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앙드레 드 로에아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앙드레 드 로에아크는 백년 전쟁 시기 프랑스 군인으로, 1423년 잉글랜드군에 대항하여 기사 작위를 받았고, 이후 포로로 잡혔다가 몸값을 지불하고 석방되었다. 그는 잔 다르크와 함께 오를레앙 포위전, 파테 전투 등에 참여했으며, 1439년 프랑스 원수가 되었다. 1440년 프라게리의 난 진압에 참여했고, 질 드 레의 영지 분쟁에 연루되었으며, 1451년 질 드 레의 딸과 결혼하여 레의 영주권을 얻었다. 앙드레 드 로에아크는 1453년 카스티용 전투에서 잉글랜드군을 격파하여 백년 전쟁을 프랑스의 승리로 이끌었으며, 말년에는 루이 11세에게 원수 직에서 해임되었다가 복직하여 파리 정부 상급 대리인 및 피카르디 지사를 역임했고 1486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몽모랑시라발가 - 질 드 레 남작
    질 드 레 남작은 프랑스의 귀족으로 백년 전쟁에 참전하여 잔 다르크와 협력하여 오를레앙 공방전을 승리로 이끌었으나, 이후 재산을 탕진하고 흑마술에 심취하여 소년들을 납치, 살해한 혐의로 처형되었다.
  • 1400년대 출생 - 로히어르 판 데르베이던
    로히어르 판 데르베이던은 15세기 플랑드르의 화가로, 캉팽의 제자로서 브뤼셀 시의 공식 화가가 되었으며, 종교화와 초상화를 제작하고 감정 표현과 세부 묘사가 뛰어난 작품으로 북유럽 르네상스 미술에 영향을 미쳤다.
  • 1400년대 출생 - 프란체스코 피치니노
  • 1485년 사망 - 리처드 3세
    리처드 3세는 잉글랜드 요크 왕가 마지막 왕으로, 장미 전쟁에서 공을 세웠으나 조카들을 런던탑에 가두고 왕위에 올랐다가 보즈워스 전투에서 패배하여 사망하며 요크 왕가의 몰락을 초래했고, 셰익스피어 희곡 등에서 악인으로 묘사되기도 했다.
  • 1485년 사망 - 윤사흔
    윤사흔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정희왕후의 동생이자 왕족 및 사대부와 인척 관계를 맺었으며, 음보로 관직에 입문하여 계유정난과 성종 옹립에 공을 세워 공신에 책록되고 영돈녕부사에 이르렀으나 훈척으로서 병권 운영에 대한 비판을 받았고 우의정, 영경연사를 역임 후 사망하여 양평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앙드레 드 로에아크
기본 정보
앙드레 드 라발
앙드레 드 라발 (《Armorial de Gilles Le Bouvier》)
출생1408년
출생지、몽슈 성
사망1486년 12월 29일
사망지라발
배우자마리 드 레
가족아버지: 기 13세 드 라발
어머니: 안 드 라발
군 경력
최종 계급프랑스 원수
기타 정보
참고 문헌

2. 략력

100년 전쟁 중 1423년, 앙드레는 잉글랜드 군에 대항하던 프랑스 군을 도와 기사 작위를 받았지만, 1428년 라발 가문이 항복하자 잉글랜드의 장군 슈루즈베리 백작 존 탤보트에게 포로로 잡혔다. 2만 4천 에퀴의 몸값을 지불하고 석방된 후, 형 기, 잔 다르크, 친척인 질 드 레와 알랑송 공작 장 2세, 장 드 뒤누아 등과 함께 1429년의 오를레앙 포위전, 파테 전투, 그리고 샤를 7세의 대관식에 참여했다[4]

