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르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르스는 로마 신화의 전쟁, 농업, 그리고 로마의 아버지로 여겨지는 중요한 신이다. 마르스는 라틴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주피터와 유노의 아들로 묘사된다. 그의 배우자는 용기를 의미하는 네리오 또는 네리에네이며, 비너스와의 결합은 예술 작품의 주요 소재였다. 마르스는 기세와 덕성을 특징으로 하며, 농업의 수호신으로서 야생의 힘을 제어하고 곡물의 성장을 돕는 역할을 했다. 로마에는 마르스에게 헌정된 신전과 광장이 있었으며, 다양한 축제와 의식이 거행되었다. 마르스는 다양한 칭호와 켈트 신들과의 동일시를 통해 숭배되었으며, 로마 미술에서는 전사 또는 젊은 남성으로 묘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르스 - 3월
    3월은 로마 신화의 전쟁의 신 마르스에서 유래되었으며, 한국과 세계 여러 나라에서 다양한 국경일과 기념일, 탄생석과 탄생화를 갖는 달이다.
  • 마르스 - 튀르
    튀르는 북유럽 신화에서 용맹과 정의를 상징하며 게르만족에게 숭배받던 신으로, 펜리르에게 팔을 잃은 일화, 화요일의 어원, 룬 문자와 관련되어 있고, 라그나로크에서 갈름과 싸우다 죽음을 맞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종교와 신앙 사이드바 - 유피테르
    유피테르는 로마 신화에서 천둥, 번개, 하늘 등을 관장하는 최고의 신으로, 로마 국가의 수호신이자 정치 및 종교 체제와 밀접하게 관련된 존재였다.
  • 종교와 신앙 사이드바 - 넵투누스
    넵투누스는 로마 신화의 바다의 신으로, 해전의 승리를 관장하고 팔리스키족의 창조신이자 라틴족의 시조신으로 숭배되었으며, 넵투르날리아 축제와 숫소 제물 등의 의례를 통해 숭배되었다.
마르스
기본 정보
신화 분류로마 신화
이름마르스
로마자 표기Mars
다른 이름마보르스 (Mavors)
마보르테 (Mavorte) (고풍, 시적)
그리스어 동등신아레스
에트루리아어 동등신마리스
라란
노르드어 동등신튀르
신격
역할전쟁의 신
농업의 수호신
로마인의 수호신
거주지포룸 로마눔
상징
방패
마르스 기호 (♂)
행성화성
가족 관계
부모유피테르
유노
형제자매불카누스
미네르바
헤르쿨레스
벨로나
아폴로
디아나
바쿠스
배우자네리오
레아 실비아
베누스
벨로나
자녀쿠피도
로물루스와 레무스
숭배
축제2월 27일
3월 14일 에퀴리아 말 경주
3월 1일 페리아에와 살리이 사제의 디에스 나탈리스 (생일)
3월 17일 아고니아
5월 14일 마르스 인빅투스 신전의 디에스 나탈리스
10월 15일 10월 말 희생
10월 19일 아르밀루스트리움
숭배일화요일 (디에스 마르티스)
기타
네르바의 포룸에서 발견된 2세기경의 마르스 조각상, 카피톨리니 미술관 소장

2. 명칭

"마르스"(속격 "마르티스")[11]는 고대 라틴어와 시적 표현에서는 "마보르스"(속격 "마보르티스")[12]로도 나타나며, 이는 오스칸어의 "마메르스"(속격 "마메르토스")와 어원적으로 관련이 있다.[13] 가장 오래된 기록된 라틴어 형태인 "마마르트-"는 외래어 기원일 가능성이 높다.[14] 에트루리아 신화의 어린이 신 마리스의 이름에서 유래했다는 설명도 있지만, 모든 학자가 동의하는 것은 아니다.[15] 두 신의 관련성 여부와 그 방식에 대해서는 학자들마다 의견이 다르다.[16] 마르스의 이름에서 파생된 라틴어 형용사로는 "마르티우스"와 "마르티알리스"가 있으며, 이는 영어 단어 "martial"(예: "무술" 또는 "계엄령")과 "마르쿠스", "마크", "마틴" 같은 이름의 어원이 되었다.[17][18]

마르스는 궁극적으로 원시 인도-유럽 신 페르쿠누스의 영향을 받은 모습일 수 있으며, 원래는 천둥신과 같은 성격을 가졌을 것으로 추정된다.[19] 원래 이름은 '''마르스'''(Mars|lat) 또는 '''마보르스'''(Māvors|lat)였던 것으로 보이며, '''마메르스'''(Māmers|lat)라고도 불렸다.[197]

그리스 신화아레스와 동일시되어 전쟁의 신으로 여겨지며, '''그라디우스'''(Gradīvus|lat, "진군하는 자"라는 뜻)라는 별칭으로도 불린다.[197] 그러나 전염병의 신처럼 여겨지며 부정적인 신화가 많은 아레스와 달리, 마르스는 용감한 전사이자 청년의 이상적인 모습으로 존경받았고, 주신과 같이 두텁게 숭배받은 중요한 신이다.[197] 마르스를 상징하는 동물은 늑대이고, 상징하는 새는 딱따구리이다.[197]

3. 신격

'''마르스'''(Marsla, 속격 Martisla)는 고대 라틴어와 시적 표현에서는 '''마보르스'''(Māvorsla, 속격 Māvortisla)로도 나타나며,[11][12] 이는 오스칸어의 '''마메르스'''(Māmersla, 속격 Māmertosla)와 어원적으로 관련이 있다.[13] 가장 오래된 라틴어 형태인 "마마르트-"는 외래어 기원일 가능성이 있으며,[14] 에트루리아의 어린이 신 마리스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으나 보편적으로 동의되지는 않는다.[15][16] 마르스의 이름에서 파생된 라틴어 형용사 Martiusla와 Martialisla는 영어 단어 'martial'(무술의, 전쟁의) 및 마르쿠스, 마크, 마틴과 같은 이름의 어원이 되었다.[17][18]

마르스는 궁극적으로 원시 인도-유럽 종교의 신 페르쿠누스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원래는 천둥신과 같은 성격을 가졌을 것으로 추정된다.[19]

그리스 신화아레스와 동일시되지만,[197] 마르스는 로마에서 훨씬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아레스가 종종 부정적으로 묘사되는 것과 달리, 마르스는 용감한 전사이자 청년의 이상적인 모습으로 존경받았으며, 주피터 다음가는 중요한 신으로 숭배받았다.[197] 전쟁의 신으로서 그는 '''그라디우스'''(Gradīvusla, "진군하는 자")라는 별칭으로 불렸다.[197]

마르스의 신격은 단순히 전쟁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그는 농업의 수호신이자 야생 자연과도 관련이 있으며, 그의 탄생 신화는 출산과도 연결된다. 그의 배우자로는 네리오와 비너스가 있으며, 늑대와 딱따구리는 그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신성한 동물이다.[197] 이러한 다양한 측면은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루어진다.

3. 1. 탄생

그리스 신화의 아레스제우스헤라의 아들인 것처럼,[20] 마르스는 일반적으로 주피터와 유노의 아들로 여겨진다.

그러나 시인 오비디우스는 마르스의 탄생에 대해 다른 이야기를 전하는데, 이에 따르면 유노가 혼자서 마르스를 낳았다고 한다. 주피터가 여성의 역할 없이 자신의 머리에서 미네르바를 직접 낳자, 유노는 이에 대응하여 혼자 아이를 낳을 방법을 찾고자 여신 플로라에게 조언을 구했다. 플로라는 유노에게 마법의 꽃(flos|플로스la, 복수형 flores|플로레스la)을 주었고, 이 꽃을 암송아지에게 시험해 보니 즉시 임신하는 것을 확인했다. 플로라는 의식을 치르며 꽃을 꺾어 유노의 배에 엄지손가락으로 만져 임신시켰다. 이후 유노는 출산을 위해 트라키아와 마르마라 해안으로 갔다고 한다.[21]

오비디우스는 로마력에 관한 서사시인 ''파스티''에서 이 이야기를 소개했다.[21] 이 이야기는 마르스의 달(3월) 첫날에 열리는 기혼 여성들의 축제인 마트로날리아(유노를 출산의 여신으로 기리는 축제)의 기원을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고대 후기의 달력에는 이날이 마르스의 생일로 기록되어 있기도 하다. 초기 로마 달력에서 3월은 첫 번째 달이었으므로, 마르스는 새해와 함께 태어난 것으로 여겨졌을 수 있다.[22] 오비디우스가 이 이야기의 유일한 기록자이기 때문에, 이것이 그의 문학적 창작인지 아니면 알려지지 않은 고대 이탈리아의 전통인지는 불분명하다. 하지만 오비디우스는 이 이야기를 통해 마르스가 단순히 전쟁의 신일 뿐만 아니라 식물의 생명력과도 관련이 있으며, 여성의 양육 역할과도 분리되지 않음을 강조하고자 했을 수 있다.[23]

3. 2. 배우자

마르스의 배우자(consort)는 Nerio|네리오la 또는 Neriene|네리에네la, 즉 "용기(Valor)"였다. 그녀는 마르스의 생명력(vis|비스la), 힘(potentia|포텐티아la), 위엄(maiestas|마이에스타스la)을 나타낸다.[24] 그녀의 이름은 사비니아어(Sabine language) 기원으로 여겨지며, 라틴어 virtus|비르투스la("남성적 미덕" - vir|비르la "남자"에서 유래)와 동등하다.[25] 기원전 3세기 초, 희극 작가 플라우투스는 마르스가 아내 네리오를 맞이하는 장면을 언급하고 있다.[26] 후기 고대(late antiquity)의 자료에 따르면, 마르스와 네리에네는 3월 23일에 열리는 축제에서 함께 기념되었다.[27] 후기 로마 제국에서는 네리에네가 미네르바와 동일시되었다.[28]

