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경기관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기관총은 중기관총보다 작은 구경의 소총탄을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해당 군의 표준 돌격소총이 사용하는 중간탄과 같은 탄약을 사용한다. 경기관총은 사양뿐만 아니라 용도에 의해서도 정의되며, 삼각대에 설치되어 지속적인 사격에 사용되는 경우 중기관총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프랑스군에 의해 처음 실전 배치되었으며, 이후 각국에서 다양한 경기관총이 개발되었다. 현대에는 분대 화력 지원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탄창, 탄띠, 드럼탄창 등 다양한 급탄 방식을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관총 - 다목적 기관총
    다목적 기관총은 다양한 전장에서 여러 역할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기관총으로, MG34 개발을 통해 개념이 등장한 이후 각국에서 다양한 모델이 개발되었으며, 현대에도 기술 발전이 지속되고 있다.
  • 기관총 - 중기관총
    중기관총은 강력한 소총탄 또는 최소 12mm 구경의 대구경 탄약을 사용하여 장거리에서 지속적인 자동 사격이 가능한 기관총으로, 차량, 건물, 항공기 등에 대한 높은 사거리, 관통력, 파괴력을 제공하며, 현대에는 장갑차량 부무장, 군용 차량, 군함의 자위용 무장, 보병 지원 화력, 드론 방어 수단 등으로 널리 활용된다.
  • 경기관총 - 루이스 경기관총
    루이스 경기관총은 아이작 뉴턴 루이스 대령이 개발한 가스 작동식 경기관총으로, 알루미늄 방열판과 판형 탄창이 특징이며, 다양한 전투에서 사용되었고, 최초의 항공기 탑재 기관총으로도 기록되었으나, 신뢰성과 탄약 공급 문제로 후발 기관총에 비해 평가가 다소 낮았다.
  • 경기관총 - RPK
    RPK는 AKM을 기반으로 긴 총열과 강화된 부품을 갖춘 소련의 경기관총으로, 다양한 탄창을 사용해 긴 사거리와 지속적인 사격 능력을 제공하며 여러 파생 모델과 각국 생산 모델이 존재한다.
경기관총

2. 정의

경기관총은 초기에는 전탄약 소총탄을 사용했지만, 현대에는 중기관총보다 작은 구경의 소총탄을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해당 군의 표준 돌격소총이 사용하는 중간탄과 같다.[2] 러시아의 RPK처럼 일부 경기관총은 기존 설계를 수정한 것으로, 같은 탄약을 사용하도록 설계되었다. 이러한 개조는 일반적으로 더 큰 탄창,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더 무거운 총열, 지속적인 사격을 지원하기 위한 더 견고한 기구, 그리고 양각대를 포함한다.

경기관총은 사양뿐만 아니라 용도에 의해서도 정의된다. 일부 기관총은 경기관총이나 중기관총으로 배치될 수 있는데, 삼각대에 설치되어 지속적인 사격에 사용되는 경우 중기관총이고, 양각대를 사용하여 사수가 엎드린 자세로 단발 사격을 하는 경우 경기관총이다.

경기관총은 또한 적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압 사격의 한 형태로서 엉덩이에서 사격하거나 이동하면서 사격하도록 설계되었다. 행군 사격은 이러한 기능에 의존하는 특정 전술이다. 더 가벼운 현대식 경기관총은 화력반 수준까지 배치될 수 있게 되었다.

에서는 현대적인 기관총을 세 그룹으로 나누고, 그중 경기관총에 대해 "분대지원화기는 양각대를 갖추고 1명의 병사가 운용한다. 일반적으로 상자형 탄창을 갖추고, 그 군대에 배치된 돌격소총과 같은 소구경 중간 위력의 탄약을 사용한다."라고 설명하고 있다.[2]

미국 해병대에서는 경기관총 분류에 일반적으로 .22-.250구경(5.45mm-6mm) 자동화기가 포함된다고 설명한다. 전형적인 경기관총의 총중량은 약 6.8kg~13.6kg 정도이며,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부속품에 따라 1명 또는 2명의 병사가 운용한다. 일반적으로 1명이 운용하는 경우, 삼각대나 예비 총열은 사용하지 않는다. 경기관총에 사용하는 탄두의 무게는 약 2.9g~4.7g 정도이며, 노출되거나 가볍게 보호된 인원을 1,100m 이내에서 공격하는 데 적합하다고 설명하며, 예로 M249 경기관총을 들고 있다.[3]

일본 방위성의 『방위성 규격 화기 용어(소화기)』에서는 “소총과 동일한 탄약을 사용하는 비교적 가벼운 기관총”으로 정의하고 있다.[4]