잔 다르크 처형 후 알랑송 공작과 뒤누아, 라 이르, 상트라이유 등 전우들과 함께 아르튀르 드 리슈몽 대원수의 지휘 하에 들어가 1435년노르망디 방면으로 원정, 1437년에 프랑스 왕국 해군 제독의 칭호를 얻고, 1439년에 프랑스 원수가 되었다.[5]1440년, 샤를 7세와 리슈몽의 세제 개혁에 반발한 알랑송 공작, 뒤누아 등 대귀족들이 왕태자 루이 (후의 루이 11세)를 옹립하여 프라게리의 난을 일으켰을 때 리슈몽 아래에서 반란을 진압했다[5]

또한, 과거의 전우 질의 지나친 낭비를 걱정하여 그의 동생 르네를 시작으로 일족과 함께 영지 분배 협의를 진행하고, 1435년 샤를 7세의 명령으로 질을 금치산자로 지정하여 영지의 흩어짐을 막으려 했다. 그러나 질의 영지를 노리는 브르타뉴 공작 장 5세 (리슈몽의 형)가 질과 영지 매매를 하려 하자 분쟁이 일어나, 1437년에는 질과 장 5세가 매매를 진행하고 있는 것에 격분하여 앙주 공작 르네 당주에게 요청하여 무력 행사에 돌입, 질의 영지를 점거하여 그와 장 5세와 일촉즉발의 상태가 되었다.

1438년에 리슈몽이 각각의 조정을 시작하여 일단 분쟁은 수습되지만, 1440년에 질의 범죄가 밝혀져 처형된 후, 1451년에 질의 딸 마리와 결혼하여 레의 영주권을 얻는다. 그러나 질의 다른 영지는 일족과의 소송으로 넘겨지지 않았고, 1457년에 사망한 마리와의 사이에 자녀는 없어 결국 질의 영지는 흩어졌으며, 일부는 장 5세 · 리슈몽 형제에게 넘어갔다.

질의 영지 분쟁이 일단락된 후에는 잉글랜드 군 토벌을 속행, 1449년에 리슈몽 아래에서 노르망디 정복 활동에 종사, 다음 1450년에도 리슈몽 휘하의 부장으로 포르미니 전투에서 잉글랜드 군을 격파했다. 1453년에 샤를 7세의 명령으로 귀옌으로 원정, 귀옌 탈환을 꾀하는 슈루즈베리 백작이 이끄는 잉글랜드 군을 카스티용 전투에서 격파하고 슈루즈베리 백작을 쳐서 백년 전쟁을 프랑스의 승리로 종결시켰다[6]

1456년에 왕태자 루이가 다시 반란을 일으켰을 때도 샤를 7세에게 충실히 섬겼으며, 후에 루이 11세가 즉위했을 때 원수 직에서 해고되었다. 그러나 War of the Public Weal영어 후에 직을 회복하고, 파리의 정부 상급 대리인 및 피카르디의 지사직을 받았다. 1486년에 사망했다.

2. 1. 백년전쟁 활약

앙드레 드 라발은 백년전쟁 시기 프랑스 왕국의 군인이다. 1423년 잉글랜드군에 맞서 프랑스군을 도왔고, 1428년에는 잉글랜드군에 포로로 잡혔다가 2만 4천 에퀴의 몸값을 내고 풀려났다.[4]

1429년 잔 다르크와 함께 오를레앙 포위전, 파테 전투 등에서 활약하고 샤를 7세의 대관식에도 참여했다.[4] 잔 다르크 사후 아르튀르 드 리슈몽 대원수 휘하에서 1435년노르망디 방면 원정에 참전했고, 1437년 프랑스 해군 제독 칭호를, 1439년 프랑스 원수 직에 올랐다.[5] 1440년 프라게리의 난 때는 리슈몽 휘하에서 반란 진압에 가담했다.

1438년에는 리슈몽의 중재로 일단락되었으나, 1440년 질의 범죄와 처형 이후, 1451년 질의 딸 마리와 결혼하여 레 영주권을 얻는다.[6]

이후 잉글랜드군 토벌을 계속하여, 1449년 리슈몽과 함께 노르망디 정복에 참여하고, 1450년 포르미니 전투에서 잉글랜드군을 격파했다. 1453년 카스티용 전투에서 잉글랜드군을 대파하고 슈루즈베리 백작 존 탤보트를 전사시켜 백년전쟁을 프랑스의 승리로 이끌었다.[6]

1456년 왕태자 루이가 반란을 일으켰을 때도 샤를 7세를 섬겼고, 루이 11세 즉위 후 원수 직에서 해임되었다가 이후 복직하여 파리 정부 상급 대리인 및 피카르디 지사를 역임했다. 1486년 사망했다.