네리오는 아마도 마르스의 힘을 신격화한 것으로, 라틴어에서 이러한 추상적인 개념은 일반적으로 여성(feminine)으로 표현된다. 그녀의 이름은 일련의 추상적인 특성들을 불러들이는 고대 기도문(invocatio)에서 마르스의 이름과 함께 등장하며, 각 특성은 신의 이름과 짝을 이룬다. 그리스 신화와 그 인격신(Anthropotheism)의 영향으로 로마 작가들은 이러한 짝을 "결혼"으로 여기게 되었을 것이다.[29]

3. 2. 1. 비너스와 마르스

화성이 왕좌에 앉은 비너스를 어루만지는 모습. 폼페이의 벽화, 기원전 20년경 – 서기 50년대


비너스와 화성의 결합은 시인과 철학자들에게 더 큰 매력을 주었고, 이 두 연인은 예술의 빈번한 소재였다. 그리스 신화에서 아레스아프로디테의 간통은 남편 헤파이스토스(로마 신화의 불카누스)가 마법의 올가미로 그들을 붙잡으면서 조롱거리가 되었다. 원래 로마 전통의 일부는 아니었지만, 기원전 217년 비너스와 화성은 로마 국가의 주요 신 12명의 이미지가 마치 참석하여 함께하는 것처럼 침상에 놓이는 공공 연회인 ''렉티스테르니움''에서 상호 보완적인 한 쌍으로 제시되었다.[31]

로마 미술에서 비너스와 화성의 장면은 종종 그들의 결합이 지닌 간통의 의미를 무시하고, 큐피드 또는 여러 명의 아모레스(amores)가 시중드는 잘생긴 연인들에게 즐거움을 느낀다. 어떤 장면들은 결혼을 암시하기도 하며,[32] 남편과 아내가 열정적인 신성한 연인으로 자신들을 묘사한 장례식이나 가정 예술에서 이 관계는 미화되었다.[33]

사랑과 전쟁을 대표하는 신들의 결합은 특히 이 연인들이 콘코르디아의 부모였기 때문에 풍유화에 적합했다. 르네상스 철학자 마르실리오 피치노는 "비너스만이 화성을 지배하고, 화성은 결코 그녀를 지배하지 않는다"고 지적한다.[34] 고대 로마와 르네상스 미술에서 화성은 종종 무장 해제되고 편안하거나 심지어 잠자는 모습으로 묘사되지만, 그들의 불륜의 성격은 이 평화가 일시적임을 암시하기도 한다.[35]

3. 3. 본질적인 성격

생명력의 일종인 기세(''vis'') 또는 덕성(''virtus'')은 마르스의 본질적인 특징이다.[36] 농업의 수호신으로서 그는 곡물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자신의 힘을 쏟았는데, 여기에는 자연의 적대적인 힘을 막는 것도 포함될 수 있다.[37]

아르발 형제단의 사제들은 마르스에게 "녹병"(''lues'')을 쫓아 달라고 기원했는데, 이는 밀 곰팡이와 금속에 영향을 미치는 붉은 산화물이라는 이중적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철 농기구와 무기 모두에 위협이 되었다. 그들의 찬가의 기록에서 아르발 형제들은 야생 동물처럼 "사나운" 또는 "야생의"를 의미하는 ''ferus''로서 마르스를 불렀다.[38]

마르스의 야만성은 그가 야생 삼림과 맺고 있는 불분명한 관계에서 표현되며, 심지어 인간이 설정한 경계 너머의 야생의 신으로서 시작되었을 가능성도 있으며, 따라서 달래야 할 힘이었을 것이다.[39] 카토는 그의 농업에 관한 저서에서 ''마르스 실바누스''를 불러 경작되지 않은 숲(''in silva'')에서 의식을 거행하는데, 이는 제어되지 않으면 농작물에 필요한 밭을 위협할 수 있는 장소이다.[40] 농업의 신으로서 마르스의 성격은 순전히 방어자이자 보호자의 역할에서 유래했을 수도 있고,[41] 그의 전사적 성격과 불가분의 관계일 수도 있다.[42] 무장한 사제인 살리이의 도약은 곡물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것이었다.[43]

마르스는 원래 천둥 또는 폭풍의 신이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그의 다양한 비옥함과 관련된 속성을 설명한다.[19] 이 역할은 나중에 로마 신화에서 수마누스 또는 주피터와 같은 다른 여러 신들이 맡게 되었다.

베누스와 마르스 제단의 암늑대와 쌍둥이 로물루스와 레무스


마르스에게 가장 신성한 야생 동물은 딱따구리와 늑대였는데, 로마인들의 자연 지식에 따르면 이 두 동물은 항상 같은 구릉지와 삼림에 서식한다고 한다.[44]

플루타르코스는 딱따구리(''picus'')가 마르스에게 신성한 이유는 "용감하고 정열적인 새이며, 부리가 매우 강해서 나무 속으로 파고들어 나무의 가장 안쪽 부분까지 도달할 때까지 쪼아서 참나무를 뒤엎을 수 있기 때문"이라고 적고 있다.[45] ''picus Martius''의 부리는 해악을 막는 신의 힘을 담고 있어서 벌에 쏘이거나 거머리에 물리는 것을 막는 부적으로 지니고 다녔다.[46] 마르스의 새는 또한 소화기관이나 여성 생식기계 치료에 사용되는 삼림 식물 ''(작약)''을 지켰는데, 이 식물을 수확하려는 사람들은 딱따구리가 눈을 찌를까 봐 밤에 수확하도록 권고받았다.[47] ''picus Martius''는 특정 종이었던 것 같지만, 어떤 종인지에 대해서는 학자들 사이에 의견이 다르다. 아마도 ''Picus viridis''[48] 또는 ''Dryocopus martius''일 것이다.[49] 딱따구리는 라틴족에게 존경받았으며, 그들은 딱따구리 고기를 먹지 않았다.[50] 딱따구리는 로마와 이탈리아의 점술에서, 즉 하늘의 징조를 관찰하여 신의 뜻을 읽는 관행에서 가장 중요한 새 중 하나였다.[51] 픽쿠스라는 신화 속 인물은 딱따구리로 변신한 후에도 점을 치는 능력을 유지했는데, 한 전승에 따르면 픽쿠스는 마르스의 아들이었다.[52] 움브리아어의 동족어인 ''peiqu''도 "딱따구리"를 의미하며, 이탈리아의 피켄티족은 의식적인 이동인 ''(신성한 봄)''을 마르스의 의식으로 수행하는 동안 그들의 안내 동물로 딱따구리를 삼았기 때문에 그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한다.[53] 또 다른 이탈리아 민족인 아이퀴의 영토에는 매우 오래된 마르스의 신탁이 있었는데, 그곳에서는 예언이 나무 기둥에 앉아 있는 딱따구리에 의해 전해지는 것으로 여겨졌다.[54]

마르스와 늑대의 연관성은 아마도 가장 유명한 로마 신화 중 하나인, 왕위를 찬탈한 아물리우스 왕이 할아버지 누미토르로부터 왕위를 찬탈한 것을 두려워하여 그의 어린 아들들(로물루스와 레무스)을 버렸을 때 암늑대(''lupa'')가 그들을 젖먹였다는 이야기에서 잘 알려져 있다.[55] 딱따구리도 쌍둥이들에게 양식을 가져다주었다.[56] 늑대는 로마의 예술과 문학에서 마르스의 동물로 남성적인 형태로 등장한다. 아피아 가도를 따라 서 있던 조각상에는 마르스가 늑대들과 함께 있는 모습이 보였다.[57] 기원전 295년 센티눔 전투에서 마르스의 늑대(''Martius lupus'')가 나타난 것은 로마의 승리가 임박했음을 알리는 징조였다.[58]

로마 갈리아에서는 거위가 켈트족 형태의 마르스와 관련이 있었고, 고고학자들은 무덤에서 전사들 옆에 묻힌 거위들을 발견했다. 거위는 쉽게 공격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호전적인 동물로 여겨졌다.[59]

기원전 250~150년경 이탈리아 캄파니아 출토 검은 광택 토기의 부조, 마르스와 비너스 (영국 박물관)


비너스와 화성의 결합은 시인과 철학자들에게 더 큰 매력을 주었고, 이 두 연인은 예술의 빈번한 소재였다. 그리스 신화에서 아레스아프로디테의 간통은 남편 헤파이스토스(로마 신화의 불카누스)가 마법의 올가미로 그들을 붙잡으면서 조롱거리가 되었다. 원래 로마 전통의 일부는 아니었지만, 기원전 217년 비너스와 화성은 로마 국가의 주요 신 12명의 이미지가 마치 참석하여 함께하는 것처럼 침상에 놓이는 공공 연회인 ''렉티스테르니움''에서 상호 보완적인 한 쌍으로 제시되었다.[31]

로마 미술에서 비너스와 화성의 장면은 종종 그들의 결합이 지닌 간통의 의미를 무시하고, 큐피드 또는 여러 명의 아모레스(amores)가 시중드는 잘생긴 연인들에게 즐거움을 느낀다. 어떤 장면들은 결혼을 암시하기도 하며,[32] 남편과 아내가 열정적인 신성한 연인으로 자신들을 묘사한 장례식이나 가정 예술에서 이 관계는 미화되었다.[33]

사랑과 전쟁을 대표하는 신들의 결합은 특히 이 연인들이 콘코르디아의 부모였기 때문에 풍유화에 적합했다. 르네상스 철학자 마르실리오 피치노는 "비너스만이 화성을 지배하고, 화성은 결코 그녀를 지배하지 않는다"고 지적한다.[34] 고대 로마와 르네상스 미술에서 화성은 종종 무장 해제되고 편안하거나 심지어 잠자는 모습으로 묘사되지만, 그들의 불륜의 성격은 이 평화가 일시적임을 암시하기도 한다.[35]

