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애플 리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애플 리사는 1983년 1월에 출시된 애플의 개인용 컴퓨터로, 상업적으로 판매된 최초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갖춘 컴퓨터 중 하나이다. 1978년부터 개발이 시작되었으며, 윈도우와 마우스 기반의 GUI를 특징으로 했다. 초기에는 "Lisa"라는 이름으로 불렸으나, 나중에는 "Local Integrated Software Architecture"의 약자로 알려졌으며, 스티브 잡스의 딸 리사 브레넌-잡스의 이름을 따왔다는 설이 유력하다. 리사는 당시 높은 가격과 매킨토시의 출시로 인해 상업적으로 실패했지만, GUI 패러다임을 맥킨토시에 도입하는 등 애플의 기술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68k 기반 컴퓨터 - 아미가
    아미가는 코모도어 인터내셔널에서 개발한 개인용 컴퓨터 제품군으로, 혁신적인 그래픽과 사운드, 멀티태스킹 운영체제를 통해 홈 컴퓨터 시장을 주도했으나, 코모도어의 도산으로 단종된 후 여러 회사를 거쳐 후속 기종이 개발되었지만 과거의 명성을 회복하지 못했다.
  • 68k 기반 컴퓨터 - 넥스트 컴퓨터
    넥스트 컴퓨터는 스티브 잡스가 설립한 넥스트에서 1988년에 출시한 워크스테이션으로, 혁신적인 하드웨어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환경을 제공했으나 높은 가격으로 상업적 성공을 거두지 못했지만, 웹 기술과 게임 개발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 애플 관련 - 스티브 잡스
    스티브 잡스는 애플의 공동 창업자이자 CEO, 픽사의 CEO, 디즈니의 이사회 멤버로서, 혁신적인 기술과 디자인으로 정보기술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친 미국의 기업인이다.
  • 애플 관련 - 스티브 워즈니악
    스티븐 개리 워즈니악은 애플 컴퓨터의 공동 창업자이자 애플 I과 애플 II의 주요 설계자로, 개인용 컴퓨터 시대 개막에 기여했으며 블루 박스 제작으로도 알려진 미국의 컴퓨터 엔지니어이자 발명가이다.
  • 파스칼 소프트웨어 - 스카이프
    스카이프는 2003년 설립된 인터넷 전화 서비스로, P2P 기술을 기반으로 음성 및 영상 통화, 인스턴트 메시징 등을 제공하며, 마이크로소프트에 인수되었고, 다양한 기능과 논란을 가지고 있다.
  • 파스칼 소프트웨어 - 치트 엔진
    치트 엔진은 게임 메모리를 스캔하고 수정하여 게임 내 값을 변경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그램이며, Direct3D 조작, 코드 인젝션, Lua 스크립트 지원 등의 기능을 제공하고, 치트 테이블을 통해 정보 저장 및 공유가 가능하며, 잠재적 위험 요소도 존재한다.
애플 리사
기본 정보
애플 리사 로고
로고
듀얼 5.25인치 FileWare 플로피 드라이브와 5MB ProFile 하드 디스크를 갖춘 Lisa
듀얼 5.25인치 FileWare 플로피 드라이브와 5 MB ProFile 하드 디스크를 갖춘 리사
다른 이름로컬 통합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개발사애플
제조사애플 컴퓨터
제품 종류개인용 컴퓨터
출시일1983년 1월 19일
단종일1986년 8월 1일
판매량10,000대
기술 사양
운영 체제리사 OS, 제닉스
중앙 처리 장치 (CPU)모토로라 68000 @ 5 MHz
메모리1 MB RAM, 16 KB 부트 ROM
디스플레이흑백 720×364
입력 장치키보드 및 마우스
관련 정보
이전 모델애플 II 플러스
애플 III
후속 모델매킨토시 XL
매킨토시
리사 (컴퓨터)
컴퓨터 윗쪽에 애플 프로파일(ProFile) 외장 하드 디스크를 갖춘 애플 리사. 두 개의 5.25인치
컴퓨터 윗쪽에 애플 프로파일(ProFile) 외장 하드 디스크를 갖춘 애플 리사. 두 개의 5.25인치 "트위기"(Twiggy) 플로피 드라이브가 있다.

2. 역사

애플 리사 프로젝트는 1978년 애플 II를 개선하려는 목표로 시작되었다.[11] 초기에는 스티브 잡스도 참여했으나, 이후 제록스 PARC에서 접한 GUI 기술에 영감을 받아 윈도우와 마우스 기반 인터페이스를 갖춘 혁신적인 개인용 컴퓨터 개발로 방향이 전환되었다.[12] 이 과정에서 5000만달러 이상의 막대한 개발 비용과 90명이 넘는 인력이 투입되었다.[13] 그러나 1982년 잡스는 리사 프로젝트에서 밀려나 경쟁 제품인 맥킨토시 개발을 이끌게 되었다.