3. 역사

1903년, 프랑스 군사 이론가들은 당시의 중기관총이 보병 돌격에 거의 효용이 없다는 것을 알아챘다. 그들은 "기관총이 걸어 다닐 수 있어야 한다"고 판단했다.[1] 그들은 부대가 휴대할 수 있는 경기관총의 가능성을 연구했다. 진격하는 부대가 무작위로 발사되는 총알보다 더 치명적인 위협이 되어 적이 후퇴하게 만드는, 부수적인 억제 사격을 사용하는 행군 사격 전술이 이론화되었다. 시제품 총은 생산 승인을 받지 못했고, 제1차 세계 대전이 시작될 때까지 실전 배치된 것은 없었다.[1] 프랑스는 진격하는 보병의 화력을 증강하기 위해 시제품을 신속하게 대량 생산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프랑스군은 공격적인 운용을 위한 경기관총으로 FM mle 1915 경기관총을 솜므 전투에서 본격적으로 사용했다.

3. 1. 기관총의 보급과 경기관총의 등장

초기 기관총은 중기관총으로 분류되며, 요새진지 방어에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무겁고 운반이 어려워 공격에는 부적합했다. 러일전쟁에서 기관총의 위력이 입증되었지만, 탄약 보급 문제 등으로 적극적인 장비화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참호전이 전개되면서 기관총의 중요성이 커졌다. 기관총은 단 한 정만으로도 여단 규모의 돌격을 저지할 수 있을 정도로 강력하여, 전선 교착의 주요 원인이 되었다.

기관총 사격 속에서 보병 공격 시, 집단 전진은 큰 피해를 초래하므로 부대를 세분화하고 분산시켜 전진해야 했다. 이러한 분산 대형에서는 보병의 돌격에 의한 전투력 저하를 보완하기 위해, 보병 부대에 기관총 배치가 필요했다. 기존 중기관총은 무거워 공격에 부적합했으므로, 공격 부대와 함께 전진 가능한 경량 기관총, 즉 경기관총이 등장했다.

최초의 경기관총은 마드센 기관총이나, 러시아 제국 육군기병용으로 채용했다. 공격적인 운용을 위한 경기관총으로는 프랑스군의 FM mle 1915 경기관총이 시초이며, 솜므 전투에서 본격적으로 사용되었다. 영국군루이스 경기관총을, 독일 육군은 MG08 중기관총을 기반으로 개량한 MG08/15를 장비했다.

경기관총의 등장으로, 공격 시 경기관총 중심, 방어 시 중기관총 중심으로 하는 현대 보병 소부대 전투의 기본 전술이 형성되었다.

3. 2. 경기관총의 발전과 다목적 기관총의 등장

제1차 세계 대전 중, 프랑스 군사 이론가들은 "기관총이 걸어 다닐 수 있어야 한다"고 판단하고, 부대가 휴대 가능한 경기관총의 가능성을 연구했다.[1] 그들은 진격하는 부대가 무작위 사격보다 더 치명적인 위협이 되어 적을 후퇴시키는, 부수적인 억제 사격을 사용하는 행군 사격 전술을 이론화했다.[1]

전쟁 이후, 각국에서 본격적인 경기관총 개발이 시작되었다. 미국의 브라우닝 M1918A1을 시작으로, 일본의 십일년식 경기관총, 프랑스의 FM mle 1924/29 경기관총, 소련의 DP-28 경기관총 등이 개발되었다. 체코슬로바키아의 브르노 ZB26 경기관총은 "무고장 기관총"으로 명성이 높았으며, 여러 국가에서 라이선스 생산되었다. 영국의 브렌 경기관총은 빅커스 중기관총을 부분적으로 대체하기도 했다.

독일의 MG34는 부속품 및 부품 변경을 통해 경기관총, 중기관총, 대공 기관총, 차량 탑재 기관총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한 다목적 기관총이었다. 이는 베르사유 조약에 따른 중기관총 보유 금지 제한을 회피하는 동시에 효율적인 설계였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육군은 MG34를 경기관총과 중기관총으로 모두 사용했다. MG42는 프레스 가공을 통해 생산 비용을 절감하여 생산 측면에서도 획기적인 무기였다.

중기관총으로서 삼각대에 설치된 MG34와 경기관총으로서 이족대에 설치된 MG34

3. 3. 다목적 기관총의 보급과 경기관총의 재조명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서방 국가들은 독일군의 영향을 받아 보병 분대 화기를 돌격소총기관총으로 통합하고 경기관총을 폐지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반면, 동구권에서는 기관총을 중대급 장비로 유지하고, 분대급 경기관총도 별도로 유지했다. 1953년에는 RPD 경기관총을 도입하고, 1961년부터는 AKM 소총을 기반으로 개발된 RPK 경기관총으로 전환했다.

