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르들리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르들리에 클럽은 프랑스 혁명 시기 파리 코르들리에 지구에서 시작된 정치 클럽으로, 카미유 데뮬랭에 의해 "자유가 침해되지 않은 유일한 성소"로 불렸다. 바스티유 감옥 습격 사건에 기여하고 조르주 당통, 데뮬랭, 장 폴 마라 등 혁명 지도자들이 근거지로 삼았다. 클럽은 "자유, 평등, 박애"를 모토로 정부 감시를 목표로 했으며, 자코뱅 클럽보다 다양한 계층의 시민을 포용했다. 1792년 8월 10일 봉기에 기여했으나, 공포 정치 시기 에베르파가 클럽을 장악하면서 급진화되었고, 1794년 테르미도르 반동 이후 역사에서 사라졌다. 클럽은 에베르파, 당통파 등 분파로 나뉘었으며, 주요 인물로는 조르주 당통, 카미유 데뮬랭, 장 폴 마라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94년 해산된 정당 - 앙라제
앙라제는 프랑스 혁명 시기에 공적, 정치적, 사회적 평등을 요구하며 급진적인 주장을 펼친 극좌 운동 연합체로, 가격 통제, 투기꾼 처벌 등을 주장하며 상퀼로트의 지지를 받았으나 로베스피에르의 탄압으로 소멸, 이후 혁명 운동가들과 학생 운동 그룹에 영향을 주었다. - 프랑스의 극좌 정치 - 파리 코뮌
파리 코뮌은 1871년 프랑스에서 72일간 지속된 급진적인 사회주의 혁명으로,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이후 사회적 혼란 속에서 파리 시민들이 자치 정부를 수립하여 진보적인 사회 개혁을 추진했으나 베르사유 정부군의 진압으로 붕괴되며 사회주의 운동에 영향을 미친 역사적 사건이다. - 프랑스의 극좌 정치 - 반자본주의신당
반자본주의신당은 2009년 프랑스에서 혁명적 공산주의자 동맹 주도로 창당되어 21세기 사회주의를 표방하며 반자본주의, 반인종주의, 생태주의, 페미니즘 등을 주요 이념으로 내세우는 반자본주의 정치 조직이다.
코르들리에 - [정당]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명칭 | 인간과 시민의 권리 옹호 결사 |
원어 명칭 | 프랑스어: Société des Amis des droits de l'homme et du citoyen 프랑스어: Club des Cordeliers |
슬로건 | 자유, 평등, 박애 |
역사 | |
창립 | 1790년 4월 27일 |
해산 | 1795년 2월 20일 |
참가 세력 | 몽테뉴 (1792–1794) |
주요 인물 | |
창립자 | 조르주 당통 카미유 데물랭 |
대표 | 조르주 당통 (1790–1791) 피에르프랑수아조제프 로베르 (1791–1792) 자크 에베르 (1792–1794) |
정치 | |
이념 | 자코뱅주의 대중주의 직접 민주주의 급진주의 |
정치 성향 | 좌익 ~ 극좌 |
조직 | |
본부 | 코르들리에 수도원, 파리 |
당원수 | 500,000 명 (1793년) |
신문 | 르 비외 코르들리에 (당통주의자) 르 페르 뒤센 (에베르주의자) |
상징색 | 녹색 |
![]() |
2. 역사
코르들리에 클럽은 1792년 8월 10일 봉기 계획 및 실행에 큰 영향을 주었다. 당시 클럽의 핵심 인물이었던 조르주 당통은 봉기를 이끌었고, 그 결과 탄생한 정부에서 법무부 장관으로 임명되었다. 카미유 데뮬랭과 파브르 데글랑틴 등 클럽의 주요 회원들은 당통의 비서로 활동했다.
9월 학살 이후, 코르들리에 클럽은 공포 정치를 강화한 에베르파를 비롯한 급진파의 영향력이 커졌다. 1793년 12월, 데뮬랭은 ''르 비외 코르들리에''(옛 코르들리에)라는 잡지를 발행하여 클럽의 이름을 극단주의와의 연관성에서 벗어나게 하려 했다. 이 잡지에서 데뮬랭은 에베르파를 공격하고 공포 정치의 종식을 촉구하며, 혁명적인 파리를 폭군 치하의 로마에 비유했다.
에베르파는 체포되어 1794년 3월 24일에 처형되었지만, 데뮬랭, 당통, 그리고 당통파는 1794년 4월 5일에 단두대에서 처형되었다. 코르들리에 클럽은 주요 회원들을 잃고 한동안 혁명에서 큰 역할을 하지 못했다. 1794년 11월 자코뱅 클럽이 해산된 후, 과격파(crêtois)는 코르들리에에 합류했다. 이에 테르미도르파는 1795년 2월 20일 클럽을 완전히 폐쇄했다.