'리사'라는 이름은 공식적으로 "Local Integrated Software Architecture"(지역 통합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약자라고 발표되었지만,[7][8] 실제로는 잡스의 딸 리사 브레넌-잡스의 이름을 딴 것이라는 설이 유력하며, 이는 나중에 잡스 본인도 인정한 사실이다.[10][44]

1983년 1월 출시된 리사는[17] 시대를 앞서간 기술을 선보였음에도 불구하고, 9995USD라는 높은 가격[53] 때문에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1984년 더 저렴한 매킨토시가 출시되면서 리사의 입지는 더욱 좁아졌고, 가격 인하와 개선 모델 출시에도 불구하고 판매 부진을 면치 못했다.[6]

결국 리사 라인업은 1986년 단종되었다. 1989년 애플은 판매되지 않은 재고 약 2,700대를 세금 공제를 위해 미국 유타주 로건의 매립지에 폐기 처분했다.[18] 다만, 일부 재고는 Sun Remarketing|선 리마케팅eng과 같은 회사를 통해 매킨토시 호환 기기로 개조되어 한동안 명맥을 유지하기도 했다. 비록 시장에서는 실패했지만, 리사는 개인용 컴퓨터 역사상 GUI를 본격적으로 도입한 선구적인 제품으로 평가받는다.

2. 1. 개발

리사 프로젝트는 1978년 애플 II와 같은 당시 일반적인 개인용 컴퓨터 설계를 보다 현대적으로 개선하려는 목표로 시작되었다. 10명으로 구성된 초기 팀은 스티븐스 크릭 블러바드 20863번지에 첫 사무실을 마련했는데, 이 건물은 굿 어스 레스토랑 옆에 있어 "굿 어스 빌딩"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11] 초기 팀장이었던 켄 로스뮬러는 곧 존 쿠치로 교체되었고, 쿠치의 지휘 아래 프로젝트는 최종적으로 윈도우와 마우스 기반 인터페이스를 갖춘 형태로 발전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트립 호킨스와 제프 라스킨 등이 디자인 변경에 기여했다.[12] 애플의 공동 창업자 스티브 잡스 역시 이 초기 개념 구상에 참여했다.

한편, 제록스 팔로알토 연구소(PARC)에서는 이미 몇 년 전부터 데스크톱 메타포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컴퓨터 화면을 인간 중심으로 구성하는 새로운 방식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었다. 1979년, 스티브 잡스는 PARC를 방문하여 알토 컴퓨터의 혁신적인 마우스 기반 GUI(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고 큰 감명을 받았다. 같은 해 말, 잡스는 제록스 측에 애플 주식을 제공하는 대가로 PARC에서 진행 중이던 연구 프로젝트 시연을 두 차례 참관할 기회를 얻었다. 이를 통해 애플 팀은 알토 컴퓨터를 직접 보며 실용적인 GUI를 구현하는 데 필요한 기본 요소들을 파악할 수 있었고, 리사 팀은 이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상용 제품으로 구현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리사는 당시 애플의 핵심 프로젝트였으며, 개발에 5000만달러 이상의 막대한 비용이 투입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90명이 넘는 인원이 설계에 참여했고, 제품 출시를 위한 영업 및 마케팅에는 더 많은 인력이 투입되었다. ''바이트'' 잡지에 따르면, 웨인 로징은 컴퓨터 하드웨어 개발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으며, 이후 전체 리사 프로젝트의 기술 책임자가 되었다. 하드웨어 개발팀은 로버트 파라토레가 이끌었다.[13] 제품의 산업 디자인과 기계적 설계는 수석 제품 디자이너인 빌 드레셀하우스가 내부 디자이너 팀 및 훗날 IDEO가 되는 외부 디자인 회사와 협력하여 주도했다. 소프트웨어 측면에서는 브루스 대니얼스가 응용 프로그램 개발을, 래리 테슬러가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을 책임졌다.[14]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6개월 만에 설계되었고, 이후 하드웨어, 운영 체제, 응용 프로그램 개발이 동시에 진행되었다.

1982년 스티브 잡스는 리사 프로젝트에서 쫓겨났고, 그는 제프 라스킨이 1979년부터 텍스트 기반의 가전 컴퓨터로서 구상하고 이끌었던 기존 맥킨토시 프로젝트를 가져왔다. 잡스는 맥킨토시를 리사의 개념보다 저렴하고 더 사용하기 쉬운 형태로 재정의하고, 리사 팀과 병렬로 경쟁하기 위한 상당한 동기 부여로 스컹크웍스 프로젝트를 이끌었다.

