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수아노엘 바뵈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랑수아노엘 바뵈프는 프랑스 혁명 시기에 활동한 급진적인 정치 사상가로, 사유 재산을 부정하고 완전한 평등을 주장하며 공산주의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그는 1760년 프랑스에서 태어나 토지대장 관리인으로 일하며 빈곤과 불평등을 목격하고 혁명 사상에 경도되었다. 바스티유 감옥 습격 이후 혁명에 참여하여 언론 활동을 펼치고, 팡테옹 클럽을 결성하여 봉기를 계획했으나 실패하여 1797년 단두대에서 처형되었다. 그의 사상은 후대 공산주의 사상가들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전위대에 의한 무장 봉기 및 계급 독재 개념을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상적 사회주의자 - 샤를 푸리에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초기 사회주의 사상가인 샤를 푸리에는 상업의 폐해와 사회 모순을 비판하며 정념 인력 개념을 제시하고 팔랑주라는 공동체 사회를 구상했으며, 그의 사상은 공상적 사회주의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쳐 현대 사회 사상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 공상적 사회주의자 - 빌헬름 바이틀링
빌헬름 바이트링은 19세기 독일의 사회주의 사상가이자 혁명가로서, 정의자 동맹에서 활동하며 초기 공산주의 사상에 영향을 미쳤고, 기독교적 메시아니즘과 공산주의를 결합한 사상으로 노동자 운동을 전개했으나 후기에는 정치 활동에서 은퇴하여 논쟁적인 인물로 평가받는다. - 프랑스의 혁명가 - 필리프 푸투
프랑스의 정치인 필리프 푸투는 반자본주의신당 소속으로, 포드 자동차 공장 노동자 출신 노동운동가이며, 프랑스 대통령 선거에 여러 차례 출마했고, 보르도 시의원 및 광역 시의원으로 활동했으며, 조기 총선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 프랑스의 혁명가 - 루이 앙투안 레옹 드 생쥐스트
루이 앙투안 레옹 드 생쥐스트는 프랑스 혁명 시기 국민공회 의원으로 활동하며 루이 16세 재판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했고, 로베스피에르와 함께 공포 정치에 기여했으나 테르미도르 반동으로 처형당했다. - 1797년 사망 - 에드먼드 버크
에드먼드 버크는 1729년 아일랜드에서 태어난 정치인, 철학자, 작가로, 영국 의회 하원 의원으로서 보수주의 사상을 주창하며 프랑스 혁명을 비판하고 전통, 질서, 점진적 개혁을 강조했다. - 1797년 사망 - 루이 라자르 오슈
루이 라자르 오슈는 프랑스 혁명 시기의 군인으로, 혁명 전쟁에서 활약하며 여러 전투에 참여했고, 반혁명 혐의로 체포되었다가 석방 후 군 사령관이 되었으나 29세의 젊은 나이에 사망했다.
프랑수아노엘 바뵈프 | |
---|---|
기본 정보 | |
이름 | 프랑수아-노엘 바뵈프 |
다른 이름 | 그라쿠스 바뵈프 |
출생일 | 1760년 11월 23일 |
출생지 | 생캉탱, 프랑스 왕국 |
사망일 | 1797년 5월 27일 |
사망지 | 방돔, 프랑스 제1공화국 |
사망 원인 | 단두대 처형 |
![]() | |
철학적 배경 | |
지역 | 서양 철학 |
시대 | 18세기 철학 |
학파/전통 | 유토피아 사회주의 |
주요 관심사 | 정치철학 |
영향 | 드니 디드로 장자크 루소 |
정치 활동 | |
조직 | 팡테옹 클럽 |
사상 | 공산주의 |
혁명가 정보 | |
활동 | 프랑스 혁명 |
기타 | |
로마자 표기법 | François-Noël Babeuf |
2. 초기 생애
프랑수아노엘 바뵈프는 1760년 11월 23일 프랑스 북부 생캉탱 근처 생니케즈에서 가난한 농부의 장남으로 태어났다.[8] 그의 아버지 클로드 바뵈프는 1738년 프랑스 왕립군을 탈영하여 오스트리아 제국군에 들어가 소령 계급까지 올랐으나, 1755년 사면받고 프랑스로 돌아온 후 빈곤에 빠져 잡역부로 일하며 가족을 부양해야 했다.[8]
어린 시절 바뵈프가 겪은 고난은 그의 정치적 견해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바뵈프는 아버지로부터 기본적인 교육을 받았고, 독학으로 지식을 습득했다. 혁명 발발 전에는 집안일을 하는 하인이었고, 이후 토지 기록 관리인으로 일했다. 1780년, 아버지 클로드가 사망한 후, 바뵈프는 결혼하여 세 자녀를 두었으나, 가계는 더욱 어려워졌다.
