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간 투시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간 투시경은 어두운 곳에서도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돕는 장치로, 1929년 헝가리 물리학자 칼만 티하니에 의해 최초로 개발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에 의해 실용화되었으며, 이후 기술 발전을 거듭하여 현재는 다양한 세대의 야간 투시경이 존재한다. 야간 투시경은 군사적 목적으로 널리 사용될 뿐만 아니라, 사진 촬영, 천문 관측, 자동차 야간 투시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하지만 군사적 전용 가능성으로 인해 각 국가별로 소지 및 사용에 대한 법적 규제가 존재하며, 대한민국에서도 불법 유통 및 사용을 엄격히 규제하고 있다.
1929년 헝가리 물리학자 칼만 티하니는 영국에서 대공 방어를 위해 적외선 감지 전자 텔레비전 카메라를 발명했다.[8]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의 야간 투시 기술은 나중에 0세대로 분류되었다.[5]
소련과 1991년 이후 러시아 연방은 자체적인 야간 투시 장치를 개발해 왔다. 1960년 이후 러시아/소련군이 사용한 모델은 "1PNxx"(1ПНxxru)로 지정되는데, 여기서 "1PN"은 야간 투시 장치의 GRAU 지수이며, PN은 "прицел ночной"(прицел ночнойru)의 약자로 "야간 조준경"을 의미하고, "xx"는 모델 번호이다. 비슷한 시기에 도입된 여러 모델은 동일한 유형의 배터리와 장착 메커니즘을 사용한다. 다용도 모델에는 교체 가능한 고저각 눈금이 있으며, 각각의 탄도 궤적(포탄 궤적)에 대한 눈금이 하나씩 있다. 지원되는 무기에는 AK 계열 소총(AK), 저격 소총, 경기관총 및 휴대용 수류탄 발사기가 포함된다.
2. 역사
야간 투시 장치는 1939년 초 독일 국방군에 도입되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사용되었다. AEG는 1935년에 최초의 장치 개발을 시작했다. 1943년 중반, 독일군은 판터 전차에 장착된 적외선 야간 투시 장치와 망원 거리 측정기를 시험하기 시작했다. 최대 600m의 사거리를 가진 슈퍼베어 FG 1250("참새매")는 30cm 적외선 조명등과 전차장이 조작하는 영상 변환기를 갖추고 있었다. 1944년 말부터 1945년 3월까지 독일군은 판터 Ausf. G 전차(및 다른 변종)에 장착된 FG 1250 세트의 성공적인 시험을 수행했다. 전쟁 중 약 50대(또는 63대)의 판터 전차가 FG 1250을 장착하여 동부 및 서부 전선에서 전투에 참가했다. 보병용 휴대형 시스템인 "뱀파이어"는 StG 44 돌격소총과 함께 사용되었다.[9]
미국에서도 병행 개발이 이루어졌다. "스나이퍼스코프" 또는 "스누퍼스코프"로도 알려진 M1 및 M3 적외선 야간 조준 장치는 제2차 세계 대전[10]과 한국 전쟁에서 미국 육군에 제한적으로 사용되어 저격수를 지원했다.[5] 이 장치들은 적외선 광원을 사용하여 표적을 비추는 능동형 장치였다. 이 장치의 영상 증폭관은 주로 은, 세슘, 산소로 만들어진 양극과 S-1 광전극을 사용했으며, 전자 가속을 이용한 정전 반전으로 증폭을 생성했다.[11]
PAU-2라는 실험적인 소련 장치가 1942년에 현장 테스트를 거쳤다.
1938년 (United Kingdom)는 영국 군사 적외선 연구를 담당하게 되었다. 그들은 먼저 필립스와 협력하다가 네덜란드 함락 후에는 필립스의 영국 자회사인 Radio Transmission Equipment Ltd.와 협력했고, 마지막으로 1941년 초 소형 경량 영상 변환관을 제공한 EMI와 협력했다. 1942년 7월까지 영국은 '디자인 E'라는 쌍안경 장치를 생산했다. 이 장치는 7,000볼트를 생성하는 외부 전원 장치가 필요한 부피가 큰 장치였지만, 제79 기갑 사단의 수륙 양용 차량에 1945년 라인 강 도하에서 제한적으로 사용되었다. 1943년 5월부터 6월까지 제43(웨섹스) 보병 사단은 휴대용 야간 투시 장치를 시험했고, 영국은 나중에 Mark III 및 Mark II(S) 스텐 기관단총에 장치를 장착하는 실험을 했다. 그러나 1945년 1월까지 영국은 7개의 적외선 수신기 세트만 제작했다. 일부는 1945년 말 이전에 인도와 호주로 시험을 위해 보내졌지만, 한국 전쟁과 말레이 반란 당시 영국은 미국이 공급한 야간 투시 장비를 사용했다.[12]
제2차 세계 대전 후, 블라디미르 K. 즈보리킨은 민간용으로 라디오 코퍼레이션 오브 아메리카에서 최초의 실용적인 상업용 야간 투시 장치를 개발했다. 즈보리킨의 아이디어는 이전의 무선 유도 미사일에서 비롯되었다.[14] 당시 적외선은 일반적으로 "블랙라이트"라고 불렸는데, 이 용어는 나중에 자외선으로 제한되었다. 즈보리킨의 발명은 크기가 크고 비용이 많이 들었기 때문에 성공하지 못했다.[15]
2. 1. 제2차 세계 대전
1929년 헝가리 물리학자 칼만 티하니는 영국에서 대공 방어를 위해 적외선 감지 전자 텔레비전 카메라를 발명했다.[8]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의 야간 투시 기술은 나중에 0세대로 분류되었다.[5]
야간 투시 장치는 1939년 초 독일 국방군에 도입되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사용되었다. AEG는 1935년에 최초의 장치 개발을 시작했다. 1943년 중반, 독일군은 판터 전차에 장착된 적외선 야간 투시 장치와 망원 거리 측정기를 시험하기 시작했다. 최대 600m의 사거리를 가진 슈퍼베어 FG 1250("참새매")는 30cm 적외선 조명등과 전차장이 조작하는 영상 변환기를 갖추고 있었다. 1944년 말부터 1945년 3월까지 독일군은 판터 Ausf. G 전차(및 다른 변종)에 장착된 FG 1250 세트의 성공적인 시험을 수행했다. 전쟁 중 약 50대(또는 63대)의 판터 전차가 FG 1250을 장착하여 동부 및 서부 전선에서 전투에 참가했다. 보병용 휴대형 시스템인 "뱀파이어"는 StG 44 돌격소총과 함께 사용되었다.[9]
미국에서도 병행 개발이 이루어졌다. "스나이퍼스코프" 또는 "스누퍼스코프"로도 알려진 M1 및 M3 적외선 야간 조준 장치는 제2차 세계 대전[10]과 한국 전쟁에서 미국 육군에 제한적으로 사용되어 저격수를 지원했다.[5] 이 장치들은 적외선 광원을 사용하여 표적을 비추는 능동형 장치였다. 이 장치의 영상 증폭관은 주로 은, 세슘, 산소로 만들어진 양극과 S-1 광전극을 사용했으며, 전자 가속을 이용한 정전 반전으로 증폭을 생성했다.[11]
PAU-2라는 실험적인 소련 장치가 1942년에 현장 테스트를 거쳤다.
