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포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대(battery)는 역사적으로 대포, 곡사포, 박격포 등의 집합체를 의미했으며, 전투나 공성전, 해안 또는 국경 방어 요새에 사용되었다. 18세기에는 포병 부대의 조직 용어로 사용되기 시작하여, 19세기 후반에는 중대 또는 소대를 대체하는 표준 용어가 되었다. 현대에는 중대급 규모의 포병 부대를 의미하며, 야전, 방공, 대전차, 해안 방어 등 다양한 형태로 운용된다. NATO 회원국에서는 포병 중대 규모의 부대를 포대라고 부르며, 군함에서는 주포, 부포 등의 함포 집합체를 의미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요새 - 리바트
    리바트는 이슬람 세계 방어를 위한 국경 전초 기지에서 유래하여 수피교 중심지, 신비주의자 피난처를 거쳐 현대 지하디 단체에서도 사용되는 용어로, 일부는 대상 숙소나 수피 여성 수도원으로 기능한다.
  • 요새 - 성채
    성채는 감시, 피난, 요새 등의 다양한 목적을 수행하며 군사적, 사회적으로 중요한 공간으로 기능해 온 건축물이다.
  • 대포 - 평사포
    평사포는 낮은 탄도로 목표를 직접 타격하는 화포로, 높은 초속과 긴 사거리를 가지며 움직이는 목표물에 대한 명중률이 높지만, 엄폐물 뒤의 목표물은 공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어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참호전의 양상 변화에 따라 보병 지원용으로 개발되어 현대에는 특수한 환경에서 활용되며 발전하고 있다.
  • 대포 - AN/TPQ-37 파이어파인더
    AN/TPQ-37 파이어파인더는 적 포탄 발사 위치를 탐지하는 대포병 레이더 시스템으로, 전자식 조향 레이더를 사용하여 궤도를 역추적, 발사 지점을 계산하여 아군 포병의 대포병 사격을 지원하며, ROCS 업그레이드를 통해 성능이 향상되었고 대한민국 국군도 운용 중이다.
포대
포병 부대 규모 지정
유형포병 부대
규모중대
병력 수보통 6~12문
지휘관포대장 (대위 또는 소령)
어원
유래초기 포병 부대 운용 방식
포대 의미함께 묶여 운용되는 포들의 집합
설명
역할근접 지원
화력 지원
적 제압
현대적 의미자체적인 화력 지원 수행 가능한 최소 단위
독립적인 작전 수행 가능한 단위
구성포반 (gun section)
사격 통제반 (fire control section)
보급반 (supply section)
정비반 (maintenance section)
각국별 편제
대한민국 육군6~8문
K9 자주곡사포 운용 시 6문
미국 육군6문
과거 8문

2. 역사적 배경

"포대(battery)"라는 용어는 역사적으로 전투 중 임시 야전 위치나 요새, 도시 공성전에서 함께 운용되는 대포들의 집합체를 가리켰다.[1] 18세기부터 평시 및 전시 포병 부대의 조직 용어로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19세기 후반에는 중대 또는 소대를 대체하여 표준 용어가 되었다.[1]

나폴레옹 전쟁 당시 일부 군대는 포병대를 더 큰 행정 및 현장 부대로 그룹화했는데, 나폴레옹은 이를 '대포병대'라고 불렀다.[4] 행정적으로 포병대는 대대, 연대 또는 기병대로 그룹화되었으며, 이는 전술적 조직으로 발전했다.[5] 이들은 다시 연대, "그룹" 또는 여단으로 그룹화되었는데, 포병 부대로만 구성되거나 합동병과로 구성될 수 있었다.[5] 제1차 세계 대전부터 일부 군대에서는 포병대를 "포병 사단"으로 그룹화하여 화력을 집중시키기도 했다.[5] 해안포병은 해안 방어 구역 지역을 기반으로 다른 조직 용어를 사용하기도 했다.[5]

포병대는 하위 부서를 가졌는데, 군대와 시대에 따라 달랐지만 영어로는 "소대" 또는 "분대"로 번역되었다.[6] 개별 무기 체계는 "분대" 또는 "소분대"라고 하며, 분대는 2문의 포를 포함했다.[6] 포병대장의 계급은 다양했지만, 일반적으로 중위, 대위 또는 소령이었다.[7]