2. 2. 프라게리의 난 진압

1440년, 샤를 7세와 리슈몽의 세제 개혁에 반발한 알랑송 공작 장 2세, 뒤누아 등 대귀족들이 왕태자 루이 (후의 루이 11세)를 옹립하여 프라게리의 난을 일으켰을 때, 앙드레 드 라발은 리슈몽 대원수 아래에서 이 반란을 진압했다.[5]

2. 3. 질 드 레 영지 분쟁

1435년 앙드레 드 라발은 과거의 전우였던 질 드 레의 지나친 낭비를 걱정하여 그의 동생 르네를 시작으로 일족과 함께 영지 분배 협의를 진행했고, 샤를 7세의 명령으로 질을 금치산자로 지정하여 영지가 흩어지는 것을 막으려 했다.[5] 그러나 브르타뉴 공작 장 5세 (리슈몽의 형)가 질의 영지를 노리고 매매를 시도하자 분쟁이 발생했다.[5] 1437년에는 질과 장 5세가 매매를 진행하는 것에 격분하여 앙주 공작 르네 당주에게 요청, 무력 행사에 들어가 질의 영지를 점거하면서 장 5세와 일촉즉발의 상태가 되었다.

1438년에 아르튀르 드 리슈몽 대원수가 중재하여 분쟁은 일단락되었지만,[5] 1440년에 질 드 레가 범죄를 저질러 처형당했다.[6] 이후 1451년 앙드레는 질의 딸 마리와 결혼하여 레의 영주권을 얻었으나, 다른 영지는 일족과의 소송으로 얻지 못했다.[6] 1457년 마리가 사망할때까지 둘 사이에 자녀는 없었고, 결국 질의 영지는 흩어져 일부는 장 5세와 리슈몽 형제에게 넘어갔다.[6]

2. 4. 백년전쟁 종결

앙드레 드 라발은 1423년 잉글랜드군에 대항하던 프랑스군을 도와 기사 작위를 받았으나, 1428년 라발 가문이 항복하면서 잉글랜드의 장군 슈루즈베리 백작 존 탤보트에게 포로로 잡혔다. 2만 4천 에퀴의 몸값을 지불하고 석방된 후, 잔 다르크, 질 드 레 등과 함께 오를레앙 포위전, 파테 전투 등에 참여했다.[4]。 잔 다르크 처형 후, 아르튀르 드 리슈몽 대원수 휘하에서 1439년 프랑스 원수가 되었다.

1449년 리슈몽 아래에서 노르망디 정복에 참여하였고, 1450년 포르미니 전투에서 잉글랜드군을 격파하는데 기여하였다. 1453년 카스티용 전투에서 잉글랜드군을 격파하고 슈루즈베리 백작 존 탤보트를 전사시켜 백년 전쟁을 프랑스의 승리로 이끌었다.[6]

2. 5. 말년

참조

[1] 서적 The Counts of Laval: Culture, Patronage and Religion in Fifteenth- and Sixteenth-century France Ashgate Publishing 2007
[2] 서적 The Counts of Laval Ashgate Publishing Company 2007
[3] 문서 Laval, André de, Seigneur de Lohéac
[4] 문서 ペルヌー、P114 - P116、エチュヴェリー、P130、P166、P184 - P187、P194、清水、P101 - P104、P112
[5] 문서 エチュヴェリー、P218、P242 - P245
[6] 문서 エチュヴェリー、P234、P245 - P246、P271、P275 - P284、P292 - P293、清水、P177、P176 - P180、P182 - P186、P252 - P253、P288 - P290
[7] 서적 The Counts of Laval Ashgate Publishing Company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