1938년 (United Kingdom)는 영국 군사 적외선 연구를 담당하게 되었다. 그들은 먼저 필립스와 협력하다가 네덜란드 함락 후에는 필립스의 영국 자회사인 Radio Transmission Equipment Ltd.와 협력했고, 마지막으로 1941년 초 소형 경량 영상 변환관을 제공한 EMI와 협력했다. 1942년 7월까지 영국은 '디자인 E'라는 쌍안경 장치를 생산했다. 이 장치는 7,000볼트를 생성하는 외부 전원 장치가 필요한 부피가 큰 장치였지만, 제79 기갑 사단의 수륙 양용 차량에 1945년 라인 강 도하에서 제한적으로 사용되었다. 1943년 5월부터 6월까지 제43(웨섹스) 보병 사단은 휴대용 야간 투시 장치를 시험했고, 영국은 나중에 Mark III 및 Mark II(S) 스텐 기관단총에 장치를 장착하는 실험을 했다. 그러나 1945년 1월까지 영국은 7개의 적외선 수신기 세트만 제작했다. 일부는 1945년 말 이전에 인도와 호주로 시험을 위해 보내졌지만, 한국 전쟁과 말레이 반란 당시 영국은 미국이 공급한 야간 투시 장비를 사용했다.[12]
제2차 세계 대전 후, 블라디미르 K. 즈보리킨은 민간용으로 라디오 코퍼레이션 오브 아메리카에서 최초의 실용적인 상업용 야간 투시 장치를 개발했다. 즈보리킨의 아이디어는 이전의 무선 유도 미사일에서 비롯되었다.[14] 당시 적외선은 일반적으로 "블랙라이트"라고 불렸는데, 이 용어는 나중에 자외선으로 제한되었다. 즈보리킨의 발명은 크기가 크고 비용이 많이 들었기 때문에 성공하지 못했다.[15]
2. 2. 전후 발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블라디미르 K. 즈보리킨은 라디오 코퍼레이션 오브 아메리카(RCA)에서 이전의 무선 유도 미사일 기술[14]을 바탕으로 민간용 야간 투시 장치를 개발했다.[15] 그러나 이 장치는 크기가 크고 비용이 비싸 상업적으로 성공하지 못했다.[15] 당시 적외선은 "블랙라이트"로 불렸으나, 이 용어는 나중에 자외선으로 제한되었다.
2. 3. 세대별 발전 (미국)
1960년대 미 육군에 의해 개발되어 베트남 전쟁에 도입된 1세대 수동형 야간 투시 장비는 이전의 능동형 기술을 개량한 것이다. 추가적인 적외선 광원을 사용하는 대신 주변광에 의존했다. S-20 광전자를 사용하여 약 1,000배의 빛을 증폭했지만,[16] 부피가 크고 달빛이 있어야 제대로 작동했다.
예시:
2. 3. 1. 1세대
1세대 수동형 야간 투시 장치는 1960년대 미 육군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베트남 전쟁 중에 도입되었다. 이 장치들은 이전의 능동형 기술을 개량한 것으로, 추가적인 적외선 광원을 사용하는 대신 주변광에 의존했다. S-20 광전자를 사용하여, 이들의 이미지 증폭기는 빛을 약 1,000배 증폭했지만,[16] 매우 부피가 크고 제대로 작동하려면 달빛이 필요했다.
예시:
2. 3. 2. 2세대
1970년대 2세대 장치는 S-25 광전면을 사용하는 마이크로 채널 플레이트(MCP)를 사용한 향상된 이미지 증폭관을 특징으로 했다.[21] 이는 특히 렌즈 가장자리 주변에서 훨씬 더 밝은 이미지를 생성했다. 이는 달이 없는 밤과 같은 주변광이 적은 환경에서 선명도를 높였다. 광 증폭은 약 20,000 정도였다.[16] 영상 해상도와 신뢰성이 향상되었다.
예시:
후속 발전으로 더 나은 광학 장치, SUPERGEN 튜브, 향상된 해상도 및 더 나은 신호대 잡음비를 갖춘 GEN II+ 장치가 등장했지만, 이 명칭은 NVESD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는다.[24]
2. 3. 3. 3세대
1980년대 후반에 개발된 3세대 야간 투시 장비는 2세대 장비의 MCP(마이크로 채널 플레이트)를 유지했지만, 해상도를 개선한 갈륨 비소 광전자 방출극을 사용했다. GA 광전자 방출극은 주로 L3해리스 테크놀로지(L3Harris Technologies)와 엘빗 시스템즈 오브 아메리카(Elbit Systems of America)에서 제조되며 500~900 nm의 빛을 영상화한다. 또한, MCP에는 이온 차단막이 코팅되어 튜브 수명이 연장되었지만, 이 이온 차단막은 통과하는 전자 수를 줄였다. 이온 차단막은 밝은 점이나 광원 주변의 "헤일로" 효과를 증가시켰다. 이러한 장치의 광 증폭은 약 30,000~50,000로 향상되었다.[16]
예시:
자동 게이팅(ATG)은 광전자 음극에 대한 전원 공급 장치의 전압을 빠르게 켜고 끌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칭은 사람의 눈으로 감지할 수 없을 만큼 빠르며 야간 투시 장치에 공급되는 최대 전압은 유지된다. 이는 "듀티 사이클"(즉, 관에 전력이 흐르는 시간)을 줄여 장치의 수명을 연장한다. 자동 게이팅은 또한 고휘도 광원 보호(BSP) 기능을 향상시켜 주변 조명 수준에 따라 광전자 음극에 공급되는 전압을 줄인다. 자동 밝기 조절(ABC)은 주변 조명에 따라 마이크로 채널 플레이트(광전자 음극이 아닌)에 공급되는 전압량을 조절한다. BSP와 ABC는(자동 게이팅과 함께) 야간 투시 장치가 갑작스러운 밝은 광원, 예를 들어 총구 섬광이나 인공 조명에 노출될 때 사용자의 일시적인 실명을 방지하고 관의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변조 시스템은 또한 사용자의 시야에서 안정적인 조명 수준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어 일시적인 섬광에도 불구하고 "표적을 계속 주시"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기능은 특히 급격하게 변하는 조명 수준에 노출될 수 있는 조종사, 도시전 환경에서 작전하는 군인 및 특수부대에게 유용하다.
2. 3. 4. 3+ 세대 (OMNI I-IX)
OMNI 또는 OMNIBUS는 미국 육군이 3세대 야간 투시 장치를 구매하기 위해 체결한 일련의 계약이다. OMNI I을 시작으로, OMNI II (1990년), OMNI III (1992년), OMNI IV (1996년), OMNI V (1998년), OMNI VI (2002년), OMNI VII (2005년), OMNI VIII 및 OMNI IX로 이어졌다.
하지만 OMNI는 규격이 아니다. 특정 장치의 성능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튜브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GEN III OMNI III MX-10160A/AVS-6 튜브는 전자가 1992년경에 제조되었고 후자가 2005년경에 제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GEN III OMNI VII MX-10160A/AVS-6 튜브와 유사하게 작동한다.
ITT가 개발한 PINNACLE은 OMNI VII 계약에 포함된 독점적인 박막 마이크로 채널 플레이트 기술이다. 박막은 성능을 향상시킨다.
2000년대 이후에 개발된 GEN III OMNI V~IX 장치는 이전 장치와 중요한 방식으로 다를 수 있다.
소비자 시장에서는 이러한 시스템을 4세대(Generation 4)로 분류하는 경우가 있으며, 미국 군대는 이러한 시스템을 3세대 자동 게이트형 튜브(GEN III OMNI V~IX)로 설명한다. 또한 자동 게이팅 전원 공급 장치는 이전 세대의 야간 투시 장치에 추가할 수 있으므로 자동 게이팅 기능이 장치를 특정 OMNI 분류에 자동으로 배치하는 것은 아니다. 세대 유형 뒤에 나타나는 모든 이름 뒤 약자는 원래 사양의 요구 사항에 대한 개선을 나타낸다.[30]
예시는 다음과 같다.