19세기에는 포병대에 4문에서 12문의 포를 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8] 미국 남북 전쟁 당시 포병대는 북군의 경우 6문, 남군의 경우 4문의 야포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았지만, 이는 다양했다.[9] 포병대는 2문의 포로 구성된 분대로 나뉘었고, 각 분대는 일반적으로 중위가 지휘했으며, 포병대 전체는 보통 대위가 지휘했다.[9]

20세기에는 야전 포병의 경우 4문에서 12문(박격포의 경우 16문까지), 매우 무거운 포의 경우 2문으로 다양했다. 대전차포나 대공포와 같은 다른 유형의 포병은 때때로 더 큰 규모였다. 일부 포병대는 두 가지 유형의 포나 박격포를 갖추고 작전에 더 적합한 것을 선택했다.[10] 19세기 후반부터 야전 포병대는 더 복잡해졌는데, 탄약 운반을 위한 추가 마차가 필요했고, 20세기 초 간접 사격의 도입으로 관측병과 계산을 수행하는 참모, 통신병 등이 필요하게 되었다.[11]

2. 1. 초기 역사

역사적으로 '포대(battery)'라는 용어는 전투 중에 임시 야전 진지나 요새, 도시 공성전에서 함께 운용되는 대포, 곡사포, 박격포 등의 집합체를 의미했다.[1] 공성전에는 포위된 장소 주변의 여러 지점에 많은 포대가 포함될 수 있었다.[1] 18세기 동안 '포대'는 평화 시와 전시의 포병 부대를 가리키는 조직 용어로 사용되기 시작했지만, 기병 포병은 '중대(troop)', 고정 위치 포병은 '소대(company)'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했다.[1] 이들은 보통 6~12문의 대포와 곡사포로 구성되었다.[1] 19세기 후반까지 '포대'는 중대나 소대를 대체하는 표준 용어가 되었다.[1]

나폴레옹 전쟁 당시 일부 군대는 포병대를 더 큰 행정 및 야전 부대로 묶기 시작했다.[4] 나폴레옹은 야전 전투 배치를 위해 결합된 포병대 그룹을 '대포병대'라고 불렀다.[4]

행정적으로 포병대는 대대, 연대 또는 기병대로 묶였으며, 이는 전술적 조직으로 발전했다.[5] 이들은 다시 연대, '그룹' 또는 여단으로 묶였는데, 이들은 포병 부대로만 구성되거나 합동병과로 구성될 수 있었다.[5] 제1차 세계 대전부터 일부 군대에서는 포병대의 화력을 집중시키기 위해 '포병 사단'으로 묶기도 했다.[5] 해안포병은 해안 방어 구역 지역을 기반으로 다른 조직 용어를 사용하기도 했다.[5]

포병대는 하위 부대를 가졌는데, 이는 군대와 시대에 따라 달랐지만, 영어로는 '소대(platoon)' 또는 '분대(troop)'로 번역되었다.[6] 개별 무기 체계는 '분대(section)' 또는 '소분대(sub-section)'라고 불렸으며, 분대는 2문의 포를 포함했다.[6] 포병대장의 계급은 다양했지만, 보통 중위, 대위 또는 소령이었다.[7]

조직된 포병대의 포, 곡사포, 박격포 또는 발사기의 수도 다양했으며, 포의 구경이 중요한 고려 사항이었다.[8] 19세기에는 4문에서 12문이 일반적이었다.[8] 19세기 후반, 산악 포병대는 포병 진지와 탄약 진지로 나뉘었다.[8] 포병 진지는 6문의 포(포당 당나귀 5마리)와 12마리의 탄약 운반 당나귀로 구성되었다.[8]

미국 남북 전쟁 당시 포병대는 북군은 6문, 남군은 4문의 야포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았지만, 이는 다양했다.[9] 포병대는 2문의 포로 구성된 분대로 나뉘었고, 각 분대는 보통 중위가 지휘했다.[9] 포병대 전체는 보통 대위가 지휘했다.[9] 전쟁이 진행됨에 따라 개별 포병대는 포병 소령 또는 대령의 지휘 아래 대대로 묶이기도 했다.[9]

20세기에는 야전 포병의 경우 4문에서 12문(박격포의 경우 16문까지), 매우 무거운 포의 경우 2문으로 다양했다.[10] 대전차포나 대공포와 같은 다른 유형의 포병은 때때로 더 큰 규모였다.[10] 일부 포병대는 두 가지 유형의 포나 박격포로 '이중 장비'되어 작전에 더 적합한 것을 선택했다.[10]

