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체스테 (글루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체스테》는 크리스토프 빌리발트 글루크가 작곡한 오페라로, 1767년 빈에서 이탈리아어 버전으로 초연되었고, 1776년 파리에서 프랑스어 버전으로 개정되었다. 이 오페라는 오페라 개혁의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으며, 단순하면서도 감동적인 줄거리와 음악으로 등장인물의 감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한다. 빈 초연은 이탈리아어 대본으로 진행되었으며, 파리 개정판에서는 프랑스어 대본으로 재구성되고 헤라클레스가 새로운 등장인물로 추가되었다. 이 작품은 알체스테의 자기희생을 통해 숭고한 사랑을 묘사하며,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등 후대 작곡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주요 음반으로는 1954년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 지휘, 마리아 칼라스 주연의 공연 실황 음반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리스토프 빌리발트 글루크의 오페라 - 오르페오와 에우리디체
    《오르페오와 에우리디체》는 크리스토프 빌리발트 글룩이 작곡한 오페라로, 오페라 개혁을 시도하여 극적 흐름을 강조하고 여성 알토가 오르페오 역을 맡기도 하며, 아내를 잃은 오르페오의 비극적인 이야기를 담고 있다.
  • 크리스토프 빌리발트 글루크의 오페라 - 타우리스의 이피게네이아
    크리스토프 빌리발트 글루크가 작곡하고 에우리피데스의 비극을 원작으로 한 프랑스어 오페라 《타우리스의 이피게네이아》는 가족 간 살육의 악몽에 시달리는 이피게네이아가 타우리스에서 겪는 운명적인 이야기를 그린 작품으로, 초연 후 글루크-피치니 논쟁을 심화시키며 글루크의 오페라 개혁을 구현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알체스테 (글루크)
기본 정보
크리스토프 빌리발트 글루크의 알체스테 포스터
크리스토프 빌리발트 글루크의 알체스테 포스터
원어 제목lang-it|Alceste (이탈리아어)
lang-fr|Alceste (프랑스어)
작곡가크리스토프 빌리발트 글루크
대본가라니에리 데 칼차비지 (이탈리아어)
마리 프랑수아 르블랑 뒤 루예 (프랑스어)
원작에우리피데스알케스티스
언어이탈리아어
프랑스어
초연이탈리아어 버전: 1767년 12월 26일, , 부르크테아터
프랑스어 버전: 1776년 4월 23일, 파리, 팔레 루아얄 극장
음악
장르오페라
형식트라게디 리리크 (프랑스어 버전), 드라마 페르 무지카 (이탈리아어 버전)
악기 편성일반적인 오케스트라, 오보에, 바순, 호른, 트럼펫, 팀파니, 현악기
등장인물
알체스테테살리아의 여왕, 아드메토의 아내 (소프라노)
아드메토테살리아의 왕, 알체스테의 남편 (테너)
대신관(베이스)
에라클레(바리톤)
저승의 신(베이스)
에반드로아드메토의 신하 (테너)
이스메네알체스테의 친구 (소프라노)
아폴로(테너)
코리페오(소프라노)
세 명의 여자(소프라노, 메조소프라노, 알토)
배경
배경고대 페라이

2. 초연 및 개정

1767년 에서 초연된 《알체스테》는 란초 카르자비지가 쓴 이탈리아어 대본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1] 글루크는 1769년 《알체스테》 악보를 출판하면서 오페라 개혁에 대한 자신의 이상을 담은 유명한 서문을 추가했는데, 이는 프란체스코 알가로티의 《음악 오페라에 관한 에세이》(1755)에서 제시된 내용과 일치한다.[1]

서문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다 카포 아리아 금지
  • 성악 즉흥 연주나 과도한 기교 과시 금지
  • 멜리스마 금지
  • 가사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텍스트를 음절적으로 설정
  • 아리아 내 텍스트 반복 감소
  • 레치타티보와 아리아, 웅변적 구절과 서정적 구절 사이의 경계 완화 및 레치타티보 축소
  • 아콤파냐토 레치타티보 사용, 세코 레치타티보 대신 사용
  • 단순하고 유려한 멜로디 라인
  • 이후의 행동과 주제나 분위기로 연결되는 서곡


《알체스테》 초연에는 카스트라토 역할이 없었지만, 글루크는 이후 오페라에서 카스트라토를 다시 사용했고, 1770년 빈에서 《알체스테》를 부활시키면서 테너 역할인 아드메토스를 소프라노 카스트라토 주세페 밀리코를 위해 다시 쓰기도 했다.[2]

이후 《알체스테》는 여러 극장에서 다양한 버전으로 공연되었다.

