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앙라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앙라제는 프랑스 혁명 시기 활동한 극좌 성향의 정치 운동 연합체로, 구체제의 기득권뿐만 아니라 혁명으로 새롭게 등장한 경제적 기득권에도 반대하며 사회경제적 개혁을 추구했다. 자크 루를 중심으로 1792년경 결성되어 국민공회 외부에서 영향력을 확보하려 했으며, '1793년 5월 31일 – 6월 2일 파리 폭동'에 참여하는 등 급진적인 활동을 펼쳤다. 공공, 정치적, 사회적 평등을 강력히 요구하며, 사유 재산 축적에 제한을 가하는 등 과격한 주장을 펼쳤으나, 로베스피에르의 탄압으로 1794년경 소멸했다. 앙라제는 이후 공산주의 및 아나키즘 운동에 영향을 미쳤으며, 20세기에도 재해석되어 등장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앙라제 - 자크 루
    자크 루는 프랑스 혁명 시기 급진적인 사제이자 혁명가로, 앙라제 일원으로서 상퀼로트의 이익을 대변하며 경제적 평등 사회를 주창하다 로베스피에르와 대립 후 몰락했고, 그의 사유 재산 폐지 주장은 마르크스주의에 영향을 미쳤으며 대중문화에서도 다루어진다.
  • 1794년 해산된 정당 - 코르들리에
    코르들리에는 프랑스 혁명 시기 파리 코르들리에 구역에서 활동한 정치 클럽으로, 급진적인 역할 수행과 주요 혁명가들의 근거지였으나, 공포 정치 옹호와 지도자 처형으로 해산되었다.
앙라제 - [정당]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이름앙라제
다른 이름울트라-라디칼 (Ultra-radicaux)
약칭앙라제
로마자 표기Anraje
상세 정보
창립일1792년
해산일1794년
지도자자크 루
테오필 클레르
진 바레
클레르 라콩브
분열자코뱅 클럽
본부, 파리
이념직접 민주주의
통제 경제
공상적 사회주의
공화주의
폭력적 과격주의
정치적 성향좌익・좌파
상징색빨강
국가프랑스

2. 역사

초기 앙라제 운동은 구체제와 혁명 이후 새롭게 등장한 경제적 기득권 세력을 견제하는 데 힘을 쏟았다. 이 운동의 대표적인 사상가이자 혁명 사제였던 자크 루는 1792년에 혁명 선언 초안을 작성하여 파리 내 47개 구역에 배포했다. 많은 프랑스 역사학자들은 앙라제의 성립 시기를 이 시점으로 본다.[40]

자크 루는 혁명이 반동적인 귀족 세력을 약화시켰지만, 그 권력이 탐욕스러운 대상인들에게 집중되었다고 비판했다. 그는 자코뱅 주류파가 이들을 제대로 통제하지 못하고 있으며, 그 피해가 고스란히 상퀼로트에게 돌아가고 있다고 주장했다. 루는 대혁명을 통해 정치 권력을 획득한 주류 파벌의 이상이 '헛된 망령'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40]

앙라제는 당시 프랑스의 여러 정파들처럼 단일한 정파가 아니었다. 앙라제는 몇몇 뛰어난 혁명 사상가들에 의해 독립적으로 지도된 극좌 운동의 연합체였으며, 주로 국민공회 외부에서 영향력을 확대하는 데 주력했다.

이들은 '1793년 5월 31일 – 6월 2일 파리 폭동'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하며 자코뱅 내 지롱드파 공격에 앞장섰다. 비록 국민공회에서 정치 권력을 갖지는 못했지만, 파리 빈민의 적극적인 지지를 바탕으로 강력한 투쟁력을 확보했다. 이들은 지롱드파를 비롯한 반동 세력을 숙청하는 데 기여했고, 그 결과 몽타뉴파가 압도적인 주도권을 쥐게 되었다.