19세기 후반부터 야전 포병대는 더 복잡해졌다.[11] 각 포는 탄약함에 약 40발만 운반할 수 있었기 때문에, 포병대에 추가적인 마차가 필요했다.[11] 일반적으로 포당 약 2대였다.[11] 20세기 초 간접 사격의 도입으로, 포병 진지보다 앞쪽에 배치되는 관측병과 관측병의 명령을 포 조준기에 설정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하는 계산을 수행하는 포진의 소규모 참모가 필요하게 되었다.[11] 이는 통신병의 필요성으로 이어졌고, 분산된 포병대의 화력을 집중시킬 필요성과 포병대 위의 포병 사령부에 화력 통제 참모를 배치함에 따라 더욱 증가했다.[11]

2. 2. 근대

크로포즈번, 다운주, 북아일랜드의 해안 포대


18세기 동안 "포대"는 평화와 전쟁 중 포병의 영구적인 부대에 대한 조직 용어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기병 포병은 때때로 "중대(troop)"를, 고정 위치 포병은 "소대(company)"를 사용하기도 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6~12문의 대포, 종종 대포와 곡사포를 포함하여 편성되었다. 19세기 후반까지 "포대"는 중대 또는 소대를 대체하여 표준이 되었다.[1]

2. 3. 현대

20세기에는 야전, 방공, 대전차, 위치(해안 및 국경 방어)를 포함한 포병 부대의 중대급 하부 부대에 대해 일반적으로 포대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1] 20세기 포대는 박격포, 대포, 곡사포, 로켓 및 미사일을 장착했다.

NATO 회원국에서는 포병 중대 규모의 부대를 일반적으로 "포대(battery)"라고 부른다. NATO는 중대를 "소대보다 크고 대대보다 작은" 부대로 정의하며, "통상 같은 유형의 두 개 이상의 소대로 구성되며, 사령부와 제한적인 자체 지원 능력을 갖춘 부대"라고 한다.[2] 중대를 나타내는 표준 NATO 군사 상징체계 기호는 부대 기호가 있는 프레임 위에 단일 수직선을 배치하는 것이다.[2]

NATO 회원국 군대에서 포대 명칭
미국[3]Battery
벨기에[4]Batterie
영국[5]Battery
불가리아[6]Batareja (Батарея)
캐나다[7]Battery
체코[8]Baterie
덴마크[9]Batteri
에스토니아Patarei
핀란드Patteri
프랑스[10]Batterie
독일[11]Batterie
헝가리Üteg
이탈리아[12]Batteria
리투아니아[13]Baterija
네덜란드[14]Batterij
노르웨이[15]Batteri
폴란드[16]Bateria
포르투갈[17]Bateria
루마니아Bateria
스페인[18]Bateria
터키[19]Batarya



제2 해병 연대 제11 해병대대 I 포대, 이라크, 2003년


현대 포병대대 조직에서, 군사 부대는 일반적으로 6~8문의 곡사포 또는 6~9문의 로켓 발사기와 100~200명의 인원으로 구성되며, 조직 수준 면에서 중대와 동등하다.

미국 육군에서, 일반적으로 견인식 곡사포 포대는 6문의 포를 보유하는 반면, 자주포 포대(예: M109 자주포 포대)는 8문의 포를 보유한다. 포대는 다음과 같이 세분화된다.

  • 경포대: 105mm 곡사포 또는 그에 상응하는 무기를 장비
  • 중포대: 155mm 곡사포 또는 그에 상응하는 무기를 장비
  • 중(重)포대: 203mm 이상의 구경의 포를 장비하지만, 현재는 매우 드물다.
  • 기타 다양한 특수 유형: 대공, 미사일 또는 다연장 로켓 발사대(MLRS) 포대 등
  • 사령부 포대: 자체적으로 포를 보유하지 않고, 여러 발사 포대(예: 연대 또는 대대 사령부 포대)에 대한 지휘 통제 조직이다.


미군에서 포대는 일반적으로 대위가 지휘하며, 보병 중대와 동등하다. 미 육군 포대는 다음과 같은 부대로 나뉜다.