오늘날 오페라는 보통 파리 버전으로 음악적으로 공연되며, 대본은 때때로 이탈리아어로 다시 번역된다. 빈에서의 초연은 대성공을 거두어 이후 60회나 공연되었다.[29]

피아노 악보 표지

2. 1. 빈 초연 (1767)

1767년 12월 26일 빈 부르크 극장에서 초연된 《알체스테》는 라니에리 칼차비지가 작성한 이탈리아어 대본으로 공연되었다.[1] 초연은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이후 빈에서 1770년, 1781년, 1786년에 재공연되었고, 1804년까지 유럽 12개 도시에서도 초연되었다.[29]

2. 2. 파리 개정 (1776)

프랑수아-루이 간 르 블랑 뒤 루레의 프랑스어 대본으로 파리 오페라 공연을 위해 글루크는 《알체스테》를 재구성하고 확장했다. 3막에는 헤라클레스가 중요한 인물로 추가되었고, 지옥의 문 장면도 추가되었다. 초연은 1776년 4월 23일, 두 번째 살 드 팔레 루아얄에서 열렸다.[3]

파리 공연을 통해 《알체스테》는 본질적으로 새로운 작품이 되었으며, 이탈리아어에서 프랑스어로 번역되면서 텍스트의 음악적 낭독에 여러 변화가 필요했고, 특정 장면은 새롭거나 변경된 음악에 맞춰 재구성되었다. 이러한 변화 중 일부는 글루크의 가장 위대한 프랑스 찬미자 중 한 명인 장 자크 루소의 조언에 따라 이루어졌지만, 각색의 대부분은 프랑스 귀족 뒤 루레의 작품이었고, 작곡가가 개선했다.

글루크는 새로운 버전의 《알체스테》가 프랑스 취향에 맞도록 하려는 여러 노력에 맞서 싸웠고, 오페라를 확장된 발레로 끝내라는 압력에 저항했다. 그러나 새로운 대본은 극적 다양성을 위해 몇몇 부차적인 인물을 도입했고, 대본의 느슨한 기반이 된 에우리피데스의 예를 따라 마지막 막에서 헤라클레스를 부르기도 했다.[3]

3. 오페라 개혁

글루크는 1769년 에서 《알체스테》의 악보를 출판하면서 란초 카르자비지가 쓴 것이 거의 확실한 이탈리아어 서문을 추가했는데,[1] 이 서문에서 자신의 오페라 개혁 이상을 밝혔다. 이는 프란체스코 알가로티가 쓴 《음악 오페라에 관한 에세이》(1755)의 내용과도 일치한다.

《알체스테》에는 카스트라토를 위한 역할은 없지만, 이후 글루크는 카스트라토를 다시 기용하기도 했다.[2] 1787년에 작곡된 모차르트의 돈 조반니는 《알체스테》에서 사용된 화음 진행 등을 차용하여 엑토르 베를리오즈에게 표절 의혹을 받기도 했다.[17] 베를리오즈는 일부 아리아의 진정성에 대해서도 논했다.[18]

3. 1. 글루크의 개혁 원칙

글루크는 1769년 에서 《알체스테》의 악보를 출판하면서, 란초 카르자비지가 쓴 것이 거의 확실한 이탈리아어 서문을 추가했다.[1] 이 서문은 오페라 개혁에 대한 이상을 제시했는데, 프란체스코 알가로티의 《음악 오페라에 관한 에세이》(1755)에서 제시한 내용과 다음과 같은 점에서 일치한다.

