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압하스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압하스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1921년 붉은 군대의 조지아 침공 이후 설립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조지야 SSR과 연합하여 상당한 자치권을 누렸으나 1931년 자치 공화국으로 지위가 강등되었다. 이후 그루지야화 정책과 소련 붕괴로 인한 조지아의 민족주의 부활에 반발하여 1992년 독립을 선언하고 압하스 전쟁을 겪었으며, 1994년 휴전 이후 실질적인 독립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의 자치공화국 - 다게스탄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다게스탄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1921년부터 1991년까지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내에 존재했던 자치 공화국으로, 북카프카스 지역 다게스탄에 위치하며 다양한 민족 구성과 복잡한 역사를 가진 채 소비에트 시대 동안 사회, 경제, 문화적으로 변화를 겪고 1991년 다게스탄 공화국으로 이어졌다.
  • 소련의 자치공화국 - 카자흐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카자흐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1920년 러시아 SFSR 내 자치 공화국으로 설립되어 카자흐 자치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으로 변경되었다가 1936년 소련의 연방 공화국인 카자흐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승격되었다.
  • 초기 소비에트 공화국 - 소련
    소련은 1922년 결성되어 15개의 공화국으로 구성된 사회주의 연방 국가였으며, 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과 함께 초강대국으로 부상했으나, 1991년 해체되었다.
  • 초기 소비에트 공화국 - 스타브로폴 소비에트 공화국
    스타브로폴 소비에트 공화국은 위키백과 문서 작성 지침, 목차 구성 방법, 사회자유주의적 관점, 한국적 관점을 고려하여 문서를 작성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 옛 사회주의 국가 - 소련
    소련은 1922년 결성되어 15개의 공화국으로 구성된 사회주의 연방 국가였으며, 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과 함께 초강대국으로 부상했으나, 1991년 해체되었다.
  • 옛 사회주의 국가 - 아랍 연합 공화국
    아랍 연합 공화국은 1958년 이집트와 시리아의 합의로 수립되어 카이로를 수도로 하였으나, 이집트의 일방적인 정책으로 시리아가 반발하여 1961년 해체되었고, 이후 이집트는 1971년까지 국호를 유지했다.
압하스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전쟁]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통칭아브하스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원어 명칭Аҧснытәи Автономтә Советтә Социалисттә Республика (아브하스어)
აფხაზეთის ავტონომიური საბჭოთა სოციალისტური რესპუბლიკა (조지아어)
Абхазская Автономная Советская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ая Республика (러시아어)
약칭아브하스
지위조지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1931–1991)
사실상 독립 국가 (1990–1992)
국가 모토"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Атәылақуа зегьы рпролетарцәа, шәҽеидышәкыл!)
아브하스 위치
위치
아브하스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
국기 (1978–1992)
아브하스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장
국장 (1981–1992)
수도수후미
공용어아브하스어
조지아어
러시아어
정치
정치 체제1931–1991: 단일 마르크스-레닌주의 일당 사회주의 공화국
1991–1992: 단일 의회 공화국
입법부최고 소비에트
역사
성립1931년 2월 19일
주권 선언1990년 8월 25일
신연방 조약 국민투표1991년 3월 17일
해체1992년 7월 23일
통화
통화소비에트 루블
지도자
제1 서기블라디미르 라다리야 (1931–1936, 초대)
블라디미르 히슈바 (1989–1991, 마지막)
국가 수반네스토르 라코바 (1931–1936, 초대)
블라디슬라프 아르진바 (1990–1992, 마지막)
정부 수반네스토르 라코바 (1931–1936, 초대)
블라디미르 미칸바 (1990–1992, 마지막, 권한대행)
인구 통계
1989년525,061명
기타
현재
[[File:Flag of Abkhazia (GE).svg|25px]] 아브하스 자치 공화국 (아브하스)