2. 1. 가정 환경과 교육
프랑수아노엘 바뵈프는 1760년 11월 23일, 프랑스 북부 피카르디의 생캉탱에서 가난한 농부의 장남으로 태어났다.[8] 그의 아버지 클로드 바뵈프는 프랑스군 기병대 소속이었으나, 1738년 탈영 후 오스트리아 제국군에 들어가 소령 계급까지 올랐다.[8] 1755년 사면받고 프랑스로 돌아왔지만, 빈곤에 빠져 잡역부로 일해야 했다.[8]바뵈프는 정규 교육을 받지 못하고 아버지에게 프랑스어, 독일어, 라틴어 읽기와 쓰기, 수학을 배우며 독학으로 지식을 쌓았다.[8] 그는 굉장한 독서가였으며, 광범위한 분야에 관심을 보였다고 한다.
2. 2. 직업 활동
바뵈프는 10대 시절부터 생계를 위해 일하기 시작했다. 14세부터 일하기 시작하여 17세 무렵에는 토지대장 관리 직책을 얻었다. 글씨를 잘 써서 마을 서기로 일한 적도 있었다.[8] 정규 교육을 받지 못하고 아버지에게 프랑스어, 독일어, 라틴어 읽기와 쓰기, 수학을 배우며 독학으로 지식을 습득했다. 그는 굉장한 독서가였으며, 광범위한 분야에 걸쳐 관심을 보였다고 한다.1784년, 바뵈프는 로르(Rore) 지역에서 토지대장 관리인으로 자립했다. 이 일을 통해 그는 영주권의 부정을 목격하고 토지 사유제의 폐해를 절감했다. 그는 토지 기록 관리인(commissaire à terrier)으로 일하면서 귀족과 성직자들이 농민들에 대한 봉건적 권리(feudal rights)를 주장하는 것을 도왔다.[8] 훗날 그는 "프랑스 혁명의 태양"이 그로 하여금 그의 "어머니인 봉건 제도"를 "머리가 백 개 달린 히드라"로 보게 만들었다고 회고했다.[9]
동시에 루소, 아베 마블리, 몰레리 등 계몽 사상가들의 저서에 접하며 혁명 사상에 경도되었다. 1785년 아라스 아카데미 통신 회원이 되어, 1788년까지 상임 간사인 듀푸아 드 포수와 서신을 교환했다. 그의 사상의 핵심은 이러한 경험에 의해 형성되었다. 1789년에는 『영구 토지대장(Cadastre perpétuel)』을 파리에서 출판하여 농지균분과 세제개혁을 주장했다.
3. 혁명 활동
프랑스 혁명 발발 직후, 바뵈프는 혁명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1792년 8월, 솜주의 행정관으로 선출되었으나, 1793년 1월 국유 재산 경매 관련 문서 위조 사건(바뵈프의 과실로 보임)으로 파면되었다. 그는 20년형을 피하기 위해 파리로 가서 파리 식량 위원회 서기관으로 일했다.[1]
바뵈프는 막시밀리앙 로베스피에르를 따랐지만, 공포정치로 변질된 로베스피에르의 정책이 1793년 헌법을 침해한다고 생각하여 에베르파에 가담했다. 테르미도르 쿠데타에서는 반 로베스피에르파를 지지하며 1793년 헌법의 실현을 주장했다. 그러나 점차 테르미도르 체제를 위험하게 여기며 로베스피에르를 재평가하게 되었다.