성능 지수(FoM)는 야간 투시경(NVD)의 효과와 선명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지표이다.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는 1밀리미터당 선쌍의 수에 이미지 증폭기의 신호 대 잡음비(SNR)를 곱하여 계산한다.[32][33]
1990년대 후반, 광전자 기술의 혁신으로 SNR이 크게 향상되었고, 새로운 튜브는 3세대 성능을 뛰어넘었다.
2001년까지 미국 연방 정부는 튜브의 세대가 성능 결정 요소가 아니라는 결론을 내리고, 수출 규제의 근거로서 해당 용어를 폐지했다.
미국 정부는 야간에 사용자가 선명하게 볼 수 있는 한 기술 자체는 거의 중요하지 않다는 사실을 인정했다. 따라서 미국은 수출 규제를 성능 지수에 직접 근거한다.
ITAR 규정은 성능 지수가 1400을 초과하는 미국산 튜브는 수출할 수 없도록 명시하고 있지만, (DTSA)은 경우에 따라 해당 정책을 면제할 수 있다.
2. 3. 5. 융합 야간 투시 (Fusion Night Vision)
융합 야간 투시는 I²(상증강)과 열화상 이미징을 결합한 것이다. 중파장(MWIR, 3-5 μm) 및/또는 장파장(LWIR, 8-14 μm) 파장 범위에서 작동한다. 초기 모델은 2000년대에 등장했다. 표준 I² 야간 투시 장치에 열 중첩을 추가하는 전용 융합 장치와 클립온 이미저가 있다. 융합은 우수한 항법 및 세부 정보(I²)와 열 신호 감지(이미징)의 용이성을 결합한다.
융합 모드에는 열 중첩이 있는 야간 투시, 야간 투시 전용, 열화상 전용, 그리고 열 신호가 있는 물체의 윤곽을 표시하는 윤곽선 또는 인체 온도와 유사한 모든 물체를 강조 표시하는 "위장 해제" 등의 다른 모드가 포함된다.2. 3. 6. 대역 외 (Out of Band)
대역 외(Out of Band)는 500~900nm 근적외선(NIR) 주파수 범위 밖에서 작동하는 야간 투시 기술을 말한다. 이는 전용 이미지 강화관이나 클립온 장치를 통해 가능하다.
분류:광학
분류:군사 장비
분류:야간 투시경
2. 3. 7. 넓은 시야 (Wide Field of View)
야간 투시 장비는 일반적으로 시야(FoV)가 제한적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AN/PVS-14의 경우 시야는 40°이다. 이는 단안 시야 95° 및 사람의 양안 시야 190°보다 훨씬 작다.
파노라마 야간 투시경(PNVG)은 센서 튜브의 수를 늘려 시야각(FoV)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방식은 크기, 무게, 전력 요구 사항 및 복잡성을 증가시킨다.
예시:
집중 야간 투시경(F-NVG)은 특수한 광시야 렌즈(WFoV optics)를 사용하여 증폭관을 통한 시야를 넓힌다. 중심와(Fovea centralis)는 중심 시력을 담당하는 망막의 일부분을 말한다. 이 장치는 사용자가 관을 "똑바로 통과해서" 보도록 하여 관의 중앙을 통과하는 빛이 기존의 쌍안경 야간 투시경과 마찬가지로 중심와에 맺히도록 한다. 시야가 넓어지는 대신 화질 저하와 가장자리 왜곡(Distortion (optics))이 발생한다.
예시:
발산 이미지 튜브(DIT) 야간 투시경은 튜브를 약간 바깥쪽으로 각도를 줌으로써 시야(FoV)를 증가시킨다. 이렇게 하면 주변 시야가 넓어지지만 왜곡이 발생하고 이미지 품질이 저하된다. DIT를 사용하면 사용자는 더 이상 튜브의 중앙(가장 선명한 이미지를 제공하는 부분)을 통해 보지 않으며, 튜브 중앙을 통과하는 빛이 더 이상 중심와(fovea)에 맺히지 않는다.
예시:2. 3. 8. 디지털 (Digital)
일부 야간 투시경, 특히 여러 AN/PSQ-20 모델을 포함하여 "디지털" 방식의 장비가 있다. 2000년대 후반에 도입된 이러한 장비는 이미지 전송이 가능하지만 크기, 무게, 전력 소비량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고감도 디지털 카메라 기술을 이용하면 이미지 증폭관 대신 카메라와 디스플레이를 결합한 야간 투시경(NVG)을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장비는 1세대 수준의 화질을 더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다.[34] 고급형으로는 SiOnyx사가 디지털 컬러 야간 투시경을 생산했다. 2022년에 출시된 "Opsin"은 AN/PVS-14와 비슷한 크기와 무게를 가지지만 별도의 배터리 팩이 필요하다. 배터리 수명이 짧고 감도가 낮다는 단점이 있다.[35][36] 하지만 밝은 빛에도 잘 작동하며 더 넓은 파장 범위를 처리할 수 있다.[37]
2. 3. 9. 기타 기술
세라믹 광학 강화 엔진(CORE)는 유리판을 세라믹판으로 교체하여 성능이 향상된 1세대 튜브를 생산한다.[38] 이 판은 특수하게 제조된 세라믹과 금속 합금으로 만들어진다. 가장자리 왜곡이 개선되고, 감광도가 증가하며, 해상도는 최대 60 lp/mm에 달할 수 있다. CORE는 마이크로 채널 플레이트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여전히 1세대 제품으로 분류된다.
야간 투시 콘택트 렌즈 시제품은 유리층 사이에 얇은 그래핀 스트립을 배치하여 광자에 반응하여 어두운 이미지를 밝게 한다. 시제품은 빛의 2.3%만 흡수하는데, 개발자들은 실용적인 용도로는 아직 충분하지 않다고 생각한다.[39]
(미국 육군 연구소)의 센서 및 전자 장치국(SEDD)은 양자 우물 적외선 검출기(QWID)를 개발했다. 이 기술의 에피택셜 층은 특히 중간 길이 적외선에 민감한 갈륨 비소(GaAs) 또는 알루미늄 갈륨 비소(AlGaAs) 시스템을 사용한다. 주름형 QWID(CQWID)는 공진 초구조를 사용하여 더 많은 전기장을 평행하게 배향하여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검출 용량을 넓히지만, 77K~85K의 극저온 냉각이 필요하다. QWID 기술은 저렴한 비용과 재료의 균일성으로 인해 지속적인 감시 관찰에 적합할 수 있지만, 아직 상용 생산에는 들어가지 않았다.[40]
II-VI족 화합물의 재료, 예를 들어 HgCdTe는 고성능 적외선 감지 카메라에 사용된다. 대안으로 InAsSb가 있는데, DVD와 휴대전화와 같은 광전자 장치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원자 간격이 증가한 등급 층과 GaAs 기판의 중간 층은 잠재적인 결함을 포획할 수 있다.[41]
메타표면 기반 업컨버전 기술은 1g 미만의 무게로 일반 안경에 부착할 수 있는 야간 투시 필름을 제공한다. 광자는 펌프 빔이 있는 공진 비국소 니오브산 리튬 메타표면을 통과한다. 메타표면은 광자의 에너지를 증폭시켜 전자로 변환하지 않고 가시광선 스펙트럼으로 이동시킨다. 냉각이 필요하지 않으며 가시광선과 적외선이 단일 이미지로 나타난다. 주파수 범위는 1550nm 적외선에서 가시광선 550nm이다. 기존 야간 투시 시스템은 각 스펙트럼에서 나란히 뷰를 캡처하므로 일반 안경에 적용된 필름과 달리 동일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없다.[42]
3. 소련/러시아
1PNxx 시리즈에는 다음과 같은 모델들이 있다.