원래 이름은 '''마르스'''(Marsla), '''마보르스'''(Māvorsla), '''마메르스'''(Māmersla)였던 것으로 보이며,[197] 그리스 신화아레스와 동일시된다. 전쟁의 신으로서 '''그라디우스'''(Gradīvusla, "진군하는 자"라는 뜻)라는 별칭으로도 불린다.[197] 그러나 전염병의 신처럼 여겨지고 부정적인 신화가 많은 아레스와 달리, 마르스는 용감한 전사, 청년의 이상적인 모습으로 존경받았으며, 주신과 같이 두텁게 숭배받은 중요한 신이다.[197] 수호 동물은 늑대, 수호 새는 딱따구리이다.[197]

3. 4. 신성한 동물



마르스는 야생 동물과 특별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이는 그의 야성적인 면모와 연결될 수 있다.[39] 마르스에게 가장 신성하게 여겨지는 동물은 딱따구리와 늑대이다.[197][44] 로마인들은 이 두 동물이 항상 같은 구릉지와 삼림 지대에 서식한다고 믿었다.[44]

딱따구리와 늑대는 로마 건국 신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마르스의 아들로 알려진 쌍둥이 로물루스와 레무스가 버려졌을 때, 암늑대가 젖을 먹여 살렸고 딱따구리 역시 이들에게 먹을 것을 가져다주었다고 전해진다.[55][56] 늑대는 로마 예술과 문학에서 마르스를 상징하는 동물로 자주 등장한다.[57][58]

한편, 로마 갈리아 지방에서는 거위가 켈트족 형태의 마르스와 관련된 신성한 동물로 여겨졌으며, 호전적인 성격 때문에 전사와 연관되었다.[59]

고대 로마의 종교에서는 신성한 동물과 신에게 바치는 제물을 구분했는데, 마르스에게 바쳐진 대표적인 제물로는 수오베타우릴리아(suovetaurilia)와 10월의 말 등이 있다. (제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제물 섹션 참조)

3. 4. 1. 제물



고대 그리스와 로마 종교에서는 신에게 신성한 동물과 제물로 바치는 동물을 구분했다. 야생동물은 신성시 여기는 신에게 이미 속한 것으로, 또는 적어도 인간이 소유하지 않은 것이므로 주는 것이 불가능한 것으로 여겨질 수 있었다.[60] 마르스에게 가장 신성한 야생 동물은 딱따구리와 늑대였는데, 로마인들의 자연 지식에 따르면 이 두 동물은 항상 같은 구릉지와 삼림에 서식한다고 한다.[44]

플루타르코스는 딱따구리(''picus'')가 마르스에게 신성한 이유를 "용감하고 정열적인 새이며, 부리가 매우 강해서 나무 속으로 파고들어 나무의 가장 안쪽 부분까지 도달할 때까지 쪼아서 참나무를 뒤엎을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45] ''picus Martius''의 부리는 해악을 막는 신의 힘을 담고 있다고 여겨져 벌에 쏘이거나 거머리에 물리는 것을 막는 부적으로 지니고 다녔다.[46] 마르스의 새는 또한 소화기관이나 여성 생식기계 치료에 사용되는 삼림 식물 ''(작약)''을 지켰다고 전해진다.[47] 딱따구리는 라틴족에게 존경받았으며, 그들은 딱따구리 고기를 먹지 않았다.[50] 딱따구리는 로마와 이탈리아의 점술에서 중요한 새 중 하나였다.[51] 픽쿠스라는 신화 속 인물은 딱따구리로 변신한 후에도 점을 치는 능력을 유지했는데, 한 전승에 따르면 픽쿠스는 마르스의 아들이었다.[52] 이탈리아의 피켄티족은 ''(신성한 봄)'' 의식을 수행할 때 딱따구리를 안내 동물로 삼았다고 하며,[53] 아이퀴족의 영토에는 딱따구리가 예언을 전한다고 믿어지는 마르스의 신탁이 있었다.[54]

마르스와 늑대의 연관성은 로마 신화 중 암늑대(''lupa'')가 마르스의 아들인 로물루스와 레무스를 젖먹여 키웠다는 이야기에서 가장 잘 나타난다.[55] 딱따구리도 쌍둥이들에게 양식을 가져다주었다고 한다.[56] 늑대는 로마의 예술과 문학에서 마르스의 동물로 등장하며, 아피아 가도에는 마르스와 늑대들이 함께 있는 조각상이 있었다.[57] 기원전 295년 센티눔 전투에서는 마르스의 늑대(''Martius lupus'')가 나타나 로마의 승리를 예고했다고 전해진다.[58]

로마 갈리아에서는 거위가 켈트족 형태의 마르스와 관련이 있었으며, 호전적인 동물로 여겨졌다.[59]

돼지, 숫양, 황소를 제물로 바치는 수오베타우릴리아(suovetaurilia) 행렬. 제사장은 머리를 의식적으로 가리고 있다.


반면, 마르스에게 바치는 제물은 주로 가축이었다. 제물의 고기는 신들이 그들의 몫(주로 내장인 ''(exta)'')을 받은 후 연회에서 먹었기 때문에, 로마인의 식단에 포함되는 동물들이 주로 선택되었다.[60] 신들은 종종 거세된 수컷 동물을 제물로 받았고, 여신들은 암컷 희생물을 받았지만, 마르스(Mars)는 정기적으로 온전한 수컷을 받았다.[61] 마르스는 마르스 그라보비우스와 같이 특정 숭배 명칭 아래에서는 를 받았지만, 일반적인 제물은 황소였으며, 단독으로, 여러 마리로, 또는 다른 동물과 함께 바쳐졌다.

마르스에게 바쳐진 가장 독특한 두 가지 동물 제물은 돼지(''sus''), 숫양(''ovis''), 황소(''taurus'')를 삼중으로 바치는 ''suovetaurilia''[62]와, 고대 로마에서 행해진 것으로 알려진 유일한 말 제사이자 로마인들이 먹을 수 없다고 여긴 희생 제물의 드문 사례인 10월의 말이었다.[63]

4. 로마의 신전과 지형

로마에서 전쟁의 신 마르스를 숭배하는 가장 오래된 중심지는 로마의 신성한 경계(포메리움) 바깥에 있는 마르스 광장(Campus Martius, "마르스의 들판")에 위치한 마르스 제단(Ara Martis)이었다. 로마인들은 이 제단이 로물루스의 뒤를 이은 평화를 사랑하는 누마 폼필리우스에 의해 세워졌다고 믿었다.[64] 로마 전통에 따르면, 마르스 광장은 조상들이 말의 방목지와 젊은이들을 위한 기수 훈련장으로 사용하기 위해 마르스에게 바쳐졌다.[65] 로마 공화국 (기원전 509~27년) 시대 동안, 마르스 광장은 대부분 열린 공간이었다. 제단에는 사원이 세워지지 않았지만, 기원전 193년부터 폰타날리스 문 근처에 있는 로마 검열관들의 사무실과 기록 보관소까지 이어지는 지붕이 있는 통로가 건설되었다. 새로 선출된 검열관들은 제단 옆에 곡옥 의자를 놓았고, 인구 조사를 마치면 시민들은 집단적으로 정화의식(lustrum)을 치렀다.[66] 소위 "도미티우스 아헤노바르부스"의 제단의 프리즈는 인구 조사를 묘사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희생 제물의 행렬이 다가오는 동안 마르스 자신이 제단 옆에 서 있는 모습을 보여줄 수도 있다.[67]

아우구스투스 황제의 포룸, 로마에 있는 마르스 울토르 신전 유적


공화정 시대의 주요 마르스 사원(Aedes Martis) 또한 신성한 경계 밖에 위치했으며, 신의 전사적 측면에 헌정되었다.[68] 이 사원은 기원전 388년 티투스 퀸크티우스가 갈리아의 로마 침공 중에 한 서원(보툼)을 이행하기 위해 건설되었다.[69] 창립일(dies natalis)은 6월 1일에 기념되었으며,[70] 여러 비문과 문헌 자료에 의해 그 존재가 증명된다.[71] 마르스와 늑대의 조각상이 그곳에 전시되었다.[72] 병사들은 종종 전쟁터로 향하기 전에 이 사원에 모였으며, 매년 7월 15일에 열리는 주요 로마 기병대 퍼레이드의 출발 지점이었다.[73]

플라미니우스 서커스에 있는 마르스 사원은 기원전 133년경 데키무스 유니우스 브루투스 칼라이쿠스가 전리품으로 건설하였다. 이곳에는 거대한 마르스 조각상과 나체의 비너스 조각상이 있었다.[74]

마르스 광장은 로마 제국 시대 동안 전차 경주와 같은 기수 행사를 위한 장소를 계속 제공했지만, 초대 황제 아우구스투스 치하에서 기념비적인 건축물이 특징인 대규모 도시 재개발 사업을 겪었다. 아우구스투스 평화 제단(Ara Pacis Augustae)과 몬테치토리오 오벨리스크(로마령 이집트에서 가져온)가 그곳에 위치해 있었으며, 솔라리움 아우구스티라는 거대한 해시계의 그노몬 역할을 했다. 공원이 조성된 마르스 광장은 도시에서 가장 매력적인 장소 중 하나가 되었다.[75]

아우구스투스는 그의 새로운 아우구스투스 황제의 포룸 중심에 마르스 울토르(Mars Ultor, 복수자 마르스)를 위한 대형 사원을 건설했다. 이는 율리우스 카이사르 암살과 카르하이 전투에서 입은 군사적 참패에 대한 복수자로서 마르스를 숭배한 것이다. 파르티아인들에게 빼앗겼던 군단기가 회수되었을 때, 이 새로운 사원에 보관되었다. 5월 12일 사원 봉헌일은 전쟁의 점성술 기호인 전갈자리 별자리가 태양과 함께 지는 시점과 일치했다.[76] 4세기 중반까지 서커스 게임이 계속해서 개최되었다.[77]

