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트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세트인은 러시아인들이 조지아어 '오세티'를 차용하여 부르는 이름으로, 흑해 북안 일대에서 활동했던 이란계 민족의 후예이다. 오세트인은 동부와 남부에 거주하는 이론인과 서부에 거주하는 디고르인으로 나뉘며, 오세트어는 인도유럽어족의 동이란어파에 속한다. 10세기 초 기독교화되었고, 현재는 동방 정교회를 주로 믿지만, 고유의 민속 신앙도 유지하고 있다. 러시아, 조지아, 터키 등지에 분포하며, 유전학적으로 코카서스 지역의 독특한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리아의 민족 - 쿠르드족
쿠르드족은 이란 고원 북서부에서 기원하여 터키, 이란, 이라크, 시리아 등지에 흩어져 거주하며 독자적인 언어와 문화를 유지하고, 자치와 독립을 추구하는 민족이다. - 시리아의 민족 - 드루즈
드루즈는 11세기 이집트에서 기원하여 레반트 지역에 주로 거주하는 소수 민족이자 종교 공동체로, 파티마 칼리프 하킴을 신격화하며 이슬람 신비주의 등의 영향을 받은 독자적인 신앙 체계를 가지고 있고, 비밀주의적 성향을 띄며 레반트 지역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북오세티야 공화국 - 인구시인
인구시인은 북캅카스 지역의 나흐족 계열 민족으로, 스스로는 '갈가이'라 부르며 러시아 제국에 저항하고 강제 이주를 겪었으나 인구시 공화국을 수립했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으며 고유한 언어와 문화를 지니고 있다. - 북오세티야 공화국 - 오세트어
오세트어는 코카서스 중앙부 오세트인의 언어로, 인도유럽어족 이란어파에 속하며, 스키타이어의 유일한 생존 언어로 여겨지고, 러시아의 북오세티야-알라니야와 남오세티야에서 주로 사용되며, 이론어와 디고르어 두 방언으로 나뉘고, 키릴 문자를 사용하며, 캅카스 언어의 영향을 받은 문법적 특징을 보인다. - 아르메니아의 민족 - 쿠르드족
쿠르드족은 이란 고원 북서부에서 기원하여 터키, 이란, 이라크, 시리아 등지에 흩어져 거주하며 독자적인 언어와 문화를 유지하고, 자치와 독립을 추구하는 민족이다. - 아르메니아의 민족 - 아르메니아인
아르메니아인은 아르메니아 공화국을 중심으로 전 세계에 흩어져 거주하며, 기독교를 국교로 채택하고 아르메니아 사도교회를 중심으로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켜 온 민족이다.
오세트인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민족 이름 | 오세트인 |
오세트어 이름 | 이렛테 (Ирæттæ) 디고론테 (Дигорæнттæ) |
로마자 표기법 | Ossetians (ɒˈsiːʃənz) Ossetians (ɒˈsɛtiənz) |
오세트어 발음 | 이르, 이렛테 (ir, irættæ) 디고레, 디고론테 (digoræ, digorænttæ) |
러시아어 이름 | 오세틴 (Осетин) |
영어 발음 | ɒˈsiːts ɒˈsɪts ˈælənz |
총 인구 | 약 700,000명 |
거주 지역 | |
러시아 | 558,515명 |
북오세티야-알라니야 공화국 | 480,310명 |
남오세티야 | 51,000명 |
조지아 (남오세티야 제외) | 14,385명 |
시리아 | 58,700명 |
터키 | 20,000–50,000명 |
타지키스탄 | 7,861명 |
우즈베키스탄 | 5,823명 |
우크라이나 | 4,830명 |
카자흐스탄 | 4,308명 |
투르크메니스탄 | 2,066명 |
아제르바이잔 | 1,170명 |
키르기스스탄 | 758명 |
벨라루스 | 554명 |
몰도바 | 403명 |
아르메니아 | 331명 |
라트비아 | 285명 |
리투아니아 | 119명 |
에스토니아 | 116명 |
언어 | |
언어 | 오세트어 |
종교 | |
주요 종교 | 동방 정교회 (70–85%) |
소수 종교 | 이슬람교 (15–30%) 아스교(Uatsdin) |
관련 민족 | |
관련 민족 | 이란 민족 |
역사적 배경 | |
설명 | 코카서스 지역의 이란계 민족 |
추가 설명 | 스키타이인의 잔재 |
2. 어원