러시아군은 "대저격수 야간 조준경"(translit=Antisnayper/Антиснайперru)이라고 불리는 일련의 장비도 운용했다. 대저격수 야간 조준경은 레이저 다이오드의 레이저 펄스를 사용하여 적의 광학 시스템의 초점 요소에서 반사를 감지하고 거리를 추정하는 능동 시스템이다. 1PN106 (SVD SVD 및 SVDS 변형), 1PN119 (PKMN, Pecheneg) 등이 이에 해당된다.
4. 분류
야간투시경은 작동 방식 및 사용 파장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분류된다.
== 가시 근적외선 (VNIR) 대역 ==
야간투시경이 등장한 이래로, 가시광선과 근적외선(Visible and Near Infrared, '''VNIR'''; 파장 약 0.3~1.4μm)을 사용하는 기종이 주류를 이루어 왔다.
== 능동형 (Active) ==
0세대로 분류되는 가장 초기의 야시경은 근자외선부터 근적외선에 이르는 넓은 파장 영역에 감도를 보이지만, 모두 감도가 낮았다. 이 때문에 목표의 상을 포착하려면, 이쪽에서 광선을 조사하여 반사광을 증강할 필요가 있었다. 가시광을 조사하면 야시경의 의미가 없으므로, 조사광으로는 근적외선이 사용된다.
근적외선은 인간의 눈으로는 지각할 수 없지만, 그 외의 점에서는 가시광선과 거의 같은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0세대 야시경의 기본적인 원리는, 일반 조명 대신 근적외선 라이트로 대상을 비추고, 그 반사광을 야시경으로 포착하여 지각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것이다. 그 때문에, "조사 장치"와 "수상 장치" 두 개를 세트로 운용할 필요가 있으며, 이미지 증폭관이 높은 전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동작 전력원으로 무거운 적층 배터리도 세트로 휴대해야 했다. 기능적으로는 광학식 스코프에 적외선 수상 장치를 장착한 것에 불과하며, 배터리는 적외선 라이트를 위한 것이라고 오해되는 경우가 있지만, 라이트의 전원으로는 그다지 큰 것이 필요하지 않다. 반사해 온 적외선을 적외선 필터를 통해 보더라도 인간의 눈에는 보이지 않는다. 적외선 필터는 라이트에서 가시광선이 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종류의 야시경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이 팬터 전차 탑재용으로 세계 최초로 실용화에 성공했다. 또한, 개인용으로는, 종전 직전인 1945년에 독일군이 실용화한 "ZG1229 뱀파이어(Vampir:「흡혈박쥐」 또는 「흡혈귀」의 뜻)"가 최초이다. 이것은 StG44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능동 적외선 방식의 야시경이며, 유효 거리는 약 100m였다. 후에 미군에서도 M3 카빈으로 유사한 장치가 실용화되어, 베트남 전쟁 무렵까지 사용되었다. M3 카빈은, 총을 포함한 시스템 일체의 무게가 14kg으로 매우 무겁고 부피가 큰 장비였다. 무게의 절반 이상이 배터리이기 때문에, 후년이 될수록 배터리의 소형화에 의한 경량화가 진행되지만, 그래도 상당히 무거운 장비인 것은 변함없었다.
이러한 야시경은 적외선 라이트의 출력에 따라 시인 거리가 달라지기 때문에, 독일군에서는 장갑하프트랙에 대형 적외선 조사등을 탑재한 차량도 제작되었다. "Sd Kfz 251/20 우후(Uhu: 올빼미의 뜻)"라고 불린 이 차량은 60cm 구경의 적외선 서치라이트를 장비하고 있어, 1,500m의 거리에서 목표를 시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근적외선은 사람의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상대도 동일한 장치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조사원을 노출시키는 결점이 있었다. 즉, 상대는 스스로 적외선 라이트를 조사하지 않고도, 야시경의 시야에 떠오르는 광원을 포착하여, 더 나아가 광원을 향해 공격할 수도 있다. 1960년대에는 소비에트 연방군을 시작으로 공산권에서도 유사한 장비가 등장했고, PSO-1처럼 적외선 필터를 내장하여 조사원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광학 조준기가 등장함으로써 발각률이 높아졌고, 광전자 증배관 기술의 발전으로 투광하지 않고도 충분한 상을 얻을 수 있게 됨에 따라, 0세대 야시경은 점차 퇴역하게 되었다.
== 수동형 (Passive) ==
1960년대에는 광전자 증배관의 발전에 따라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가시광선을 이용하여 영상을 생성할 수 있게 되었다. 별이나 달빛을 증폭하여 시야를 확보하는 것으로부터 '''저조도 야시 장치'''(스타라이트 스코프/Starlight scope영어)라고 일반적으로 불리며, 베트남 전쟁부터 실전 배치가 시작되었다. 0세대( = 능동 근적외선 방식)와 달리 적외선 투광기가 필요 없으므로, 발각 가능성이 현저하게 감소한 반면, 건물이나 동굴 안과 같이 완벽한 어둠 속에서는 사용할 수 없고, 기상 조건의 영향을 받는다는 단점이 있다.
성능과 특성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대 구분이 된다.
; 1세대
: 다이노드형 광전자 증배관에 의한 가시광 증폭 방식을 채용하고 있으며, 분광 감도 특성은 S-20형, 광 증폭률은 약 1,000배이므로, 달빛 정도의 밝기가 필요하다. 유효 시인 거리는 대략 100미터 전후였다.
:* AN/PVS-2
:* NSPU/1PN34
; 2세대
: 마이크로 채널 플레이트(MCP)형 광전자 증배관에 의한 가시광 증폭 방식을 채용하고 있으며, 분광 감도 특성은 S-25형, 광 증폭률은 약 20,000배까지 향상되어 유효 시인 거리는 별빛으로 1,500미터, 달빛으로 2,700미터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고속 이동 목표물에 대한 결상 능력에 문제가 있어, 전차 등의 조준용으로는 부적합했다.
:* AN/PVS-4
:* AN/PVS-5 ※PVS-5D는 3세대에 해당
:* 저조도 야시경 JGVS-V3
:* 75식 조준용 저조도 야시장치 II형 (B)
; 3세대
: 2세대와 마찬가지로 MCP형 광전자 증배관에 의한 가시광 증폭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그러나 S-25형 광전자 증배관 대신 갈륨비소(GaAs) 소자를 채용함으로써 검출 가능한 대역이 근적외선 영역까지 확대되었을 뿐만 아니라, 이온 배리어 필름으로 코팅함으로써 감도를 더욱 향상시키고 노이즈를 감소시켰다. 광 증폭률은 30,000~50,000배로 향상되었고, 유효 시인 거리도 25% 증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일반적인 가시광 증폭 방식 외에 수동 원적외선 방식을 병용하는 기종도 등장하고 있다.
: 고성능이기 때문에 3세대 야시 장치의 대부분은 생산국에 의한 수출입 규제가 적용되며, 사용자는 관공서로 제한된다.
:* AN/AVS-6 ANVIS
::* 개인 야시경 JAVN-V6
:* AN/PVS-7
:* AN/AVS-9
:* AN/PVS-14 ※단안식
::* 개인용 야시 장치 JGVS-V8
:* AN/PVS-15 ※쌍안식
:* GPNVG-18 ※사안식
:* AN/PVS-31 ※쌍안식
:* AN/PSQ-20 수동 원적외선 방식(열화상) 병용.