거대한 마르스 조각상은 62년에 건설되었지만 네로의 자살과 몰락(다므나티오 메모리아에) 후 철거된 단명한 로마 개선문 목록인 네로의 개선문의 일부였다.[78]

5. 도상학과 상징



비너스와 마르스의 결합은 시인과 철학자들에게 매력적인 주제였으며, 예술 작품에서도 자주 다루어졌다. 그리스 신화에서 아레스아프로디테의 간통은 남편 헤파이스토스(로마 신화의 불카누스)에게 발각되어 조롱거리가 되었지만, 로마에서는 다른 방식으로 해석되었다. 기원전 217년, 로마의 주요 신 12명(디 콘센테스)을 기리는 공공 연회인 ''렉티스테르니움''에서 비너스와 마르스는 서로 보완적인 한 쌍으로 제시되었다.[31]

로마 미술에서 비너스와 마르스를 묘사한 장면들은 종종 간통이라는 측면보다는 큐피드나 여러 아모레스(amores)의 시중을 받는 아름다운 연인들의 모습에 초점을 맞춘다. 일부 장면은 결혼을 암시하기도 하며,[32] 부부가 자신들을 열정적인 신성한 연인으로 묘사한 장례 예술이나 가정 예술에서는 이 관계가 미화되기도 했다.[33]

사랑과 전쟁을 대표하는 두 신의 결합은 풍유화에 적합한 주제였으며, 특히 이들은 콘코르디아(조화의 여신)의 부모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르네상스 철학자 마르실리오 피치노는 "비너스만이 화성을 지배하고, 화성은 결코 그녀를 지배하지 않는다"고 언급했다.[34] 고대 로마와 르네상스 미술에서 마르스는 종종 무장 해제된 채 편안하거나 잠든 모습으로 그려지지만, 이러한 평화는 그들의 관계가 가진 본성상 일시적임을 암시하기도 한다.[35]

로마 미술에서 마르스는 수염이 있는 성숙한 모습 또는 젊고 수염 없는 모습으로 다양하게 묘사된다. 누드나 반누드로 그려질 때조차 그의 전사적 본성을 나타내는 투구를 쓰거나 창을 들고 있는 경우가 많다. 마르스는 기원전 4세기 후반과 3세기 초 로마의 초기 주화에 등장한 신들 중 하나였다.[80]

기원전 1세기 후반에 세워진 평화의 제단(Ara Pacis)에는 마르스가 고전적인 얼굴에 짧은 곱슬 수염과 콧수염을 가진 성숙한 남성으로 묘사되어 있다. 그는 깃털 장식이 달린 신아테네식-형 투구를 쓰고, 군사 망토(팔루다멘툼)와 고르고네이온으로 장식된 흉갑을 착용하고 있다. 비록 부조 일부가 손상되었지만, 군사적 승리로 얻은 평화를 상징하는 월계관 장식 창을 들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네르바 포룸에서 발견된 1세기 마르스 상 역시 비슷한 모습이다. 이러한 묘사를 통해 마르스는 로마인들의 위엄 있는 조상으로 제시된다. 평화의 제단에서 마르스가 묘사된 패널은 마르스 광장(Campus Martius)을 향했을 것이며, 시민들에게 누마 폼필리우스가 그곳에 마르스의 제단을 세웠음을, 즉 마르스가 로마의 가장 오래된 시민 및 군사 기관의 신임을 상기시켰을 것이다.[81]

특히 그리스 전통의 영향을 받은 예술 작품에서는 마르스가 아레스처럼 젊고 수염이 없으며 종종 누드로 묘사되기도 한다.[82] 르네상스 시대에는 마르스의 누드가 위험 앞에서도 두려움이 없음을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83]

5. 1. 마르스의 창

창은 목성이 번개를, 해왕성이 삼지창을, 토성이 낫을 사용하는 것처럼 마르스가 사용하는 도구이다.[84] '화성의 창'[85]이라 불리는 유물 또는 페티시는 로마 왕들의 옛 거처였던 레기아의 신성한 장소(sacrarium)에 보관되었다.[86] 이 창은 전쟁이 임박하거나 국가에 다른 위험이 닥쳤을 때 움직이거나 떨리는 현상을 보인다고 알려졌으며, 율리우스 카이사르 암살 전에도 이러한 현상이 있었다고 전해진다.[87] 마르스가 평화의 사자로 묘사될 때는 아라 파키스나 아이밀리아누스의 동전에서처럼 그의 창이 월계수나 다른 식물로 장식되기도 한다.[88]

6. 사제단

로마 공공 종교에서 마르스의 대제사장은 Flamen Martialis|플라멘 마르티알리스la였다. 그는 15명의 플라멘단의 세 명의 주요 제사장 중 한 명이었다. 마르스는 또한 Salii|살리이la에게도 봉사를 받았는데, 살리이는 귀족 청년 12명으로 구성된 사제단이었다. 이들은 고대 전사 복장을 하고 3월에 도시 주변을 행렬하며 춤을 추었다. 두 사제단 모두 고대 로마 역사의 초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귀족 출신이 요구되었다.[89]

7. 축제와 의식

화성(Mars)을 기리는 축제는 주로 그의 이름에서 유래한 3월(라틴어: Martiusla)에 집중되었으며, 군사 작전과 농업이 시작되고 끝나는 시기인 10월에도 일부 의식이 거행되었다. 마르스 광장(Campus Martius)에서는 경마를 포함한 축제가 열렸다. Martiusla가 원래 로마력의 첫 달이었기 때문에, 3월의 일부 축제는 새해 축제의 성격을 지니기도 했다.[90]

기원전 88년에 발행된 데나리우스 동전. 투구를 쓴 화성의 모습과 반대편에는 이륜 전차( )를 모는 비크토리아 여신이 묘사되어 있다.


주요 축제와 의식은 다음과 같다.

날짜축제 이름내용
2월 27일에퀴리아전차 경주 또는 경마
3월 1일화성의 dies natalis|디에스 나탈리스la ("생일")어머니 유노에게도 신성한 날(feriala)[91]
3월 14일두 번째 에퀴리아전차 경주
3월 14일 또는 15일마무랄리아마무리우스 베투리우스(아마도 옛 해의 "늙은 화성")라는 인물을 쫓아내는 새해 축제
3월 17일아고날리아 또는 {{lang다양한 신들을 위해 다른 시기에도 거행된, 정확한 성격이 불분명한 의식
3월 23일투빌루스트리움출병하는 군대를 정화하는 의식
10월 15일10월의 말 의식전차 경주와 로마에서 유일하게 알려진 말 제사
10월 19일아르밀루스트리움"무기의 정화" 의식



화성은 로비갈리아와 콘수알리아 축제에서도 전차 경주를 통해 경배받았으나, 이 축제들이 주로 그에게 헌정된 것은 아니었다. 기원전 217년부터 화성은 신들의 형상으로 차려진 신들에게 바치는 연회인 렉티스테르니움에서 경배받는 신들 중 하나가 되었다.

로마 시대의 찬송가(carminala)는 거의 전해지지 않지만, 화성은 두 종류의 찬송가에서 언급된다. 아르발 형제("들판의 형제들")는 세 단계로 이루어진 춤을 추며 화성에게 바치는 찬송가를 불렀다.[92] 살리우스 사제들은 도시를 행진하며 12개의 신성한 방패(anciliala)를 옮길 때 Carmen Saliare|카르멘 살리아레la를 불렀다.[93] 1세기경 퀸틸리아누스는 살리아 찬송가의 언어가 너무 오래되어 당시 사람들도 완전히 이해하기는 어렵다고 언급했다.[94]

8. 이름 및 숭배 칭호

"마르스"(속격 "마르티스")[11]는 고대 라틴어와 시적 표현에서는 Māvors|마보르스la(속격 Māvortis|마보르티스la)[12]로도 나타나며, 오스칸어의 Mamers|마메르스osc(속격 Mamertos|마메르토스osc)[13]와 어원적으로 관련이 있다. 가장 오래된 기록된 라틴어 형태인 "마마르트-"(Mamart-)는 외래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높다.[14] 에트루리아의 어린이 신 마리스의 이름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지만, 널리 받아들여지지는 않는다.[15][16] 마르스의 이름에서 파생된 라틴어 형용사 "마르티우스"(Martius)와 "마르티알리스"(Martialis)는 영어 단어 "martial"(무술의, 전쟁의)이나 계엄령 같은 표현, 그리고 마르쿠스, 마크, 마틴과 같은 이름의 어원이 되었다.[17][18] 원래 이름은 Māvors|마보르스la였던 것으로 보이며, Māmers|마메르스la라고도 불렸다.[197]

마르스는 궁극적으로 원시 인도-유럽 종교의 신 페르쿠누스에서 유래했을 수 있으며, 원래는 천둥신과 같은 성격을 가졌을 것으로 추정된다.[19]

마르스의 배우자는 네리오(Nerio) 또는 네리에네(Neriene)로, '용기'를 의미한다. 그녀는 마르스의 생명력(vis|비스la), 힘(potentia|포텐티아la), 위엄(maiestas|마이에스타스la)을 나타낸다.[24] 그녀의 이름은 사비니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며, 남성적 미덕을 뜻하는 라틴어 virtus|비르투스la(vir|비르la, '남자'에서 유래)와 같은 의미이다.[25] 기원전 3세기 초 희극 작가 플라우투스는 마르스가 아내 네리오를 맞이하는 장면을 언급했다.[26] 후기 고대 자료에 따르면, 마르스와 네리에네는 3월 23일 축제에서 함께 기념되었다.[27] 후기 로마 제국 시대에는 네리에네가 미네르바와 동일시되기도 했다.[28] 네리오는 마르스의 힘을 신격화한 추상적인 존재로 여겨지며, 라틴어에서 이러한 추상적 개념은 주로 여성 명사로 표현된다.[29] 그리스 신화와 의인화된 신들의 영향으로 로마 작가들은 이러한 신들의 짝을 '결혼'으로 간주하게 되었을 수 있다.[29]