오세티아인과 오세티아라는 이름은 러시아인들이 사용한 것으로, 조지아어 명칭 오세티(ოსეთი, Oseti)를 차용했다. 오세티는 '오시족의 땅'을 의미한다. 오시(ოსი, Osi, 복수형 오세비, ოსები, Osebi)는 중세 이후 조지아어에서 중앙 코카서스 지역의 유일한 이란어군계 언어 사용 인구를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으며, 고대 사르마티아인들의 자칭 'As'(Az로 발음) 또는 'Iasi'(Yazi로 발음)에 기반을 둔 것으로 보인다.[38][39][40] 이는 헝가리어 야스(Jasz)와 관련이 있으며, 모두 라틴어 이아지게스(Iazyges)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알란인족 사르마티아 부족의 이름인 *Yazig*의 라틴어 표기이며, 원시 이란어 *Yaz에서 유래하여 '희생하는 자들'을 의미할 가능성이 있다.[38][39][40]
오세티아어 화자들은 전통적으로 이론(Iron) – 디고르(Digor) 분파를 넘어 모국어로 자신들을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단일한 명칭이 없었기 때문에, 이러한 용어들은 러시아 제국에 통합되기 전에도 오세티아인들에 의해 자칭으로 받아들여졌다.[41]
1990년대 초, 디고르 방언의 지위를 둘러싼 디고르와 이론 오세티아 하위 집단 간의 분쟁으로 인해 오세티아 지식인들은 새로운 포괄적인 민족 명칭을 찾게 되었다. 이는 조지아-오세티아 분쟁의 영향과 결합되어 오세티아인들이 그 기원을 추적하는 중세 사르마티아 연합의 이름인 '알라니아(Alania)'가 대중화되고, 1994년 북오세티아의 공식 공화국 명칭에 이 이름이 포함되게 되었다.[41]
어근 'os/as-'는 이전의 *ows/aws-에서 유래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 이는 고대 조지아어 어근 'ovs-' (Ovsi, Ovseti 참조), 조지아 연대기(The Georgian Chronicles)에 기록된 것; 초기 모음의 긴 길이 또는 일부 형태에서 자음 's'의 연음 (신페르시아어 Ās, Āṣ; 라틴어 Aas, Assi); 그리고 아르메니아 민족명 *Awsowrk (Ōsur-)에서 유래한 것으로, 아마도 이아지게스 알란족의 가지인 야시크(Jassic) 용어 *Jaszok에서 보존된 동족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42]
3. 하위 집단
4. 역사
오세트인의 역사는 크게 고대, 중세, 근현대로 나눌 수 있다.
- '''고대'''에는 알란족이라 불리며 스키타이족에서 갈라져 나와 사르마티아인들의 일파였다.
- '''중세'''에는 알라니아라는 왕국을 세워 실크로드를 통해 번영했다.
- '''근현대'''에는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었고, 이후 소비에트 연방 시기를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17세기부터 러시아 제국의 북카프카스 진출이 진행되었고, 18세기 말부터 19세기 초에 걸쳐 오세티아 일대는 러시아에 병합되었다.
4. 1. 고대
오세트인은 스키타이족에서 갈라져 나온 사르마티아인들의 일파인 알란족에서 유래했다.[47] 서기 200년경, 고트족의 침입에도 불구하고 사르마티아인들은 그들의 문화를 유지했고, 돈 강과 볼가 강 사이에 거대한 왕국을 건설했다. 서기 350년에서 374년 사이에 훈족이 알란 왕국을 파괴했고, 알란족은 두 부분으로 갈라졌다. 일부는 서쪽으로 피신하여 로마의 야만족 침입에 참여하고, 스페인과 북아프리카에 단명하는 왕국을 세웠으며, 오를레앙, 이아시, 알렌케르, 야스베레뉴 등 많은 다른 곳에 정착했다. 다른 알란족은 남쪽으로 피신하여 코카서스에 정착하여 알라니아라는 중세 왕국을 건설했다.오세트인은 고대 흑해 북안 일대에서 활동했던 이란계 민족의 후예로, 여러 민족과 혼합되면서 아스인이라 자칭했던 오세트인의 조상들은 하자르 붕괴 후 카프카스 산맥 북쪽 기슭 저지대에 왕국을 건설하고, 카프카스 원주민들의 강한 영향을 받은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켰다.
4. 2. 중세

8세기, 북카프카스 산맥에 알라니아로 불리는 통합된 알란 왕국이 나타났다. 알라니아는 오늘날 체르케스와 북오세티아-알라니아 지역에 해당하며, 전성기에는 강력한 군사력을 갖춘 중앙집권적인 군주국이자 실크로드를 통해 경제적 번영을 누렸다.