3. 1. 초기 활동
바뵈프는 혁명 초기 로이에서 토지 측량사로 일했다. 1780년 아버지의 사망으로, 그는 아내와 두 자녀, 어머니, 형제자매를 부양해야 했다.[1]그는 많은 글을 썼으며, 1787년 3월 21일 아라스 아카데미 서기에게 보낸 편지에서 미래 사회주의의 징후를 보였다. 1789년, 그는 로이 지역 선거인들의 cahier|카이예프랑스어 첫 조항을 작성하여 봉건적 권리 폐지를 요구했다. 1789년 7월부터 10월까지 파리에 거주하며 첫 저서 Cadastre perpetuel, dedié a l'assemblée nationale, l'an 1789 et le premier de la liberté française|영구 토지대장, 1789년 및 프랑스 자유의 첫해에 국민의회에 헌정됨프랑스어의 출판을 감독했다. 이 책은 1790년에 출판되었다. 같은 해, 그는 봉건적 부담금과 가벨(소금세)에 반대하는 소책자를 출판하여 고발되어 체포되었지만, 일시적으로 석방되었다.[1]
1789년 7월 14일, 파리 시민들이 바스티유 감옥을 습격하며 프랑스 혁명이 발발했다. 바뵈프는 '영구 토지대장' 출판을 위해 파리에 머물며 혁명을 자세히 관찰했다. 그는 시민들의 폭력성에서 불안함을 느꼈지만, 시대의 격변을 직감하고 즉시 행동에 나섰다. 같은 해 8월 4일, 그는 토지대장 관리인 직책을 버렸다. 10월에 고향으로 돌아온 그는 혁명 운동에 참여하여 이후 반복적으로 체포되고 투옥되었다. 먼저 보조세와 소금세에 반대하여 체포되었고, 영주권과 높은 주세에 반대하여 다시 체포되었다.
3. 2. 언론 활동과 투옥
바뵈프는 1790년 10월, 로이에로 돌아와 정치 잡지인 《코레스퐁당 픽카르》(Correspondant Picard)를 창간했다.[10] 총 40호가 발행된 이 잡지를 통해 그는 누진세 체계를 주장하고, 1791년 입법의회 선거를 위한 "인구 비례 선거제"를 비판했다. 그의 정치 활동으로 인해 1790년 5월 19일에 체포되었으나, 장 폴 마라의 도움으로 프랑스 혁명 기념일 전에 석방되었다.[10]1794년 9월 3일, 바뵈프는 《자유언론지》(Journal de la Liberté de la Presse)를 창간했고, 1794년 10월 5일에는 제목을 《민중의 트리뷴》(Le Tribun du Peuple)으로 변경했다.[10] 그는 이 신문들을 통해 테르미도르 반동의 지도자들을 공격하고 사회주의적 관점에서 혁명의 경제적 결과를 비판했다. 또한 여성의 정치 클럽 참여를 주장하기도 했다.
이러한 활동으로 인해 바뵈프는 여러 차례 체포와 투옥을 겪었다. 1793년에는 국유 재산 경매 관련 문서 위조 혐의로 20년형을 선고받았으나 파리로 도피하여 파리 코뮌의 구호 위원회 서기로 일했다. 1794년에는 아라스에 투옥되었다가 열월 반동 직전에 무죄 판결을 받았다. 1795년 2월에는 다시 체포되었고, 《민중의 트리뷴》은 젊은 황금족에 의해 소각되기도 했다.