1981년 9월, IBM PC 발표 이후, ''인포월드''는 리사, "맥킨토시" 및 1년 내 출시될 예정인 또 다른 애플 컴퓨터에 대해 비밀리에 개발 중이라고 보도했다. 이 잡지는 리사가 68000 프로세서와 128KB RAM을 탑재했고 "새로운 제록스 스타와 상당히 낮은 가격으로 경쟁하도록 설계되었다"고 설명했다.[15] 1982년 5월, 이 잡지는 "아직 발표되지 않은 애플의 리사 68000 네트워크 워크스테이션에도 마우스가 있다는 소문이 널리 퍼져 있다"고 보도했다.[16] ''애플 기밀''은 "마지막으로, 그리고 아마도 가장 큰 피해는, 리사가 6월에 출시되기 전에도 언론은 의도적으로 유출된 '베이비 리사'의 가을 출시에 대한 소문으로 가득 차 있었다. 그것은 거의 같은 방식으로 작동하지만 더 빠르고 저렴했다. 그 이름은 바로 맥킨토시였다"라고 말했다.[6]

2. 1. 1. 명칭

초기 문서에서는 단순히 "Lisa"로만 언급되었으나, 애플은 공식적으로 이 이름이 "Local Integrated Software Architecture"(지역 통합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약자라고 발표했다.[7][8] 일부 자료에서는 "Local Integrated System Architecture"로 언급되기도 한다.[42]

그러나 스티브 잡스의 첫째 딸 이름이 리사 브레넌-잡스(1978년생)였기 때문에, 개인적인 연관성이 있으며 공식 약자는 나중에 이름에 맞춰 만들어진 역어구라는 추측이 지배적이다. 앤디 허츠펠드는 1982년 말 애플 마케팅팀이 "Lisa"와 "Macintosh"를 대체할 이름을 찾으려 했으나 마땅한 것을 찾지 못하자, 기존의 "Lisa"라는 이름에 맞춰 역으로 약어를 만들었다고 증언했다.[9] 당시 잡스는 리사 브레넌-잡스가 유전자 검사 결과 94.41% 확률로 친자임이 확인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었다. 이 때문에 홍보 담당자였던 레지스 맥케나 등이 공식적인 약자 어원을 만들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이러한 사정을 아는 개발자들 사이에서는 "Lisa: Invented Stupid Acronym"(리사: 발명된 어리석은 약어)이라는 재귀적 약어가 사용되기도 했으며,[43] 컴퓨터 업계에서는 "Let's Invent Some Acronym"(약어를 만들어 보자)이라는 말이 나오기도 했다.

수십 년 후, 잡스는 그의 전기 작가 월터 아이작슨에게 "분명히 내 딸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고 명확히 밝혔다.[10][44] 잡스는 딸 리사에게는 여러 번 애플 리사가 자신의 이름을 딴 것이 아니라고 말했지만, 2005년 U2보노와 함께 있을 때 보노가 묻자 딸 앞에서 "그렇다"고 인정했다.[45]

한편, 애플 III의 후속 기종이었기 때문에 "Apple 400"이라는 이름도 후보로 고려되었으며, 절충안으로 "Lisa 400"도 거론되었으나 최종적으로 "Lisa"라는 이름으로 결정되었다.[46]

2. 2. 출시

리사는 1983년 1월 19일에 출시되었다.[17] 출시 가격은 9995USD[53]로, 당시 개인용 컴퓨터로는 매우 높은 수준이었다. 이 때문에 초기 판매는 저조했으며, 1984년 1월에 훨씬 저렴한 매킨토시가 출시되면서 판매 부진은 더욱 심화되었다. 애플은 리사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가격을 상당히 낮춘 새로운 버전을 출시했지만, 매킨토시와의 경쟁에서 밀려 판매량을 회복하지 못했다. 오히려 매킨토시 프로젝트가 리사 개발 인력들을 흡수하는 상황이 벌어졌다. 최종적으로 수정된 리사 2/10은 매킨토시 XL이라는 이름으로 재포장되어 판매되었다.[6]

높은 가격은 이후 매킨토시 XL 출시까지 가격 인하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리사가 상업적으로 실패하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 1989년에 애플은 판매되지 않은 재고 약 2,700대에 대한 세금 공제를 받기 위해 이들을 파쇄하여 미국 유타주 로건시의 매립지에 매립 처리했다. 그러나 이후 Sun Remarketingeng이라는 회사가 남은 재고 일부를 인수하여, 애플 리사를 매킨토시처럼 사용할 수 있게 변환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판매하였다. 덕분에 리사는 몇 년 동안 시장에서 유통될 수 있었다.

