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타이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타이아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칼리돈의 왕 오이네우스의 아내이자 멜레아게르의 어머니이다. 그녀는 테스티오스와 에우리테미스의 딸이며, 레다, 히페르엠네스트라 등의 자매이다. 멜레아게르가 태어났을 때 운명의 여신들은 그의 수명이 가문의 화로에 타는 장작과 연관되어 있다고 예언했다. 알타이아는 이 장작을 보관하다가, 아들 멜레아게르가 자신의 형제를 죽인 후 복수심에 불타 장작을 태워 멜레아게르를 죽게 했다. 이후 알타이아는 자살하거나, 멜레아게르의 아내와 함께 목을 매 자살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 신화 - 아이깁토스
    아이깁토스는 이집트 왕 벨루스의 아들이자 리비아의 왕 다나오스의 형제이며, 50명의 아들을 두었으나 아들들이 다나오스의 딸들과 결혼한 후 비극적인 사건이 발생하였다.
  • 그리스 신화 - 아킬레우스
    아킬레우스는 그리스 신화의 트로이 전쟁 영웅으로, 아가멤논과의 갈등, 파트로클로스의 죽음 이후 복수, 헥토르를 비롯한 트로이군 용사들을 물리치는 활약, 그리고 파리스의 화살에 맞아 죽는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으며 고대 그리스는 물론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예술 분야에 영감을 주고 있다.
알타이아
알타이아
가계
아버지테스티오스
어머니레우키페
배우자오이네우스 또는 아레스
자녀멜레아그로스, 토아스, 클리메노스, 데이다미아, 고르게
신화 속 정보
관련 신화칼리돈 멧돼지 사냥
특징아들의 죽음에 책임이 있음

2. 가족 관계

알타이아는 테스티오스[3]와 에우리테미스의 딸로, 레다, 히페르엠네스트라, 이피클로스, 에우이푸스의 자매였다.[4] 오이네우스의 아내였으며, 멜레아그로스, 톡세우스, 튀레우스, 클리메노스, 아겔라오스, 페리파스, 데이다메이아, 고르게, 멜라니페, 에우리메데의 어머니였다.[5]

2. 1. 배우자와 자녀

알타이아는 테스티오스[3]과 에우리테미스의 딸이었으며, 레다, 히페르엠네스트라, 이피클로스, 에우이푸스의 자매였다.[4] 알타이아는 칼리돈의 왕 오이네우스의 아내였다.[5]

알타이아의 자녀는 다음과 같다.[5]

일부 기록에 따르면, 멜레아그로스는 그리스 신 아레스와 알타이아의 관계에서 태어났고, 데이아네이라는 알타이아와 신 디오니소스의 자식이었다고 한다.[6] 또 다른 기록에서는 안카이오스를 신 포세이돈과 알타이아의 아들로 칭하기도 했다.[7]

3. 신화 속 이야기

알타이아는 아들 멜레아게르의 운명에 관한 이야기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멜레아게르와 알타이아는 서로의 죽음에 원인이 되었다. 멜레아게르가 칼리돈의 멧돼지 사냥에서 자신의 삼촌들을 죽이자, 알타이아는 아들의 목숨과 연결된 장작을 태워 복수했다.[10][11]

어떤 전승에서는 알타이아와 멜레아게르의 아내 클레오파트라가 슬픔에 못 이겨 목을 매 자살했다고 하며, 다른 전승에서는 알타이아가 단검으로 자살했다고 한다.[11]

3. 1. 멜레아그로스의 탄생과 운명

멜레아그로스가 태어났을 때, 모이라이(운명의 여신)는 그가 가문의 화로에서 타는 장작이 불에 타 없어질 때까지만 살 것이라고 예언했다.[8]

오이네우스와 마르스는 테스티오스의 딸 알타이아와 어느 날 밤 잠자리를 같이 했다. 멜레아그로스가 그들에게서 태어났을 때, 갑자기 궁전에 운명의 여신 클로토, 라케시스, 아트로포스가 나타났다. 그들은 그의 운명을 다음과 같이 노래했다. 클로토는 그가 고귀할 것이라고, 라케시스는 그가 용감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아트로포스는 화로에서 타는 장작을 바라보며 "이 장작이 타지 않는 한 그는 살아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어머니 알타이아가 이 말을 듣자 침대에서 뛰쳐나와 치명적인 장작을 끄고 궁궐 한가운데 묻어 불에 타 없어지지 않도록 했다.[8]

아이스킬로스의 ''제주를 바치는 여인들''에서 알타이아는 클리템네스트라의 포로 노예인 코러스(시녀들)에 의해 '아무것도 멈추지 않는 증오'를 가진 인물로 회상되었다. 코러스는 알타이아가 자신의 아들을 죽인 여인으로, 그의 운명을 결정지은 장작을 태워버린 음모를 꾸몄다고 언급했다. 그 장작은 멜레아그로스가 어머니에게서 태어난 날부터 보관되어 왔으며, 알타이아는 의도적으로 그를 죽이기 위해 장작을 불태웠다고 한다.[9]

3. 2. 칼리돈의 멧돼지 사냥과 형제들의 죽음

모이라이(운명의 여신)는 멜레아게르가 태어났을 때, 가문의 화로에서 타는 장작이 다 타면 그가 죽을 것이라고 예언했다.[8]