자크 루를 비롯한 앙라제 주요 지도자들이 로베스피에르의 미온적인 태도를 계속 비판하자, 로베스피에르는 이들이 극단적이고 모험적인 정책을 선동하여 프랑스 사회를 혼란에 빠뜨리려는 해외 반동 세력의 첩자라고 주장하며 탄압을 시작했다. 1793년 8월, 자크 루가 체포 및 구금되었다. 공안위원회는 지속적으로 앙라제를 탄압했고, 이로 인해 앙라제는 자코뱅에서 탈퇴하고 독립적인 계파가 되었다.[41]

1794년 2월 10일, 자크 루는 감옥에서 자살했고, 사상적 지도자를 잃은 앙라제는 탄압이 계속되는 가운데 이합집산을 거듭하다가 소멸했다.

2. 1. 앙라제의 성립 배경

앙라제는 자코뱅이 자본가 부르주아를 억제하는 것을 꺼리는 것에 대한 반발로 결성되었다. 많은 파리 시민들은 국민공회가 하층 계급 노동자인 ''상퀼로트''를 희생시키면서 상인과 가게 주인을 보호한다고 우려했다. 앙라제는 응집력 있는 단체는 아니었지만, 이러한 빈곤층에게 불만을 표출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했다. 그들의 불만은 종종 폭동, 공개 시위, 열정적인 웅변을 통해 전달되었다.[11]

자크 루와 장 프랑수아 바를레는 1793년 2월 22일 파리 노동 빈곤층이 자코뱅 클럽에 접근하여 필수품에 대한 가격 통제를 시행하도록 설득하도록 용기를 북돋았다. 앙라제는 국민공회에 운동과 의제를 대표할 두 명의 여성을 임명했다. 그러나 국민공회는 그들에게 면담을 거부했다. 이는 파리 전역에서 분노와 비판을 불러일으켰으며, 일부는 국민공회가 ''상퀼로트''를 희생시키면서 상인 엘리트의 이익을 보호한다고 비난하기까지 했다. 앙라제의 입장을 전달하려는 추가 시도는 국민공회에 의해 거부되었다. 그들은 목소리를 내기 위해 결연하게 반란으로 대응했다. 그들은 상인 엘리트의 집과 사업체를 약탈하며 그들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직접적인 행동을 취했다. 앙라제는 그들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합법적이고 불법적인 수단을 모두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11]

앙라제는 국민공회 내 구성원과 ''상퀼로트''로 구성되었다. 그들은 ''상퀼로트''가 벌인 내전과 외전을 조명했다. 그들은 국민공회가 프랑스에 남겨진 과부와 고아를 위한 지원 없이 전쟁터로 사람들을 소집했다고 불평했다. 그들은 특히 빵과 같은 기본적인 필수품의 부족을 강조했다. 자크 루는 그의 ''앙라제 선언''에서 이 감정을 국민공회에 다채롭게 표현하며 다음과 같이 질문했다.[12]

> 자유를 위해 죽은 사람들의 과부가 눈물을 닦기 위해 필요한 면, 아이들을 위한 우유와 꿀을 금전적인 대가를 지불해야 할 필요가 있는가?

그들은 상인 귀족이 의도적으로 가격을 올리기 위해 상품과 공급품에 대한 접근을 막고 있다고 비난했다. 루는 국민공회가 가난한 사람들을 희생시키면서 투기, 독점 및 매점매석을 사용하여 개인적인 이익을 늘린 비윤리적인 상인에게 사형을 부과할 것을 요구했다. 앙라제는 폭리를 반혁명적이고 반역적인 행위로 규정했다. 이러한 감정은 최근 처형된 프랑스 국왕 루이 16세에 동조하는 사람들에게도 확장되었다. 그들은 군주제에 동조하는 사람들이 상품을 매점매석하는 사람들에게도 동조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앙라제 내 많은 사람들이 지롱드파에 적극적으로 반대하고, 실제로 왕을 살리려고 싸웠다고 널리 여겨지는 온건한 지롱드파의 몰락에 기여한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앙라제 선언''에 제시된 이념을 따르는 사람들은 국민공회에 폭정이 단순히 군주제의 산물이 아니며, 왕의 처형으로 불의와 억압이 끝나지 않는다는 것을 강조하고 싶어했다. 그들의 견해로는, 사회의 한 계층이 자원을 독점하려고 하면서 동시에 다른 사람들이 동일한 자원에 접근하는 것을 막을 때마다 억압이 존재했다. 그들의 견해로는 자원 추구는 용납되었지만 자원 접근을 제한하는 행위는 사형에 처해질 수 있었다.