4. 평등주의 사상
바뵈프는 사유재산이 불평등의 근원이라고 보았으며, 완전한 평등 사회를 건설하고자 했다. 그는 1794년 9월 3일, 『출판의 자유 신문(Le Journal de la liberté de la presse)』(이후 『인민의 호민관(Le Tribun du peuple)』으로 개칭)을 발간하면서, 고대 로마의 호민관인 그라쿠스 형제의 이름을 따서 "그라쿠스 바뵈프(Gracchus Babeuf)"라고 자칭했다.[1]
그라쿠스 형제는 공유지 점유 면적을 제한하는 법률의 부활을 주장하다 살해당했는데, 바뵈프는 평등 사회를 위한 자신의 사상과 개혁에 대한 의지를 보여주기 위해 그들을 자신에 비유한 것으로 보인다.[1]
4. 1. 평민 선언 (Manifeste des Plébéiens)
1795년 11월 30일, 바뵈프는 《호민관》 제35호에 "평민 선언(Manifeste des Plébéiens)"이라는 제목의 글을 게재했다.[1]그는 "토지는 만인의 것이다"라는 인식에 근거하여, 개인이 필요 이상의 토지를 사유하는 행위를 "사회적 절도"라고 비난했다.[1] 동시에 양도권과 상속권도 부정했다.[1] 이를 대체할 제도로 그가 제시한 것은 물품의 공동 관리에 기반한 배급 행정이었다.[1] 즉, 모든 사람과 생산품에 대한 정보 등록을 의무화하고, 현물 생산품을 국고에 납부한 후 다시 평등하게 분배한다는 것이다.[1] 그는 이 제도가 이미 프랑스 국내 12개 군대, 총 120만 명에게 적용되어 실현 가능성이 증명되었다고 주장했다.[1]
4. 2. 공동체 구상
바뵈프는 "토지는 만인의 것이다"라는 인식에 근거하여, 개인이 필요 이상의 토지를 소유하는 행위를 "사회적 절도"라고 비난했다. 동시에 양도권과 상속권도 부정했다. 이를 대체할 제도로 그가 제시한 것은 물품의 공동 관리에 기반한 배급 행정이었다. 즉, 모든 사람과 생산품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고, 현물 생산품을 국고에 납부한 후 다시 평등하게 분배한다는 것이다.[1] 그는 이 제도가 이미 프랑스 국내 12개 군대, 총 120만 명에게 적용되어 실현 가능성이 증명되었다고 주장했다.[1]4. 3. 한국적 관점
한국의 진보 진영에서는 바뵈프의 평등주의 사상을 불평등 해소와 사회 정의 실현을 위한 노력으로 평가한다. 바뵈프는 "토지는 만인의 것이다"라는 인식에 기반하여, 개인이 필요 이상의 토지를 소유하는 것을 "사회적 절도"라고 비판하였다.[1] 그는 양도권과 상속권도 부정하고, 물품의 공동 관리에 기반한 배급 행정을 대안으로 제시했다.[1] 이는 모든 사람과 생산품에 대한 정보 등록을 의무화하고, 현물 생산품을 국고에 납부한 후 다시 평등하게 분배하는 제도였다.[1] 바뵈프는 이 제도가 이미 프랑스 국내 12개 군대, 총 120만 명에게 적용되어 실현 가능성이 증명되었다고 주장했다.[1]5. 평등을 위한 음모
프랑스 총재정부는 경제 위기에 대처하면서 바뵈프에게 역사적 중요성을 부여했다. 새 정부는 파리를 중심으로 프랑스 전체를 희생시키는 기존 시스템을 폐지하려 했고, 1796년 2월 20일 빵과 고기의 명목 가격 판매를 금지할 계획이었다. 이 발표는 광범위한 공포를 야기했고, 노동자들과 프롤레타리아 계급, 렌티에, 정부 관리들은 굶주림에 직면할 위기에 처했다고 느꼈다. 정부는 구제 대상을 계급으로 나누는 등 문제 완화를 시도했지만, 이는 오히려 불안과 불만을 증폭시켰다.
만연한 빈곤은 바뵈프의 격렬한 공격에 힘을 실어주었고, 그는 "평등 사회"라는 소규모 추종자들을 얻었다. 이들은 곧 팡테옹에서 만난 자코뱅 클럽의 잔당과 합쳐졌다. 1795년 11월, 경찰은 바뵈프가 공개적으로 "폭동, 반란, 1793년 헌법"을 설교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이 그룹은 《평등 선언》의 저자이자 바뵈프의 동조자였던 실뱅 마레샬의 영향을 받았다.