:* PN16K / PN21K
== 열적외선 (TIR) 대역 ==
모든 물체는 그 자신의 온도에 따른 원적외선을 방출(흑체복사)하므로, 열화상 장치는 광원이 없는 장소에서도 목표물을 볼 수 있다. 또한, 원적외선은 가시광선에 비해 해상도는 떨어지지만 투과 능력이 뛰어나므로, 어느 정도는 연기를 통해서도 상을 포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병사나 대공 포대가 숲에 숨어 있다면, 그 미묘한 온도차에 의한 적외선의 강도를 화면에 표시하여 구별할 수 있다.
초기 열화상 장치는 무게와 부피가 커서 보병용 장비로 실용적이지 않았다. 소형화를 어렵게 한 원인은 -180℃ 이하로 냉각해야 적외선 수광 소자가 기능하고, 1차원 적외선 수광 소자 때문에 기계적인 주사선 스캔 장치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특히 냉각 문제는 심각하여, 초기에는 냉각을 위해 가스 봄베가 필수적이었고 가스 잔량이 사용 가능 시간을 제한했다. 스터링 엔진을 응용한 스터링 쿨러가 실용화되면서 보병이 휴대할 수 있을 정도로 소형화되었지만, 여전히 컸다.
1990년대에 냉각이 필요 없는 2차원 수광 소자가 개발되어, 소총의 스코프에 장착할 수 있는 실용적인 열화상 장치가 완성되었다.
4. 1. 가시 근적외선 (VNIR) 대역
야간투시경이 등장한 이래로, 가시광선과 근적외선(Visible and Near Infrared, '''VNIR'''; 파장 약 0.3~1.4μm)을 사용하는 기종이 주류를 이루어 왔다.4. 1. 1. 능동형 (Active)
0세대로 분류되는 가장 초기의 야시경은 근자외선부터 근적외선에 이르는 넓은 파장 영역에 감도를 보이지만, 모두 감도가 낮았다. 이 때문에 목표의 상을 포착하려면, 이쪽에서 광선을 조사하여 반사광을 증강할 필요가 있었다. 가시광을 조사하면 야시경의 의미가 없으므로, 조사광으로는 근적외선이 사용된다.근적외선은 인간의 눈으로는 지각할 수 없지만, 그 외의 점에서는 가시광선과 거의 같은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0세대 야시경의 기본적인 원리는, 일반 조명 대신 근적외선 라이트로 대상을 비추고, 그 반사광을 야시경으로 포착하여 지각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것이다. 그 때문에, "조사 장치"와 "수상 장치" 두 개를 세트로 운용할 필요가 있으며, 이미지 증폭관이 높은 전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동작 전력원으로 무거운 적층 배터리도 세트로 휴대해야 했다. 기능적으로는 광학식 스코프에 적외선 수상 장치를 장착한 것에 불과하며, 배터리는 적외선 라이트를 위한 것이라고 오해되는 경우가 있지만, 라이트의 전원으로는 그다지 큰 것이 필요하지 않다. 반사해 온 적외선을 적외선 필터를 통해 보더라도 인간의 눈에는 보이지 않는다. 적외선 필터는 라이트에서 가시광선이 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종류의 야시경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이 팬터 전차 탑재용으로 세계 최초로 실용화에 성공했다. 또한, 개인용으로는, 종전 직전인 1945년에 독일군이 실용화한 "ZG1229 뱀파이어(Vampir:「흡혈박쥐」 또는 「흡혈귀」의 뜻)"가 최초이다. 이것은 StG44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능동 적외선 방식의 야시경이며, 유효 거리는 약 100m였다. 후에 미군에서도 M3 카빈으로 유사한 장치가 실용화되어, 베트남 전쟁 무렵까지 사용되었다. M3 카빈은, 총을 포함한 시스템 일체의 무게가 14kg으로 매우 무겁고 부피가 큰 장비였다. 무게의 절반 이상이 배터리이기 때문에, 후년이 될수록 배터리의 소형화에 의한 경량화가 진행되지만, 그래도 상당히 무거운 장비인 것은 변함없었다.
이러한 야시경은 적외선 라이트의 출력에 따라 시인 거리가 달라지기 때문에, 독일군에서는 장갑하프트랙에 대형 적외선 조사등을 탑재한 차량도 제작되었다. "Sd Kfz 251/20 우후(Uhu: 올빼미의 뜻)"라고 불린 이 차량은 60cm 구경의 적외선 서치라이트를 장비하고 있어, 1,500m의 거리에서 목표를 시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근적외선은 사람의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상대도 동일한 장치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조사원을 노출시키는 결점이 있었다. 즉, 상대는 스스로 적외선 라이트를 조사하지 않고도, 야시경의 시야에 떠오르는 광원을 포착하여, 더 나아가 광원을 향해 공격할 수도 있다. 1960년대에는 소비에트 연방군을 시작으로 공산권에서도 유사한 장비가 등장했고, PSO-1처럼 적외선 필터를 내장하여 조사원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광학 조준기가 등장함으로써 발각률이 높아졌고, 광전자 증배관 기술의 발전으로 투광하지 않고도 충분한 상을 얻을 수 있게 됨에 따라, 0세대 야시경은 점차 퇴역하게 되었다.
4. 1. 2. 수동형 (Passive)
1960년대에는 광전자 증배관의 발전에 따라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가시광선을 이용하여 영상을 생성할 수 있게 되었다. 별이나 달빛을 증폭하여 시야를 확보하는 것으로부터 '''저조도 야시 장치'''(스타라이트 스코프/Starlight scope영어)라고 일반적으로 불리며, 베트남 전쟁부터 실전 배치가 시작되었다. 0세대( = 능동 근적외선 방식)와 달리 적외선 투광기가 필요 없으므로, 발각 가능성이 현저하게 감소한 반면, 건물이나 동굴 안과 같이 완벽한 어둠 속에서는 사용할 수 없고, 기상 조건의 영향을 받는다는 단점이 있다.성능과 특성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대 구분이 된다.
; 1세대
: 다이노드형 광전자 증배관에 의한 가시광 증폭 방식을 채용하고 있으며, 분광 감도 특성은 S-20형, 광 증폭률은 약 1,000배이므로, 달빛 정도의 밝기가 필요하다. 유효 시인 거리는 대략 100미터 전후였다.
:* AN/PVS-2
:* NSPU/1PN34
; 2세대
: 마이크로 채널 플레이트(MCP)형 광전자 증배관에 의한 가시광 증폭 방식을 채용하고 있으며, 분광 감도 특성은 S-25형, 광 증폭률은 약 20,000배까지 향상되어 유효 시인 거리는 별빛으로 1,500미터, 달빛으로 2,700미터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고속 이동 목표물에 대한 결상 능력에 문제가 있어, 전차 등의 조준용으로는 부적합했다.
:* AN/PVS-4
:* AN/PVS-5 ※PVS-5D는 3세대에 해당
:* 저조도 야시경 JGVS-V3
:* 75식 조준용 저조도 야시장치 II형 (B)
; 3세대
: 2세대와 마찬가지로 MCP형 광전자 증배관에 의한 가시광 증폭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그러나 S-25형 광전자 증배관 대신 갈륨비소(GaAs) 소자를 채용함으로써 검출 가능한 대역이 근적외선 영역까지 확대되었을 뿐만 아니라, 이온 배리어 필름으로 코팅함으로써 감도를 더욱 향상시키고 노이즈를 감소시켰다. 광 증폭률은 30,000~50,000배로 향상되었고, 유효 시인 거리도 25% 증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일반적인 가시광 증폭 방식 외에 수동 원적외선 방식을 병용하는 기종도 등장하고 있다.