13세기 몽골 침략 이후, 알란인들은 카프카스 산맥 깊숙이 이동하여 철(Iron), 디고론(Digoron), 쿠다르(Kudar)의 세 집단을 형성했다. 자스족은 13세기에 헝가리로 이주한 네 번째 집단으로 추정된다. 오세트인의 조상은 하자르 붕괴 후 카프카스 산맥 북쪽 기슭 저지대에 왕국을 건설하고, 카프카스 원주민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켰다.
13세기 전반, 아스인의 왕국은 몽골 제국에 정복당했고, 수도 마가스 등 여러 도시가 큰 피해를 입었다. 이후 아스인들은 몽골 지배하에 놓였으며, 일부는 몽골의 지배를 피해 헝가리로 피신하여 야스인이 되었다. 야스인들은 이후 헝가리인에 동화되어 현재는 헝가리인의 일부로 여겨진다.
일부 아스인은 몽골군에 편입되어 중국으로 이주, 원나라에서 아스트인 친위대를 구성했다. "아스트"는 "아스"의 몽골어 복수형이다. 바얀 장군이 이끄는 아스트인 친위대는 원나라 지배하 몽골 고원에서 많은 전쟁에서 공을 세웠고, 14세기 전반 후계자 쟁탈전(남파의 변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중국에서 몽골 유목민과 동화된 아스트인들은 1368년 원나라가 몽골 고원으로 돌아갈 때 유목민 집단이 되었고, 오랫동안 몽골 민족 내 부족명으로 아스트라는 이름이 남았다. 15세기 전반 몽골 칸을 옹립하여 오이라트와 다툰 아스트 부족장 알쿠타이가 그 예이다.
카프카스 북쪽 기슭 저지대에 남은 아스인들은 조치 울루스 투르크계 유목민의 압력으로 카프카스 산악 지대로 남하, 현재의 북오세티아에 정착하여 4개 부족 집단으로 구성된 부족 연합을 형성했다. 일부 아스인(오세트인)은 카프카스 산맥을 넘어 남오세티야 지역에 소규모 촌락 공동체를 세웠다. 이들은 산악 지대에 들어가 민족 통일 국가를 건설하지 못했고, 북오세티아 오세트인들은 서쪽 카바르딘인, 남오세티아 오세트인들은 남쪽 그루지야인의 지배를 받았다.
4. 3. 근현대
1774년 러시아 제국이 오세티아 영토를 확장하기 시작했다.[48] 1801년 동조지아 왕국 카르틀리-카케티가 러시아에 합병되면서 현재 남오세티아 영토는 러시아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49]1830년 러시아 장군 파울 안드레아스 폰 레넨캄프프(Paul Andreas von Rennenkampff)는 자바 지역에 대한 응징 원정을 조직했다. 1,500명의 러시아군이 코셸타 마을의 오세티아 탑을 포위했는데, 그곳에는 30명의 오세티아 반군이 있었다.[50]
1922년 남오세티아 자치주가 설립되었다.[51] 북오세티아는 러시아 SFSR의 일부로, 남오세티아는 조지아 SSR의 일부로 남았다.
1990년 9월 20일, 독립적인 남오세티아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비록 승인받지는 못했지만, 사실상 조지아로부터 분리되었다. 소비에트 연방 말기, 조지아의 남오세티아(1990년 폐지) 전 자치주에서 오세티아인과 조지아인 사이, 그리고 북오세티아에서 오세티아인과 잉구시인 사이의 민족 간 긴장이 격렬한 충돌로 이어져 수백 명의 사상자와 국경 양쪽에 많은 난민을 발생시켰다.[52][53]
사실상 독립 이후, 남오세티아의 러시아 합병 제안과 북오세티아와의 통합이 있었다.
근현대사에서 오세티아인들은 오세티아-잉구시 갈등(1991~1992), 1918~1920년 조지아-오세티아 갈등, 1990년대 초 조지아-오세티아 갈등, 2008년 남오세티아 전쟁에 연루되었다.
5. 언어
인도유럽어족의 동이란어파(알란어)에 속하는 오세트어를 사용한다.[47]
오세트어는 크게 두 가지 방언으로 나뉜다. 북오세티아와 남오세티아에서 주로 쓰이는 이론 방언[47](os. – Ирон)과 북오세티아 서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디고르 방언[47](os. – Дыгурон)이다. 이론 방언과 디고르 방언은 각각 투알리안, 알라기리안, 크사니안과 같은 여러 하위 방언을 가지고 있다. 이 중 이론 방언이 가장 널리 사용된다.