정부는 바뵈프를 내버려 두었지만 그의 활동을 관찰했다. 디렉토리는 좌익 폭동이 왕당파 운동에 대항하는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이익을 얻었다. 그러나 경제 위기는 바뵈프의 영향력을 증대시켰다.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1796년 2월 27일 팡테옹 클럽을 폐쇄한 후, 바뵈프는 그의 활동을 강화했다. 방도즈와 제르미날(늦겨울과 이른 봄)에 바뵈프는 "국민 정찰병, 또는 2,500만 억압받는 사람들의 수호자"라는 신문을 발행했고, 이는 파리 거리에서 비밀리에 전달되었다.
바뵈프의 트리뷘 40호는 9월 학살 가담자들을 칭찬하고, "굶주림을 조장하는 자들" 등으로 구성된 정부를 파괴하기 위해 더욱 완전한 "9월 2일"이 필요하다고 선언하면서 큰 반향을 일으켰다.
3월에 디렉토리는 아시냐를 새로운 망다 발행으로 대체하려고 시도했지만, 곧 좌절되었다. 국가 파산 소문은 하층 노동자 수천 명을 바뵈프의 사상에 동참하게 만들었다. 1796년 4월 4일, 정부는 50만 명의 파리 시민이 구제가 필요하다는 보고를 받았다. 4월 11일부터 파리는 "바뵈프의 교리 분석"이라는 포스터로 도배되었는데, 이는 "자연은 모든 사람에게 모든 재산을 동등하게 향유할 권리를 부여했다"는 문장으로 시작했고, 1793년 헌법 복원을 호소했다.
이후의 봉기 계획과 실패, 재판과 처형에 대해서는 #봉기 계획과 실패, #재판과 처형 문단을 참조하라.
5. 1. 팡테옹 클럽 (Club du Panthéon)
1795년 11월, 필리포 부오나로티, 알렉상드르 달테, 실뱅 마레샬 등과 함께 비밀결사인 팡테옹 클럽(Club du Panthéon)을 결성하였다. 구 자코뱅파와 구 국민공회 의원 등 약 2000명이 가입하였다. 왕당파와 급진파 사이에 끼어 고전을 면치 못하던 총재정부는 당면한 위협으로 여겨지던 왕당파를 견제하기 위해 바뵈프 등 급진파의 세력을 이용하였고, 팡테옹 클럽 결성에도 협력했다.그러나 팡테옹 클럽은 총재정부의 의향을 따르지 않고 격렬한 비판을 되풀이했다. 총재 라자르 카르노는 클럽에 대한 철저한 탄압을 주장했다. 다른 총재들과는 급진 세력과의 마찰을 피하고자 하는 입장 차이가 있었지만, 1796년 2월 28일, 클럽은 반체제의 온상이라는 이유로 경찰에 의해 폐쇄되었다.
5. 2. 봉기 계획과 실패
팡테옹 클럽 내 과격파는 반란 위원회와 비밀 집행부를 설치했다. 전자는 군, 경찰, 행정부 내부에 첩자를 침투시켰고, 후자는 총재정부가 타도된 후 새로운 의회가 개최될 때까지 안정적으로 집행권을 행사할 계획이었다.[1] 바라스의 자금 지원을 받아 1793년 헌법 실현을 위한 봉기를 기도했으나,[1] 총재 카르노는 회원 중 한 명인 조르주 그리젤(Georges Grisel)을 스파이로 매수하고 있었다. 그리젤의 밀고로 계획은 미리 발각되었다. 실행 전날인 1796년 5월 10일(혁명력 4년 플로레알 21일) 바뵈프는 체포되었다.[1] 이 사건을 “바뵈프의 음모”, “평등주의자의 음모” 등으로 부른다.6. 체포, 재판, 그리고 처형
바뵈프의 노래 "굶주림으로 죽어가고, 추위로 죽어가고"(Mourant de faim, mourant de froid프랑스어)는 유행가에 맞춰 불리기 시작하여 카페에서 엄청난 박수를 받았다. 프랑스 혁명군의 불만을 품은 병사들이 그르넬 캠프에서 정부에 대한 봉기를 일으킬 준비가 되었다는 소식이 돌았다. bureau central프랑스어은 그들의 대리인들(특히 바뵈프의 조직에 가담했던 전 대위 조르주 그리젤)을 통해 무장봉기를 위한 음모(나중에 평등의 음모라고 불림)의 증거를 모았는데, 이 음모는 1796년 5월 11일로 계획되었으며, 자코뱅과 좌파들이 연루되어 있었다.