2. 3. 단종

리사의 높은 가격과 출시 지연은 판매 부진의 주요 원인이었다. 초기 가격은 약 10000USD에 달했으며[53], 이후 리사 2로 재포장되어 가격을 4995USD로 낮추었지만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결국 1986년에 리사 플랫폼 전체가 단종되었다.

애플은 판매되지 않은 재고를 처리하기 위해 1989년에 약 2,700대의 리사를 파쇄하여 유타주 로건의 한 매립지에 매립했다. 이는 미판매 재고에 대한 세금 공제를 받기 위한 조치였다.[18]

한편, 단종된 리사 컴퓨터와 부품의 일부는 Sun Remarketing|선 리마케팅eng이라는 회사를 통해 계속 유통되었다. 선 리마케팅은 남은 리사 재고를 인수하여 이를 매킨토시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판매했으며, 덕분에 리사는 몇 년 더 명맥을 유지할 수 있었다. 이후 선 리마케팅을 인수한 체로키 데이터(Cherokee Data)가 사업을 중단할 때까지 일부 부품 등이 공급되었다.

3. 하드웨어

리사는 본체, 디스플레이, 저장 장치가 일체형으로 설계된 개인용 컴퓨터이다. 초기 모델에는 5.25인치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가 탑재되었으나, 이후 모델에서는 3.5인치 드라이브로 변경되었다. 외부 저장 장치로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인 ProFile을 본체 위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입력 장치로는 분리형 키보드와 독특한 상자 모양의 원버튼 마우스가 제공되었다.[47][48] 사용 편의성을 고려하여 특별한 도구 없이 본체를 열 수 있었고, 안전을 위해 패널이 열린 상태에서는 부팅되지 않는 기능도 갖추었다.

3. 1. 개요

리사 I/O 보드. 맥킨토시 XL UV-EPROM이 설치되어 있다.


리사(Lisa)는 1983년 1월 19일에 처음 출시된 개인용 컴퓨터이다. 상업적으로 판매된 최초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갖춘 개인용 컴퓨터 시스템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모토롤라 68000 CPU를 탑재했으며, 동작 속도는 5MHz이고 기본 RAM 용량은 1MB였다. RAM은 최대 2MB까지 확장할 수 있었으며, 이후에는 512KB RAM을 탑재한 모델도 출시되었다. 리사 1 출시부터 하드웨어를 맥킨토시 XL로 변경하기 전까지 CPU 속도나 모델은 그대로 유지되었다.

리사에는 실시간 시계가 내장되어 있는데, 4비트 정수를 사용하며 기준 연도는 1980년으로 설정되어 있다. 소프트웨어는 1981년 이전의 날짜를 허용하지 않아 유효한 연도 범위는 1981년부터 1995년까지이다.[19] 이 실시간 시계는 4개의 AA 전지 NiCd 배터리 팩으로 작동하는데, 외부 전원이 없을 경우 몇 시간 정도만 유지된다.[19] 이 배터리 팩은 시간이 지나면서 고장 나기 쉬우며, 부식성 알칼리 전해질이 누출되어 회로 기판을 손상시킬 위험이 있다.[19]

본체에는 약 30.48cm 크기의 흑백 모니터가 통합되어 있으며, 해상도는 720 × 364 픽셀이다. 지원하는 프린터로는 애플 닷 매트릭스 프린터, 애플 데이지 휠 프린터, 애플 이미지라이터와 같은 도트 매트릭스 방식 프린터와 캐논의 컬러 잉크젯 프린터 등이 있었다.

초기 모델인 리사 1은 두 개의 FileWare 5.25인치 양면 가변 속도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를 탑재했다. 이 드라이브는 애플 내부 코드네임인 "Twiggy"로 더 잘 알려져 있다.[6] 각 디스크의 용량은 약 871kB로 당시로서는 매우 컸지만, 신뢰성이 낮았고 독자적인 규격의 디스켓을 사용해야 했다.[6] 당시 경쟁 시스템들은 더 큰 용량을 위해 8인치 플로피 디스크를 사용했지만, 이는 개인용 컴퓨터에는 다소 크고 구식으로 여겨졌다. 리사 1은 플로피 디스크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량 블록에 대비해 예비 블록을 확보하는 블록 스패어링 기술을 도입했으며, 중요한 운영체제 정보는 손상 시 복구를 위해 중복 저장하는 기능을 갖추었다.[20]

리사는 본체, 디스플레이, 저장 장치가 하나로 합쳐진 일체형 디자인을 채택했으며, 당시 기준으로 상당한 용량의 내장 RAM을 갖추고 있었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인 ProFile을 본체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키보드는 분리형이었고, 키보드 바닥면에는 참조 카드를 넣어두고 필요할 때 꺼내 볼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본체를 열 때 특별한 도구가 필요 없었으며, 마이크로스위치를 이용한 센서가 있어 본체 패널이 열린 상태에서는 부팅되지 않도록 안전 기능도 갖추었다. 마우스는 네모난 상자 모양의 원버튼 방식이었다. 이 마우스는 IDEO의 설립자인 데이비드 켈리와 짐 율첸코(Jim Yurchenko)가 디자인했다.[47][48]

이후 출시된 리사 2에서는 저장 장치가 "Twiggy" 드라이브 대신 맥킨토시 128K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소니의 3.5인치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로 변경되었다.