오세트어는 과거 폰토스-카스피해 초원 지대에서 널리 사용되었던 스키타이-사르마티아 방언군의 잔존 언어 중 하나이다. 다른 이란어와는 서로 의사소통이 불가능하다.
6. 문화
오세트인의 문화는 남오세티야 지역 문화를 기반으로 하며, 오세티야 요리, 오세티아인과 관련이 있다.[45]
6. 1. 신화
오세티아인의 토착 신앙은 사르마티아인 기원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일부 이교 신들이 그리스도교 성인으로 변형된 지역적 변종 민중 정교회와 융합되었다.[45] 나르트 서사시, 다레잔트(Daredzant), 차르치아트(Tsartsiat)는 이 지역 민속 신화의 기본 문헌으로 여겨진다.[46]6. 2. 음악
오세트 민요는 다음과 같은 10가지 독특한 장르로 나뉜다.- 역사가요
- 전쟁가요
- 영웅가요
- 작업가요
- 결혼가요
- 술잔가요
- 유머가요
- 춤가요
- 로맨스가요
- 서정가요
오세티아인들은 음악에 다음과 같은 악기를 사용한다.
종류 | 악기 이름 | 설명 |
---|---|---|
현악기 | ||
현을 뜯어서 연주하는 악기 | ||
두아다스태논(Dyuuadæstænon) | 12현의 하프 | |
팬디르(Fændyr) | 두세 개의 현을 뜯어서 연주하는 하프 | |
현악기 | ||
활로 연주하는 악기 | ||
히신(Hysyn) | 두세 개의 현을 가진 바이올린 | |
히른내그(Hyyrnæg) | 두 개의 브릿지를 가진 악기, 일종의 첼로 | |
관악기 | ||
우아딘즈(Uadyndz) | 플루트 | |
쿄지인(Khyozyn) | 피리 | |
라림(Lalym) | 백파이프 | |
우다에브즈(Udaevdz) | 이중 관악기 | |
피디우애그(Fidiuæg) | 황소 뿔로 만든 악기의 일종 | |
타악기 | ||
카르츠개내그(Kartsgænæg) | 탬버린 | |
짐새그(Gymsæg) | 드럼 | |
달라(Dala) | 탬버린 |
7. 종교
10세기 이전까지 오세티아인들은 다신교 신앙을 갖고 있었지만, 10세기 초 비잔티움 선교사들에 의해 기독교로 개종하였다.[56] 13세기에는 조지아인 선교 활동으로 동방 정교회 기독교 신자가 늘어났다.[47][57][58]
이슬람교는 1500년대와 1600년대에 서오세티아의 디고르족이 카바르다 부족의 체르케스인들을 만나면서 전파되었다. 체르케스인들은 1400년대에 타타르인들에게 이슬람교를 접했었다.[59] 2013년 조사에 따르면 북오세티아 인구의 최대 15%가 이슬람교를 믿고 있다.[60]
1774년 오세티아가 러시아 제국에 편입된 후, 러시아 제국은 정교회 선교사들을 파견하여 동방 정교회를 강화했다. 그러나 선교사 대부분은 조지아에 거주하는 동방 정교회 공동체(조지아인, 아르메니아인, 그리스인 포함) 성직자들이었고, 러시아인 선교사는 파견되지 않았다.
오늘날 북오세티아와 남오세티아의 대다수 오세티아인들은 동방 정교회를 믿는다.[47][61]
오세티아 민족 종교인 아시안니즘(오세트어로 ''Uatsdin'' 또는 ''Aesdin'')은 제물, 성지, 연례 축제 등의 의례적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오세티아인들 사이에 널리 퍼져 있다. 대부분의 마을에는 ''쿠반돈''이라는 사당이 있다.[62] 2012년 조사에서 북오세티아 인구의 29%가 민족 종교를 믿는다고 응답했다.[63] 아시안니즘은 1980년대 이후 꾸준히 인기를 얻고 있다.[64]
종교 | 비율 |
---|---|
러시아 정교회 | 49.2% |
아시안니즘 및 기타 토착 신앙 | 29.4% |
이슬람교 | 15% |
기타 기독교 | 9.8% |
무신론 및 비종교 | 3% |
기타 정교회 | 2.4% |
프로테스탄티즘 | 0.8% |
영적으로는 종교적이지 않음 | 0.8% |
기타 및 무응답 | 0.6% |
8. 인구 분포
남오세티아 외에도 상당수의 오세티아인들이 트리아레티 지역, 즉 조지아(Georgia) 북중부에 거주하고 있다. 많은 오세티아인 디아스포라가 터키와 시리아에 거주한다. 약 5,000~1만 명의 오세티아인들이 오스만 제국으로 이주했으며, 그들의 이주는 1860~61년과 1865년에 정점을 찍었다.[1] 터키에서는 오세티아인들이 중앙 아나톨리아에 정착하여 사르이카미시 주변과 동아나톨리아 반 호수 근처에 마을들을 형성했다.[2] 오세티아인들은 벨기에, 프랑스, 스웨덴, 미국(주로 뉴욕시, 플로리다주, 캘리포니아주), 캐나다(토론토), 오스트레일리아(시드니) 등 전 세계 여러 국가에 정착했다.