베트남 전쟁에서 미군M60 기관총만을 장비했지만, 무게와 부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이러한 경험으로 미군은 경기관총의 중요성을 재인식했고, 1970년대에는 분대 지원 화기(SAW) 계획을 시작하여, 1986년에는 미니미 경기관총을 M249 경기관총으로 채용했다.

2001년 아프가니스탄 전쟁 이후, 장거리 교전이 빈번해지면서 5.56mm 탄의 유효 사거리 문제가 제기되었다. 영국군은 L7 기관총을, 미군은 M240B/L을 분대급에서 사용하게 되었다. 미 해병대는 H&K HK416 기반의 M27 IAR을 장비했지만, 지속 사격 능력 부족 문제가 있어 M249를 완전히 대체하지는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국군K3 기관총, K15 기관총 등의 경기관총과 더불어 K16 기관총, K12 기관총 등의 다목적 기관총을 함께 운용하며 분대 및 소부대 화력을 강화하고 있다.

M249 경기관총

4. 특징

현대 경기관총은 보통 중기관총보다 작은 구경의 소총탄을 사용하며, 일반적으로는 해당 군의 표준 돌격소총이 사용하는 중간탄과 같다. 그리고 대개 더 가볍고 소형이다. 러시아의 RPK처럼 일부 경기관총은 기존 설계를 수정한 것으로, 같은 탄약을 사용하도록 설계되었다. 원래 소총에 대한 개조는 일반적으로 더 큰 탄창,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더 무거운 총열, 지속적인 사격을 지원하기 위한 더 견고한 기구, 그리고 양각대를 포함한다.

경기관총은 사양뿐만 아니라 용도에 의해서도 정의된다. 특히 다목적 기관총처럼 일부 기관총은 경기관총이나 중기관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삼각대에 설치되어 지속적인 사격에 사용되는 경우 중기관총이고, 양각대를 사용하여 사수가 엎드린 자세로 단발 사격을 하는 경우 경기관총이다.

경기관총은 또한 적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압 사격의 한 형태로서 엉덩이에서 사격하거나 이동하면서 사격하도록 설계되었다. 행군 사격은 이러한 기능에 의존하는 특정 전술이다.

더 가벼운 현대식 경기관총은 분대 수준에서 2~3정을 배치할 수 있도록, 화력반 수준까지 배치될 수 있게 되었다.

4. 1. 탄약 급탄 방식

초기 경기관총은 브렌 경기관총 또는 M1918 브라우닝 자동소총처럼 탄창식인 경우가 많았다. 핫치키스 M1922과 같이 탄띠/급탄대 또는 박스탄창으로 급탄될 수 있는 경기관총도 있었다. 현대 경기관총은 더 작은 구경의 탄약을 발사하도록 설계되었으며, 탄약통에서 탄띠로 급탄되거나 분리 가능한 대용량 드럼탄창으로 급탄되는 경향이 있다. FN 미니미처럼 탄띠 탄약이 소진되었을 때 보조 수단으로 표준 소총 탄창으로 급탄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5. 주요 경기관총

다음은 경기관총, 경기관총 파생형, 특정 개조를 통해 경기관총 역할을 하는 무기들 목록이다.