2. 1. 창립 배경
클럽은 처음에 코르들리에 수도원프랑스어의 교회에서 회의를 열었다. ''코르들리에''는 프랑스에서 프란체스코회원시회칙파에 붙여진 이름이지만, 1791년 이후 코르들리에 수도원의 건물은 카페 프로코프와 마찬가지로 파리의 도피네 거리프랑스어의 집회소를 겸했다. 현재, 수도원의 건물은 의과대학과 관련된 해부학의 뒤피트랑 박물관프랑스어이 되었다.코르들리에 클럽은 제헌 국민 의회가 파리의 60개 지구를 폐지하고 48개 구(섹션)를 새로 설치했을 때 ''코르들리에'' 지구의 주민에 의해 결성되었다(1790년 5월 21일).
카미유 데뮬랭은 코르들리에 지구를 “자유가 침해되지 않은 유일한 성소”[10]라고 칭했다. 조르주 당통의 지도 아래 이 구역은 바스티유 감옥 습격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당통, 데뮬랭, 장폴 마라를 포함한 혁명의 저명한 인물들의 본거지였다.
1790년 4월, 코르들리에 지구의 지도자들은 '인간과 시민의 권리 우호 협회'를 설립했는데, 이는 구역의 목표와 이익을 추구하는 대체 수단 역할을 하는 대중적인 사회였다. 이 협회는 코르들리에 수도원프랑스어에서 회의를 열었고 곧 '코르들리에 클럽'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 클럽은 "자유, 평등, 박애"라는 모토를 내걸었고, 정부를 감시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기 때문에 그 엠블럼은 열린 눈이었다.[8]
이 협회의 회원 가입비는 낮게 책정되어 자코뱅 클럽을 포함한 당시 다른 많은 정치 클럽보다 더 다양한 시민들이 가입할 수 있었다. 회원 자격에는 다른 제한은 없었다. 코르들리에는 스스로를 매우 대중주의적이라고 칭하며 노동자와 여성을 회원으로 둔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했다. 당시 기록은 한 회의를 다음과 같이 묘사한다.
> 약 300명의 남녀가 그곳을 채웠고, 그들의 옷차림은 매우 단정치 못하고 지저분해서 마치 거지들의 모임처럼 보였을 것이다. 인간과 시민의 권리 선언은 벽에 붙어 있었고, 엇갈린 단검으로 장식되어 있었다. 브루투스와 윌리엄 텔의 석고 흉상이 각각 옆에 놓여 선언을 지키려는 듯했다. 연단 뒤에서 지지자들로 미라보 백작과 클로드 아드리앙 엘베시우스의 흉상이 나타났고, 가운데에는 장 자크 루소가 있었다.[4]
그러나 코르들리에 회원들은 부르주아 계급이 대부분이었고, 그 지도부는 교육받은 중산층에서 주로 나왔다.[5]

2. 2. 초기 활동
카미유 데뮬랭이 "자유가 침해되지 않은 유일한 성소"[10]라고 칭송한 파리의 급진적인 지역인 코르들리에 지구에서 클럽은 시작되었다. 조르주 당통이 이끄는 이 지구는 바스티유 감옥 습격 사건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당통 자신과 데뮬랭, 장 폴 마라 등 1790년 1월 유명한 혁명의 지도자들의 근거지이기도 했다.1790년 5월 21일, 제헌 국민 의회는 파리의 60개 지구를 폐지하고 48개의 구(section)로 재편했는데, 이에 따라 코르들리에 지구 주민들은 코르들리에 클럽을 결성했다.
클럽은 코르들리에 수도원에서 처음으로 회의를 열었다. 코르들리에는 프랑스에서 프란체스코회 원시회칙파에 부여된 이름이다. 현재 수도원은 의대 해부학 Musée Dupuytren|뒤피트랑 박물관프랑스어으로 사용되고 있다.
클럽은 "자유, 평등, 박애"라는 표어를 보급하고, 군주제와 구체제에 대한 혁명적인 수단을 장려하는 노력을 했다. 1791년 5월, 마르키 드 기샤루단의 군대 연설이 있었다. 클럽의 영향을 특히 발휘한 것은 파리의 식량을 확보하는 결정이었던 혁명군 창설안과 이성 숭배의 창설 안이다.