2002년 러시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대다수의 오세티아인은 러시아에 거주한다. 주요 거주 지역은 카프카스 산맥을 넘어 남북으로 펼쳐져 있으며, 러시아 연방의 북오세티아 공화국과 조지아의 남오세티아 자치주에 나뉘어 있다.
지역 | 인구 |
---|---|
북오세티아-알라니아 | 445,300명 |
모스크바 | 10,500명 |
카바르디노-발카리아 공화국 | 9,800명 |
스타브로폴 지방 | 7,700명 |
크라스노다르 지방 | 4,100명 |
카라차이-체르케스 공화국 | 3,200명 |
상트페테르부르크 | 2,800명 |
로스토프주 | 2,600명 |
모스크바주 | 2,400명 |
9. 유전학
오세트인은 코카서스 지역의 독특한 민족 집단으로, 주변 민족들과 유전적 특성을 공유하면서도 독자적인 정체성을 유지해왔다. 오세트인 남성의 70%는 Y염색체 하플로그룹 G2, 특히 G2a1a1a1a1a1b-FGC719 아형에 속한다. 이론인의 경우 이 비율은 72.6%로 증가하는 반면, 디고르인의 경우 55.9%이다.[65][66]
이 하플로그룹은 살토보-마야키 문화와 관련된 알란족 매장지에서 확인되었다. 2014년 V. V. 일린스키가 돈강을 따라 있는 10개의 알란족 매장지에서 나온 뼈 조각을 연구했는데, 7개의 샘플에서 DNA 분석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다. 이 중 4개는 Y-DNA 하플로그룹 G2에 속했고, 6개는 미토콘드리아 DNA(mtDNA) 하플로그룹 I를 나타냈다.[67][68] 이들은 같은 부족에 속했거나 가까운 친척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발견은 오세트인이 알란인의 직계 후손이라는 가설을 강력하게 뒷받침한다. 이는 알란족에 의해 동화된 코카서스어 사용자가 오세트인이라는 대안적인 이론에 도전하며, 하플로그룹 G2가 그들의 유전적 계보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강화한다.[69]
2004년 Nasidze 등의 연구에 따르면, 미토콘드리아 DNA(모계 유전)는 북오세티아인과 남오세티아인이 공통의 기원을 가지며, 주변 코카서스계 민족보다 이란계 민족과의 근연성이 강하다. 반면 Y염색체(부계 유전)의 해플로그룹은 북오세티아인은 코카서스 산맥 북쪽 기슭의 여러 민족과, 남오세티아인은 남쪽 기슭의 여러 민족과 근연성이 있다고 여겨졌다. Nasidze 등은 오세트인은 이란계 민족을 조상으로 가지지만, 후대에 주변 여러 민족과의 남성계 유전자 혼합이 일어났을 것이라고 제안했다.[70]
2011년 Balanovsky 등은 Nasidze 등의 연구에서 북코카서스 여러 민족의 Y염색체 표본 크기가 작다는 점을 지적하며, 더 많은 표본을 사용하여 정확도가 높은 분석을 수행했다. 남북 오세티아인 남성을 통틀어 최소 56%(주요 부족인 이론족에 한정하면 73%)가 Y염색체 해플로그룹 G2a1a-P18을 가지는 반면, 이 해플로그룹은 다른 코카서스 민족에서는 평균 3%만 발견된다. 반대로, 북서 코카서스어족 화자(샤프수그인, 체르케스인, 아브하즈인)에게 특징적인 해플로그룹 G2a3b1-P303은 오세트인에게는 3%만 발견되며, 나흐계 언어 화자(체첸인, 잉구시인)에게 특징적인 해플로그룹 J2a4b-M67(xM92)와 다게스탄인에게 특징적인 해플로그룹 J1-M267(xP58)은 각각 8.4%, 2.6%만 오세트인에게서 발견된다. 즉, 오세트인을 포함한 코카서스 여러 민족의 남성은 각 민족에 특징적인 Y염색체 DNA를 가진다는 것이 밝혀졌다.[71]
Y염색체 해플로그룹의 출현 빈도를 다변량 분석한 결과, 이들 코카서스 민족은 오세트인을 포함하여 모두 서로 비교적 근연이며, (현대) 유럽 민족보다 (현대) 중동 민족과 유전적으로 가깝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역사적·고고학적으로 인구와 문화는 구석기·신석기 시대에는 중동에서 코카서스로, 1500년 이후에는 이란계 기마 유목 민족(즉, 유럽에 유전적 영향을 미친 민족)에 의해 북쪽 스텝 지대에서 코카서스로 이동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오세트인의 남성계 유전자는 주변 코카서스 민족과 마찬가지로 이란계 기마 유목 민족이 아니라 선사 시대 중동 이주에 기원을 두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71]
발굴된 인골에서의 유전자 분석 결과, 스키타이로 여겨지는 인골 표본의 Y염색체 해플로그룹은 R1a1-M17에 국한되므로, 오세트인의 남성계 유전자의 기원으로는 생각할 수 없다.[72] 그러나 알란인으로 여겨지는 인골 표본의 해플로그룹은 G2이므로, 알란인은 오세트인의 직접적인 기원이라고 주장하는 문헌도 있다.[73]
참조
[1]
웹사이트
Russian Census 2010: Population by ethnicity
http://www.perepis-2[...]
2017-08-21
[2]
웹사이트
Всероссийск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2002 года
http://www.perepis20[...]
2017-08-21
[3]
문서
South Ossetia-note
[4]
웹사이트