오이네우스마르스테스티오스의 딸 알타이아와 어느 날 밤 잠자리를 같이하여 멜레아게르를 낳았다. 멜레아게르가 태어나자 궁전에 운명의 여신 클로토, 라케시스, 아트로포스가 나타났다. 클로토는 그가 고귀할 것이라고, 라케시스는 용감할 것이라고 예언했다. 아트로포스는 화로의 장작을 보며 "이 장작이 타지 않는 한 그는 살아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알타이아는 이 말을 듣고 침대에서 뛰쳐나와 장작을 끄고 궁궐 한가운데 묻었다.[8]

아이스킬로스의 ''제주를 바치는 여인들''에서 알타이아는 클리템네스트라의 포로 노예인 코러스(시녀들)에 의해 언급되었는데, '아무것도 멈추지 않는 증오'를 회상하는 내용이었다. 코러스는 알타이아가 자신의 아들 멜레아게르의 운명을 결정지은 장작을 태워 죽인 것을 노래했다.[9]

멜레아게르는 존경받는 왕자가 되었다. 어느 봄, 오이네우스는 신들에게 첫 열매를 바쳤지만 실수로 아르테미스를 빠뜨렸다. 분노한 아르테미스는 멧돼지를 보내 칼리돈을 망치게 했다. 멜레아게르는 아탈란테와 알타이아의 형제들과 함께 멧돼지를 사냥했다. 멜레아게르는 멧돼지에게 치명타를 가했지만, 아탈란테를 사랑하여 그녀에게 가죽을 주었다. 알타이아의 형제들은 "여자가 남자 앞에서 상을 받는 것을 경멸하며, 멜레아게르가 그것을 가져가기를 선택하지 않는다면 태생적으로 자신들의 것이라고 주장하며 그녀에게서 가죽을 빼앗았다."[10] 멜레아게르는 격노하여 두 삼촌을 죽였다.

알타이아는 이 소식을 듣고 숨겨두었던 장작을 찾아 불에 태워 멜레아게르를 죽였다. 어떤 사람들은 알타이아와 멜레아게르의 아내 클레오파트라가 목을 맸다고 하고, 다른 사람들은 알타이아가 단검으로 자살했다고 한다.[11]

3. 3. 알타이아의 복수와 비극적 결말

모이라이(운명의 여신)는 멜레아게르가 태어났을 때, 가문의 화로에서 타는 장작이 다 타면 그가 죽을 것이라고 예언했다.[8] 오이네우스와 마르스가 테스티오스의 딸 알타이아와 어느 날 밤 잠자리를 같이하여 멜레아게르가 태어났다. 궁전에 나타난 운명의 여신 클로토는 그가 고귀할 것이라고, 라케시스는 용감할 것이라고 예언했다. 하지만 아트로포스는 화로의 장작을 보며 "이 장작이 타지 않는 한 그는 살아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알타이아는 이 말을 듣고 침대에서 뛰쳐나와 장작을 끄고 궁궐 한가운데 묻었다.[8]

아이스킬로스의 ''제주를 바치는 여인들''에서 알타이아는 클리템네스트라의 포로 노예인 코러스와 시녀들에 의해 '아무것도 멈추지 않는 증오'를 가진 인물로 회상되었다. 코러스는 알타이아가 아들의 운명을 결정지은 장작을 태워 죽인 것을 언급했다.[9]

멜레아게르는 존경받는 왕자가 되었다. 어느 봄, 오이네우스가 신들에게 첫 열매를 바칠 때 아르테미스를 빠뜨리자, 분노한 아르테미스는 멧돼지를 보내 칼리돈을 망치게 했다. 멜레아게르는 아탈란테와 알타이아의 형제들과 함께 멧돼지 사냥에 나섰다. 멜레아게르가 멧돼지에게 치명타를 가했지만, 아탈란테를 사랑하여 그녀에게 가죽을 주었다. 알타이아의 형제들은 이를 못마땅하게 여겨 가죽을 빼앗았고, 멜레아게르는 격노하여 삼촌들을 죽였다.[10]

알타이아는 이 소식을 듣고 숨겨두었던 장작을 찾아 불에 태워 아들을 죽였다. 어떤 사람들은 알타이아와 멜레아게르의 아내 클레오파트라가 목을 맸다고 하고, 다른 사람들은 알타이아가 단검으로 자살했다고 한다.[11]

4. 가계도

1세대2세대3세대4세대5세대6세대
아이톨로스
(프로노에)
플레우론
(크산티페)
아게노르
(에피카스테)
포르타온
(에우리테)
오이네우스
(알타이아)
멜레아그로스
도로스칼리돈
(아이올리아)
테스티오스톡세우스클리메노스
아미타온스트라토니케에우리테미스페리파스멜라니페
스테로페데모니케데이아네이라아스티팔라이아메토네
라오폰테옥실로스고르곤토아스아겔라오스
프로토게네이아
(아레스)
페리메데암피아라오스앙카이오스
클레오보이아포이닉스폴리보이아에우리필로스
히페르엠네스트라이피아네이라클리티에
오이클레스포세이돈
튀레우스
에우리메데
칼키오페
헤라클레스
테살로스


참조

[1] 서적 The Metamorphoses of Antoninus Liberalis: A translation with a commentary Rootledge
[2]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Greek
[3] 문서 Bibliotheca (Pseudo-Apollodorus) https://www.perseus.[...]
[4] 간행물 Althaea http://www.ancientli[...] Little, Brown and Company
[5] 문서 Catalogue of Women https://www.perseus.[...]
[6] 문서 Fabulae https://topostext.or[...]
[7] 문서 Fabulae https://topostext.or[...]
[8] 문서 Fabulae https://topostext.or[...]
[9] 문서 Libation Bearers
[10] 문서 https://www.perseus.[...]
[11] 문서 Iliad https://www.perseu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