코르들리에 클럽의 회원 가입비는 낮게 책정되어 자코뱅 클럽을 포함한 당시 다른 많은 정치 클럽보다 더 다양한 시민들이 가입할 수 있었다. 회원 자격에는 다른 제한은 없었다. 코르들리에는 스스로를 매우 대중주의적이라고 칭하며 노동자와 여성을 회원으로 둔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했다. 당시 기록은 한 회의를 다음과 같이 묘사한다.
> 약 300명의 남녀가 그곳을 채웠고, 그들의 옷차림은 매우 단정치 못하고 지저분해서 마치 거지들의 모임처럼 보였을 것이다. 인간과 시민의 권리 선언은 벽에 붙어 있었고, 엇갈린 단검으로 장식되어 있었다. 브루투스와 윌리엄 텔의 석고 흉상이 각각 옆에 놓여 선언을 지키려는 듯했다. 연단 뒤에서 지지자들로 미라보 백작과 클로드 아드리앙 엘베시우스의 흉상이 나타났고, 가운데에는 장 자크 루소가 있었다.[4]
그러나 코르들리에 회원들은 부르주아 계급이 대부분이었고, 그 지도부는 교육받은 중산층에서 주로 나왔다.[5]
1791년 6월 21일, 왕가가 바렌으로의 도주를 시도한 후, 코르들리에는 루이 16세의 즉시 폐위 또는 군주제의 미래에 대한 국민 투표 중 하나를 국민 의회에 제시하는 청원서를 작성하기 시작했다. 코르들리에는 이 경우 다수파의 이익에 적극적으로 반대했다. 이러한 청원과 유사한 청원에 대한 대규모 시위는 시민 불안으로 이어졌고, 7월 17일 샹 드 마르스 학살로 정점을 찍었다. 라파예트 후작이 이끄는 국민 방위군은 시위대에 발포하여 최소 12명 이상이 사망했다.[6] 코르들리에에 대한 후속 조치에는 코르들리에 수도원의 폐쇄와 당통과 데물랭에 대한 체포 영장 발부가 포함되었다.
2. 3. 급진화와 공포 정치
1792년 6월 20일과 8월 10일 군주제 개혁운동에 코르들리에 클럽은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그러나 그 이후 절충파 클럽 지도자인 조르주 당통, 파브르 데글랑틴, 카미유 데뮬랭(당통파 또는 반혁명파로 알려진 Indulgents라는 그룹을 형성)은 참가를 중단했으며, 클럽은 자크 르네 에베르, F. N. 빈센트, C. P. H 론산, A. F. 모모로 같은 공포 정치의 강화를 요구했던 혁명가들이 장악하게 되었다. 이 혁명가들은 산악파의 좌익이 되는 에베르파를 형성했다.[10]에베르파가 장악하고 있는 코르들리에 클럽은 공포 정치를 끝내고 싶었던 혁명가들의 저항에 부딪혔다. 특히 당통과 카미유 데뮬랭은 잡지를 통해 이에 저항했다. 데뮬랭은 1793년 12월에 잡지 《르 비외 코르들리에》를 창간하여 《뒤셴 아버지》에 대항하였다. 이 온건한 혁명가는 방데 진압군 소속 프랑스와 조제프 웨스터만 장군의 지원을 받고 있었지만, 모두가 인도주의적 고려를 동기로 하고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파브르 데글랑틴 또는 프랑수아 샤보 같은 인물은 그들 자신과 타협하여 공포 정치의 가혹함에 고생한 그들의 생활을 염려했다. 클럽은 당통과 데뮬랭을 축출했고, 로베스피에르는 그들이 온건하다는 이유로 비판했다. 클럽이 획책한 새로운 반란은 실패했고, 그 지도자들은 1794년 3월 24일 단두대에서 처형되었으며, 그날부터 클럽은 폐쇄되었다.[10]
2. 4. 몰락
클럽은 처음에 코르들리에 수도원프랑스어 교회에서 회의를 열었다. ''코르들리에''는 프랑스에서 프란체스코회원시회칙파에 붙여진 이름이지만, 1791년 이후 코르들리에 수도원 건물은 카페 프로코프와 마찬가지로 파리의 도피네 거리프랑스어의 집회소를 겸했다. 현재 수도원 건물은 의과대학과 관련된 해부학의 뒤피트랑 박물관영어이 되었다.코르들리에 클럽은 왕정과 앙시앵 레짐에 대한 혁명적 수단의 추진에 힘썼고, 특히 ''Liberté, égalité, fraternité''(「자유, 평등, 박애」)의 표어를 보급하는 역할을 했다. 기샤르당 후작은 이에 따른 연설을 1791년 5월에 군대에서 했다.[9] 코르들리에 클럽은 파리에서의 식량 확보를 임무로 한 혁명군의 창설과 이성 숭배 창설에 특히 영향을 미쳤다.