고대 로마의 종교에서 마르스는 여러 칭호로 불렸으며, 초대 로마 황제 아우구스투스는 마르스를 황제 숭배 체계에 완전히 통합시켰다. 4세기 라틴 역사가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는 마르스를 그의 시대까지도 "숭배의 현실"로 남아 있던 중요한 고대 로마 신들 중 하나로 언급했다.[96] 마르스는 그리스 신화아레스와 동일시되지만, 아레스가 종종 부정적으로 묘사되고 전염병의 신처럼 여겨지는 것과 달리, 마르스는 용감한 전사이자 청년의 이상적인 모습으로 존경받았으며 유피테르처럼 중요하게 숭배받은 신이다.[197] 그의 대표적인 칭호 중 하나는 "진군하는 자"를 뜻하는 그라디부스(Gradīvus|그라디우스la)이다.[197] 마르스를 상징하는 동물은 늑대이고, 상징하는 새는 딱따구리이다.[197]

8. 1. 마르스 그라디부스

그리스 신화아레스와 동일시되며, 전쟁의 신으로서 '''그라디부스'''(Gradīvus|그라디우스la, "진군하는 자"라는 뜻)라는 별칭으로도 불린다.[197] 이 명칭은 "발걸음, 행진"을 의미하는 라틴어 ''gradus''에서 유래하여 "걷는 자" 또는 "행군하는 신"으로 가장 자주 해석된다.[100] 그라디부스는 장군이나 병사들이 전투에서 용감하게 싸울 것을 맹세할 때 기대했던 신들 중 하나였다.[98] 로마의 카페나 문 밖에 있던 그의 신전은 군대가 집결하는 장소였다. 그라디부스의 고대 사제들은 살리이(Salii) 즉, "뛰는 사제들"이었는데, 이들은 전쟁의 서막으로 갑옷을 입고 의식적으로 춤을 추었다.[99]

스타티우스 시인은 그를 "가장 가차 없는 신"으로 묘사했지만,[101] 발레리우스 막시무스는 그의 로마사 서술(Roman historiography)을 마무리하며 그라디부스를 "'로마'라는 이름의 창시자이자 지지자"로 언급했다.[102] 그라디부스는 카피톨리누스 유피테르베스타와 함께 로마 국가, 평화, 그리고 프린켑스(당시 황제 티베리우스)를 "지키고, 보존하고, 보호하라"고 요청받은 중요한 수호신이었다.[103]

고대 후기(Late Antiquity)의 자료에 따르면 그라디부스의 아내는 네레이우스의 딸인 네레이아였고, 그는 그녀를 열렬히 사랑했다고 한다.[104]

원래 이름은 '''마르스'''(Mars, Māvors|마보르스la)였던 것으로 보이며, '''마메르스'''(Māmers, Māmers|마메르스la)라고도 불렸다.[197] 비록 그리스 신화의 아레스와 동일시되지만, 전염병의 신처럼 여겨지고 부정적인 신화가 많은 아레스와 달리, 마르스는 용감한 전사, 청년의 이상적인 모습으로 존경받았으며, 유피테르와 같이 두텁게 숭배받은 중요한 신이다.[197] 마르스의 수호 동물은 늑대, 수호 새는 딱따구리이다.[197]

8. 2. 마르스 키리누스

마르스 키리누스는 퀴리테스("시민" 또는 "평민")의 수호신이었으며, 조약을 체결하기 위해서는 시민 집회인 ''쿠리아''의 맹세가 필요했다.[105] 조약의 보증인으로서 마르스 키리누스는 평화의 신이기도 하다. "격노할 때는 마르스를 ''그라디부스''라고 부르지만, 평화로울 때는 ''키리누스''라고 부른다."[106]

신격화된 로물루스는 마르스 키리누스와 동일시되었다. 그러나 카피톨리누스 삼신인 주피터, 마르스, 그리고 키리누스에서 마르스와 키리누스는 두 개의 별개의 신이었지만, 기원적으로는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세 신 각각은 자신의 플라멘(전문 사제)을 두었지만, 플라멘 마르티알리스와 플라멘 키리날리스의 기능은 구분하기 어렵다.[107]

마르스의 원래 이름은 Māvorslat였던 것으로 보이며, Māmerslat라고도 불렸다.[197] 그리스 신화아레스와 동일시되며, 전쟁의 신으로서 Gradīvuslat("진군하는 자"라는 뜻)라는 별칭으로도 불린다.[197] 그러나 전염병의 신처럼 여겨지고 부정적인 신화가 많은 아레스와 달리, 마르스는 용감한 전사, 청년의 이상적인 모습으로 존경받았으며, 주신 주피터와 같이 두텁게 숭배받은 중요한 신이다.[197] 마르스의 수호 동물은 늑대, 수호 새는 딱따구리이다.[197]

8. 3. 마르스 그라보비우스

마르스는 움브리아어로 쓰여진 청동판인 이구비움 비문에서 '그라보비우스(Grabovius)'라는 이름으로 언급된다. 이 비문에는 구비오(Gubbio) 도시 공동체를 위해 공적인 의식을 거행하는 절차가 기록되어 있다. 같은 칭호는 주피터와 움브리아의 신 보피오누스(Vofionus)에게도 주어진다. 이 세 신은 고대 삼신과 비교되었으며, 보피오누스는 키리누스와 동일시되기도 한다.[108]

이구비움 비문 I과 VI에는 도시의 세 문에서 행해진 복잡한 의식이 묘사되어 있다. 조짐을 살핀 후, 각 문에서 세 마리씩 두 무리의 희생물이 바쳐졌다. 마르스 그라보비우스에게는 세 마리의 소가 희생 제물로 바쳐졌다.[109]

8. 4. 마르스 파테르

"마르스(Mars) 신부" 또는 "신부 마르스"는 카토의 농업 기원문에서 신을 부르는 형태이며, 여러 다른 문헌과 비문에도 이 칭호로 등장한다.[110] '마르스 파테르(Mars Pater)'는 데보티오 의식에서 불리는 여러 신들 중 하나이며, 이 의식을 통해 장군은 로마의 승리를 위해 자신과 적의 목숨을 희생했다.[112]

마르스 파테르는 돼지(sus), 숫양(ovis), 황소(taurus)를 희생하는 수오베타우릴리아(suovetaurilia) 제사의 일반적인 수혜자였으며, 종종 황소만 희생하기도 했다.[113] 마르스 파테르에게는 "마르스 파테르 빅토르(Mars Pater Victor)"("승리의 아버지 마르스")와 같이 다른 칭호가 붙기도 했는데,[114] 로마 군대는 3월 1일에 그에게 황소를 희생했다.[115]

파테르(pater)와 마테르(mater)는 신에게 흔히 사용되는 경칭이었지만,[116] 로마 사람들의 아버지로서 마르스의 특별한 의미는 그를 로물루스와 레무스의 신성한 아버지로 여기는 신화적 족보에서 찾을 수 있다.[117]

8. 5. 마르스 실바누스

카토는 자신의 농업 서적에서 요리법과 의료 준비법을 제시하는 부분에서 소의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서원(votumla)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각 소 한 마리당 낮 시간에 숲(in silvala)에서 마르스 실바누스(Mars Silvanusla)에게 제물을 바쳐라: 밀가루 3파운드, 베이컨 4.5파운드, 고기 4.5파운드, 포도주 3파인트. 제물은 하나의 그릇에, 포도주도 하나의 그릇에 담을 수 있다. 노예나 자유민 모두 이 제물을 바칠 수 있다. 의식이 끝난 후에는 즉시 그 자리에서 제물을 먹어 치워라. 여성은 이 제물 의식에 참여하거나 그 과정을 보아서는 안 된다. 원한다면 매년 서원을 할 수 있다.[118]



마르스 실바누스(Mars Silvanusla)가 단일 신격인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되어 왔다. 신들의 봉헌(invocatiola)은 종종 목록처럼 나열되며(asyndetonla), 접속사 없이 나열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 구절은 "마르스와 실바누스"로 이해하는 것이 더 적절할 수 있다.[119] 여성은 실바누스(Silvanusla)의 일부 종교 의례에서 명시적으로 배제되었지만, 마르스(Marsla)의 의례에서는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었다.[120] 그러나 윌리엄 워드 파울러(William Warde Fowler영어)는 야생의 숲의 신 실바누스(Silvanusla)가 마르스(Marsla)의 "분신 또는 파생물"일 수 있다고 생각했다.[121]

8. 6. 마르스 울토르



고대 로마의 종교에서 마르스는 다양한 칭호로 불렸으며, 초대 로마 황제 아우구스투스는 마르스를 황제 숭배 체계에 통합시켰다. 그는 두 가지 중요한 사건을 기념하며 '복수자 마르스'(Mars Ultor) 숭배를 확립했다. 첫째는 기원전 42년 필립피 전투에서 카이사르를 암살한 세력을 격파한 것이고, 둘째는 기원전 53년 카르라이 전투에서 파르티아에게 빼앗겼던 로마 군단기를 협상을 통해 되찾아온 것이다.[123]

복수자 마르스는 흉갑과 투구를 착용하고 오른손에 창을 짚은 채 전투 태세를 갖춘 모습으로 묘사된다. 왼손에는 방패를 들고 있다.[124] 복수의 여신인 울티오(Ultio) 역시 그의 신전에 제단과 황금으로 만든 상을 가지고 있었다.[125]

기원전 2년, 아우구스투스는 아우구스투스 황제의 포럼 중앙에 복수자 마르스 신전을 헌정하여 그에게 새로운 영예로운 공간을 마련했다.[123][126] 이 신전은 카피톨리누스의 유피테르 숭배에서 행해지던 일부 의식을 이어받았으며,[127] 관리들이 해외로 군사 원정을 떠날 때 출발하는 공식적인 장소가 되었다.[128] 아우구스투스는 전쟁과 평화에 관한 문제를 논의할 때 원로원이 이 신전에서 회의를 열도록 규정했다.[129] 또한, 약 14세의 소년들이 성인 남성의 토가인 ''토가 비릴리스''(toga virilis)를 입는 통과 의례를 마치고 제사를 지내는 장소이기도 했다.[130]