앙라제는 국민공회에 상업을 제한하여 "시민들을 파멸시키거나, 절망하게 하거나, 굶주리게 하는 것으로 구성되지 않도록"할 것을 요구했다.[10] 앙라제는 때때로 정치 구조 내에서 활동했지만, 그들의 주요 목표는 사회적, 경제적 개혁을 달성하는 것이었다. 그들은 노동 빈곤층의 즉각적인 필요를 충족시키려고 시도하는 직접 행동 단체였다.[11]

2. 2. 앙라제의 활동과 탄압

초기 앙라제 운동은 구체제와 혁명 이후 새롭게 등장한 경제적 기득권 세력을 견제하는 데 힘을 쏟았다. 이 운동의 대표적인 사상가이자 혁명 사제였던 자크 루는 1792년에 혁명 선언 초안을 작성하여 파리 내 47개 구역에 배포했다. 많은 프랑스 역사학자들은 앙라제의 성립 시기를 이 시점으로 본다.[40]

자크 루는 혁명이 반동적인 귀족 세력을 약화시켰지만, 그 권력이 탐욕스러운 대상인들에게 집중되었다고 비판했다. 그는 자코뱅 주류파가 이들을 제대로 통제하지 못하고 있으며, 그 피해가 고스란히 상퀼로트에게 돌아가고 있다고 주장했다. 루는 대혁명을 통해 정치 권력을 획득한 주류 파벌의 이상이 '헛된 망령'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40]

앙라제는 당시 프랑스의 여러 정파들처럼 단일한 정파가 아니었다. 앙라제는 몇몇 뛰어난 혁명 사상가들에 의해 독립적으로 지도된 극좌 운동의 연합체였으며, 주로 국민공회 외부에서 영향력을 확대하는 데 주력했다.

이들은 '1793년 5월 31일 – 6월 2일 파리 폭동'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하며 자코뱅 내 지롱드파 공격에 앞장섰다. 이들은 국민공회에서 정치 권력을 갖지는 못했지만, 파리 빈민의 적극적인 지지를 바탕으로 강력한 투쟁력을 확보했다. 이들은 지롱드파를 비롯한 반동 세력을 숙청하는 데 기여했고, 그 결과 몽타뉴파가 압도적인 주도권을 쥐게 되었다.

자크 루를 비롯한 앙라제 주요 지도자들이 로베스피에르의 미온적인 태도를 계속 비판하자, 로베스피에르는 이들이 극단적이고 모험적인 정책을 선동하여 프랑스 사회를 혼란에 빠뜨리려는 해외 반동 세력의 첩자라고 주장하며 탄압을 시작했다. 1793년 8월, 사상적 지도자였던 자크 루가 체포 및 구금되었다. 공안위원회는 지속적으로 앙라제를 탄압했고, 이로 인해 앙라제는 자코뱅에서 탈퇴하고 독립적인 계파가 되었다.[41]

1794년 2월 10일, 자크 루는 감옥에서 자살했고, 사상적 지도자를 잃은 앙라제는 탄압이 계속되는 가운데 이합집산을 거듭하다가 소멸했다.