3. 2. 리사 1

최초의 리사 모델(리사 1)은 본체, 디스플레이, 외부 기억 장치가 일체형으로 디자인되었으며, 당시로서는 상당한 용량의 내장 RAM을 갖추고 있었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인 ProFile을 본체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리사 1의 주요 저장 장치는 두 개의 애플 파일웨어(FileWare) 5.25인치 양면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였다. 이 드라이브는 "Twiggy"라는 별칭으로 불렸으며, 기록 밀도를 높이기 위해 디스크에 액세스 윈도우가 2개 있는 독자적인 5.25인치 플로피 디스크를 사용했다.[22] Twiggy 드라이브는 약 871KB의 높은 저장 용량을 제공했지만, 신뢰성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1984년 매킨토시 128K 출시와 동시에 애플은 모든 리사 1 사용자에게 기존의 Twiggy 드라이브 2개를 소니가 만든 단일 3.5인치 400KB 드라이브로 교체해주는 Lisa 2/5로의 무료 업그레이드를 제공했다.[22]

입력 장치로는 분리형 키보드가 제공되었는데, 키보드 바닥면에는 참조 카드를 넣어두고 필요할 때 꺼내 볼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었다. 마우스는 상자 모양의 원버튼 방식이었으며, 이는 1991년 IDEO를 설립하게 되는 데이비드 켈리(David M. Kelley)와 당시 그의 디자인 회사 ''David Kelly Design'' 소속이었던 짐 율첸코(Jim Yurchenko)가 디자인했다.[47][48]

리사 1은 사용 편의성을 고려하여 전용 공구 없이도 본체를 열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마이크로스위치를 이용한 센서를 내장하여 본체 패널이 열린 상태에서는 부팅되지 않도록 하는 안전 기능도 갖추고 있었다.

3. 3. 리사 2

1984년 1월에 출시된 리사 2는 가격이 3495USD에서 5495USD 사이로 책정되었다. 가장 큰 변화는 저장 장치였는데, 기존 리사 1에 탑재되었던 5.25인치 "Twiggy"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대신, 맥킨토시 128K에도 사용된 소니(Sony)사의 3.5인치 400KB 마이크로플로피 드라이브 하나를 탑재했다.

리사 2는 세부 모델로 나뉘었다.

  • 리사 2 (기본 모델): 3.5인치 플로피 드라이브만 탑재.
  • 리사 2/5: 5MB 또는 10MB 용량의 외장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ProFile)와 함께 제공되었다.
  • 리사 2/10: 10MB 내장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와 1MB RAM을 기본으로 장착했다.


애플은 기존 리사 1 사용자들에게 리사 2/5 모델로 무료 업그레이드를 제공하는 정책을 시행했다.

3. 4. 확장성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확장성'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4. 소프트웨어

Lisa Office System 3.1

4. 1. 리사 OS

리사에 탑재되었던 리사 오피스 시스템(Lisa Office System), 즉 리사 OS는 개인용 컴퓨터 최초의 GUI 환경 운영 체제(OS) 중 하나였다.[26] 협조적 멀티태스킹 기능과 메모리 보호 기능을 갖추고 있었다.[26]

리사 OS의 메모리 보호 기능은[26] Sun-1 워크스테이션 등 동시대 시스템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순한 하드웨어 회로에 의존했다. 모토롤라가 68000 프로세서용 MMU(메모리 관리 장치)를 제때 공급하지 못하자 애플은 자체적으로 MMU를 개발했는데, 이는 비용 절감을 위한 설계였으나 성능 저하를 가져왔다.

파일 시스템은 애플 III의 SOS 운영 체제를 일부 기반으로 하여 계층적 디렉토리 구조를 가졌다. 이는 제록스 PARC 컴퓨터의 영향을 받아 GUI 상에서는 폴더 형태로 표시되었다. 또한, 초기 맥킨토시와 달리 하드 드라이브 사용을 기본으로 설계되었다.

래리 테슬러 등은 Command 키와 X, C, V 키 조합으로 잘라내기, 복사, 붙여넣기 기능을 구현했으며, 이는 이후 맥킨토시에도 채택되었다.[49] 데스크톱은 후대 맥킨토시의 Finder처럼 아이콘이 세로로 배열되는 대신, 화면 하단에 "Preferences", "Clock", "Calculator", "Clipboard", "ProFile" 등의 아이콘이 가로로 나열되는 방식이었다. 휴지통의 명칭은 "Wastebasket"이었다.