  • 다 카포 아리아 금지.
  • 성악 즉흥 연주나 성악적 기교 또는 권력의 기교 과시 금지.
  • 멜리스마 금지.
  • 가사를 더 명확하게 하기 위해 텍스트를 더욱 음절적으로 설정.
  • 아리아 내 텍스트 반복 현상 대폭 감소.
  • 레치타티보와 아리아, 웅변적 구절과 서정적 구절 사이의 경계를 흐리게 하고, 레치타티보를 전반적으로 줄임.
  • 아콤파냐토 레치타티보를 사용하고, 세코 레치타티보는 사용하지 않음.
  • 더 단순하고 유려한 멜로디 라인.
  • 이후의 행동과 주제나 분위기로 연결되는 서곡.


《알체스테》는 카스트라토 목소리를 위한 역할이 없지만, 글루크는 다음 오페라 《파리데와 헬레네》에서 카스트라토를 다시 사용했고, 심지어 1770년 빈에서 《알체스테》를 부활시키면서 테너 역할인 아드메토스를 소프라노 카스트라토 주세페 밀리코를 위해 다시 쓰기도 했다.[2]

3. 2. 개혁의 영향

글루크는 1769년 에서 《알체스테》의 악보를 출판하면서, 란초 카르자비지가 쓴 것이 거의 확실한 이탈리아어 서문을 추가했다.[1] 이 서문은 오페라 개혁에 대한 그들의 이상을 제시했는데, 이는 프란체스코 알가로티의 《음악 오페라에 관한 에세이》(1755)와 일치한다.

글루크와 카르자비지가 제시한 오페라 개혁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다 카포 아리아 금지
  • 성악 즉흥 연주나 성악적 기교 과시 금지
  • 멜리스마 금지
  • 가사를 더 명확하게 하기 위해 텍스트를 더욱 음절적으로 설정
  • 아리아 내 텍스트 반복 현상 대폭 감소
  • 레치타티보와 아리아, 웅변적 구절과 서정적 구절 사이의 경계를 흐리게 하고, 레치타티보를 전반적으로 줄임
  • 아콤파냐토 레치타티보를 세코 레치타티보 대신 사용
  • 더 단순하고 유려한 멜로디 라인
  • 이후의 행동과 주제나 분위기로 연결되는 서곡


《알체스테》에는 카스트라토 목소리를 위한 역할이 없지만, 글루크는 다음 오페라 《파리데와 헬레네》에서 카스트라토를 다시 사용했고, 1770년 빈에서 《알체스테》를 부활시키면서 테너 역할인 아드메토스를 소프라노 카스트라토 주세페 밀리코를 위해 다시 쓰기도 했다.[2]

1787년 모차르트의 돈 조반니는 《알체스테》보다 20년 늦게, 글루크가 사망한 해에 작곡되었는데, 모차르트는 글루크가 알체스테를 대신할 사람이 없으면 그녀가 죽을 것이라고 말하는 대사에서 사용했던 것과 유사한 화음 진행, 질감, 관현악 편성을 정원 장면에서 돈 조반니에게 말하는 기사장의 장면에 사용했다. 엑토르 베를리오즈는 이 부분의 돈 조반니가 "영감을 크게 받았거나, 오히려 표절했다"고 주장했다.[17] 베를리오즈는 일부 아리아의 진정성에 대해 논하며, 글루크가 빈에 갔을 때 3막에 아리아가 추가된 것은 그가 너무 많은 압박을 받았기 때문이라고 결론지었다. 또한 베를리오즈는 글루크가 리허설 중에 수정을 추가했고, 악보의 오해는 글루크의 "낙천적인" 작곡 스타일 때문이라고 언급했다.[18]