다양한 황제 기념일에는 복수자 마르스가 황제의 수호신령인 게니우스(Genius)보다 앞서 가장 먼저 제물을 받는 신으로 대우받았다.[131] 2세기의 비문에는 복수자 마르스에게 금으로 장식된 뿔을 가진 황소를 바치겠다는 서약이 기록되어 있다.[132]

4세기 라틴 역사가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는 마르스를 그의 시대까지 "숭배의 현실"로 남아 있던 여러 고대 로마 신들 중 하나로 언급했다.[96] 마르스, 특히 마르스 울토르는 율리아누스 황제에게 제물을 받은 신들 중 하나였다. 율리아누스는 콘스탄티누스 1세의 기독교 개종 이후 이를 거부한 유일한 황제였다. 363년, 크테시폰 공성전을 준비하며 율리아누스는 마르스 울토르에게 열 마리의 최상급 황소를 바치려 했다. 그러나 열 번째 황소가 제단에서 벗어나려 하면서 의식 규정을 어겼고, 죽여서 내장을 살펴본 결과 불길한 징조가 나타났다. 이는 율리아누스 통치 말기에 나타난 여러 불길한 징조 중 하나였다. 암미아누스의 기록에 따르면, 율리아누스는 이 일로 인해 다시는 마르스에게 제사를 지내지 않겠다고 맹세했고, 한 달 뒤 사망함으로써 그 서약을 지키게 되었다.[97]

8. 7. 마르스 아우구스투스

갈리아에서 발견된 마르스 아우구스투스에게 바쳐진 부분적으로 파손된 기념비


“아우구스투스(Augustus)” 또는 “아우구스타(Augusta)”는 크고 작은 기념물에 신들의 이름에 널리 추가된 경칭이다.[133] 이 경칭은 해당 신이 황제 숭배와 관련되었음을 나타낸다.[134] 히스파니아에서는 마르스 아우구스투스에게 바쳐진 많은 조각상과 헌정물이 사제 또는 소달레스라 불리는 조직, 즉 ''소달레스 아우구스타레스''의 구성원들에 의해 봉헌되었다.[135] 이러한 서원 (''vota'')은 대개 황제 숭배의 신전이나 마르스에게 특별히 봉헌된 사원 또는 구역 (''templum'')에서 이행되었다.[136] 다른 신들처럼 “아우구스투스”로 불린 신에게 바쳐진 제단은 황제의 안녕 (''salus'')을 기원하기 위해 설치되었을 수도 있지만,[137] 일부 비문은 개인적인 헌신을 시사하기도 한다. 알프스의 한 비문은 자신의 몸을 보존해 준 마르스 아우구스투스에게 조각상을 봉헌한 노예의 감사를 기록하고 있으며, “신 자신(the numen himself)”의 명령에 따라 (''ex iussu numinis ipsius'') 서원했다고 전한다.[138]

“마르스 아우구스투스(Mars Augustus)”는 제국 전역의 유적지 비문에서 발견된다. 예를 들어 히스파니아 바에티카, 사군토[139] 및 에메리타(루시타니아)[140], 오늘날 리비아렙티스 마그나(서기 6~7년 기록)[141], 그리고 다키아 주의 사르미제게투사[142] 등에서 그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8. 8. 지방적 칭호

로마에서의 숭배 명칭 외에도, 마르스(Mars)는 로마 제국 속주에서 발견되는 많은 비문에 등장하며, 문헌 자료에서는 드물게 나타난다. 이때 마르스는 지역 신과 동일시되어 칭호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갈리아, 히스파니아, 로마 브리타니아 등 대륙 켈트 문화권에서 자주 발견된다.

켈트 지역에서는 마르스가 치유자로서 불리는 경우가 흔했다.[143] 비문들은 전장에서 적을 물리치는 마르스의 능력이 병든 사람의 질병과의 싸움으로 옮겨졌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치유 능력은 '막아내고 구출하는' 개념으로 표현되었다.[144]

8. 8. 1. 켈트 마르스

마르스는 여러 켈트 신들과 동일시되는데, 그중 일부는 독립적으로 증명되지 않았다.

로마 시대 브리타니아의 바크웨이() 유물에서 발견된, 마르스 알라토르(Mars Alator)에게 바쳐진 봉납판

  • '''마르스 알라토르(Mars Alator)'''는 사우스 쉴즈(South Shields|사우스 쉴즈eng)[145]의 제단에서 발견된 비문과 허트퍼드셔(Hertfordshire|허트퍼드셔eng)의 바크웨이(Barkway|바크웨이eng) 유물[146]에서 나온 은도금 봉납판을 통해 로마 시대 브리타니아에서 증명된다.[146] '알라토르(Alator)'는 "사냥꾼" 또는 "보호자"로 다양하게 해석되었다.[147][148]
  • '''마르스 알비오릭스(Mars Albiorix)'''는 갈리아 나르보넨시스 지방의 현재의 사블레(Sablet|사블레fra)에서 발견된 비문에 나타난다.[149] '알비오릭스(Albiorix)'는 아마도 "땅의 왕" 또는 "세상의 왕"을 의미할 것이며, 첫 번째 요소는 지명 알비온(Albion|알비온eng)과 중세 웨일스어(Middle Welsh|중세 웨일스어cym)의 'elfydd'(세상, 땅)와 관련이 있다.[150] 토성의 위성 알비오릭스(Albiorix|알비오릭스eng)[151]는 이 칭호를 따서 명명되었다.
  • '''마르스 바렉스(Mars Barrex)'''는 잉글랜드 카라일(Carlisle|카라일eng)에서 발견된 단 하나의 봉헌 비문으로 증명된다.[152] '바렉스(Barrex)' 또는 '바레키스(Barrecis)'는 아마도 "최고 존재"[148](갈리아어(Gaulish|갈리아어xcg) 'barro-', "머리")를 의미할 것이다.[153]
  • '''마르스 벨라투카드루스(Mars Belatucadrus)'''는 하드리아누스 장벽(Hadrian's Wall|하드리아누스 장벽eng) 지역에서 다섯 개의 비문에 이름이 언급된다.[154][155] 다양한 철자로 쓰인 켈트 신 벨라투카드로스(Belatucadros)는 북부 잉글랜드에서 추가로 20개의 비문에서 독립적으로 증명된다.[156]
  • '''마르스 브라키아카(Mars Braciaca)'''는 더비셔(Derbyshire|더비셔eng)의 베이크웰(Bakewell|베이크웰eng)에서 발견된 단 하나의 봉납 비문에 나타난다.[148][157] 이 켈트 칭호는 맥아 또는 맥주를 가리킬 수 있지만, 그리스-로마 종교에서의 음주는 디오니소스와 관련이 있다.[158] 플리니우스(Plinius|플리니우스lat)[159]의 언급은 마르스의 농업적 기능과의 연관성을 시사하는데, 갈리아어(Gaulish|갈리아어xcg) 'bracis'는 한 종류의 밀을 가리키며, 중세 라틴어 주석[160]에서는 그것이 맥주를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고 말한다.