2. 역사

압하스 SSR은 10월 혁명 이후 붉은 군대수후미를 점령하면서 성립되었으나, 1931년 여러 정치적 배경 속에서 자치 공화국(ASSR)으로 지위가 격하되어 조지아 SSR에 속하게 되었다.[23][2][3] 이는 압하스인들의 반발을 샀으며, 스탈린 시대에는 조지아어 사용 강요와 조지아인의 이주 장려 등 조지아화 정책이 추진되었다.[23]

스탈린 사후에는 이러한 억압 정책이 완화되고 압하스의 자치권이 일부 회복되었다.[23] 그러나 소련의 붕괴 과정에서 조지아가 민족주의를 내세우며 과거 조지아 민주 공화국 헌법 부활을 선언하자, 압하스인들은 자치권 축소와 조지아화 재개를 우려하여 1992년 7월 23일 독립을 선언했다.[23][17]

이 독립 선언은 조지아와의 분쟁으로 이어졌고, 전쟁 끝에 압하스는 구 자치 공화국 영토 대부분을 장악했다. 1994년 5월 15일 휴전 합의가 이루어졌으나, 이후 조지아와의 협상은 지지부진하여 압하스는 사실상 독립 상태로 남게 되었다.[23]

2. 1. 성립 배경

압하스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SSR 압하스)은 10월 혁명 이후 붉은 군대의 조지아 침공을 거쳐 1921년 수립되었다. 이전부터 압하스는 조지아러시아에 일부 권한을 위임하고 있었으나, SSR 수립 이후 같은 해 말 조지야 SSR과 특별한 "조약 공화국" 관계를 맺었다. 이 관계는 1931년까지 유지되었으며, 이 기간 동안 SSR 압하스는 소련의 토착화 정책의 영향 아래 상당한 자치권을 누렸다. 자체적인 국기와 문장, 국가 군대 부대, 그리고 헌법까지 보유했는데, 이는 완전한 공화국에게만 주어지는 권리였다.[4][5]

그러나 압하스의 이러한 독특한 지위와 자치권은 소련 중앙 정부와 조지아 당국의 우려를 샀다.[2] 또한, 당시 압하스를 통치하던 네스토르 라코바 하에서 집단 농업화에 대한 지역 주민들의 반발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지 못하자, 이에 대한 징벌적 조치의 성격도 있었다고 평가된다.[23] 더불어, 당시 조지아 내부에서는 느슨한 연방제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커지는 이른바 그루지야 문제가 발생했는데, 조지아 내부의 권력을 분산시키려는 중앙 정부의 의도도 작용했다.[23]

결국 이러한 배경 속에서 1931년 2월 19일, SSR 압하스는 압하스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압하스 ASSR)으로 개편되어 다른 자치 공화국 수준으로 지위가 격하되었다.[2] 이로써 압하스는 조지아 SSR의 완전한 통제하에 놓이게 되었으며, 당시 조지아 SSR은 자캅카스 사회주의 연방 소비에트 공화국(TSFSR)의 일부였다.[3]

갑작스러운 지위 강등과 자치권 축소는 압하스인들의 큰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SSR 시기에 누렸던 광범위한 자치권[4][5]이 박탈되자 압하스 지역에서는 시위가 발생했는데, 이는 소련 당국에 대한 최초의 대규모 항의 시위 중 하나로 기록된다.[6] 자치 공화국으로 지정된 이후에는 그루지야어 사용이 강요되고 조지아인의 압하스 이주가 장려되는 등 조지아화 정책이 추진되었다.[23]

2. 2. 스탈린 시대

압하스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SSR 압하스)은 1921년 설립되어 1931년까지 조지아 SSR과 "조약 공화국" 관계를 유지하며 상당한 자치권을 누렸다. SSR 압하스는 자체 헌법, 국기, 문장, 군대까지 보유하고 있었는데, 이는 완전한 공화국에게만 주어지는 권리였다.[4][5]

그러나 이러한 독특한 지위는 소련 및 조지아 당국의 우려를 샀고, 결국 다른 자치 공화국 수준으로 격하되었다.[2] 1931년 2월 19일, SSR 압하스는 압하스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압하스 ASSR)으로 개편되어 자캅카스 사회주의 연방 소비에트 공화국(TSFSR) 내 조지아 SSR의 완전한 통제하에 놓이게 되었다.[3]