4. 등장인물

역할수정 버전
역할성악 유형[19]초연 버전
초연 출연진[20]
빈, 1767수정 버전
초연 출연진[21]
파리, 1776
지휘자: -아드메토(Admeto, 아드메토스), 테살리아의 페라이 왕아드메트[22], 테살리아의 왕테너주세페 티발디조제프 르그로알체스테(Alcestis, 알케스티스), 그의 아내알체스테, 아드메트[22]의 아내소프라노안토니아 베르나스코니로잘리 르바쇠르에우멜로와 아스파시아,
그들의 자녀그들의 두 자녀트레블 (1767)
무성 역할 (1776)[초연에서 역할 삭제](보고되지 않음)에반드로(Evandro, 에반더), 아드메토의 측근에방드르, 페라이 사람들의 지도자테너안토니오 풀리니M. 티로 (또는 티로)이즈메네, 알체스테의 측근(역할 없음)소프라노테레사 에베라르디(역할 없음)아폴론의 대사제아폴론의 대사제바리톤 또는 베이스 (1767)
베이스 (1776)필리포 라스키니콜라 제랭아폴론아폴론(Apollon, 아폴로), 아드메토 가문의 수호신바리톤 또는 베이스 (1767)
바리톤 (1776)필리포 라스키M. 모로지옥의 신지옥의 신베이스도메니코 포지M. 드 라 쉬즈(역할 없음)헤르쿨레스(Hercule, 헤라클레스)[23]베이스(역할 없음)앙리 라리비[24]신탁신탁[25]베이스도메니코 포지(보고되지 않음)호외 게시인문장의 전령[25]베이스도메니코 포지(보고되지 않음)(역할 없음)코리파이(Choryphaei) (합창단 지도자)소프라노, 오트콩트르, 바리테너, 베이스(역할 없음)(보고되지 않음)합창 (1767): 궁정, 시민, 알체스테의 시녀, 아폴론의 사제, 지하 세계의 신들합창 (1776): 궁전의 관리, 알체스테의 수행원, 페라이 시민, 지옥의 신, 아폴론 신전의 사제와 여사제


4. 1. 빈 버전 (1767)

장프랑수아 피에르 페이론의 ''알체스테의 죽음''(1785)


아드메토스와 알체스테


초연 당시 빈 버전(1767)의 배역은 다음과 같다.[20]

역할성악 유형[19]초연 출연진[20] (지휘자:-)
아드메토(아드메토스), 테살리아의 페라이 왕테너주세페 티발디
알체스테(알케스티스), 그의 아내소프라노안토니아 베르나스코니
에우멜로와 아스파시아, 그들의 자녀트레블[초연에서 역할 삭제]
에반드로(Evandro, 에반더), 아드메토의 측근테너안토니오 풀리니
이즈메네, 알체스테의 측근소프라노테레사 에베라르디
아폴론의 대사제바리톤 또는 베이스필리포 라스키
아폴론바리톤 또는 베이스필리포 라스키
지옥의 신베이스도메니코 포지
신탁베이스도메니코 포지
호외 게시인베이스도메니코 포지
합창: 궁정, 시민, 알체스테의 시녀, 아폴론의 사제, 지하 세계의 신들



시간적 배경은 트로이 전쟁 수 년 후이며, 공간적 배경은 고대 그리스 테살리아 지방의 페라이이다.

'''제1장 펠레이 왕 아드메토스의 궁전 앞 광장'''

어두운 분위기의 비극적인 서곡이 연주되고, 위독한 아드메토스 왕의 회복을 바라며 신에게 기도를 올리는 짧은 합창이 이어진다. 궁전 앞 광장에 모인 사람들은 아드메토스 왕의 상태를 걱정하며 궁전 창문을 올려다본다. 이때 전령관이 나타나 아드메토스 왕이 죽음에 임박했으며, 더 이상 인간적인 방법으로는 왕의 생명을 구할 수 없는 절망적인 상황이라고 발표한다. 슬픔에 잠긴 군중은 "신들이여, 우리는 어떻게 될 것인가"라고 노래한다.

'''제2장'''

아드메토스 왕의 신하 에반드로가 알체스테 공주와 두 아이의 등장을 알린다. 슬픔에 잠긴 알체스테 왕비는 "국왕은, 나라와 사랑하는 자들을 위해 헌신했습니다"라고 노래하고, 군중도 "불행한 조국이여!"라며 나라의 앞날을 슬퍼한다. 사람들은 왕비의 권유에 따라 아폴론 신전으로 가서 신의 은총을 빌기로 한다.

'''제3장 아폴론 신전'''

신전에서 제사장은 "신이여, 빛을 내려주소서"라고 노래하며, 과거 아폴론이 주피터와 불화하여 추방되었을 때 아드메토스가 아폴론을 숨겨준 것을 언급하며, 아드메토스가 죽은 후 남겨진 사람들의 고통을 호소한다. 제사장과 군중은 "강대한 신들이여"를 반복 합창하며 함께 기도한다.