총재정부는 대응할 시간이라고 생각했다. 정부의 단속은 매우 성공적이었다. 르네-프랑수아 르부아가 L'Ami du peuple프랑스어에서 병사들에게 봉기를 선동하려고 시도했고, 한동안 군사 봉기설이 돌았지만, Tribun프랑스어의 마지막 호는 4월 24일에 발행되었다. 1796년 9월 7일, 500명 또는 600명의 자코뱅들이 그르넬에서 병사들을 선동하려고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수감자들이 파리에서 방돔으로 이송될 때, 수감자들을 구출하려는 폭동 시도가 있었지만, 쉽게 진압되었다.
6. 1. 체포와 재판
1796년 5월 10일, 티소라는 가명을 사용했던 바뵈프는 체포되었다. 라자르 카르노의 명령에 따라 오귀스탱 알렉상드르 다르테, 필리프 부오나로티, 로베르 랑데, 장-피에르-앙드레 아마르, 마르크-기욤 알렉시스 바디에, 장-바티스트 드루에 등 그의 많은 동료들이 경찰에 의해 체포되었는데, 드루에는 생트메네훌드의 우편국장으로 루이 16세의 바렌느 도주 당시 그를 체포했던 인물이며, 당시 500인 평의회 의원이었다.[11]바뵈프와 그의 공범들은 새로 설립된 방돔의 고등법원에서 재판을 받게 되었다. 1797년 2월 20일 방돔에서 재판이 시작되었다. 여러 사람이 음모에 연루되었지만, 정부는 바뵈프를 지도자로 묘사했다. 1797년 5월 26일, 바뵈프와 다르테는 사형을 선고받았고, 부오나로티를 포함한 일부 수감자들은 추방되었으며, 바디에와 그의 동료 국민의원들을 포함한 나머지는 무죄를 선고받았다. 폴 바라스에 따르면, 드루에는 디렉토리의 묵인 하에 탈출하는 데 성공했다. 바뵈프와 다르테는 항소 없이 다음 날인 1797년 5월 27일 방돔에서 단두대에서 처형되었다.[11]
6. 2. 사형 선고와 집행
1797년 5월 26일(프랑스 혁명력 5년 프레리알 7일), 바뵈프는 오귀스탱 알렉상드르 다르테와 함께 사형을 선고받았다.[11] 이들은 바뵈프의 아들이 건넨 단검으로 자살을 시도했으나 실패했고, 다음 날인 5월 27일(프랑스 혁명력 5년 프레리알 8일) 방돔에서 단두대로 처형되었다.[11] 바뵈프의 시신은 루아르셰르 방돔 구시가지 그랑 파부르 묘지의 공동묘지에 매장되었다.7. 유산과 평가
바뵈프는 사유 재산을 부정하고 완전한 평등을 주장하여 후대 공산주의자들에게 "공산주의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1] 그는 'communis'라는 라틴어에서 기원한 "공산주의"라는 단어에 "완전한 평등"이라는 의미를 담아 현대적 의미를 확립하는 데 영향을 주었는데, "평등 클럽"을 "공산주의자 클럽"으로 바꿔 부른 것에서 이를 알 수 있다.[1]
바뵈프의 사상은 기계 문명에 대한 긍정적 평가를 포함하여 18세기 이전의 공산주의 사상보다 진보했다. 그러나 생산보다는 분배의 공산화를 중시하고 부의 불평등 해소를 위해 토지를 균등하게 나누는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마르크스가 말하는 "초기 사회주의"에 해당한다.[1] 역사학자 조르주 르페브르는 바뵈프가 농촌 출신이라는 점이 이러한 사상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고 해석했다.[1]
또한 바뵈프는 전위대에 의한 무장 봉기와 계급 독재 개념을 확립하여, 블랑키, 레닌, 트로츠키와 같은 후대 혁명가들에게 영향을 주었다.[1]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한국의 진보 진영은 바뵈프의 사상과 실천을 통해 불평등 해소와 사회 정의 실현을 위한 동력을 얻을 수 있다.