PCGN Report "Georgia: a toponymic note concerning South Ossetia"
http://www.pcgn.org.[...]
2007-01-01
[5]
웹사이트
Ethnic Composition of Georgia
http://csem.ge/wp-co[...]
2018-01-03
[6]
웹사이트
Ossetian
https://www.ethnolog[...]
Ethnologue
2023-10-04
[7]
웹사이트
Lib.ru/Современная литература: Емельянова Надежда Михайловна. Мусульмане Осетии: На перекрестке цивилизаций. Часть 2. Ислам в Осетии. Историческая ретроспектива
http://lit.lib.ru/e/[...]
2017-08-21
[8]
웹사이트
Официальный сайт Постоянного представительства Республики Северная Осетия-Алания при Президенте РФ. Осетины в Москве
http://www.noar.ru/c[...]
2017-08-21
[9]
웹사이트
Refworld – The North Caucasian Diaspora In Turkey
http://www.unhcr.org[...]
2017-08-21
[10]
웹사이트
Göç edeli 100 yıl oldu ama Asetinceyi unutmadılar
https://www.hurriyet[...]
2008-08-17
[11]
웹사이트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владение языками и гражданство населения республики таджикистан
http://www.stat.tj/e[...]
2013-01-27
[12]
웹사이트
Всесоюзн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1989 года.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населения по республикам СССР
http://demoscope.ru/[...]
2018-01-03
[13]
웹사이트
2001 Ukrainian census
http://www.ukrcensus[...]
2017-08-21
[14]
웹사이트
Всесоюзн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1989 года.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населения по республикам СССР
http://demoscope.ru/[...]
2018-01-03
[15]
웹사이트
Итоги всеобщей переписи населения Туркменистана по национальному составу в 1995 году.
http://asgabat.net/t[...]
2018-01-03
[16]
웹사이트
Всесоюзн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1989 года.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населения по республикам СССР
http://demoscope.ru/[...]
2018-01-03
[17]
웹사이트
Всесоюзн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1989 года.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населения по республикам СССР
http://demoscope.ru/[...]
2018-01-03
[18]
웹사이트
Национальный статистический комитет Республики Беларусь
http://belstat.gov.b[...]
2012-08-01
[19]
웹사이트
Всесоюзн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1989 года.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населения по республикам СССР
http://demoscope.ru/[...]
2018-01-03
[20]
웹사이트
Всесоюзн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1989 года.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населения по республикам СССР
http://demoscope.ru/[...]
2018-01-03
[21]
웹사이트
Latvijas iedzīvotāju sadalījums pēc nacionālā sastāva un valstiskās piederības (Datums=01.07.2017)
http://www.pmlp.gov.[...]
2017-02-08
[22]
웹사이트
Lietuvos Respublikos 2011 metų visuotinio gyventojų ir būstų surašymo rezultatai
https://osp.stat.gov[...]