  • 발사 분대: 개별 포 분대를 포함한다. 각 포 분대는 일반적으로 상사(미 육군 병사 계급 E-6)가 이끌고, 발사 분대 전체는 일반적으로 중위와 고참 부사관이 이끈다.
  • 화력 지휘소(FDC): 지도 좌표를 기반으로 사격 솔루션을 계산하고, 관측병과 보병 부대에서 사격 요청 및 피드백을 받고, 발사 분대에 지시 사항을 전달한다. 또한 상급 사령부(즉, 대대 FDC는 집중 사격을 동기화하기 위해 모든 3개 포대의 FDC에 명령을 보낸다)로부터 명령을 받는다.


영국과 영연방 군대는 포의 구경에 따라 포대를 분류한다. 일반적으로:

  • 경포대: 105mm 곡사포 이하를 장비
  • 중포대: 155mm 곡사포 또는 그에 상응하는 것까지의 더 큰 구경을 장비
  • 중(重)포대: 더 큰 구경을 장비
  • 기타 다양한 특수 유형: 대공, 미사일 또는 다연장 로켓 발사대 포대 등


사령부 포대: 자체적으로 포를 보유하지 않고, 여러 발사 포대(예: 연대 또는 대대 사령부 포대)에 대한 지휘 통제 조직이다.

기본적인 야전 조직은 "포병대"와 "전술대"이다. 전자는 정찰 및 측량, 포, 지휘소, 군수 및 장비 지원 요소이고, 후자는 포대장과 지원 부대와 함께 배치되는 관측팀이다. 이러한 군대에서는 포가 여러 발사 부대로 나뉘어 광범위한 지역에 분산 배치되거나 단일 위치에 집중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포대가 총 6개의 완전히 분리된 포로 작전 배치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2개씩) 소대로 편성된다.

포대장("BC")은 소령이며(보병 중대장과 마찬가지로), 이러한 군대에서 포대장은 "전술대"를 이끌고 일반적으로 포대가 지원하는 보병 또는 기갑 부대의 사령부에 위치한다. 포병대는 포대장(BK, 포대의 2인자)이 지휘한다. 기술적 통제는 정찰 장교이기도 한 포 위치 장교(GPO, 중위)가 한다.

이라크, 프랑스, 미국 합동 포병대, 이라크 알카임, 2018년 12월 2일

3. 주요 특징

포대는 나폴레옹 전쟁 당시부터 더 큰 부대로 그룹화되기 시작했다. 나폴레옹은 야전 전투 배치를 위해 결합된 포병대 그룹을 "대포병대"라고 불렀다. 행정적으로 포병대는 대대, 연대 또는 기병대로 그룹화되었으며, 이는 전술적 조직으로 발전했다. 이들은 다시 연대, "그룹" 또는 여단으로 그룹화되었는데, 전적으로 포병 부대로 구성되거나 합동병과로 구성될 수 있었다. 제1차 세계 대전부터 개별 포병대의 화력을 더 집중시키기 위해 일부 군대에서는 포병대를 "사단"으로 그룹화했다. 해안포병은 때때로 해안 방어 구역 지역을 기반으로 완전히 다른 조직 용어를 사용했다.

포병대의 하위 부서는 군대와 시대에 따라 다르지만, 종종 "소대" 또는 "분대"로 번역되며, 개별 무기 체계는 "분대" 또는 "소분대"라고 한다. 분대는 두 개의 포를 포함하기도 한다. 포병대장의 계급도 다양했지만, 일반적으로 중위, 대위 또는 소령이었다.

조직된 포병대의 포, 곡사포, 박격포 또는 발사기의 수도 다양했으며, 19세기에는 4문에서 12문이 일반적이었다. 19세기 후반, 산악 포병대는 포병 진지와 탄약 진지로 나뉘었는데, 포병 진지는 6문의 포와 12마리의 탄약 운반 당나귀로 구성되었다. 미국 남북 전쟁 당시 포병대는 북군의 경우 6문의 야포, 남군의 경우 4문의 야포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았지만, 이는 다양했다. 포병대는 각각 2문의 포로 구성된 분대로 나뉘었고, 각 분대는 일반적으로 중위가 지휘했다. 포병대 전체는 일반적으로 대위가 지휘했으며, 전쟁이 진행됨에 따라 개별 포병대는 포병 소령 또는 대령의 지휘 아래 대대로 그룹화되는 경우가 많았다.