7. 1. 공산주의의 선구자
바뵈프가 계획했던 정부 전복 계획은 프랑스 혁명 말기에 이루어졌으며, 실행되지 못하고 끝났기 때문에 많은 역사학자들이 그와 그의 음모의 중요성을 크게 평가하지 않는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공산주의자들은 바뵈프를 높이 평가했다. "공산주의"로 번역되는 유럽 언어의 어원은 모두 라틴어의 ''communis''에 기원하지만, 이 단어에 "완전한 평등"이라는 의미를 담고, 현재 사용되는 의미에서의 공산주의라는 단어의 의미를 확립한 인물이 바로 바뵈프이며, 1793년 바뵈프 자신이 "평등 클럽"을 "공산주의자 클럽"으로 바꿔 부르기도 했다.[1] 바뵈프는 평등 원리를 제일 원리로 삼은 인물이며, 바뵈프주의를 완전 평등주의라고 부르고, 더 나아가 그것을 공산주의라고 바꿔 부르는 예가 1840년대에 들어 다른 여러 문헌에서도 나타나기 시작한다.[1] 이 때문에 사유 재산을 부정한 그의 사상은 후대 공산주의자들에 의해 "공산주의의 선구자"로 자리매김하게 된다.[1] 이처럼 바뵈프는 탐구하는 사람의 입장에 따라 전혀 다른 평가를 받게 되었다.그의 사상은 기계 문명에 대한 긍정적 평가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18세기 이전의 공산주의적 사상에 비해 진전을 보이지만, 생산보다는 분배의 공산화를 중시하고, 부의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처방전을 토지의 균등 분배에서 찾았다는 점에서, 마르크스가 말하는 "초기 사회주의"의 범주에 속한다고 말할 수 있다.[1] 역사가 조르주 르페브르는 이것을 바뵈프의 농촌 출신이라는 배경 때문이라고 해석했다.[1]
또한, 전위대에 의한 무장 봉기 및 계급 독재의 개념을 확립했다는 점에서, 후대의 블랑키, 더 나아가 레닌·트로츠키의 혁명 사상의 선구자이다.[1]
7. 2. 혁명 사상의 영향
바뵈프가 계획했던 정부 전복 계획은 프랑스 혁명 말기에 이루어졌으며, 실행되지 못하고 끝났기 때문에 많은 역사학자들은 그와 그의 음모의 중요성을 크게 평가하지 않는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공산주의자들은 바뵈프를 높이 평가했다. "공산주의"로 번역되는 유럽 언어의 어원은 모두 라틴어 ''communis''에 기원하지만, 이 단어에 "완전 평등"이라는 의미를 담고, 현재 사용되는 의미에서의 공산주의라는 단어의 의미를 확립한 인물이 바로 바뵈프이며, 1793년 바뵈프 자신이 "평등 클럽"을 "공산주의자 클럽"으로 바꿔 부르기도 했다. 바뵈프는 평등 원리를 제일 원리로 삼은 인물이며, 바뵈프주의를 완전 평등주의라고 부르고, 더 나아가 그것을 공산주의라고 바꿔 부르는 예가 1840년대에 들어 다른 여러 문헌에서도 나타나기 시작한다. 이 때문에 사유 재산을 부정한 그의 사상은 후대 공산주의자들에 의해 "공산주의의 선구자"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이렇게 바뵈프는 탐구하는 사람의 입장에 따라 전혀 다른 평가를 받게 되었다.그의 사상은 기계 문명에 대한 긍정적 평가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18세기 이전의 공산주의적 사상에 비해 진전을 보이지만, 생산보다는 분배의 공산화를 중시하고, 부의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처방전을 토지의 균등 분배에서 찾았다는 점에서, 마르크스가 말하는 "초기 사회주의"의 범주에 속한다고 말할 수 있다. 역사가 조르주 르페브르는 이것을 바뵈프의 농촌 출신이라는 배경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또한, 전위대에 의한 무장 봉기 및 계급 독재의 개념을 확립했다는 점에서, 후대의 블랑키, 더 나아가 레닌·트로츠키의 혁명 사상의 선구자이다.