압하스의 지위 강등은 압하스인들의 큰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압하스 ASSR 개편에 반대하는 시위가 발생했는데, 이는 소련 당국에 대한 최초의 대규모 시위 중 하나였다.[6]

자치 공화국 지정 배경에는 여러 해석이 존재한다. 당시 네스토르 라코바가 통치하던 압하스에서 집단 농업화에 대한 반발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지 못하자, 이에 대한 징벌적 조치로 자치 공화국으로 강등되었다는 시각이 있다. 또한, 당시 조지아 내부에서 느슨한 연방제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커지던 조지아 문제와 관련하여, 조지아 내부의 권력을 분산시키려는 의도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23]

자치 공화국 지정 이후 스탈린 시대 동안 압하스에서는 조지아어 사용이 강요되고 조지아인의 이주가 장려되는 등 강력한 조지아화 정책이 추진되었다.[23] 이러한 억압 정책은 스탈린 사후 완화되었고, 압하스는 다시 일정 수준의 자치권을 회복하게 된다.

압하스 ASSR은 1937년 8월 2일 독자적인 조직 구조를 갖추었다. 입법권은 4년 임기의 최고 회의와 행정 위원회가 가졌으며, 행정권은 최고 회의가 임명하는 내각이 담당했다. 또한 압하스 ASSR은 소련 최고 소비에트의 민족 소비에트에서 11명의 대의원을 파견할 권리를 가졌다.

2. 3. 스탈린 사후

스탈린 시대에는 압하스 ASSR 내에서 그루지야어 사용이 강요되었고, 그루지야인의 압하스 이주가 증가하는 등 그루지야화 정책이 진행되었다.[23] 그러나 스탈린 사후 이러한 억압적인 정책은 완화되었으며, 압하스의 자치권이 다시 일정 부분 회복되었다.[23]

압하스 ASSR은 1937년 8월 2일에 도입된 독자적인 조직 구조를 가졌다. 입법권은 4년 임기로 선출되는 최고 회의와 그 행정 위원회에 있었으며, 행정권은 최고 회의가 임명하는 내각이 담당했다. 또한, 압하스 ASSR은 소련 최고 회의의 민족 회의에 11명의 대의원을 파견할 권리를 보유했다.

2. 4. 소련 붕괴와 독립 선언

페레스트로이카의 도래는 압하스인들이 조지아 내에서의 지위에 대한 불만을 표출할 기회를 제공했다. 1988년, 압하스 지도자들은 미하일 고르바초프와 소련 지도부에 서한을 보내 압하스인들이 느끼는 불만을 설명하고, 1978년의 양보에도 불구하고 자치권이 무시되었다고 주장했다. 서한은 압하스가 조지아 SSR에서 분리되어 SSR 압하스와 유사한 완전한 소련 공화국으로 복원될 것을 요구했다.[7] 이듬해인 1989년 3월에는 약 37,000명이 서명한 리흐니 선언이 발표되었다.[8]

1961년 우표. 수후미의 루스타벨리 거리.


리흐니 선언은 조지아에서 항의 시위를 촉발했고, 1989년 4월 9일 트빌리시에서 대규모 반소련 및 친조지아 독립 시위로 이어졌다. 이 시위는 소련 내무부 군대에 의해 폭력적으로 진압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주로 젊은 여성 20명이 사망하고 수백 명이 부상당했다.[9] 4월 9일 비극은 조지아 내에서 소련 정권에 대한 신뢰를 무너뜨렸고, 많은 조지아인들을 급진적인 반소련 노선으로 이끌었다. 또한 이 사건은 조지아인과 압하스인, 오세트인 등 다른 민족 간의 긴장을 더욱 악화시켰다.[10] 같은 해 1989년 수후미 폭동이 발생했는데, 이는 트빌리시 국립 대학교 분교 설립에 반대하며 일어났으며 압하스 민족주의를 더욱 자극했다.[11]