20세기에는 야전 포병의 경우 4문에서 12문(박격포의 경우 16문까지), 또는 매우 무거운 포의 경우 2문으로 다양했다. 대전차포나 대공포와 같은 다른 유형의 포병은 때때로 더 큰 규모였다. 일부 포병대는 두 가지 유형의 포나 박격포로 "이중 장비"되었으며, 작전을 위해 배치될 때 어느 것이 더 적합한지 선택했다.

19세기 후반부터 야전 포병대는 더 복잡한 조직이 되었다. 충분한 탄약을 운반하기 위해 각 포당 약 2대의 탄약 마차가 추가되었다. 20세기 초 간접 사격의 도입으로 관측병과 포병 진지에 있는 소규모 참모가 필요하게 되었고, 이는 통신병의 필요성으로 이어졌다. 분산된 포병대의 화력을 집중시킬 필요성과 포병대 위의 포병 사령부에 화력 통제 참모를 배치함에 따라 더욱 증가했다.

3. 1. 편제

현대 포병대대에서, 포대는 보통 6~8문의 곡사포 또는 6~9문의 로켓 발사기로 구성되며, 100~200명의 인원을 가진다. 이는 조직 수준에서 중대와 동등하다.

미국 육군의 경우, 보통 견인식 곡사포 포대는 6문의 포를 보유하는 반면, 자주포 포대는 8문의 포를 보유한다. 포대는 다음과 같이 세분화된다.

  • 경포대: 105mm 곡사포 또는 그에 상응하는 무기를 장비
  • 중포대: 155mm 곡사포 또는 그에 상응하는 무기를 장비
  • 중(重)포대: 203mm 곡사포 이상의 구경의 포를 장비하지만, 현재는 매우 드물다.
  • 기타 다양한 특수 유형: 대공포, 미사일 또는 다연장 로켓 발사대(MLRS) 포대 등
  • 사령부 포대: 자체적으로 포를 보유하지 않고, 여러 발사 포대(예: 연대 또는 대대 사령부 포대)에 대한 지휘 통제 조직이다.


영국영연방 군대는 포의 구경에 따라 포대를 분류하며, 포가 여러 발사 부대로 나뉘어 광범위하게 분산 배치되거나 단일 위치에 집중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포대가 6문의 완전히 분리된 포로 작전 배치되지만, 분대(2문씩)가 더 일반적이다.

  • 경포대: 105mm 곡사포 이하를 장비
  • 중포대: 155mm 곡사포 또는 그에 상응하는 것까지의 더 큰 구경을 장비
  • 중(重)포대: 더 큰 구경을 장비
  • 기타 다양한 특수 유형: 대공포, 미사일 또는 다연장 로켓 발사대 포대 등
  • 사령부 포대: 자체적으로 포를 보유하지 않고, 여러 발사 포대(예: 연대 또는 대대 사령부 포대)에 대한 지휘 통제 조직이다.


냉전 시대에 핵무기 역할을 전담한 북대서양 조약 기구 포대는 일반적으로 단일 포 또는 발사기를 포함하는 "분대"로 운영되었다.

3. 1. 1. 지휘부

포대장은 대위가 지휘하며, 포대의 전반적인 지휘 및 통제를 담당한다.[1] 포대 본부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1]

구분구성
본부반포대장(대위), 포대 상사, 해병 3명
통신반무전반장(상사)이 이끄는 해병 16명
정비반포대 수송반장(상사)이 이끄는 해병 11명
의무반해군 의무병 3명
연락반연락장교(중위)가 이끄는 반
연락팀관측 연락반장(중사)이 이끄는 해병 5명
전방 관측팀 (3개)전방 관측장교(소위)가 이끄는 해병 4명



다른 국가의 군대에서는 포대장이 소령인 경우도 있으며, 이 경우 포대장은 "전술대"를 이끌고 포대가 지원하는 보병 또는 기갑 부대의 사령부에 위치한다.[1] 포병대는 포대장(BK, 포대의 2인자)이 지휘하며, 주로 탄약 공급, 지역 방어를 포함한 행정을 담당한다.[1]

3. 1. 2. 사격 지휘소 (FDC)

사격지휘소(FDC)는 지도 좌표를 기반으로 사격 제원을 계산하고, 관측병과 보병 부대로부터 사격 요청 및 수정 사항을 받아 발사 분대에 지시 사항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급 사령부(예: 대대 FDC는 집중 사격을 동기화하기 위해 모든 예하 포대의 FDC에 명령을 보낸다)로부터 명령을 받는다.