리사 OS에는 최종 사용자를 위한 GUI 환경인 '리사 오피스 시스템(Lisa Office System)'과 텍스트 기반의 프로그램 개발 환경인 '워크숍(Workshop)'이라는 두 가지 주요 사용자 모드가 있었다. 워크숍은 GUI 텍스트 편집기를 포함했다.

리사 오피스 시스템은 업무용 소프트웨어 묶음으로 제공되었다.

버전출시 연도포함된 애플리케이션
Lisa Office System 1.01983년LisaWrite (워드 프로세서), LisaDraw (도표 작성), LisaCalc (스프레드시트), LisaProject (프로젝트 관리), LisaList (데이터베이스)
Lisa 7/7 Office System 3.11984년LisaWrite, LisaDraw, LisaCalc, LisaProject, LisaList, LisaGraph, LisaTerminal



리사 오피스 시스템은 이후 7개의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는 의미에서 '7/7'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NASA는 주로 LisaProject 프로그램을 활용하기 위해 리사를 구매하기도 했다.

애플은 소프트웨어가 명시된 대로 작동함을 보증했으나, 실제로는 운영 체제의 불안정성 문제로 인해 일부 사용자에게 전액 환불을 진행해야 했다. 이러한 문제와 리콜 비용은 높은 가격과 더불어 리사가 시장에서 실패하는 요인이 되었다.

2018년, 컴퓨터역사박물관(CHM)은 애플과의 협의를 통해 리사 OS의 소스 코드를 공개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27] 저작권 문제로 아메리칸 헤리티지 사전(American Heritage Dictionary) 관련 부분은 제외되었다.[27] 이후 리사 출시 40주년인 2023년 1월 19일, 리사 OS 버전 3.1의 소스 코드가 애플 학술 라이선스 계약(Apple Academic License Agreement) 하에 오픈소스로 공개되었다.[28][29][50][51]

4. 2. 리사 워크숍(Lisa Workshop)

리사 워크숍은 리사 OS에서 실행되는 통합 개발 환경(IDE)이다. 리사 OS와는 달리 거의 완전히 텍스트 기반이었다. 개발 언어는 파스칼과 객체 파스칼이었다.

매킨토시 소프트웨어도 초기에는 리사 워크숍에서 크로스 개발되었다. 이 환경을 매킨토시로 계승한 것이 APDA Macintosh Programmer's Workshop|매킨토시 프로그래머스 워크숍영어 (MPW)이다. MPW의 개발 언어는 리사 파스칼을 계승한 MPW 파스칼 외에도, 당시 가장 뛰어난 C 언어 환경이었던 Light Speed C|라이트 스피드 C영어[52]를 대체할 정식 C 언어에 대한 기대를 반영하여 MPW C가 등장했고, 이후 대부분의 프로그램은 C 언어로 작성되었다.

4. 3. 맥웍스(MacWorks)

1984년 4월, 매킨토시가 출시된 후 애플은 리사에서 매킨토시 시스템 소프트웨어와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게 하는 소프트웨어 에뮬레이션 환경인 맥웍스(MacWorks)를 출시했다.[30] 맥웍스는 리사의 시장 매력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었다. 초기 매킨토시 운영 체제가 하드 디스크 지원 기능을 갖추게 되자, 같은 해 9월 맥웍스 역시 리사의 하드 디스크에 접근할 수 있도록 업데이트되었다. 1985년 1월, 맥웍스는 맥웍스 XL(MacWorks XL)로 이름이 바뀌면서 리사를 매킨토시 XL로 전환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애플의 16비트 컴퓨터 개발 중심이 매킨토시로 이동함에 따라, 기존 리사의 케이스를 활용하되 리사와 매킨토시 간의 화면 비율 차이를 조정하는 을 탑재하여 매킨토시 XL이라는 이름으로 새롭게 출시했다.