: 고성능이기 때문에 3세대 야시 장치의 대부분은 생산국에 의한 수출입 규제가 적용되며, 사용자는 관공서로 제한된다.
:* AN/AVS-6 ANVIS
::* 개인 야시경 JAVN-V6
:* AN/PVS-7
:* AN/AVS-9
:* AN/PVS-14 ※단안식
::* 개인용 야시 장치 JGVS-V8
:* AN/PVS-15 ※쌍안식
:* GPNVG-18 ※사안식
:* AN/PVS-31 ※쌍안식
:* AN/PSQ-20 수동 원적외선 방식(열화상) 병용.
:* PN16K / PN21K
4. 2. 열적외선 (TIR) 대역
모든 물체는 그 자신의 온도에 따른 원적외선을 방출(흑체복사)하므로, 열화상 장치는 광원이 없는 장소에서도 목표물을 볼 수 있다. 또한, 원적외선은 가시광선에 비해 해상도는 떨어지지만 투과 능력이 뛰어나므로, 어느 정도는 연기를 통해서도 상을 포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병사나 대공 포대가 숲에 숨어 있다면, 그 미묘한 온도차에 의한 적외선의 강도를 화면에 표시하여 구별할 수 있다.초기 열화상 장치는 무게와 부피가 커서 보병용 장비로 실용적이지 않았다. 소형화를 어렵게 한 원인은 -180℃ 이하로 냉각해야 적외선 수광 소자가 기능하고, 1차원 적외선 수광 소자 때문에 기계적인 주사선 스캔 장치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특히 냉각 문제는 심각하여, 초기에는 냉각을 위해 가스 봄베가 필수적이었고 가스 잔량이 사용 가능 시간을 제한했다. 스터링 엔진을 응용한 스터링 쿨러가 실용화되면서 보병이 휴대할 수 있을 정도로 소형화되었지만, 여전히 컸다.
1990년대에 냉각이 필요 없는 2차원 수광 소자가 개발되어, 소총의 스코프에 장착할 수 있는 실용적인 열화상 장치가 완성되었다.
5. 비군사적 용도
야간 투시 장치는 군사적 목적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사진 촬영
일반 사진 촬영용 카메라 렌즈로 콘탁스 RTS용으로 N-밀로타르 210mm가 판매된 적이 있다.
; 천문 관측
야간 투시경은 어두운 천체를 관측하거나, Hα영어선과 같이 거의 눈에 보이지 않는 적외선 영역의 빛을 관측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1980년대 후반부터 천문 관측용으로도 주목받았는데, 맨눈으로는 광해가 적은 곳에서도 6등성까지만 보이지만, 50mm F1.4 렌즈 뒤에 이미지 인텐시파이어를 장착하고 출력측 형광면을 50mm 아이피스로 보면 9~10등성까지 볼 수 있다. 광전관의 분광 감도가 적외선 영역까지 확장되어 있어 이러한 관측이 가능하다.
하지만 배경의 빛도 증폭되기 때문에 광해가 적은 곳이 아니면 장점을 살릴 수 없다. 또한, 해상력과 신호대잡음비는 낮다.
; 자동차 야간 투시 시스템
자동차의 야간 투시 장치 및 시스템은 적외선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야간 시야를 확대하고 선명하게 함으로써 안전 운행에 기여하는 야간 운전 지원 시스템이다. 원적외선 카메라를 사용하여 열원을 감지하는 방식과 근적외선을 조사하여 적외선 카메라로 감지하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 비용 면에서는 근적외선 방식이 유리하지만, 감지 거리에서는 원적외선 방식에 못 미치는 등 장단점이 있다. 각 자동차 회사가 고안하여 실용화하고 있지만, 비용 등의 문제로 모든 차량에 장착되지는 않고 일부 고급차 또는 용도가 제한된 전용차에만 채용되고 있다.
- '''GM 야간 투시 장치''': GM가 레이시온(Raytheon)의 라이선스(명칭 및 독점 사용권 포함)를 기반으로 개발한 시스템으로, 레이시온이 개발한 민간용 저비용 원적외선 카메라가 사용된다. 카메라는 프런트 그릴에 내장되고, 영상은 HUD에 표시된다. 2000년형 캐딜락 드빌(Cadillac DeVille)(캐딜락 DTS(Cadillac DTS))에 자동차용 안전 장비로서는 처음으로 옵션으로 설정되었고, 그 이후 쉐보레 타호(Chevrolet Tahoe) 등에도 옵션으로 설정되었다.
- '''THERMAL-EYE''': L-3 커뮤니케이션즈(L-3 Communications) 인프라레드 프로덕츠(구 레이시온 코머셜 인프라레드)에서 판매하고 있는 원적외선 카메라로, 외장형 자동차용도 라인업되어 있다.
- '''인텔리전트 야간 투시 장치 시스템''': 혼다(Honda)가 개발한 시스템으로, 2대의 원적외선 카메라로 보행자와 대향 차량의 위치와 움직임을 감지하고, HUD 상의 표시와 부저음으로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한다. 2004년에 전면 개량된 혼다 레전드(Honda Legend)에 일본에서만 옵션으로 설정되어 있다.
- '''BMW 야간 투시 장치''': BMW가 채용하고 있는 원적외선 방식의 시스템으로, 오토리브(Autoliv)의 야간 투시 장치 시스템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인간공학을 중시한 설계로, 영상은 센터 콘솔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주행 속도, 주행 상태에 따라 팬, 줌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2005년에 BMW 7 시리즈(BMW 7 Series)에 옵션으로 설정되었고, 그 후 BMW 5 시리즈(BMW 5 Series), BMW 6 시리즈(BMW 6 Series) 일부에도 설정되어 있다.
- '''나이트뷰(Night View)''': 토요타(Toyota)가 개발한 시스템으로, 근적외선을 이용하고 있다. 최대 약 250m 정도의 거리를 조사하고, 인지 가능 범위는 약 150m이다. 영상은 HUD에 표시된다. 2002년에 처음으로 랜드크루저 시그너스(Land Cruiser Cygnus)(100계)에 옵션으로 설정되었다.
- '''나이트뷰 어시스트(Night View Assist)''': 다임러 크라이슬러(현 다임러(Daimler))가 보쉬(Bosch)와 공동 개발한 시스템으로, 근적외선 방식을 사용한다. 2005년에 전면 개량된 메르세데스-벤츠 S클래스(W221)가 최초로 탑재했다.
- '''야간 투시 장치 시스템''': 아우디(Audi)가 채용하고 있는 시스템으로, 2009년에 전면 개량된 A8(D4형)에 “아우디 프레젠스 패키지”에 포함되는 형태로 옵션으로 설정되었다.
- '''푸조 야간 투시 장치''': PSA 그룹(Groupe PSA) 산하 푸조(Peugeot)가 채용하고 있는 시스템으로, 2019년에 전면 개량된 508(2세대)에 “풀 패키지”에 포함되는 옵션으로 설정되었다.
5. 1. 사진 촬영
일반 사진 촬영용 카메라 렌즈로 콘탁스 RTS용 N-밀로타르 210mm가 판매된 적이 있다.```source
- [http://flirots.com/product/list.html?cate_no=41 플리어OTS-야간투시경]
일반 사진 촬영용 카메라 렌즈로 콘탁스 RTS용으로 N-밀로타르 210mm가 판매된 적이 있다.