앙라제는 자코뱅이 자본가 부르주아를 억제하는 것을 꺼리는 것에 대한 반발로 결성되었다. 많은 파리 시민들은 국민공회가 하층 계급 노동자인 상퀼로트를 희생시키면서 상인과 가게 주인을 보호한다고 우려했다. 앙라제는 응집력 있는 단체는 아니었지만, 빈곤층에게 불만을 표출할 수 있는 장을 제공했다. 이들의 불만은 종종 폭동, 공개 시위, 열정적인 웅변을 통해 표출되었다.

자크 루와 장 프랑수아 바를레는 1793년 2월 22일, 파리 노동 빈곤층에게 필수품에 대한 가격 통제를 시행하도록 자코뱅 클럽에 접근하여 설득할 것을 독려했다. 앙라제는 국민공회에 자신들의 운동과 의제를 대표할 두 명의 여성을 임명했지만, 국민공회는 이들에게 면담을 거부했다. 이는 파리 전역에서 분노와 비판을 불러일으켰으며, 일각에서는 국민공회가 상퀼로트를 희생시키면서 상인 엘리트의 이익을 보호한다고 비난하기도 했다. 앙라제의 입장을 전달하려는 추가적인 시도 역시 국민공회에 의해 거부되었다. 이들은 목소리를 내기 위해 결연하게 반란을 일으켰고, 상인 엘리트의 집과 사업체를 약탈하며 자신들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직접적인 행동에 나섰다. 앙라제는 자신들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합법적, 불법적 수단을 모두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11]

앙라제는 국민공회 내 구성원과 상퀼로트로 구성되었다. 이들은 상퀼로트가 벌인 내전과 외전을 조명했다. 이들은 국민공회가 프랑스에 남겨진 과부와 고아를 위한 지원 없이 전쟁터로 사람들을 소집했다고 불평했다. 특히 빵과 같은 기본적인 필수품의 부족을 강조했다. 자크 루는 ''앙라제 선언''에서 이러한 감정을 국민공회에 표현했다.[12]

이들은 상인 귀족이 의도적으로 가격을 올리기 위해 상품과 공급품에 대한 접근을 막고 있다고 비난했다. 자크 루는 국민공회가 가난한 사람들을 희생시키면서 투기, 독점, 매점매석을 통해 개인적인 이익을 늘린 비윤리적인 상인에게 사형을 부과할 것을 요구했다. 앙라제는 폭리를 반혁명적이고 반역적인 행위로 규정했다. 이러한 감정은 최근 처형된 프랑스 국왕 루이 16세에게 동조하는 사람들에게도 확산되었다. 이들은 군주제에 동조하는 사람들이 상품을 매점매석하는 사람들에게도 동조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앙라제 내 많은 사람들이 지롱드파에 적극적으로 반대하고, 실제로 왕을 살리려고 싸웠다고 널리 여겨지는 온건한 지롱드파의 몰락에 기여한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앙라제 선언''에 제시된 이념을 따르는 사람들은 국민공회에 폭정이 단순히 군주제의 산물이 아니며, 왕의 처형으로 불의와 억압이 끝나지 않는다는 것을 강조하고 싶어했다. 이들의 관점에서는, 사회의 한 계층이 자원을 독점하려고 하면서 동시에 다른 사람들이 동일한 자원에 접근하는 것을 막을 때마다 억압이 존재했다. 자원 추구는 용납되었지만, 자원 접근을 제한하는 행위는 사형에 처해질 수 있었다.