4. 4. 서드파티 소프트웨어

Lisa Workshop


초기 출시 버전의 리사 오피스 시스템은 프로그래밍 도구를 포함하지 않아,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해서는 별도의 개발 운영 체제인 리사 워크숍으로 부팅해야 했다. 이 리사 워크숍은 매킨토시 전용 개발 시스템이 나오기 전까지 초기 몇 년간 매킨토시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으로도 활용되었다. 리사는 출시 초기 애플이 제공하는 7개의 기본 애플리케이션 외에는 사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제한적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서드파티 개발사들이 리사용 소프트웨어를 출시하기 시작했다. UniPress Software는 495USD 가격으로 유닉스 시스템 III 운영체제를 리사용으로 출시했다.[31]

SCO는 리사 2를 위한 소프트웨어를 선보였다. SCO는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한 유닉스 계열명령줄 인터페이스 운영 체제인 제닉스 버전 3과, 제닉스 환경에서 작동하는 마이크로소프트의 멀티플랜 2.1 스프레드시트를 발표했다.[32] 이 외에도 Quadratron사의 Q-Office 제품군과 같은 다른 제닉스용 애플리케이션도 리사에서 사용할 수 있었다.[33]

5. 평가 및 영향

1983년 초 보스턴 애플 컨벤션에서 작동 중인 최초의 리사


''바이트''지는 1983년 2월 리사를 미리 살펴보면서 "지난 5년간 컴퓨터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발전이며, IBM PC를 쉽게 앞질렀다"라고 평가했다. 그러나 9995USD라는 높은 가격을 지적하며 "애플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비슷하지만 더 저렴한 기계에 엄청난 관심을 가질 것이라는 사실을 모르는 것은 아니다. 어떻게 될지 두고 봐야 한다"고 덧붙였다.[34]

리사는 상업적으로 실패했으며, 1980년의 애플 III 이후 애플의 가장 큰 실패작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 애플은 총 개발 비용 1.5억달러 이상을 투입했지만,[2] 대당 9995USD (1983년 기준)[35] 가격으로 약 1만 대[2]를 판매하여 총 매출은 1억달러에 그쳤다.[2] 리사의 주요 고객 중 하나는 프로젝트 관리에 LisaProject를 사용한 NASA였다.[36]

리사 2와 맥킨토시 XL (Old World ROM 탑재 버전)은 리사 라인의 마지막 제품으로, 1985년 4월에 단종되었다.[37] 맥킨토시 XL은 리사를 맥킨토시 모드로 재부팅할 수 있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변환 키트였다. 1986년 애플은 모든 리사 및 XL 사용자에게 컴퓨터를 반납하고 1498USD를 지불하면 맥킨토시 플러스와 Hard Disk 20으로 교환해주는 프로그램을 제공했다.[38] 판매되지 않고 작동 가능한 상태였던 약 2,700대의 리사 컴퓨터는 매립지에 폐기된 것으로 알려졌다.[39]

6. 유산

스티브 잡스가 이끈 맥킨토시 프로젝트는 리사의 GUI 패러다임을 상당 부분 차용했고, 리사 개발팀의 인력도 많이 흡수하여 이후 수십 년간 애플의 주력 플랫폼을 만드는 데 기여했다. 예를 들어, macOS에서 사용된 밀러 칼럼 방식의 인터페이스는 원래 리사를 위해 개발되었으나, 나중에 아이콘 보기 방식으로 대체되었다.

리사 개발 과정에서 형성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문화는 1988년 매킨토시 운영체제를 재구축하려던 첫 시도인 핑크(Pink) 프로젝트 구상에 영향을 미쳤다.

1989년, 썬 마이크로시스템즈로 이직한 웨인 로징(Wayne Rosing)은 애플 재직 시절을 회상하며 리사 개발이 매우 힘든 작업이었다고 말했다. 그는 리사의 하드 디스크RAM은 사치품이 아닌 필수 요소였지만, 그럼에도 시스템 속도는 느렸다고 평가했다. 또한 1989년 시점에서도 애플이 리사 수준의 응용 프로그램 간 통합을 아직 완벽히 구현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40]

초기 "Twiggy"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를 탑재한 리사 1 시스템은 현존하는 수가 매우 적어 희귀하며, 경매 시장에서 높은 가격에 거래된다. 2024년 9월 10일, 마이크로소프트 공동 창업자인 폴 앨런의 유품 경매에서 리사 1 시스템이 88.2만달러에 낙찰되며 최고가를 기록했다.[41]