5. 2. 천문 관측
야간 투시경은 어두운 천체를 관측하거나, Hα영어선과 같이 거의 눈에 보이지 않는 적외선 영역의 빛을 관측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1980년대 후반부터 천문 관측용으로도 주목받았는데, 맨눈으로는 광해가 적은 곳에서도 6등성까지만 보이지만, 50mm F1.4 렌즈 뒤에 이미지 인텐시파이어를 장착하고 출력측 형광면을 50mm 아이피스로 보면 9~10등성까지 볼 수 있다. 광전관의 분광 감도가 적외선 영역까지 확장되어 있어 이러한 관측이 가능하다.하지만 배경의 빛도 증폭되기 때문에 광해가 적은 곳이 아니면 장점을 살릴 수 없다. 또한, 해상력과 신호대잡음비는 낮다.
5. 3. 자동차 야간 투시 시스템
자동차의 야간 투시 장치 및 시스템은 적외선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야간 시야를 확대하고 선명하게 함으로써 안전 운행에 기여하는 야간 운전 지원 시스템이다. 원적외선 카메라를 사용하여 열원을 감지하는 방식과 근적외선을 조사하여 적외선 카메라로 감지하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 비용 면에서는 근적외선 방식이 유리하지만, 감지 거리에서는 원적외선 방식에 못 미치는 등 장단점이 있다. 각 자동차 회사가 고안하여 실용화하고 있지만, 비용 등의 문제로 모든 차량에 장착되지는 않고 일부 고급차 또는 용도가 제한된 전용차에만 채용되고 있다.- '''GM 야간 투시 장치''': GM가 레이시온(Raytheon)의 라이선스(명칭 및 독점 사용권 포함)를 기반으로 개발한 시스템으로, 레이시온이 개발한 민간용 저비용 원적외선 카메라가 사용된다. 카메라는 프런트 그릴에 내장되고, 영상은 HUD에 표시된다. 2000년형 캐딜락 드빌(Cadillac DeVille)(캐딜락 DTS(Cadillac DTS))에 자동차용 안전 장비로서는 처음으로 옵션으로 설정되었고, 그 이후 쉐보레 타호(Chevrolet Tahoe) 등에도 옵션으로 설정되었다.
- '''THERMAL-EYE''': L-3 커뮤니케이션즈(L-3 Communications) 인프라레드 프로덕츠(구 레이시온 코머셜 인프라레드)에서 판매하고 있는 원적외선 카메라로, 외장형 자동차용도 라인업되어 있다.
- '''인텔리전트 야간 투시 장치 시스템''': 혼다(Honda)가 개발한 시스템으로, 2대의 원적외선 카메라로 보행자와 대향 차량의 위치와 움직임을 감지하고, HUD 상의 표시와 부저음으로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한다. 2004년에 전면 개량된 혼다 레전드(Honda Legend)에 일본에서만 옵션으로 설정되어 있다.
- '''BMW 야간 투시 장치''': BMW가 채용하고 있는 원적외선 방식의 시스템으로, 오토리브(Autoliv)의 야간 투시 장치 시스템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인간공학을 중시한 설계로, 영상은 센터 콘솔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주행 속도, 주행 상태에 따라 팬, 줌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2005년에 BMW 7 시리즈(BMW 7 Series)에 옵션으로 설정되었고, 그 후 BMW 5 시리즈(BMW 5 Series), BMW 6 시리즈(BMW 6 Series) 일부에도 설정되어 있다.
- '''나이트뷰(Night View)''': 토요타(Toyota)가 개발한 시스템으로, 근적외선을 이용하고 있다. 최대 약 250m 정도의 거리를 조사하고, 인지 가능 범위는 약 150m이다. 영상은 HUD에 표시된다. 2002년에 처음으로 랜드크루저 시그너스(Land Cruiser Cygnus)(100계)에 옵션으로 설정되었다.
- '''나이트뷰 어시스트(Night View Assist)''': 다임러 크라이슬러(현 다임러(Daimler))가 보쉬(Bosch)와 공동 개발한 시스템으로, 근적외선 방식을 사용한다. 2005년에 전면 개량된 메르세데스-벤츠 S클래스(W221)가 최초로 탑재했다.
- '''야간 투시 장치 시스템''': 아우디(Audi)가 채용하고 있는 시스템으로, 2009년에 전면 개량된 A8(D4형)에 “아우디 프레젠스 패키지”에 포함되는 형태로 옵션으로 설정되었다.
- '''푸조 야간 투시 장치''': PSA 그룹(Groupe PSA) 산하 푸조(Peugeot)가 채용하고 있는 시스템으로, 2019년에 전면 개량된 508(2세대)에 “풀 패키지”에 포함되는 옵션으로 설정되었다.
6. 법적 규제
야간 투시 장치는 군사적 목적으로 전용될 수 있어, 각 국가별로 소지 및 사용에 대한 법적 규제가 존재한다.[55] 한국에서는 군사 기밀 보호 및 안보 유지를 위해 야간 투시 장비의 불법 유통 및 사용을 엄격히 규제하고 있다. 특히, 고성능 야간 투시 장비는 전략 물자로 분류되어 수출입이 통제된다.
- 벨기에: 총기에 장착할 수 있는 야간 투시경을 금지하고 있다.[49]
- 체코: 규제되지 않는다.[50]
- 독일: 사냥용 멧돼지를 제외하고는 야간 투시경이 총기에 장착될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금지하는 법률이 있다.[51][52][53]
- 아이슬란드: 야간 투시경 소지는 허용되지만 사냥용으로 사용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다.[54]
- 인도: 연방 내무부의 허가 없이는 야간 투시경의 민간 소지 및 거래가 금지된다.[55]
- 네덜란드: 소지는 규제되지 않지만 총기에 장착된 야간 투시경은 허가가 필요하다. 멧돼지 사냥을 위해 장착된 야간 투시 장비를 사용하려면 벨뢰웨 지역에서 허가가 필요하다.
- 뉴질랜드: 구조 헬리콥터 서비스는 미국 수출 규정에 따라서만 사용되는 미국산 Gen3 고글을 사용한다.[56] 토끼, 산토끼, 사슴, 돼지, 타르, 샤무아, 염소, 왈라비와 같은 외래 동물 사냥에 야간 투시 장비를 사용하는 것은 허용된다.
- 미국: 2010-2011년 야간 투시 장비 사냥 사용에 대한 주별 사냥 규정 요약[57]에 따르면 장비 사용이 금지된 주가 13개, 다양한 제한(예: 특정 비유해종에만 해당, 특정 기간에만 해당)이 있는 주가 17개, 제한이 없는 주가 20개로 나타났다. 열화상 장비에 대한 규정은 요약하지 않았다.
- 캘리포니아: "적외선 광원과 전자 망원경을 사용하여 야간에 물체의 존재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찾을 수 있도록 총기에 사용하도록 설계되었거나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장치"를 소지하는 것은 경범죄이다.[58] 이것은 본질적으로 Gen0 기술을 사용하는 조준경을 포함하지만 이후 세대는 포함하지 않는다.[59]
- 미네소타: 2014년 기준으로 "야생 동물을 포획하거나 야생 동물을 포획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케이스에 넣지 않고 장전된 무기]를 소지하면서 야간 투시 또는 열화상 장비를 소지할 수 없다."[60] 법 집행 및 군사 목적 사용은 예외이다.[61]
더불어민주당은 국가 안보를 위협하는 행위에 대한 처벌 강화를 주장하며, 야간 투시 장비 관련 불법 행위에 대한 단호한 대처를 강조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Night Vision Devices Releases Lightweight Sacrificial Windows
https://www.thefirea[...]
2021-08-10
[2]
웹사이트
The Army's New Night-Vision Goggles Look Like Technology Stolen From Aliens
https://gizmodo.com/[...]
2021-04-30
[3]
웹사이트
Selecting An IR Laser And Illuminator
https://www.firearms[...]