'''제4장'''

늦게 나타난 알체스테는 "순수한 연민만이 보이네"라고 노래하고, 판토마임으로 헌물을 받아달라고 기도한다. 제사장은 알체스테의 소원을 신이 받아들였다고 알린다. 그러자 신탁자는 "아드메토스 왕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서는 누군가의 생명이 필요하다"라고 선언한다. 이에 군중은 공포에 휩싸여 신전에서 도망친다.

'''제5장'''

홀로 신전에 남겨진 알체스테는 자신의 목숨과 맞바꿔 사랑하는 아드메토스를 구할 수 있다면, <아리아> "그것은 희생이 아니에요!"를 노래하며 죽음을 결심한다. 그러나 아이들을 생각하며 절망하기도 한다. 알체스테는 슬픔 속에서도 남편 아드메토스 왕을 위해 희생할 각오를 다지고 독약을 마신다. 제사장은 왕이 소생하고 태양이 떠오르지만, 공주의 생명의 불은 꺼지고 지옥의 문이 열릴 것이라고 알린다. 알체스테는 남아있던 독을 마저 마시며, <아리아> "불멸의 신들이여, 저는 바라지 않아요"를 결연하게 노래한다.

4. 2. 파리 버전 (1776)

글루크는 프랑수아-루이 간 르 블랑 뒤 루레의 프랑스어 대본으로 파리 오페라 공연을 위해 《알체스테》를 재구성하고 확장했다. 3막 구조를 유지하면서 헤라클레스를 중요한 인물로 추가하고, 지옥의 문 장면도 추가했다.[19] 초연은 1776년 4월 23일, 두 번째 살 드 팔레 루아얄에서 열렸다.[20][21]

역할성악 유형초연 출연진[20]
파리, 1776
지휘자: -
아드메트[22], 테살리아의 왕테너조제프 르그로
알체스테, 아드메트[22]의 아내소프라노로잘리 르바쇠르
그들의 두 자녀무성 역할(보고되지 않음)
에방드르, 페라이 사람들의 지도자테너M. 티로 (또는 티로)
아폴론(Apollon, 아폴로), 아드메토 가문의 수호신바리톤M. 모로
지옥의 신베이스M. 드 라 쉬즈
헤르쿨레스(Hercule, 헤라클레스)[23]베이스앙리 라리비[24]
신탁[25]베이스(보고되지 않음)
문장의 전령[25]베이스(보고되지 않음)
합창: 궁전의 관리, 알체스테의 수행원, 페라이 시민, 지옥의 신, 아폴론 신전의 사제와 여사제



서곡은 장엄하고 고귀하며 비극적인 분위기로, 모차르트의 단조 작품들을 예고한다. 합창은 처음 두 막에서 많은 사건을 이끌어가고, 글루크의 보컬 설정은 특히 우아하며, 프랑스어의 부드러운 리듬을 활용하지만, 그 멜로디는 슬픈 위엄 속에서 다소 정적이다.[3]

5. 줄거리

오페라 《알체스테》는 테살리아의 왕 아드메토스가 병에 걸려 죽게 되자, 그의 아내 알체스테가 남편을 대신하여 자신의 목숨을 바치는 이야기이다.

아드메토스는 아폴론의 도움으로 알체스티스를 신부로 맞이한다. 이들은 서로 사랑했지만, 아드메토스는 병에 걸려 죽을 위기에 처한다. 신탁에 따르면 누군가 그를 대신하여 자신의 생명을 바치면 아드메토스는 살아날 수 있었다. 알체스테는 남편을 위해 자신의 생명을 내놓으려고 결심한다. 이를 알게 된 아드메투스는 경악하고, 죽음의 신 앞에서 서로 자신이 죽어야 한다고 간청한다. 알체스티스는 죽음의 문으로 뛰어들지만, 왕이 그 뒤를 쫓아와 돌아가 줄 것을 애원한다. 다시 죽음의 신 타나토스가 나타나 알체스티스의 생명을 앗아가려 하지만, 헤라클레스가 나타나 타나토스를 무찌른다. 이들의 사랑에 감동한 아폴론은 두 부부를 살려주고, 헤라클레스에게 불멸성을 보장해준다. 아드메투스와 알체스티스는 테살리아로 돌아가고, 모두 기뻐하며 합창과 무용으로 막을 내린다.[1]