참조

[1] 이미지 https://www.flickr.c[...]
[2] 서적 Apple Inc. ABC-CLIO
[3] 웹사이트 Apple Lisa http://www.mac-histo[...] Mac History 2012-11-15
[4] 서적 Lisa Operating System Reference Manual
[5] 서적 iCon : Steve Jobs, the greatest second act in the history of business https://books.google[...] 2006-04-14
[6] 서적 Apple confidential 2.0: the definitive history of the world's most colorful company https://books.google[...] No Starch Press 2014-01-06
[7] 학술지 The Birth of LISA https://archive.org/[...] 1983-02
[8] 서적 The Practical Guide to the Apple IIc https://vintageapple[...]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1984-05
[9] 서적 Revolution in the Valley O'Reilly 2005
[10] 서적 Steve Jobs https://archive.org/[...] Simon & Schuster
[11] 웹사이트 Good Earth https://www.folklore[...] 2019-03-11
[12] 웹사이트 History of Apple's Lisa http://lowendmac.com[...] 2005-10-05
[13] 웹사이트 Robert Paratore http://www.linkedin.[...]
[14] 잡지 An Interview with Wayne Rosing, Bruce Daniels, and Larry Tesler https://archive.org/[...] 2013-10-19
[15] 잡지 Apple Develops New Computers https://books.google[...] 2019-04-08
[16] 잡지 Computer mice are scurrying out of R&D labs https://books.google[...] 2015-08-26
[17] 잡지 The Lisa Was Apple's Best Failure https://spectrum.iee[...] IEEE 2024-08-06
[18] 뉴스 Editor's Corner: Logan has interesting link to Apple computer history http://news.hjnews.c[...] The Herald Journal 2014-02-24
[19] 웹사이트 The little-known Apple Lisa: Five quirks and oddities http://www.macworld.[...] 2016-04-07
[20] 웹사이트 The Legacy of the Apple Lisa Personal Computer: An Outsider's View https://www.cs.oberl[...] David T. Craig 2019-09-24
[21] 웹사이트 Mac GUI :: Re: MACINTOSH opinion and request http://macgui.com/us[...]
[22] 잡지 Apple introduces Lisa 2; basic model to cost $3500 https://books.google[...] 2014-01-06
[23] 서적 Macintosh Repair & Upgrade Secrets https://archive.org/[...] Hayden Books
[24] 메일링 리스트 Macintosh Kermit No-Progress Report http://www.columbia.[...] Kermit Project, Columbia University 2016-02-24
[25] 잡지 Apple's LISA meets a bad end https://books.google[...] 2017-10-26
[26] 서적 Lisa Operating System Reference Manual
[27] 웹사이트 The Computer History Museum will open source Apple's Lisa OS https://www.open-ele[...] 2020-05-11
[28] 웹사이트 The Lisa Was Apple's Best Failure https://spectrum.iee[...] 2023-01-19
[29] 웹사이트 CHM Makes Apple Lisa Source Code Available to the Public as a Part of Its Art of Code Series https://computerhist[...] 2023-01-19
[30] 잡지 The Lisa 2: Apple's ablest computer http://www.guidebook[...]
[31] advertisement Unix Spoken Here / and MS-DOS, and VMS too! https://archive.org/[...] 2016-03-08
[32] 미디어 Photograph of Lisa Xenix Multiplan diskette https://postlmg.cc/B[...] Postimg.com 2019-09-24
[33] 잡지 Quadratron's Lisa Office System https://archive.org/[...] 2024-07-27
[34] 잡지 The Lisa Computer System https://archive.org/[...] 2013-10-19
[35] 웹사이트 A Look Back at Apple Products of Old http://www.technolog[...] 2015-09-08
[36] 서적
[37] 간행물 Back in Time A+ Magazine 1987-02
[38] 뉴스 Votes For And Against The NetWorkers https://web.archive.[...] Semaphore Signal 1986-03-12
[39] 웹사이트 Why Are 2700 Apple Lisa Computers Buried in a Landfill? https://web.archive.[...] 2016-04-21
[40] 잡지 Rosing outlines Sun's strategy https://archive.org/[...] 2024-05-01
[41] 웹사이트 Gen One: Innovations from the Paul G. Allen Collection Totals $16,816,840 https://press.christ[...] 2024-09-12
[42] 서적 マッキントッシュ伝説
[43] 문서 리사─신조의 하찮은 두문자어라는 뜻, [[재귀적 두문자어]]가 되고 있다.
[44] 서적 スティーブ・ジョブズ 講談社
[45] 서적 Small Fry Grove Press
[46] 서적 マッキントッシュ伝説
[47] 웹사이트 Creating the First Usable Mouse https://www.ideo.com[...]
[48] 웹사이트 The Engineer of the Original Apple Mouse Talks About His Remarkable Career https://www.wired.co[...]
[49] 웹사이트 Computer History Museum - Lectures - Origins of the Apple Human Interface https://web.archive.[...] 2004-05-11
[50] 웹사이트 1983년 발매로 현대 OS에도 존재하는 첨단 기능을 탑재했던 Apple의 역사적인 16비트 머신 "Lisa"의 소스 코드를 다운로드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https://gigazine.net[...] 2023-01-25
[51] 웹사이트 Apple Lisa의 소스 코드가 일반 공개 https://pc.watch.imp[...] 2023-01-25
[52] 문서 후에 Think C로 개명
[53] 문서 1983년 1월 발매 당시. 당시 일본 엔화로 약 233만 엔.
[54] 서적 Apple Inc. ABC-CLIO
[55] 서적 아이콘: 스티브 잡스 iCon: Steve Jobs, The Greatest Second Act in the History of Busin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