압하스 내 긴장이 고조되면서 압하스인들은 조지아의 권위를 공공연히 무시하기 시작했다. 1990년 8월 25일, 압하스 최고 소비에트는 "압하스의 국가 주권에 관한 선언"을 통과시켜 조지아 법보다 압하스 법이 우위에 있음을 선언했다.[11] 최고 소비에트는 또한 압하스를 소련 내의 완전한 연방 공화국으로 선언했다.[12]

1990년 10월 조지아 총선에서 민족주의 성향의 즈비아드 감사후르디아가 이끄는 연합이 승리하면서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 새로 선출된 조지아 최고 소비에트 의장 감사후르디아는 조지아 내 비조지아계 인구의 자치권을 축소하겠다는 의사를 노골적으로 드러냈다.[13] 그러나 이 시점에서 조지아의 권위는 압하스에서 거의 미치지 못했다. 압하스는 조지아의 나머지 지역이 보이콧한 1991년 3월 17일 소련 존속 여부 국민투표에 참여했으며, 반대로 조지아의 1991년 4월 9일 독립 국민투표는 압하스의 비조지아계 인구(조지아의 또 다른 자치 지역인 남오세티야와 함께)가 보이콧했다.[14][15]

1991년 8월, 민족별로 선거구를 분할하는 권력 분점 협정이 체결되었고, 이에 따라 1991년 의회 선거가 치러졌으나 오래가지 못했다.[12] 감사후르디아 정부가 조지아 내전으로 붕괴되고, 이후 집권한 에두아르드 셰바르드나제가 협정 이행을 거부하며 감사후르디아를 비난하고, 압하스 측이 조지아 내전을 기회로 삼으려 하면서 협정은 결국 파기되었다.[16]

소련의 붕괴 이후, 조지아가 1921년 이전의 조지아 민주 공화국 헌법 부활을 선언하며 조지아 민족주의가 다시 고개를 들자, 압하스인들은 자치권 축소 및 폐지, 그리고 과거와 같은 조지아화 정책이 재개될 것을 우려했다. 이에 압하스 최고 소비에트는 1992년 7월 23일, 1925년 헌법을 복원하여 압하스를 조지아와의 조약 관계에 있는 주권 국가로 선언했다.[17][23] 이에 조지아는 8월 14일 군사적으로 대응하여 전쟁을 일으켰다. 이 전쟁은 1993년 9월까지 지속되었으며, 압하스-조지아 분쟁의 시작이 되었다.[18] 전쟁 결과 압하스는 구 영토의 대부분을 확보했으며, 1994년 5월 15일 휴전 합의가 이루어졌으나 이후 협상은 지지부진하여 압하스는 실질적인 독립 상태가 되었다.[23]

2. 5. 압하지야 전쟁 (1992년~1993년)

페레스트로이카의 시작은 압하스인들이 조지아 내 자신들의 지위에 대한 불만을 표출하는 계기가 되었다. 1988년, 압하스 지도자들은 미하일 고르바초프와 소련 지도부에 서한을 보내 압하스인들이 느끼는 불만을 설명하고, 1978년의 양보에도 불구하고 자치권이 무시당했다고 주장했다. 이 서한은 압하지야가 조지아로부터 분리되어 과거와 같이 완전한 소비에트 공화국으로 복원될 것을 요구했다.[7] 1989년 3월에는 약 37,000명이 서명한 리흐니 선언이 발표되었다.[8]

이러한 움직임은 조지아에서 반발을 일으켰고, 1989년 4월 9일 트빌리시에서 대규모 반소련 및 조지아 독립 시위로 이어졌다. 이 시위는 소련 내무부 군대에 의해 폭력적으로 진압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주로 젊은 여성 20명이 사망하고 수백 명이 부상당했다.[9] 4월 9일 비극은 조지아 내에서 소련 정권에 대한 신뢰를 무너뜨렸고, 많은 조지아인들을 급진적인 반소련 노선으로 이끌었다. 또한 이 사건은 조지아인과 압하스인, 오세트인 등 다른 민족 집단 간의 긴장을 더욱 악화시켰다.[10] 같은 해 트빌리시 국립 대학교의 수후미 분교 설립에 반대하며 1989년 수후미 폭동이 발생하면서 압하스 민족주의는 더욱 고조되었다.[11]