글루크는 빈과 파리에서 각각 다른 버전의 《알체스테》를 작곡했는데, 빈 버전에서는 아폴론이, 파리 버전에서는 헤라클레스가 알체스테를 구출한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점이다.[36]

5. 1. 빈 버전 줄거리

이탈리아어 원본it[26]

:장소: 테살리아의 고전적인 페라이[27]

전령은 테살리아 백성들에게 아드메토 왕이 위독하며 희망이 거의 없다고 알린다. 에반드로는 모든 사람들에게 아폴론 신전의 신탁에 기도할 것을 요청한다. 알체스테가 그들과 합류하여 아폴론에게 자비를 구한다. 신탁은 아드메토가 다른 사람이 자발적으로 목숨을 희생하면 구할 수 있다고 말한다. 이는 큰 당혹감을 불러일으킨다. 홀로 남은 알체스테는 남편을 위해 자신의 목숨을 바칠지 고뇌한다.

지하 세계의 신들에게 바쳐진 울창한 숲에서, 이스메네는 알체스테에게 남편과 자녀를 떠나는 이유를 묻는다. 알체스테는 이스메네에게 자신의 의도를 말한다. 한편, 아드메토는 테살리아의 모든 사람들을 기쁘게 하며 기적적으로 회복된다. 에반드로는 그에게 누군가가 왕을 위해 스스로를 희생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한다. 알체스테가 나타나자, 그는 그녀에게 자백할 때까지 심문한다. 절망한 왕은 신들에게 간청하기 위해 서둘러 신전으로 들어간다. 그러나 알체스테는 아이들에게 작별 인사를 한다.

신들의 결정은 번복되지 않는다. 사람들은 알체스테의 죽음을 슬퍼한다. 알체스테에게 작별을 고한 아드메토는 그녀를 따라 죽기로 결심한다. 그러자 하늘이 열리고, 아폴론이 내려와 신들이 그들의 변함없는 사랑에 대한 보상으로 그들의 생명을 돌려주었다고 선언한다.

5. 2. 파리 버전 줄거리

아드메토스 왕이 죽어가자 백성들은 절망한다. 아폴론은 아드메토스를 대신하여 다른 사람이 희생되어야만 그가 살 수 있다고 선언한다. 알체스테는 자신이 희생될 것이라 믿지만, 사랑을 위해서만 자신의 생명을 내놓겠다고 선언한다. (아리아: "저승의 신들이여")

백성들은 왕의 회복을 축하한다. 아드메토스는 알체스테가 자신을 대신하여 죽기로 자원했다는 사실을 모르고, 알체스테는 진실이 밝혀지기 전까지는 자신을 내어주려 하지 않는다. 진실을 알게 된 아드메토스는 알체스테가 자신을 버리는 것이라 생각하고 자신도 죽고 싶어 한다.

백성들은 다시 슬픔에 잠겨 왕 부부의 자녀들을 대신 제물로 바칠 준비를 한다. 아드메토스의 친구 헤라클레스가 도착하여 그를 위해 죽음을 정복하겠다고 약속하고 하데스로 간다. 한편, 알체스테는 이미 지옥 문에 도착해 있다. 아드메토스는 그녀를 만류하려 하지만, 그녀는 영웅적인 행동이 아닌 사랑 때문에 자신을 희생하려 한다. 그녀는 죽지만, 헤라클레스가 그녀를 구출한다. 그러나 알체스테는 거의 미친 것처럼 보인다. 아폴론이 도착하여 헤라클레스에게 불멸을 약속하고 아드메토스와 알체스테를 죽음이 없는 세상에 남겨둔다. 작품은 기쁨에 찬 합창으로 끝을 맺는다.[3]