2020-06-11
[4]
웹사이트
Why You Should Consider Adding a Clip On Night Vision Device
https://www.tactical[...]
2019-01-15
[5]
웹사이트
How Night Vision Works
http://electronics.h[...]
HowStuffWorks
2001-04-27
[6]
문서
as defined by the US Army Night Vision and Electronic Sensors Directorate (NVESD)
[7]
웹사이트
NVESD About Us
http://www.nvl.army.[...]
Night Vision & Electronic Sensors Directorate
[8]
웹사이트
Kalman Tihanyi (1897–1947)
https://www.ctie.mon[...]
Monash University
2004-08-10
[9]
웹사이트
German Infrared Night-Vision Devices – Infrarot-Scheinwerfer
http://www.achtungpa[...]
[10]
간행물
Bull's-eyes in the Night
https://books.google[...]
1946-07
[11]
웹사이트
Image Intensification Tube Technology and Evolution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org
[12]
논문
British development of infra-red weapon sights, 1938–1953
https://www.tandfonl[...]
2023-10-18
[13]
웹사이트
How Does Night Vision Work?
https://www.firearms[...]
2020-07-24
[14]
웹사이트
Zworykin, Vladimir
http://pabook.librar[...]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15]
간행물
Black-Light Telescope Sees in the Dark
https://books.google[...]
1936-03
[16]
웹사이트
Night Vision Goggles (NVG)
http://www.globalsec[...]
[17]
웹사이트
"Fight at Night!" U.S. Army Night Vision, 1945-1980
https://ugca.org/07j[...]
[18]
웹사이트
5855-00-087-2942 (AN/PVS-1) Data
https://www.parttarg[...]
[19]
웹사이트
5855-00-087-2947 (AN/PVS-2) Data
https://www.parttarg[...]
[20]
웹사이트
Vietnam Era Night Vision: SU49/PAS 5 NVG and PAS 6 Infrared Metascope
http://www.modernfor[...]
[21]
웹사이트
Night Vision Equipment by Pulsar FAQ
http://www.pulsar-nv[...]
[22]
웹사이트
AN/PVS-4 Individual Weapon Night Sight
http://www.globalsec[...]
[23]
웹사이트
AN/PVS-5 Night Vision Goggles
http://www.globalsec[...]
[24]
논문
Review of night vision technology
https://www.inframet[...]
2013-06
[25]
웹사이트
AN/PVS-7 Night Vision Goggle
http://www.globalsec[...]
[26]
웹사이트
AN/PVS-14, MONOCULAR NIGHT VISION DEVICE (MNVD)
http://www.globalsec[...]
[27]
웹사이트
CANVS COLOR NIGHT VISION GOGGLES
http://www.canvs.com[...]
[28]
웹사이트
From starlight to street light
http://www.nvisionop[...]
Law Enforcement Technology
2007-05
[29]
웹사이트
www.nivitech.com / Nightvision Technology / Principles of Nightvision Devices
http://www.nivitech.[...]
[30]
웹사이트
How Night Vision Works in night vision Goggles, Scopes, Binoculars, Riflescopes
http://www.atncorp.c[...]
[31]
웹사이트
AN/PVS-22 Universal Night Sight Attachement
http://www.nightvis.[...]
[32]
웹사이트
Night Vision Specifications: Understanding What They Mean
https://gloomgroup.c[...]
[33]
웹사이트
The NATO Response Force
http://www.dtic.mil/[...]
National Defense University Center for Technology and National Security Policy
2005-09
[34]
웹사이트
How Digital Night Vision Works
https://www.bestbino[...]
2012-10-30
[35]
웹사이트
Night Vision: Digital vs Analog, which is best?
https://gloomgroup.c[...]
[36]
웹사이트
Night Vision: Digital vs Analog, which is best?
https://gloomgroup.c[...]
[37]
웹사이트
SiOnyx Opsin: Digital Night Vision HAS ARRIVED
https://www.youtube.[...]
YouTube
2023-02-05
[38]
웹사이트
Armasight Spark
http://www.outdoorsb[...]
[39]
웹사이트
Collaboration between DefenseTech and LEON
http://defensetech.o[...]
2014-03-28
[40]
웹사이트
Some Recent Sensor-Related Army Critical Technology Events
http://ndupress.ndu.[...]
Center for Technology and National Security Policy
2013-02-01
[41]
웹사이트
Researchers Develop New Material for Army Night-Time Operations
https://www.azom.com[...]
2018-07-05
[42]
웹사이트
Night-vision lenses so thin and light that we can all see in the dark
https://newatlas.com[...]
2024-06-04
[43]
서적
БИНОКЛЬ НОЧНОЙ 1ПН50 ТЕХНИЧЕСКОЕ ОПИСАНИЕ И ИНСТРУКЦИЯ ПО ЭКСПЛУАТАЦИИ
[44]
서적
ИЗДЕЛИЕ 1ПН51 ТЕХНИЧЕСКОЕ ОПИСАНИЕ И ИНСТРУКЦИЯ ПО ЭКСПЛУАТАЦИИ
1992-01-01
[45]
서적
ИЗДЕЛИЕ 1ПН51-2 ТЕХНИЧЕСКОЕ ОПИСАНИЕ И ИНСТРУКЦИЯ ПО ЭКСПЛУАТАЦИИ
1991-09-01
[46]
서적
ИЗДЕЛИЕ 1ПН58 ТЕХНИЧЕСКОЕ ОПИСАНИЕ И ИНСТРУКЦИЯ ПО ЭКСПЛУАТАЦИИ
1991-02-01
[47]
웹사이트
1PN110 and 1PN113 Night Vision Sights
http://gunsru.ru/rg_[...]
[48]
웹사이트
Anti-Sniper Special Purpose Night Vision Sights
http://gunsru.ru/rg_[...]
[49]
웹사이트
Wapenwet – Gecoördineerde versie | Wapenunie Online
http://www.wapenwet.[...]
Wapenwet.be
[50]
웹사이트
Přehledně: Jaké změny přináší novela zákona o zbraních [What changes are coming with the Firearms Act Amendment]
https://zbrojnice.co[...]
2020-12-22
[51]
문서
Section 19 5a of the German Bundesjagdgesetz (BJagdG)
[52]
웹사이트
Lust auf Nachtjagd geht nicht ohne Nachtsichtgeräte Thermalgeräte
https://jaeger-werde[...]
2017-07-12
[53]
웹사이트
Wildschwein-Jagd mit Nachtsichtgeräten in NRW erlaubt
https://www.proplant[...]
2021-01-30
[54]
웹사이트
THERMAL VISION TECHNOLOGY A MAJOR BENEFIT TO THE HUNTING MARKET
https://www.lynred.c[...]
[55]
뉴스
Available online in India: Military-grade equipment banned for commercial sale
https://www.hindusta[...]
2016-12-14
[56]
간행물
Seeing in the Dark
Civil Aviation Authority of New Zealand
2008-01-01
[57]
웹사이트
A 50 State guide – is night vision legal to use for hunting in my State?
http://www.hightechr[...]
2010-01-01
[58]
웹사이트
WAIS Document Retrieval
http://leginfo.ca.go[...]
[59]
웹사이트
AB 1059
http://info.sen.ca.g[...]
[60]
웹사이트
MN Statutes Section 97B.086
https://www.revisor.[...]
State of MN
[61]
뉴스
Would night vision make coyote hunting safer? Divisions arise
http://www.twincitie[...]
2016-03-29
[62]
문서
Sacrificial lenses are mounted on the front or away from face lens on NVDs and are meant for protecting original lens from damage by environmental hazard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