갈리아 출신 청동 마르스상

  • '''마르스 카물루스(Mars Camulus)'''는 상당히 넓은 지역에 걸쳐 산재한 다섯 개의 비문에서 발견된다.[161] 켈트 신 카물루스(Camulus)는 로마에서 발견된 하나의 봉납 비문에서 독립적으로 등장한다.[162]
  • '''마르스 코키디우스(Mars Cocidius)'''는 북부 잉글랜드에서 다섯 개의 비문에서 발견된다.[163] 켈트 신 코키디우스(Cocidius)에 대한 총 20개 정도의 봉헌물이 알려져 있는데, 주로 로마 군인들이 바쳤으며, 북서 컴브리아(Cumbria|컴브리아eng)와 하드리아누스 장벽을 따라 제한되어 있다. 그는 한 번 실바누스(Silvanus|실바누스lat)와 동일시된다.[164] 그는 두 개의 봉납판에서 방패와 창을 든 전사로,[165] 제단에서는 개와 사슴을 동반한 사냥꾼으로 묘사되어 있다.[166]
  • '''마르스 콘다티스(Mars Condatis)'''는 로마 시대 브리타니아의 여러 비문에서 나타난다. 이 숭배 칭호는 종종 갈리아에서 강의 합류 지점에 있는 정착지에 사용되는 지명 'Condate'와 관련이 있을 것이다.[167] 켈트 신 콘다티스(Condatis)는 물과 치유와 관련된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148][168]
  • '''마르스 코로티아쿠스(Mars Corotiacus)'''는 서퍽(Suffolk|서퍽eng)의 마틀레샴(Martlesham|마틀레샴eng)에서 나온 봉납물에서만 증명되는 기마 마르스이다.[169] 청동 소상은 그를 무장하고 말을 타고 발 아래 쓰러진 적을 짓밟는 기병으로 묘사한다.[170]
  • '''마르스 레누스(Mars Lenus)''' 또는 더 자주 '''레누스(Lenus)''' 마르스는 트레베리(Treveri|트레베리lat)(현재의 트리어(Trier|트리어deu))의 수도에서 주요 치유 숭배를 가지고 있었다. 봉납물 중에는 비둘기를 바치는 아이들의 이미지가 있다.[171] 그의 배우자 안캄나(Ancamna)는 켈트 신 스메르트리오스(Smertrios)와도 함께 발견된다.
  • '''마르스 루케티우스(Mars Loucetius)'''. '-ius'로 라틴어화된 켈트 신 루케티오스(Loucetios)는 현재 독일프랑스에서 9개, 브리타니아에서 1개의 비문에 나타나며, 3개는 'Leucetius'로 나타난다. 갈리아어(Gaulish|갈리아어xcg)와 브리소닉어(Brythonic|브리소닉어eng) 신명은 원시 켈트어() '*louk(k)et-'("밝은, 빛나는, 번개치는", 따라서 "번개"도 포함)[172]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전투와 뇌우 사이의 켈트어 일반적인 은유(고대 아일랜드어(Old Irish|고대 아일랜드어sga) 'torannchless', "천둥 업적") 또는 신격화된 영웅의 아우라(쿠 훌린의 'lúan')를 암시한다. 이 이름은 마르스의 칭호로 주어진다. 마르스 루케티우스의 배우자는 네메토나(Nemetona|네메토나eng)인데, 그녀의 이름은 "신성한 특권" 또는 신성한 숲(네메톤(nemeton|네메톤eng))[173]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빅토리아(Victoria|빅토리아lat) 여신과도 동일시된다. 배스(Bath|배스eng)의 로마-브리타니아 유적지에서, 대륙 갈리아 벨기카트레베리(Treveri|트레베리lat)에서 온 순례자가 치유를 구하기 위해 이 신성한 부부의 일부로 마르스 루케티우스에게 봉헌을 했다.[174]
  • '''마르스 메도키우스 캄페시움(Mars Medocius Campesium)'''은 카물로두눔(Camulodunum|카물로두눔lat)(현대 콜체스터(Colchester|콜체스터eng); 위의 마르스 카물루스 참조)의 로마-켈트 사원의 청동판에 나타난다. 이 봉헌[175]은 222년에서 235년 사이에 스스로를 칼레도니아인이라고 밝힌 사람[176]이 마르스와 세베루스 알렉산데르의 빅토리아(Victoria|빅토리아lat)(승리)[177]를 함께 기리는 것이다. 켈트-라틴어 이름 'Medocius' 또는 'Medocus'가 알려져 있으며,[178] 마르스의 칭호와 아일랜드 신화 속의 외과의 미아흐(Miach)/미오다흐(Miodhach)[179] 사이의 연관성이 추측되었다. 'Campesium'은 'Campestrium'("Campestres의", 사열장을 감독하는 신들)의 오류일 수도 있고,[180] 또는 "Compeses의"는 지역 지명이나 민족명을 가리킬 수도 있다.[181]
  • '''마르스 뮬로(Mars Mullo)'''는 로마 제국 숭배와 관련된 두 개의 아르모리카 비문에서 언급된다.[182] 추가적인 비문에 나타나는 켈트 신 뮬로(Mullo)[183]의 이름은 "노새"와 "언덕, 더미"로 다양하게 분석되었다.
  • '''마르스 네톤(Mars Neton)''' 또는 '''네토(Neto)'''는 아치(Acci)(현재의 과딕스(Guadix|과딕스spa))의 켈티베리아 신이었다. 마크로비우스에 따르면, 그는 용기를 가지고 행동하려는 열정이 일종의 열이었기 때문에 태양신처럼 빛나는 관을 쓰고 있었다. 그는 아일랜드 신화의 네이트(Neit)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184]
  • '''마르스 노덴스(Mars Nodens)'''는 아일랜드 신화 인물 누아다 아르게틀람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켈트 신 노덴스(Nodens)는 수성(Mercury|메르쿠리우스lat)과 해왕성(Neptune|넵투누스lat)을 포함한 다른 여러 로마 신들과 동등한 것으로 해석되기도 했다. 그 이름은 "잡는 자"를 의미했을 수 있으며, 따라서 어부 또는 사냥꾼이었을 것이다.[185]
  • '''마르스 오켈루스(Mars Ocelus)'''는 카어웬트(Caerwent|카어웬트eng)에서 하급 장교에 의해 봉헌된 제단과 아마도 사원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레누스(Lenus)의 지역 대응물일 수 있다.[186]
  • '''마르스 올루디우스(Mars Olloudius)'''는 로마 시대 브리타니아의 부조에서 갑옷 없이, 두 개의 코르누코피아를 들고 주전자(파테라)를 들고 있는 게니우스의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올루디우스(Olloudius)는 남부 갈리아의 올리울(Ollioules|올리울fra)에서도 발견된다.[187]
  • '''마르스 리기사무스(Mars Rigisamus)'''는 두 개의 비문에서 발견되는데, 가장 초기의 것은 비투리게스(Bituriges|비투리게스lat)의 영토인 아바리쿰(Avaricum|아바리쿰lat)(현재의 부르주(Bourges|부르주fra), 프랑스)의 비문일 가능성이 가장 높다.[188] 서머싯(Somerset|서머싯eng)의 웨스트 코커(West Coker|웨스트 코커eng)의 빌라 유적지에서 그는 청동판 봉헌물(보툼(votum|보툼lat))[189]을 받았다. 후기 켈트어에서 'rí'로 발견되는 갈리아어(Gaulish|갈리아어xcg) 요소 'rig-'(이름 끝에 '-rix'로 매우 일반적)는 라틴어 'rex'("왕" 또는 더 정확하게는 "통치자")와 동족어이다. 'Rigisamus' 또는 'Rigisamos'는 "최고 통치자" 또는 "왕 중의 왕"이다.[190]
  • '''마르스 리고네메티스(Mars Rigonemetis)'''("신성한 숲의 왕"). 1961년 네틀햄(Nettleham|네틀햄eng)(린컨셔(Lincolnshire|린컨셔eng))에서 발견된 돌에 새겨진 리고네메티스(Rigonemetis)와 황제의 누멘(numen|누멘lat)(영혼)에 대한 봉헌물이 있다. 리고네메티스는 이 유적지에서만 알려져 있으며, 코리엘타우비(Corieltauvi|코리엘타우비eng) 부족에 속한 신이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170]
  • '''마르스 세고모(Mars Segomo)'''. "승리의 마르스"는 켈트 세쿠아니(Sequani|세쿠아니lat)족 사이에서 나타난다.[191]
  • '''마르스 스메르트리우스(Mars Smertrius)'''. 트레베리(Treveri|트레베리lat)의 영토 내 유적지에서 안캄나(Ancamna)는 마르스 스메르트리우스(Mars Smertrius)의 배우자였다.[192]
  • '''마르스 테우타테스(Mars Teutates)'''. 마르스와 켈트 신 테우타테스(Teutates|테우타테스eng)(투타티스(Toutatis|투타티스eng))의 융합.
  • '''마르스 띵크수스(Mars Thincsus)'''. 하드리아누스 장벽(Hadrian's Wall|하드리아누스 장벽eng)의 하우스스테즈 로마 요새(Housesteads Roman Fort|하우스스테즈 로마 요새eng)에서 언급된 마르스의 형태로, 그의 이름은 알라이시아게(Alaisiagae)라는 두 여신과 연결되어 있다. 앤 로스(Anne Ross)는 띵크수스(Thincsus)를 요새에서 나온 조각상과 연관시켰는데, 이 조각상은 여신들 옆에 있는 신과 거위(전쟁의 신의 흔한 동반자)를 보여준다.[170]
  • '''마르스 비수키우스(Mars Visucius)'''. 마르스와 켈트 신 비수키우스(Visucius)의 융합.
  • '''마르스 보로키우스(Mars Vorocius)'''. 비시(Vichy|비시fra)(알리에(Allier|알리에fra))의 치유 샘 신전에서 안구 질환 치료자로 언급된 켈트 치유의 신. 이미지에서 이 신은 켈트 전사로 묘사되어 있다.[170]