6. 평가 및 영향

《알체스테》는 글루크의 오페라 개혁에서 중요한 이정표가 되는 작품이다. 1767년 빈 초연은 대성공을 거두었고, 이후 1776년 파리 초연을 통해 프랑스 오페라 발전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29] 글루크는 이 작품의 서문에서 가수들의 허영심과 작곡가들의 영합으로 인해 이탈리아 오페라가 타락했음을 지적하며, 음악이 극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이야기에 봉사해야 한다는 자신의 철학을 밝혔다.[31]

존 엘리엇 가디너는 《알체스테》가 유명하지만 그 음악적 훌륭함이 제대로 이해되지 않는다고 지적하며, 1760년대부터 1770년대까지 프랑스 내 최고 수준의 작곡가가 없었던 것이 프랑스에서 이 작품이 열광적으로 받아들여진 이유 중 하나라고 하였다.[32] 그는 《알체스테》 음악의 순수함과 숭고함에 감동하면서도, 악보 상의 기술적인 허술함에 대해서는 엑토르 베를리오즈의 지적처럼 글루크의 게으름과 필사 담당자의 자질 문제를 언급했다.[32]

음악적으로 《알체스테》는 토마소 트라에타의 작곡 방식을 연상시키는 대규모 합창과 다양한 기법을 활용한 기념비적인 장면들이 특징이다.[33] 특히 1막은 통일성과 만족도가 높으며, 알체스테의 아리아 "불멸의 신들이여, 저는 바라지 않네" (Divinités du Styx)는 18세기 최고의 아리아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34]

모차르트는 《알체스테》보다 20년 늦은 1787년에 작곡된 돈 조반니에서 《알체스테》의 화음 진행, 질감, 관현악 편성을 차용했다. 엑토르 베를리오즈는 이 부분을 표절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17]

6. 1. 한국 공연 및 수용

1981년 국립오페라단이 한국 초연을 하였으며, 알체스테 역은 소프라노 박순복이 맡았다.[17] 2023년에는 국립오페라단이 파리 버전을 바탕으로 새로운 프로덕션을 선보였다. 연출은 니겔 로리(Nigel Lowery)가 맡았고, 알체스테 역은 소프라노 이윤아가 맡았다. 이 공연은 무대와 의상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영상 기술을 적극 활용하여 몰입감을 높였다는 평가를 받았다.[18]

7. 주요 음반 및 영상

연도배역
알체스테
아드메토
대사제
에반도르
에르큘레스 등
지휘자
관현악단
합창단
레이블
1954마리아 칼라스
레나토 가바리니
Paolo Silveri|파올로 실베리영어
주세페 잠피에리
롤랜드 파네라이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
밀라노 스칼라좌 관현악단
밀라노 스칼라좌 합창단
CD: Warner
ASIN: B072MPK7L4
빈 판
1958키르스텐 플라그스타트
라울 조반
Thomas Hemsley|토마스 헴슬리영어
Alexander Young (tenor)|알렉산더 영영어
마리온 로베(이즈메네)
제런트 존스
제런트 존스 관현악단
제런트 존스 합창단
CD: Decca
ASIN: B00000E548
빈 판
1981자넷 베이커
Robert Tear|로버트 티어영어
존 셔리-커크
몰드윈 데이비스
Jonathan Summers|조나단 서머스영어
찰스 매케라스
코벤트 가든 왕립 극장 관현악단
코벤트 가든 왕립 극장 합창단
CD: Ponto
ASIN: B0009YGDIK
파리 판
1982제시 노먼
니콜라이 게다
톰 클라우제
Robert Gambill|로버트 갬빌영어
Siegmund Nimsgern|지크문트 님스게른영어
세르주 보도
바이에른 방송 교향악단
바이에른 방송 합창단
CD: ORFEO
ASIN: B000028AWJ
파리 판
1999안네 소피 폰 오터
Paul Groves (tenor)|폴 그로브스영어
Dietrich Henschel|디트리히 헨셸영어 (겸 에르큘레스)
얀 뵈론
Ludovic Tézier|뤼도빅 테지에영어 (전령, 아폴론)
존 엘리엇 가디너
잉글리시 바로크 솔로이스트
Monteverdi Choir|몬테베르디 합창단영어
CD: Philips
ASIN: B000068VL1
DVD: EMI
ASIN: B000005E5N
파리 판
2001테레사 링홀츠
저스틴 라벤더
라르스 마틴손
요나스 데갈펠트
미리암 트레이클
Arnold Östman|아놀드 외스트만영어
드롯닝홀름 궁정 극장 관현악단
드롯닝홀름 궁정 극장 합창단
CD: Naxos
ASIN: B00000JYU6
빈 판
2006Catherine Naglestad|캐서린 네글스타드영어
도널드 커시
Johan Rydh|요한 뤼드sv
베른하르트 슈나이더
미하엘 에베케
콘스탄티노스 카리디스
슈투트가르트 주립 관현악단
슈투트가르트 주립 극장 합창단
DVD: Arthaus Musik
ASIN: B000LZ539M
파리 판
2014Angela Denoke|안젤라 데노케영어
Paul Groves (tenor)|폴 그로브스영어
Willard White|윌라드 화이트영어
마그누스 스타블란트
토마스 올리만스
아이버 볼턴
마드리드 왕립 극장 관현악단
마드리드 왕립 극장 합창단
DVD: Euroarts
ASIN: B00SM43B2K
파리 판