2018-01-03
[23]
웹사이트
2000 Estonian census
http://pub.stat.ee/p[...]
2017-08-21
[24]
웹사이트
Ossetians
https://minorityrigh[...]
2015-06-19
[25]
웹사이트
Ossetians
https://minorityrigh[...]
2015-06-19
[26]
사전
Ossetian
[27]
사전
Ossete
https://www.merriam-[...]
Merriam-Webster
2021-01-01
[28]
사전
Ossete
https://www.merriam-[...]
Merriam-Webster
2021-01-01
[29]
사전
Ossete
https://www.merriam-[...]
Merriam-Webster
2021-01-01
[30]
서적
Islamic Peoples of the Soviet Union
Routledge
2016
[31]
학술지
Mythologization of History and the Invention of Tradition in Kazakhstan
2016
[32]
서적
Edge of Empires: A History of Georgia
Reaktion Books
2012
[3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Russian and Soviet Foreign Policy
Rowman & Littlefield
2015
[34]
서적
Eastern Europe, Russia and Central Asia
Taylor & Francis
2003
[35]
서적
On Ruins of Empire: Ethnicity and Nationalism in the Former Soviet Union
1997
[36]
서적
An Ethnic History of Russia: Pre-revolutionary Times to the Present
[37]
서적
The Ossetes: Modern-Day Scythians of the Caucasu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38]
서적
Les Sarmates amazones et lanciers cuirassés entre Oural et Danube (VIIe siècle av. J.-C. – VIe siècle apr. J.-C.)
Éd. Errance
[39]
서적
Sources on the Alans: A Critical Compilation
Brill
[40]
학술지
Aspecte privind impactul natural și antropic asupra solurilor și productivității culturilor din regiunea de dezvoltare centru
http://dx.doi.org/10[...]
Institute of Ecology and Geography, Republic of Moldova
2019-12-00
[41]
학술지
The Politics of a Name: Between Consolidation and Separation in the Northern Caucasus
http://src-h.slav.ho[...]
[42]
서적
Sources on the Alans: A Critical Compilation
Brill
2000-00-00
[43]
웹사이트
Map image
https://s23.postimg.[...]
2017-08-21
[44]
웹사이트
Map image
http://s50.radikal.r[...]
2017-08-21
[45]
서적
The Ossetes: Modern-Day Scythians of the Caucasu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46]
서적
Parlons ossète
Harmattan
[47]
백과사전
Ossetians
Microsoft Corporation
[48]
웹사이트
Getting Back Home? Towards Sustainable Return of Ingush Forced Migrants and Lasting Peace in Prigorodny District of North Ossetia
http://pdc.ceu.hu/ar[...]
2017-08-21
[49]
웹사이트
Ca-c.org
http://www.ca-c.org/[...]
2017-08-21
[50]
웹사이트
Завоевание Южной Осетии
https://travelgeorgi[...]
2024-10-12
[51]
뉴스
South Ossetia profile
https://www.bbc.com/[...]
2020-09-25
[52]
웹사이트
http://www.gcsp.ch/e[...]
2017-08-00
[53]
웹사이트
http://www.obiv.org.[...]
2017-08-00
[54]
웹사이트
Arena: Atlas of Religions and Nationalities in Russia
http://sreda.org/en/[...]
Sreda
[55]
웹사이트
2012 Arena Atlas Religion Maps
http://c2.kommersant[...]
Ogonek
2017-04-21
[56]
웹사이트
Alania and Byzantine
http://iratta.com/20[...]
[57]
서적
An Ethno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ussian and Soviet empires
Greenwood Publishing Group
[58]
서적
The peoples of the USSR: an ethnographic handbook
M.E. Sharpe
[59]
서적
Muslims of the Soviet Union
Indiana University Press
[60]
웹사이트
Ossetians in Georgia, with their backs to the mountains
https://www.opendemo[...]
[61]
웹사이트
South Ossetia profile
https://www.bbc.co.u[...]
2014-02-18
[62]
웹사이트
Михаил Рощин : Религиозная жизнь Южной Осетии: в поисках национально-культурной идентификации.
http://www.keston.or[...]
2017-08-21
[63]
웹사이트
Arena – Atlas of Religions and Nationalities in Russia
http://sreda.org/are[...]
[64]
웹사이트
DataLife Engine > Версия для печати > Местная религиозная организация традиционных верований осетин "Ǽцǽг Дин" г. Владикавказ
http://osetins.com/p[...]