압하지야 내 긴장이 고조되면서 압하스인들은 조지아의 권위를 공공연히 무시하기 시작했다. 1990년 8월 25일, 압하스 최고 소비에트는 조지아 법보다 압하스 법을 우선시하는 "압하지야의 국가 주권에 관한 선언"을 통과시켰다.[11] 또한 압하지야를 소련 내 완전한 연방 공화국으로 선언했다.[12]

1990년 10월 조지아 총선에서 민족주의 성향의 연합이 승리하면서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 새로 선출된 조지아 최고 소비에트 의장 즈비아드 감사후르디아는 조지아 내 비조지아계 인구의 자치권을 축소하려는 의도를 노골적으로 드러냈다.[13] 이 시점에서 압하지야에서 조지아의 권위는 사실상 미치지 못했다. 압하지야는 조지아의 나머지 지역이 보이콧한 1991년 3월 17일 소련 유지 국민투표에 참여했으며, 남오세티야와 함께 1991년 4월 9일 조지아 독립 국민투표를 보이콧했다.[14][15]

1991년 8월, 민족별로 선거구를 나누는 권력 분점 협정이 체결되어 1991년 선거가 치러졌으나 오래가지 못했다.[12] 감사후르디아 정부가 조지아 내전으로 붕괴하고, 에두아르드 셰바르드나제가 집권 후 이전 정권이 서명한 협정을 이행하지 않으려 했으며, 압하스인들이 조지아 내전 상황을 이용하려 하면서 협정은 결국 파기되었다.[16]

소련의 붕괴 이후 조지아가 1921년 이전의 조지아 민주 공화국 헌법 부활을 선언하며 조지아 민족주의가 다시 부상하자, 압하스인들은 자치권 축소 및 폐지, 그리고 과거와 같은 조지아화 정책이 재개될 것을 우려했다. 이에 1992년 7월 23일, 압하스 최고 소비에트는 1925년 헌법을 복원하여 압하지야가 조지아와 조약 관계에 있는 주권 국가임을 선언했다.[17][23] 이에 조지아는 1992년 8월 14일 군대를 투입하여 군사적으로 대응했고, 이는 압하지야 전쟁으로 이어졌다. 전쟁은 1993년 9월까지 지속되었으며, 이후 압하스-조지아 분쟁으로 이어졌다.[18] 전쟁 결과 압하스는 구 자치 공화국 영토 대부분을 장악했으며, 1994년 5월 15일 휴전 합의가 이루어졌으나 이후 협상이 지지부진하면서 압하스는 사실상 독립 상태가 되었다.[23]

3. 문화

압하스어는 소비에트 시대에 압하스 문자가 여러 차례 바뀌었다. 코레니자치야 정책에 따라 압하스인들은 소련 내에서 "선진" 민족으로 여겨지지 않았으며, 그 결과 그들의 언어와 문화 발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19] 이러한 정책의 일환으로 압하스어 문자는 1928년에 소련 내 다른 많은 지역 언어들과 함께 소련의 라틴화 정책에 따라 기존의 키릴 문자 기반 문자에서 라틴 문자로 변경되었다.[20] 이 정책은 1938년에 뒤집혀 대부분의 언어는 다시 키릴 문자를 사용하게 되었다. 하지만 압하스어는 몇 안 되는 예외 중 하나였는데, 그루지야 SSR 소속이었던 남오세티야 자치주의 오세트어와 함께 조지아 문자를 채택했으며, 1953년 키릴 문자로 다시 변경될 때까지 이 문자를 사용했다 (오세트어도 마찬가지였다).[21]

참조

[1] 간행물 "Statistical Yearbook of Georgia 2005" Department for Statistics, Tbilisi 2005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정보
[23] 웹사이트 아브하지아 공화국 (아브하지아 자치 공화국) https://web.archive.[...] 2011-07-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