모델원산국설계 연도구경무게 (기본 모델)급탄 방식발사 속도 (발/분)변형 모델
마드센 기관총1883년다양함9.07 kg박스 탄창450
쇼샤 기관총1907년8mm 르벨
.30-06 스프링필드
9.07 kg탄창240/360M1918 CSRG 쇼샤(미국)
핫치키스 M1909 베네-메르시
1909년8mm 르벨
.303 브리티시
.30-06 스프링필드
12 kg스트리퍼 클립 급탄400–600
베르크만 MG15 nA 기관총1910년7.92×57mm 마우저12.9 kg벨트 급탄500–600
빅커스-베르티에 기관총
1910년.303 브리티시11.07 kg박스 탄창450–600
루이스 기관총
1911년.303 브리티시
.30-06 스프링필드
7.92×57mm 마우저
13 kg드럼 탄창600
위오 자동소총1916년.303 브리티시5.9 kg드럼 탄창155/475
M1918 브라우닝 자동소총1917년.30-06 스프링필드
6.5×55mm
7.92×57mm 마우저
8.8 kg박스 탄창650Wz. 1928 (폴란드)
핫치키스 M19221922년다양함8.5 kg탄창450
십일식 경기관총1922년6.5×50mm 아리사카10.2 kg스트리퍼 클립 급탄, 호퍼 탄창500
ZB vz. 261923년7.92×57mm 마우저10.5 kg박스 탄창500
FM-24/291924년7.5×54mm 프랑스9.1 kg박스 탄창450
막심-토카레프1924년7.62×54mmR12.9 kg벨트 급탄
Lmg 251925년7.5×55mm 스위스8.65 kg박스 탄창≈500
라티-살로란타 M/261925년7.62×53mmR9.3 kg탄창450–550
데그차레프 기관총1927년7.62×54mmR9.12 kg드럼 탄창550
멘도사 RM21928년7×57mm 마우저
.30-06 스프링필드
6.3 kg박스 탄창450–650
브레다 301930년6.5×52mm 만리히-카르카노10.6 kg스트리퍼 클립 급탄, 내장 탄창500
ZB vz. 301930년7.92×57mm9.1 kg박스 탄창550–650
브렌1935년.303 브리티시10.35 kg박스 탄창500–520
구육식 경기관총1936년6.5×50mm 아리사카9 kg박스 탄창450
구구식 경기관총1939년7.7×58mm 아리사카10.4 kg박스 탄창800
RPK1960년7.62×39mm4.8 kg드럼 혹은 박스 탄창600RPK-74, RPK-16
스토너 631960년대5.56×45mm NATO5.3 kg드럼 혹은 박스 탄창1000
콜트 자동소총1970년대5.56×45mm NATO5.78 kg드럼 혹은 박스 탄창750디에마코 LSW (캐나다)
L86 LSW1970년대5.56×45mm NATO6.58 kg박스 탄창775
FN 미니미1974년5.56×45mm NATO (표준)
*7.62×51mm NATO
6.85 kg벨트 급탄 또는 박스 탄창1150M249 분대 자동화기 (미국)
MK 46 기관총 (미국)
CETME 아멜리1974년5.56×45mm NATO5.3 kg벨트 급탄1200MG82 (스페인)
얼티맥스 1001977년5.56×45mm NATO4.75 kg드럼 혹은 박스 탄창600
슈타이어 AUG H-BAR1977년5.56×45mm NATO3.9 kg박스 탄창750
IWI 네게브1985년5.56×45mm NATO7.4 kg벨트 급탄 또는 탄창1150
네게브 NG72012년7.62×51mm NATO7.9 kg벨트 급탄 또는 탄창
헤클러&코흐 MG41990년대5.56×45mm NATO8.55 kg벨트 급탄885
헤클러&코흐 MG361990년대5.56×45mm NATO3.83 kg드럼 혹은 박스 탄창750
INSAS 경기관총1990년대5.56×45mm NATO6.7 kg박스 탄창650
SAR-21 경기관총1996년5.56×45mm NATO3.82 kg박스 탄창650
아레스 슈라이크 5.562000년대5.56×45mm NATO3.4 kg벨트 급탄 또는 탄창800
81식 경기관총1981년7.62×39mm5.15 kg75발 드럼 또는 30발 STANAG750BD-15 경기관총 (방글라데시)
M27 IAR2008년5.56×45mm NATO3.6 kg드럼 혹은 박스 탄창640
QJB-951997년5.8x42mm3.25 kg60발900
콜트 IAR69402008년5.56×45mm NATO4.32 kg드럼 혹은 박스 탄창700콜트 6940E-SG (싱가포르)
RPD1944년7.62×39mm7.5 kg벨트 급탄650



; 미국


  • 브라우닝 M1918
  • * 브라우닝 wz.1928 - 폴란드에서 라이선스 생산된 형식
  • 존슨 M1941
  • * 드롤 - 이스라엘에서 라이선스 생산된 형식
  • M16 LSW
  • XM250

; 영국
; 이스라엘
; 이탈리아 왕국

  • 브레다 M30

; 싱가포르

  • 울티맥스 100

; 스위스

  • SIG KE7

; 스페인

  • 세토메 아메리

; 소비에트 연방
;

  • K3

; 일본 제국

  • 십일년식 경기관총
  • 구육식 경기관총
  • 구구식 경기관총

; 체코슬로바키아
;

  • 마드센

; 서독/ 독일
;

  • 라흐티-살로란타 M/26

; 프랑스

  • 쇼샤 FM mle 1915
  • 호치키스 Mle 1922
  • 샤텔로 FM mle 1924/29

; 벨기에

  • FALO
  • FN 미니미
  • * M249 - 미군 사양
  • * Mk 48 - 미국 특수작전군 사양

; 멕시코

  • 멘도사 C-1934


인도산 초기 INSAS 경기관총.


참조

[1] 웹사이트 Fusil mitrailleur Chauchat. FM modèle 1915 C.S.R.G. http://www.mitraille[...] mitrailleuse.fr 2011-12-18
[2] 웹사이트 Machine gun https://www.britanni[...] britannica.com 2021-04-23
[3] 웹사이트 MCWP 3-15.1 Machine Guns and Machine Gun Gunnery https://www.marines.[...] U.S. Marine Corps 2021-04-23
[4] 웹사이트 防衛省規格 火器用語(小火器) https://www.mod.go.j[...] 防衛省 2021-04-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