이 단체는 1792년 6월 20일 국왕에 대한 항의 활동과 8월 10일 왕정 타도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그러나 그 이후, 더 온건한 지도자였던 조르주 당통, 파브르 데글랑틴영어, 카미유 데물랭 (당통파 또는 반혁명파로 알려진 ''Indulgents'' 그룹 형성)은 코르들리에 클럽에서 거리를 두었다고 여겨진다. 클럽은 J.R. 에베르, 프랑수아-니콜라 방상영어, 샤를-필리프 롱상영어, 앙투안-프랑수아 모모로영어와 같은 공포 정치 강화를 요구했던 혁명가들의 지배 하에 놓였다. 이들 혁명가는 ''앙라제''의 극좌를 이루는 에베르파영어를 형성했다.
에베르파에 의해 장악된 코르들리에 클럽에서는 에베르파와 공포 정치를 끝내기를 원했던 혁명가, 특히 당통과 카미유 데물랭 사이에서 항쟁이 발발했다. 이는 데물랭이 편집하던 잡지 지상에서 시작되었다. 데물랭의 잡지 『르 비유 코르들리에영어』는 『''뒤셴 아버지''』에 대항하여 1793년 12월에 출판되었다. 이 온건한 혁명가들은 방데 반란 진압군의 프랑수아-조제프 웨스터만영어 지원을 받았지만, 모두 인도적인 고려를 동기로 한 것은 아니었다. 파브르 데글랑틴이나 프랑수아 샤보영어와 같은 인물은 타협했고, 공포 정치의 가혹함을 두려워하여 자신의 생명을 걱정했다. 코르들리에 클럽은 당통과 데물랭을 몰아냈고, 로베스피에르를 그의 「온건주의영어」를 이유로 비난했지만, 코르들리에 클럽이 꾀한 새로운 반란은 실패했다. 그 지도자들은 1794년 3월 24일에 단두대에서 처형되었고, 이후 코르들리에 클럽은 역사에서 자취를 감췄다.
3. 분파 및 주요 인물
코르들리에 클럽은 여러 분파로 나뉘어 활동했다. 주요 분파와 인물은 다음과 같다.
구분 | 인물 |
---|---|
에베르파 (과격파, 급진주의) | 자크 르네 에베르 (지도자), 앙투안 프랑수아 모모로, 샤를 필리프 롱생, 피에르 가스파르 쇼메트Pierre Gaspard Chaumette프랑스어, 장-바티스트-조제프 고벨, 마리-조제프 셰니에Marie-Joseph Chénier영어, 프랑수아-니콜라 뱅상, 장 밥티스트 노엘 부쇼트 |
당통파 (관대한파, 온건주의) | 조르주 자크 당통 (지도자), 카미유 데물랭, 피에르 필리포, 베르트랑 바레르, 파브르 데글랑틴Fabre d'Églantine영어, 피에르-프랑수아-조제프 로베르Pierre-François-Joseph Robert영어, 피에르 쇼데를로 드 라클로 |
비공식 극단주의자 | 장폴 마라 (지도자), 장-밥티스트 카리에, 프랑수아 샤보, 스타니슬라스-마리 야르, 테로이뉴 드 메리쿠르 |
1792년 8월 10일 봉기와 뒤이은 9월 학살 이후, 코르들리에 클럽은 에베르파를 비롯한 초급진파의 영역이 되면서 극단적인 조치를 옹호하고 공포 정치를 심화시켰다.
자크 피에르 브리소와 장바티스트 카리에는 초기에 코르들리에 클럽의 회원이었다.
3. 1. 에베르파 (과격파)
1792년 8월 10일 봉기와 그 직후에 일어난 9월 학살 이후, 코르들리에 클럽은 공포 정치를 심화시킨 에베르티스트를 비롯한 초급진파의 영역이 되었다. 1793년 12월, 카미유 데물랭은 ''르 비외 코르들리에'' ("옛 코르들리에")라는 제목의 저널을 발행하여, 협회의 이름을 극단주의와 연관시킨 사람들로부터 되찾으려 시도했다. 저널의 7개 호에서 데물랭은 에베르티스트를 공격하고 공포 정치의 종식을 촉구했으며, 혁명적인 파리를 폭군 치하의 로마에 비유했다.1792년 6월 20일과 8월 10일 군주제 개혁운동에 적극 동참했던 코르들리에 클럽은, 절충파 클럽 지도자인 조르주 당통, 파브르 데글랑틴, 카미유 데뮬랭이 참가를 중단하면서, 자크 르네 에베르, F. N. 빈센트, C. P. H 론산, A. F. 모모로 같은 공포 정치의 강화를 요구했던 혁명가들이 장악하게 되었다. 이들은 산악파의 좌익이 되는 에베르파를 형성했다.