앙라제는 국민공회에 상업을 제한하여 "시민들을 파멸시키거나, 절망하게 하거나, 굶주리게 하는 것으로 구성되지 않도록"할 것을 요구했다.[10] 앙라제는 때때로 정치 구조 내에서 활동했지만, 이들의 주요 목표는 사회적, 경제적 개혁을 달성하는 것이었다. 이들은 노동 빈곤층의 즉각적인 필요를 충족시키려고 시도하는 직접 행동 단체였다.[11]

앙라제는 프랑스 혁명 당시 하층 계급을 옹호하고 급진적인 상퀼로트의 요구를 표명하는 선동가들의 소규모 집단이었다.[21] 이들은 1793년 2월 17일부터 5월 31일까지 파리 봉기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하여 몽테뉴파지롱드파국민공회에서 축출하고 전면적으로 장악할 수 있도록 했다.[22]

앙라제는 가난한 사람들에게 이익이 되는 더 많은 조치를 취하도록 국민공회에 호소하는 격렬한 수사로 인해 이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앙라제의 주요 지도자인 자크 루, 장 프랑수아 발레, 장 테오필 르클레르, 클레르 라콤브 등은 혁명이 사람들에게 약속한 것을 이행하지 못했다며 국민공회를 격렬하게 비판했다.[21]

앙라제는 통일된 집단이 아니었으며, 앙라제로 분류된 그룹에 속하는 개별 지도자들은 각자 고유한 목적을 위해 활동했다. 그리고 이들이 협력했다는 확정적인 증거는 없다.[23] 이들 지도자들의 개별적인 정치적 성향으로 볼 때, 앙라제는 아나키즘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냉소적이었으며, 대부분의 정치 조직과 개인을 의심하고 타인과의 관계에 저항했다.[24] 지도자들은 자신이 목적과 수단을 공유하는 운동체의 일부라고 생각하지 않았으며, 자크 루는 발레의 체포까지 요구했다.[25] 앙라제를 결속된 그룹으로 보는 생각은 그 이론가였던 르클레르와 자크 루를 같은 그룹으로 묶은 자코뱅파에 의해 굳어졌다.[26]

3. 사상

“앙라제”는 ‘분노한 자들’이라는 뜻이다. 앙라제의 사상은 공화주의를 기본 전제로 갖추고 있었다. 이 운동이 표방하는 사상은 자코뱅의 급진파인 몽타뉴파와 몽타뉴파에서 더 급진적인 에베르파보다 훨씬 과격했다. 몽타뉴파에는 지롱드파와 다를 바 없는 정치적 견해를 가진 의원도 있었고, 주장이 일관되지 않은 경우도 있었지만, 앙라제는 구성원 대부분이 비슷한 의견을 가지고 있었다.

앙라제는 로베스피에르 주도 공안위원회의 탄압으로 소멸하였지만, 이후 프랑수아노엘 바뵈프, 필립 부오나로티 등의 혁명적인 운동가들이 앙라제 사상을 계승했다.

몽타뉴파와 달리, 앙라제는 여성의 모든 기본권이 남성과 완전히 동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남성과 여성의 차이는 외적인 형태뿐이며, 이것이 이성, 감정, 판단력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보았다.

앙라제의 여성 운동가인 클레르 라콩브는 프랑스 여성이 구체제의 모순, 가부장 사회에서 남성이 가진 타락한 의식으로 인한 정신적 압박, 혁명 이후 경제 문제로 인한 생활고라는 다중적인 고통을 겪고 있다고 분석했다. 라콩브는 혁명적 공화주의 여성 협회를 조직하여 빈곤층 여성을 중심으로 한 폭력적 여성 운동을 이끌었다. 그녀는 사회경제적 영역에서 프랑스 사회의 반동성이 가부장적 구습과 연결되어 있으며, 여성이 겪는 사회 문제를 해결하려면 프랑스 사회의 근본적인 타락을 철저히 파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44]

이는 지롱드파 여성 운동가들의 노선과는 명백히 달랐다. 지롱드파는 여성이 프랑스의 국익을 위한 애국심을 가졌기에 남성과 동등한 존재가 될 수 있다고 보았고, 여권 쟁취의 선결 조건으로 애국심을 강조했다. 그러나 앙라제의 여성 운동은 지롱드파의 ‘애국심’이 타락한 지배 계급에 대한 충성과 다르지 않으며, 여성의 본질적인 권리는 애국심 여부와 관계없이 존속한다고 주장했다.