미군의 경우, 사격지휘소는 보통 중위가 지휘하며, 작전반장(상사)이 보좌하는 9명의 해병으로 구성된다.

3. 1. 3. 포반

각 포반은 포 1문과 이를 운용하는 포반장(상사 또는 중사) 및 포반원으로 구성된다. 포반은 보통 10명의 해병으로 구성되는데, 세부 편제는 포반장(상사), 포수(중사), 부포수 2명(병장), 포병 5명(일병-상병), 그리고 포를 견인하고 포병대원과 장비를 수송하는 트럭인 주력 운송 수단을 운용 및 정비하는 운전병(상병)으로 이루어진다.

3. 2. 운용

포대는 전술적 상황에 따라 분산 배치되거나 집중 운용될 수 있다. 영국과 영연방 군대에서는 포대가 여러 발사 부대로 나뉘어 광범위하게 분산 배치되거나 단일 위치에 집중될 수 있는데, 어떤 경우에는 포대가 6문의 완전히 분리된 포로 작전 배치되지만, 분대(2문씩)가 더 일반적이다. 다른 군대의 경우에도 기본적인 야전 편제는 "포병 그룹"과 "전술 그룹"으로 나뉘며, 포병이 여러 사격 부대로 나뉘어 광범위한 지역에 분산 배치되거나 단일 위치에 집중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포대가 총 6개의 완전히 분리된 포로 작전 배치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소대(2개씩)로 편성된다.[1]

4. 현대적 응용

현대 포병은 다양한 형태로 응용되어 전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야전 포병: 보병기갑 부대에 대한 화력 지원을 제공하며, 일반적으로 6~8문의 곡사포 또는 자주포로 구성된다.
  • 방공 포병: 대공포, 지대공 미사일 등으로 구성되며, 적 항공기로부터 아군을 보호한다.
  • 해안 포병: 해안에 배치되어 적 함정의 접근을 저지하고, 상륙을 방어한다. 대한민국은 서해 5도북한과 인접한 해안 지역에 해안 포대를 운용하여 북한의 해상 도발에 대비하고 있다.

몬크리프 소멸식 포대에 장착된 64파운드 라이플 주포(RML), 버뮤다 스코어 힐 요새의 고정식 해안포대

4. 1. 야전 포병

현대 야전 포병 포대는 일반적으로 6~8문의 곡사포 또는 자주포로 구성되며, 보병기갑 부대에 대한 화력 지원을 제공한다. 군사 부대는 일반적으로 6~9문의 로켓 발사기와 100~200명의 인원으로 구성되며, 조직 수준 면에서 중대와 동등하다.

미국 육군에서, 일반적으로 견인식 곡사포 포대는 6문의 포를 보유하는 반면, 자주포 포대는 8문의 포를 보유한다. 포대는 다음과 같이 세분화된다.

  • 경포대: 105mm 곡사포 또는 그에 상응하는 무기를 장비
  • 중포대: 155mm 곡사포 또는 그에 상응하는 무기를 장비
  • 중(重)포대: 203mm 이상의 구경의 포를 장비하지만, 현재는 매우 드물다.
  • 기타 다양한 특수 유형: 대공포, 미사일, 다연장 로켓 발사대(MLRS) 포대 등
  • 사령부 포대: 자체적으로 포를 보유하지 않고, 여러 발사 포대(예: 연대 또는 대대 사령부 포대)에 대한 지휘 통제 조직이다.


미군에서 포대는 일반적으로 대위가 지휘하며, 보병 중대와 동등하다. 미 육군 포대는 다음과 같은 부대로 나뉜다.

  • 발사 분대: 개별 포 분대를 포함한다. 각 포 분대는 일반적으로 상사(미 육군 병사 계급 E-6)가 이끌고, 발사 분대 전체는 일반적으로 중위와 고참 부사관이 이끈다.
  • 화력 지휘소(FDC): 지도 좌표를 기반으로 사격 솔루션을 계산하고, 관측병과 보병 부대에서 사격 요청 및 피드백을 받고, 발사 분대에 지시 사항을 전달한다. 또한 상급 사령부(즉, 대대 FDC는 집중 사격을 동기화하기 위해 모든 3개 포대의 FDC에 명령을 보낸다)로부터 명령을 받는다.