에베르파가 장악하고 있는 코르들리에 클럽은 공포 정치를 끝내고 싶었던 혁명가들의 저항에 부딪혔다. 특히 당통과 카미유 데뮬랭은 잡지 《르 페레 뒤시느》에 대항하여 《르 뷔유 코르들리에》를 1793년 12월에 창간하였다. 이 온건한 혁명가는 방데 진압군 소속 프랑스와 조제프 웨스터만 장군의 지원을 받고 있었지만, 모두가 인도주의적 고려를 동기로 하고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파브르 데글랑틴 또는 프랑수아 샤보 같은 인물은 그들 자신과 타협하여 공포 정치의 가혹함에 고생한 그들의 생활을 염려했다. 클럽은 당통과 데뮬랭을 축출했고, 로베스피에르는 그들이 온건하다는 이유로 비판했다.
결국 에베르티스트는 체포되었고 1794년 3월 24일에 처형되었지만, 덜 극단적인 데물랭, 당통, 그리고 당통주의 분파의 "옛 코르들리에"는 곧 단두대로 끌려갔다. 그들의 처형은 4월 5일에 이루어졌다.
코르들리에 클럽의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구분 | 인물 |
---|---|
에베르파 (과격파, 급진주의) | 자크 르네 에베르 (지도자), 앙투안 프랑수아 모모로, 샤를 필리프 롱생, 피에르 가스파르 쇼메트, 장-바티스트-조제프 고벨, 마리-조제프 셰니에, 프랑수아-니콜라 뱅상, 장 밥티스트 노엘 부쇼트 |
3. 2. 당통파 (관대한파)
1792년 8월 10일 봉기 이후, 조르주 당통, 카미유 데뮬랭 등 온건파 인사들이 코르들리에 클럽을 떠나면서, 자크 르네 에베르를 중심으로 한 에베르파가 클럽을 장악하게 되었다. 이들은 공포 정치의 강화를 주장하며 급진적인 혁명 노선을 추구했다.[8]1793년 12월, 카미유 데뮬랭은 《르 뷔유 코르들리에》(Le Vieux Cordelier, 옛 코르들리에)라는 잡지를 창간하여 에베르파의 과격함을 비판하고 공포 정치의 종식을 촉구했다. 그는 혁명적 파리를 폭정 하의 로마에 비유하며 온건한 혁명 노선을 주장했다.[8]
그러나 당통과 데뮬랭을 비롯한 온건파(관대한 파)는 로베스피에르에 의해 온건하다는 비판을 받았고, 결국 1794년 4월 5일 단두대에서 처형되었다.
3. 3. 비공식 극단주의자
1792년 8월 10일 봉기와 뒤이은 9월 학살 이후, 코르들리에 클럽은 에베르티스트를 비롯한 초급진파의 영역이 되면서 극단적인 조치를 옹호하고 공포 정치를 심화시켰다.그러나 코르들리에 클럽 내에는 에베르티스트 외에도 다양한 극단주의자들이 존재했다. 이들 중 장폴 마라는 조르주 당통이나 카미유 데물랭과 같은 다른 코르들리에 지도자들과 달리 특정 파벌에 속하지 않고 독자적인 노선을 걸은 대표적인 인물로 꼽힌다.
마라는 코르들리에 클럽 초기 멤버 중 한 명으로, 바스티유 감옥 습격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인민의 벗이라는 신문을 발행하여 대중에게 큰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과격한 주장과 선동적인 언변으로 유명했다.
마라 외에도 장-밥티스트 카리에, 프랑수아 샤보, 스타니슬라스-마리 야르, 테로이뉴 드 메리쿠르 등도 비공식 극단주의자로 분류될 수 있다. 이들은 특정 파벌에 얽매이지 않고 각자의 신념과 목표에 따라 급진적인 행동을 주도했다.
참조
[1]
서적
The French Revolution: From Enlightenment to Tyranny
https://books.google[...]
Profile Books
2016
[2]
서적
French Revolutionaries and English Republicans: The Cordeliers Club 1790–1794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Lafayette
[7]
서적
[8]
간행물
Cordeliers, Club of the
EB1911
[9]
서적
Lieux de Mémoire
ガリマール社クワルト版
1997
[10]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