장-프랑수아 바를레는 남성이었지만, 여성들이 프랑스 혁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았다. 그는 빈곤층 여성들을 선동하고 조직하여 앙라제를 결성했다. 앙라제는 종종 여성들을 국민 공회에서 운동을 대표하는 연설자로 임명했다. 클레르 라콩브와 폴린 레옹을 포함한 혁명적 초기 페미니스트들은 앙라제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프랑스 혁명의 초기 페미니스트들은 19세기의 페미니즘 운동에 영감을 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3. 1. 주요 요구

앙라제는 공적, 정치적, 사회적 평등을 강력히 요구했으며, 소비세 확립과 시세 차익을 얻은 상인에 대한 과세 및 곡물 징발을 주장했다.[42] 이들은 전체 인민 참정권, 국가에 의한 상거래 활동 허가제 및 가격 통제, 부유층 토지 매매 금지 등 경제에 대한 광범위한 통제를 요구했다. 또한 생필품 무상 분배, 투기꾼 사형, 부유층 재산 몰수 및 분배, 귀족과 반동 정치 세력 숙청, 부르주아 소유 생산 수단의 도시 빈민위원회 탈취, 반동 세력 저지를 위한 상시적인 반혁명 타격대 조직 등을 주장했다.[42]

이러한 요구는 사유 재산 철폐까지는 아니었지만, 부르주아의 사유 재산 축적을 제한하는 것이었기에 당시 매우 과격한 주장으로 여겨졌다.[43]

1793년 자크 루는 ''앙라제의 선언''을 통해 앙라제의 주요 요구 사항을 다음과 같이 밝혔다. 그는 부자들이 가난한 사람들을 희생시키면서 프랑스 혁명으로 이득을 보았기 때문에 자유와 평등은 "헛된 환상"이라고 주장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그는 가격 통제를 제안하며 "모두에게 필요한 상품은 모두가 접근할 수 있는 가격으로 제공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투기독점에 대한 엄격한 처벌을 요구했다. 그는 국민공회반혁명 활동 억압을 위한 강력한 조치를 요구하며, "바스티유를 무너뜨린 불멸의 창을 적들에게 보여주겠다"고 했다. 더불어 그는 국민 공회가 국가 재정을 망쳤다고 비난하며 아시냐의 독점적 사용을 권장했다.[10]

앙라제는 폭리를 반혁명적이고 반역적인 행위로 규정했다. 군주제 동조자들이 상품 매점매석자들에게도 동조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앙라제는 국민공회에 상업을 제한하여 "시민들을 파멸시키거나, 절망하게 하거나, 굶주리게 하는 것으로 구성되지 않도록"할 것을 요구했다.[10]

3. 2. 여성 운동

몽타뉴파와 달리, 앙라제 연합은 여성의 모든 기본권이 남성과 완전히 동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남성과 여성의 차이는 오로지 외적인 형태뿐이며, 이것이 이성 능력과 감정선, 그리고 판단력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하였다.

앙라제의 여성 운동가인 클레르 라콩브는 프랑스 여성이 구체제의 모순, 가부장 사회에서 남성이 가진 타락한 의식으로 인한 정신적 압박, 혁명 이후 경제 문제로 인한 생활고라는 다중적인 고통에 시달리고 있다고 분석했다. 라콩브는 혁명적 공화주의 여성 협회를 조직하여 빈곤층 여성을 중심으로 한 폭력적 여성 운동을 진행했다. 라콩브는 사회경제적 영역에서 프랑스 사회의 반동성이 가부장적 구습과 연결된 문제이며, 여성이 겪는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프랑스 사회의 근본적인 타락을 발본색원하여 철저히 파괴해야 한다고 선동했다.[44]