7. 3. 현대적 의의
바뵈프는 사유 재산을 부정하고 완전한 평등을 주장하여 후대 공산주의자들에게 "공산주의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1] 그는 'communis'라는 라틴어에서 기원한 "공산주의"라는 단어에 "완전한 평등"이라는 의미를 담아 현대적 의미를 확립하는 데 영향을 주었는데, "평등 클럽"을 "공산주의자 클럽"으로 바꿔 부른 것에서 이를 알 수 있다.[1]바뵈프의 사상은 기계 문명에 대한 긍정적 평가를 포함하여 18세기 이전의 공산주의 사상보다 진보했다. 그러나 생산보다는 분배의 공산화를 중시하고 부의 불평등 해소를 위해 토지를 균등하게 나누는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마르크스가 말하는 "초기 사회주의"에 해당한다.[1] 역사학자 조르주 르페브르는 바뵈프가 농촌 출신이라는 점이 이러한 사상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고 해석했다.[1]
또한 바뵈프는 전위대에 의한 무장 봉기와 계급 독재 개념을 확립하여, 블랑키, 레닌, 트로츠키와 같은 후대 혁명가들에게 영향을 주었다.[1]
7. 4. 한국적 관점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한국의 진보 진영은 바뵈프의 사상과 실천을 통해, 불평등 해소와 사회 정의 실현을 위한 동력을 얻을 수 있다. 바뵈프는 사유 재산을 부정하고 완전한 평등을 추구한 인물로 평가받으며, 그의 사상은 후대 공산주의자들에게 영향을 주었다.[1] 그는 '평등 클럽'을 '공산주의자 클럽'으로 바꿔 부르기도 했다.[1]바뵈프의 사상은 생산보다는 분배의 공산화를 중시하고, 부의 불평등 해소를 위한 처방을 토지의 균등 분배에서 찾았다는 점에서 마르크스가 말하는 '초기 사회주의'의 범주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1] 또한, 전위대에 의한 무장 봉기 및 계급 독재의 개념을 확립했다는 점에서, 후대의 블랑키, 더 나아가 레닌·트로츠키의 혁명 사상의 선구자로 평가받기도 한다.[1]
참조
[1]
웹사이트
Babeuf's Defense (From the Trial at Vendôme, February-May 1797)
https://www.marxists[...]
[2]
서적
Gracchus Babeuf, The First Revolutionary Communist
Stanford
1978
[3]
학술지
Babeuf's Place in the History of Socialism
https://www.jstor.or[...]
1907
[4]
사전
communist
[5]
서적
Gracchus Babeuf: The First Revolutionary Communist
1978
[6]
서적
The defense of Gracchus Babeuf before the High Court of Vendôme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1967
[7]
웹사이트
Manifesto of the Equals
http://www.marxists.[...]
[8]
학술지
The Babeuf Bicentenary: Conspiracy or Revolutionary Party?
https://web.archive.[...]
2014-10-31
[9]
서적
The last episode of the French Revolution: being a history of Gracchus Babeuf and the Conspiracy of Equals.
Neil and Co, LTD
1911
[10]
서적
The last episode of the French Revolution: being a history of Gracchus Babeuf and the Conspiracy of Equals.
Neil and Co, LTD
1911
[11]
웹사이트
François-Noël Babeuf | French political journalist
https://www.britanni[...]
[12]
웹사이트
バブーフ -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13]
웹사이트
Manifesto of the Equals
http://www.marxist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