참조

[1] 웹사이트 Colossal statue of Mars Ultor also known as Pyrrhus – Inv. Scu 58. http://capitolini.in[...] 2016-10-08
[2] 서적 The History and Practice of Ancient Astronom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8-02-04
[3] 문서 Later represented in the astronomical and astrological symbol for the planet Mars, and the male gender (♂)
[4] 웹사이트 The Latin Language – a historical outline of its sounds, inflections, and syntax https://alatius.com/[...] Allyn & Bacon 1907
[5] 서적 Religions of Rome: A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6] 서적 An Introduction to Roman Religion Indiana University Press 2003
[7] 서적 Larousse Desk Reference Encyclopedia The Book People 1995
[8] 서적 War and Peace in the Ancient World Blackwell 2007
[9] 서적 Imperium and Cosmos: Augustus and the Northern Campus Martius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2006
[10] 문서 Isidore of Seville calls Mars Romanae gentis auctorem, the originator or founder of the Roman people as a gens (Etymologiae 5.33.5).
[11] 웹사이트 http://www.slu.edu/c[...] 2017-09-10
[12] 서적 Aeneid
[13] 서적 Encyclopedia of Indo-European Culture http://vedabase.net/[...] Fitzroy Dearborn Publishers 2011-07-24
[14]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Latin and the other Italic Languages Brill 2008
[15] 서적 Etruscan Life and Afterlife: A Handbook of Etruscan Studies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1986
[16] 서적 Roman and European Mythologie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2
[17] 웹사이트 martial https://ahdictionary[...] 2019-11-04
[18] 서적 Dictionnaire étymologique des noms de famille et prénoms de France Larousse 1980
[19] 간행물 Romulus and Remus, Mars and Quirinus 1988
[20] 서적 Theogony Bobbs-Merrill 1953
[21] 서적 Fasti https://archive.org/[...]
[22] 서적 The Roman Festivals of the Period of the Republic London 1908
[23] 서적 Playing with Time: Ovid and the Fasti Cornell University Press 1995
[24] 서적 Attic Nights
[25] 서적 The Archaic Community of the Roma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26] 서적 Truculentus
[27] 서적 De mensibus
[28] 서적 Commentum in Horatium Flaccum
[29] 서적 The Religious Experience of the Roman People London 1922
[30] 서적 De civitate Dei
[31] 서적 Roman and European Mythologie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2
[32] 서적 The Houses of Roman Italy, 100 B.C.–A.D. 250: Ritual, Space, and Decor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1
[33] 서적 Christian Responses to Roman Art and Architecture: The Second-Century Church amid the Spaces of Empi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34] 서적 On Lov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0
[35] 서적 The Classical Tradition
[36] 서적 The Origins of European Thought about the Body, the Mind, the Soul, the World, Time and Fat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51
[37] 서적 Decayed Gods: Origin and Development of Georges Dumézil's 'idéologie tripartie' https://books.google[...] Brill 1991
[38] 서적 Archaic Community
[39] 서적 Religious Experienc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5
[40] 서적 Religious Experience
[41] 서적 Mars
[42] 서적 Religions of Rome: A History
[43] 서적 A Critical History of Early Rome
[44] 서적 Roman Questions
[45] 서적 Fasti
[46] 서적 Natural History
[47] 서적 Natural History
[48] 간행물 Picus Who Is Also Zeus 1941
[49] 서적 Birds in the ancient world from A to Z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7
[50] 서적 Deipnosophistae
[51] 서적 Roman Divina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2
[52] 서적 The Cult of Silvanus: A Study in Roman Folk Religion Brill 1992
[53] 백과사전 woodpecker Fitzroy Dearborn 1997
[54] 서적 The Significance of Certain Colors in Roman Ritual George Banta Publishing 1917
[55] 서적 Remus: A Roman Myth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56] 서적 Life of Romulus https://penelope.uch[...]
[57] 서적 The Significance of Certain Colors
[58] 서적 Ab Urbe Condita Libri
[59] 서적 Animals in Celtic Life and Myth Routledge 1992
[60] 서적 October Horse Blackwell 1981
[61] 서적 Sacrifices for Gods and Ancestors Blackwell 2007
[62] 서적 Religions of Rome: A Sourceboo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63] 간행물 October Horse 1981
[64] 서적 A New Topographical Dictionary of Ancient Rom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2
[65] 서적 Roman Antiquities
[66] 서적
[67] 서적 Reliefs, Public and Private Blackwell 2007
[68] 서적 New Topographical Dictionary
[69] 서적 New Topographical Dictionary
[70] 서적 New Topographical Dictionary
[71] 서적 CIL 6.473, 474 = 30774, 485; ILS 3139, 3144 Richardson
[72] 서적 Festivals and Ceremonies of the Roman Republic Cornell University Press
[73] 서적 Festivals and Ceremonies
[74] 서적 Natural History Richardson
[75] 서적 Imperium and Cosmos: Augustus and the Northern Campus Martius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76] 서적 Imperium and Cosmos
[77] 서적 On Roman Time: The Codex Calendar of 354 and the Rhythms of Urban Life in Late Antiquit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78] 서적 New Topographical Dictionary
[79] 서적 Mar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80] 서적 Religion and Roman Coins
[81] 서적 Imperium and Cosmos: Augustus and the Northern Campus Martius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82] 서적 Imperium and Cosmos
[83] 서적 Mars
[84] 서적 The Marriage of Philology and Mercury
[85] 서적 Adversus nationes
[86] 서적 Roman Gods: A Conceptual Approach Brill
[87] 서적 Republican Nobiles: Controlling the Res Publica https://penelope.uch[...]
[88] 서적 Imperium and Cosmos
[89] 서적 The Religion of Archaic Rome
[90] 서적 Festivals and Ceremonies of the Roman Republic
[91] 서적 Chronography of 354
[92] 서적 Performing the Sacred
[93] 서적 Roman Antiquities
[94] 서적 Performing the Sacred
[95] 서적 A History of Roman Art https://books.google[...] Wadsworth
[96] 서적 Apex Omnium: Religion in the Res Gestae of Ammianu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97] 서적 Apex Omnium
[98] 서적 History of Rome
[99] 서적 The History of Rome Books 1–5 https://books.google[...] Hackett
[100] 서적 Aeneid Cornell University Press
[101] 서적 Thebaid
[102] 서적 Deeds and Sayings of Illustrious Men
[103] 서적 Roman Religion in Valerius Maximus Routledge
[104] 서적 The Marriage of Philology and Mercury
[105] 서적 The Archaic Community of the Roman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6] 서적 Aeneid https://www.perseus.[...] Perseus
[107] 서적 The Archaic Community of the Romans
[108] 서적 Pre-Roman Italy, Before and Under the Romans Blackwell
[109] 서적 Pre-Roman Italy
[110] 서적 Some Indo-European Prayers: Cato's Lustration of the Fields Oxford University Press
[111] 서적 Juno Sospita and Roman Insecurity in the Social Wa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2] 문서 The invocation of Decius Mus
[113] 서적 Religions of Rome: A Sourceboo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4] 서적 Religions of Rome
[115] 서적 Religion in Roman Britain London
[116] 서적 A Critical History of Early Rome: From Prehistory to the First Punic War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17] 서적 Playing with Time
[118] 서적 On Farming https://penelope.uch[...] Loeb Classical Library
[119] 서적 Roman and European Mythologies, The Cult of Silvanus: A Study in Roman Folk Relig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Brill
[120] 서적 The Cult of Silvanus
[121] 서적 The Roman Festivals of the Period of the Republic London
[122] 웹사이트 Statue of Mars Ultor, Balmuildy https://vimeo.com/26[...] 2018-05-19
[123] 멀티미디어 Augustus Assembles His Marble City https://www.coursera[...] Yale University
[124] 서적 Roman Gods: A Conceptual Approach Brill
[125] 서적 Divine Qualities
[126] 서적 Roman and European Mythologies, Religions of Rome: A Sourcebook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7] 문서
[128] 서적 Roman Gods
[129] 서적 International Rel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0] 문서
[131] 서적 Roman Gods
[132] 서적 The Twelve Gods of Greece and Rome Brill
[133] 서적 Conquerors and Slav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4] 서적 Beyond Rome and Latium: Roman Religion in the Age of Augustus, The imperial cult in the Latin West Cambridge University Press, Brill
[135] 서적 The Cult of Mars Augustus and Roman Imperial Power at Augusta Emerita (Lusitania) in the Third Century A.D.: A New Votive Dedication L'Erma di Bretschneider
[136] 서적 The Cult of Mars Augustus
[137] 서적 The Cult of Mars Augustus
[138] 서적 Inscriptions as Sources of Knowledge for Religions and Cults in the Roman World of Imperial Times Blackwell
[139] 서적 Religions and the Integration of Cities in the Empire in the Second Century AD: The Creation of a Common Religious Language Blackwell
[140] 서적 The Cult of Mars Augustus
[141] 서적 Emperor Worship and Roman Religion Oxford University Press
[142] 서적 The Cult of Mars Augustus
[143] 서적 Animals in Celtic Life and Myth Routledge
[144] 서적 Gods, Temples, and Ritual Practices: The Transformation of Religious Ideas and Values in Roman Gaul Amsterdam University Press
[145] 서적 Roman Inscriptions of Britain Boydell & Brewer
[146] 서적 Roman Inscriptions of Britain
[147] 서적 Corpus Signorum Imperii Romani, Great Britain, Volume I, Fascicule 1. Hadrian's Wall East of the North Tyne Oxford University Press
[148] 서적 Pagan Celtic Britain Routledge & Kegan Paul
[149] 서적 Corpus Inscriptionum Latinarum
[150] 서적 Dictionary of Celtic Religion and Culture
[151] 웹사이트 Planet and Satellite Names and Discoverers http://planetaryname[...] USGS Astrogeology 2010-05-01
[152] 서적 Dictionary of Celtic Religion and Culture
[153] 서적 Dictionnaire de la langue gauloise Éditions Errance
[154] 서적 Roman Inscriptions of Britain
[155] 서적 Gallo-British Deities and Their Shrines Blackwell
[156] 서적 Dictionary of Celtic Religion and Culture
[157] 서적 Roman Inscriptions of Britain
[158] 서적 The Deities of Roman Britain
[159] 서적 Natural History
[160] 서적 Dictionnaire
[161] 서적 ILTG
[162] 서적 CIL
[163] 서적 RIB
[164] 서적 RIB
[165] 서적 RIB
[166] 서적 RIB
[167] 서적 Dictionary of Celtic Religion and Culture
[168] 서적 An Atlas of Roman Britain Basil Blackwell
[169] 서적 RIB
[170] 서적 Dictionary of Celtic Myth and Legend Thames and Hudson Ltd
[171] 서적 Animals in Celtic Life and Myth
[172] 서적 Dictionnaire de la langue gauloise Éditions Errance
[173] 서적 Dictionary of Celtic Religion and Culture Boydell Press
[174] 서적 Loucetius ABC-Clio
[175] 서적 RIB
[176] 서적 Religion in Roman Britain Taylor & Francis
[177] 간행물 Imperial Cult in Britain
[178] 서적 Matriliny by Treaty: The Pictish Foundation-Lege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9] 간행물 Imperial Cult in Britain
[180] 서적 The Religions of the Roman Empire Cornell University Press
[181] 간행물 Imperial Cult in Britain
[182] 서적 Paganism and Christianity, 100–425 C.E.: A Sourcebook Augsburg Fortress
[183] 서적 Dictionary of Celtic Religion and Culture
[184] 서적 Celts and the Classical World Routledge
[185] 서적 Dictionary of Celtic Religion and Culture
[186] 서적 The Towns of Roman Britai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87] 서적 Symbol and Image in Celtic Religious Art
[188] 간행물 Deities of Roman Britain
[189] 서적 The People of Roman Britai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0] 서적 Dictionnaire de la langue gauloise and Symbol and Image in Celtic Religious Art
[191] 서적 Handbook to Life in Ancient Rome Facts on File
[192] 서적 Celtic Myths University of Texas Press
[193] 간행물 Mars Balearicus
[194] 간행물 Orientations of the Talayotic Sanctuaries of Mallorca http://articles.adsa[...]
[195] 서적 The Classical Tradition
[196] 웹사이트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www.etymonlin[...]
[197] 서적 ギリシア・ローマ神話事典 大修館書店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