이는 지롱드파에 속한 몇몇 여성 운동가들이 주도한 여성 운동 노선과 명백히 다른 노선이었다. 특히, 지롱드파는 프랑스 사회에서 여성이 프랑스의 국익을 위하는 애국심을 가졌기에 남성과 동등한 존재가 될 수 있으며, 여권 쟁취의 선결 조건으로서 애국심을 강조하였지만, 앙라제의 여성 운동은 지롱드파의 ‘애국심’이 타락한 지배 계급에 대한 충성과 다를 바 없으며, 여성의 본질적인 권리는 애국의 여부와 무관하게 존속한다는 입장을 견지했다.

장-프랑수아 바를레는 남성이었지만, 여성들이 특히 프랑스 혁명 내에서 지대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이해했다. 바를레는 빈곤층 여성들을 선동하고 동기를 부여하여 반(半) 결속력 있는 이동 부대로 조직함으로써 앙라제를 결성했다. 앙라제는 종종 여성들을 국민 공회에서 운동을 대표하는 연설자로 임명했다. 클레르 라콩브와 폴린 레옹을 포함한 혁명적 초기 페미니스트들은 앙라제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프랑스 혁명의 초기 페미니스트들은 현재 19세기의 페미니즘 운동에 영감을 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4. 앙라제에 대한 평가

카를 마르크스는 자신의 저서 《신성 가족》에서 앙라제의 지도자인 자크 루, 테오필 르클레르가 진정한 의미에서 이후 이어진 공산주의 운동의 선구자라고 평가했다. 마르크스는 몽타뉴파가 소부르주아적 동요를 극복하지 못한 것에 반해, 앙라제가 도시 노동자와 농촌 빈농 계급을 정치적 세력으로 부상시킨 점을 높이 평가했다.[37][45]

표트르 크로폿킨은 자신의 저서 《프랑스 대혁명》에서 앙라제가 이끈 운동이 후대의 공산주의와 아나키즘의 원류가 된다고 주장했고, 산악파와 앙라제 운동의 상호 갈등, 그리고 상호 운동 지도에서 프랑스 대혁명의 특수한 성격을 통찰할 수 있다고 보았다.[46]

동독의 사학자 발터 마르콥(Walter Markov)은 1967년 자크 루에 대한 전기 연구 4부작 《Die Freiheiten des Priesters Roux》에서 공산주의 운동의 기원에 관해 앙라제의 활동과 루의 혁명 활동을 조명했다. 그는 자크 루가 사유 재산의 전면적인 폐지를 목표로 하지 않았고, 원칙적으로는 민주주의 혁명의 토대 속에서 자신의 정치 사상을 확립했기에 현대적 의미의 공산주의자라고 하기는 어렵다고 기술했다. 그러나 앙라제와 루의 활동은 공산주의 운동의 예비적 단계로 그 기원에 해당한다고 밝혔다.[47][48][49]