2017-08-21
[65]
웹사이트
Происхождение гаплогруппы G2a1a у осетин Russian Journal of Genetic Genealogy. (Русская версия) 2011. Том 3. №1. С.61-69.
https://www.academia[...]
[66]
학술지
Parallel evolution of genes and languages in the Caucasus region
2011-00-00
[67]
웹사이트
Burial locations,дДНК Сарматы, Аланы
https://www.google.c[...]
2016-04-14
[68]
웹사이트
Anthropological and genetic specificity of the Don Alans // E.I. Krupnov and the development of archeology of the North Caucasus. M. 2014. pp. 312-315.
https://www.academia[...]
Irina Reshetova, Gennady Afanasiev
[69]
웹사이트
гаплогруппы G2a1a у осетин Russian Journal of Genetic Genealogy. (Русская версия) 2011. Том 3. №1. С.61-69.
https://www.academia[...]
[70]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71]
웹사이트
https://repository.u[...]
[72]
웹사이트
https://www.language[...]
[73]
논문
Афанасьев Г.Е., Добровольская М.В., Коробов Д.С., Решетова И.К. О культурной, антропологической и генетической специфике донских алан // Е.И. Крупнов и развитие археологии Северного Кавказа. М. 2014. С. 312–315
https://www.academia[...]
[74]
웹인용
Russian Census 2010: Population by ethnicity
http://www.perepis-2[...]
2017-08-21
[75]
웹인용
Всероссийск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2002 года
http://www.perepis20[...]
2017-08-21
[76]
문서
South Ossetia-note
[77]
웹인용
PCGN Report "Georgia: a toponymic note concerning South Ossetia"
http://www.pcgn.org.[...]
2007-01-01 #추정 날짜
[78]
웹인용
Ethnic Composition of Georgia
http://csem.ge/wp-co[...]
2018-01-03
[79]
웹인용
Lib.ru/Современная литература: Емельянова Надежда Михайловна. Мусульмане Осетии: На перекрестке цивилизаций. Часть 2. Ислам в Осетии. Историческая ретроспектива
http://lit.lib.ru/e/[...]
2017-08-21
[80]
웹인용
Официальный сайт Постоянного представительства Республики Северная Осетия-Алания при Президенте РФ. Осетины в Москве
http://www.noar.ru/c[...]
2017-08-21
[81]
웹인용
Refworld – The North Caucasian Diaspora In Turkey
http://www.unhcr.org[...]
2017-08-21
[82]
웹인용
Göç edeli 100 yıl oldu ama Asetinceyi unutmadılar
https://www.hurriyet[...]
[83]
웹인용
ru: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владение языками и гражданство населения республики таджикистан
http://www.stat.tj/e[...]
Statistics of Tajikistan
2013-01-27
[84]
웹인용
Всесоюзн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1989 года.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населения по республикам СССР
http://demoscope.ru/[...]
2018-01-03
[85]
웹인용
2001 Ukrainian census
http://www.ukrcensus[...]
2017-08-21
[86]
웹인용
Всесоюзн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1989 года.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населения по республикам СССР
http://demoscope.ru/[...]
2018-01-03
[87]
웹인용
Итоги всеобщей переписи населения Туркменистана по национальному составу в 1995 году.
http://asgabat.net/t[...]
2018-01-03
[88]
웹인용
Всесоюзн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1989 года.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населения по республикам СССР
http://demoscope.ru/[...]
2018-01-03
[89]
웹인용
Всесоюзн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1989 года.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населения по республикам СССР
http://demoscope.ru/[...]
2018-01-03
[90]
웹인용
First Ethnic Ossetian Refugees from Syria Arrive in North Ossetia
https://jamestown.or[...]
2018-01-03
[91]
웹인용
ru:Национальный статистический комитет Республики Беларусь
http://belstat.gov.b[...]
Национальный статистический комитет Республики Беларусь
2012-08-01
[92]
웹인용
Всесоюзн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1989 года.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населения по республикам СССР
http://demoscope.ru/[...]
2018-01-03
[93]
웹인용
Всесоюзн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1989 года.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населения по республикам СССР
http://demoscope.ru/[...]
2018-01-03
[94]
웹인용
Latvijas iedzīvotāju sadalījums pēc nacionālā sastāva un valstiskās piederības (Datums=01.07.2017)
http://www.pmlp.gov.[...]
2017-02-08
[95]
웹인용
Lietuvos Respublikos 2011 metų visuotinio gyventojų ir būstų surašymo rezultatai
https://osp.stat.gov[...]
2018-01-03
[96]
웹인용
2000 Estonian census
http://pub.stat.ee/p[...]
2017-08-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