVSPRla

:DE·SENATI·SENTENTIAla

:RESTITVITla

이는 "신이든 여신이든 신성한 것, 가이우스 섹스티우스 칼비누스, 가이우스의 아들, 프라에토르, 원로원의 결정에 따라 이것을 복원했다"로 번역될 수 있다.[8] 현재 팔라티노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9]

3. 고대 이집트

고대 이집트에서 아문은 그의 이름, 정체성, 본질이 알려지지 않은 신이었다.

4. 신플라톤주의

플로티노스에게 현실의 첫 번째 원리는 하나인데, 이는 지극히 단순하고, 형언할 수 없으며, 알 수 없는 실존으로, 우주의 창조적 근원[10]이자 모든 존재의 목적론적 종착점이다.

참조

[1] 서적 Hellenism, Judaism, Christianity: essays on their interaction https://books.google[...] Peeters Publishers
[2] 문서 Pseudo-Lucian, Philopatris, 9.14
[3] 문서 Philostratus, Vita Apollonii 6.3
[4] 문서 Pausanias' Description of Greece in 6 vols, Loeb Classic Library, Vol I, Book I.1.4
[5] 서적 Plutarch's Lives https://books.google[...]
[6] 서적 The image of the Judaeo-Christians in ancient Jewish and Christian literature https://books.google[...] Mohr Siebeck
[7] 서적 Foreign but familiar gods: Greco-Romans read religion in Acts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8] 서적 Ancient Rome: A Sourcebook Routledge
[9] 서적 Pagan and Christian Rome https://penelope.uch[...] Houghton, Mifflin and Company
[10] 간행물 "Theism" and Related Categories in the Study of Ancient Religions Society for Classical Studies 2016-01
[11] 서적 Hellenism, Judaism, Christianity: essays on their interaction https://books.google[...] Peeters Publishers
[12] 문서 Pseudo-Lucian, Philopatris, 9.14
[13] 문서 Philostratus, Vita Apollonii 6.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