참조

[1] 서적 The Terror in the French Revolution Bloomsbury Publishing 2010
[2] 서적 The Structure of Thermidor: Some Case Studies Xlibris Corporation 2007
[3]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the French Revolu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4] 서적 A Companion to the French Revolution John Wiley & Sons 2014
[5] 서적 A Short History of the French Revolution Pearson Education, Inc. 2015
[6] 서적 The A to Z of the French Revolution Scarecrow Press, Inc. 2007
[7] 서적 Enragés: Socialists of the French Revolution? Sydney University Press 1965
[8] 서적 Enragés: Socialists of the French Revolution? Sydney University Press 1965
[9] 서적 Enragés: Socialists of the French Revolution? Sydney University Press 1965
[10] 간행물 Manifesto of the Enragés https://www.marxists[...] Marxist Internet Archive 1793-06-25
[11] 서적 A Socialist History of the French Revolution Pluto Press 2015-01-01
[12] 웹사이트 Manifesto of the Enragés by Jacques Roux 1793 https://www.marxists[...] Marxist Internet Archive 2016-12-12
[13] 간행물 Enragés Harvard University Press 1989
[14] 간행물 Enragés Harvard University Press 1989
[15] 간행물 Enragés Harvard University Press 1989
[16] 간행물 Enragés Harvard University Press 1989
[17] 서적 Enragés and Situationists in the Occupation Movement, France, May '68 Automedia 1992
[18] 웹사이트 アンラジェ https://kotobank.jp/[...] 2019-06-13
[19] 웹사이트 アンラジェ【Enragés】 https://kotobank.jp/[...] 2019-06-13
[20] 서적 フランス革命期の女たち 岩波新書 1973
[21] 서적 A Short History of the French Revolution Pearson Education, Inc. 2015
[22] 서적 The A to Z of the French Revolution Scarecrow Press, Inc. 2007
[23] 서적 Enragés: Socialists of the French Revolution? Sydney University Press 1965
[24] 서적 Enragés: Socialists of the French Revolution? Sydney University Press 1965
[25] 서적 Enragés: Socialists of the French Revolution? Sydney University Press 1965
[26] 서적 Enragés: Socialists of the French Revolution? Sydney University Press 1965
[27] 간행물 Manifesto of the Enragés https://www.marxists[...] Marxist Internet Archive 1793-06-25
[28] 서적 A Socialist History of the French Revolution Pluto Press 2015-01-01
[29] 웹사이트 Manifesto of the Enragés by Jacques Roux 1793 https://www.marxists[...] Marxist Internet Archive 2016-12-12
[30] 간행물 Enragés Harvard University Press 1989
[31] 간행물 Enragés Harvard University Press 1989
[32] 간행물 Enragés Harvard University Press 1989
[33] 간행물 Enragés Harvard University Press 1989
[34] 서적 Enragés and Situationists in the Occupation Movement, France, May '68 Automedia 1992
[35] 웹사이트 SPECIAL MAI 68. Le témoin du jour. René Riesel, 18 ans, étudiant en philosophie à Nanterre, prosituationniste. «La rage au ventre contre les groupuscules et l'Etat». https://www.liberati[...] 1998-05-06
[36] 논문 Jean Varlet as Defender of Direct Democracy The Journal of Modern History 1967-12
[37] 서적 La lutte de classes sous la première république : Bourgeois et "bras nus" ; (1793–1797) Gallimard 1968
[38] 서적 A Short History of the French Revolution Pearson Education, Inc. 2015
[39] 서적 프랑스 대혁명 https://theanarchist[...] 1793
[40] 간행물 Manifesto of the Enragés https://www.marxists[...] Marxist Internet Archive 1793-06-25
[41] 서적 Women in Revolutionary Paris 1789-1795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79
[42] 서적 Répertoire du personnel sectionnaire parisien en l'an II Publications de la Sorbonne 1985
[43] 서적 A Socialist History of the French Revolution Pluto Press 2015-01-01
[44]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the French Revolu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90
[45] 문서 Die heilige Familie oder Kritik der kritischen Kritik. Gegen Bruno Bauer & Consorten MEW
[46] 웹인용 The Great French Revolution 1789–1793 https://theanarchist[...] 1793
[47] 웹인용 Walter Markov: NS-Widerstandskämpfer und Historiker (1909-1993) http://www.rheinisch[...] LVR-Institut für Landeskunde und Regionalgeschichte, Bonn 2019-08-08
[48] 웹인용 Markov Walter Karl Hugo: Historiker, Publizist http://saebi.isgv.de[...] Institut für Sächsische Geschichte und Volkskunde e.V., Dresden 2009-06-23
[49] 웹인용 Walter Markov: Ein Leipziger DDR-Historiker zwischen Parteilichkeit und Professionalität https://www.hof.uni-[...] Institut für Hochschulforschung Wittenberg e.V., Wittenberg 200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