참조

[1] 웹사이트 Alceste http://www.wiener-st[...] Wiener Staatsoper 2012-1013
[2] 서적 C.W. von Gluck: Orfeo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3] 웹사이트 Alceste (French version), opera in 3 acts http://www.allmusic.[...] 2013-06-21
[4] 서적 Expression and Revision in Gluck's Orfeo and Alceste Routledge 2016
[5] 웹사이트 The Hector Berlioz Website http://www.hberlioz.[...] 2015-02-11
[6] 뉴스 King's Theatre The Oracle 1795-04-30
[7] 문서 Harewood
[8] 웹사이트 Alceste https://www.glyndebo[...] Glyndebourne Archive 2023-10-10
[9] 웹사이트 Alceste http://www.operascot[...] Opera Scotland 2021-05-15
[10] 웹사이트 Alceste http://www.teatroall[...] La Scala archive 2020-05-31
[11] 문서 Tonolo
[12] 웹사이트 Metropolitan Opera Archives (Alceste) http://archives.meto[...] Metropolitan Opera 2018-08-12
[13] 웹사이트 Alceste https://www.lyricope[...] Lyric Opera archive 2020-09-20
[14] 뉴스 Lustrous music saves Alceste http://sfnewmexican.[...] The Santa Fe New Mexican 2017-12-01
[15] 뉴스 Alceste, Teatro Real, Madrid https://www.ft.com/c[...] The Financial Times 2014-03-04
[16] 웹사이트 Alceste https://www.staatsop[...] Bayerische Staatsoper 2020-09-24
[17] 서적 Berlioz 1915
[18] 서적 Berlioz 1915
[19] 문서 Paolo Rossini (both versions)
[20] 문서 cast list reported in the premiere libretto
[21] 문서 1776 libretto
[22] 문서 Modern French spelling; spelt "Admette" in the libretto.
[23] 문서 Académie Royale de Musique in 1776 libretto
[24] 서적 The Grove Book of Opera Singers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25] 문서 Acteurs at the beginning of the 1776 libretto
[26] 웹사이트 Gluck: Alceste http://www.operatoda[...] 2006-05-18
[27] 서적 All Music Guide to Classical Music Backbeat Books 2005-09
[28] 서적 『オックスフォードオペラ大事典』
[29] 서적 『新グローヴ・オペラ事典』
[30] 서적 『ラルース世界音楽事典』
[31] 서적 『新グローヴ・オペラ事典』
[32] 간행물 ジョン・エリオット・ガーディナー指揮のCDの解説書
[33] 서적 『オペラ史 上』
[34] 서적 『オペラ名曲百科 下 増補版 ドイツ・オーストリア・ロシアその他編』
[35] 서적 『新グローヴ・オペラ事典』
[36] 서적 新グローヴ・オペラ事典
[37] 서적 オックスフォードオペラ大事典
[38] 서적 新グローヴ・オペラ事典
[39] 서적 オペラ史 上
[40] 서적 オペラとギリシア神話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