그러나 다른 국가의 군대는 상당히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영국영연방 군대는 포의 구경에 따라 포대를 분류한다.

  • 경포대: 105mm 곡사포 이하를 장비
  • 중포대: 155mm 곡사포 또는 그에 상응하는 것까지의 더 큰 구경을 장비
  • 중(重)포대: 더 큰 구경을 장비
  • 기타 다양한 특수 유형: 대공, 미사일 또는 다연장 로켓 발사대 포대 등
  • 사령부 포대: 자체적으로 포를 보유하지 않고, 여러 발사 포대(예: 연대 또는 대대 사령부 포대)에 대한 지휘 통제 조직이다.


기본적인 야전 조직은 "포병대"와 "전술대"이다. 전자는 정찰 및 측량, 포, 지휘소, 물류 및 장비 지원 요소이고, 후자는 포대장과 지원하는 병과와 함께 배치되는 관측팀이다. 이러한 군대에서는 포가 여러 발사 부대로 나뉘어 광범위하게 분산되어 배치되거나 단일 위치에 집중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포대가 6문의 완전히 분리된 포로 작전 배치되지만, 분대(2문씩)가 더 일반적이다.

포대장("BC")은 소령이며(보병 중대장과 마찬가지로), 이러한 군대에서 포대장은 "전술대"를 이끌고 일반적으로 포대가 지원하는 보병 또는 기갑 부대의 사령부에 위치한다. 점점 더 이러한 직접 지원 포대장은 포병뿐만 아니라 모든 형태의 화력 지원(박격포, 공격 헬기, 기타 항공기함포 사격)의 조율을 담당한다. 일반 지원 포대장은 여단 또는 그 이상의 사령부에 있을 가능성이 높다.

포병대는 포대장(BK, 포대의 2인자)이 지휘한다. 그러나 이 직책은 기술적인 책임이 없으며, 탄약 공급, 지역 방어를 포함한 행정이 주된 관심사이며, 실제 포 위치에서 약간 떨어진 "수송선"에 기반을 두고 포 견인 및 물류 차량이 은폐되어 있다. 기술적 통제는 정찰 장교이기도 한 포 위치 장교(GPO, 중위)가 한다. 포대는 1개의 활성 지휘소(CP)와 1개의 대체 지휘소를 가지며, 후자는 사상자가 발생할 경우 백업을 제공하지만, 주로 다음 포 위치로 준비 파티와 함께 이동하여 주요 CP가 된다. 각 CP는 일반적으로 중위, 소위 또는 준위 2급이 통제한다. 포 위치는 대응 포병 위협이 낮을 때는 약 150x일 수 있고, 대응 포병 위협이 높을 경우 자주포 쌍이 훨씬 더 넓은 지역을 이동하는 포 기동 지역일 수 있다.

냉전 시대에 핵무기 역할을 전담한 NATO 포대는 일반적으로 단일 포 또는 발사기를 포함하는 "분대"로 운영되었다. 박격포가 포병이 운영하지 않는 경우, 일반적으로 분대로 지칭된다.

4. 2. 방공 포병

방공 포병 포대는 대공포, 지대공 미사일 등으로 구성되며, 적 항공기로부터 아군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4. 3. 해안 포병



해안 포병 포대는 해안에 배치되어 적 함정의 접근을 저지하고, 상륙을 방어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 포대는 일반적으로 요새 또는 해안포대와 같은 영구 방어 포대에 사용되었다. 이러한 포대는 야전포병 부대가 운반할 수 있는 것보다 훨씬 큰 포를 장착할 수 있었으며, 포 진지는 탄약고와 탄약고에서 포로 탄약을 운반하는 시스템을 포함한 광범위한 시설의 일부였다.

대한민국은 서해 5도북한과 인접한 해안 지역에 해안 포대를 운용하여 북한의 해상 도발에 대비하고 있다.

4. 4. 기타 포병

현대 포병대대 조직에서, 군사 부대는 일반적으로 6~8문의 곡사포 또는 6~9문의 로켓 발사기와 100~200명의 인원으로 구성되며, 조직 수준 면에서 중대와 동등하다.

미국 육군에서, 일반적으로 견인식 곡사포 포대는 6문의 포를 보유하는 반면, 자주포 포대(예: M109 자주포 포대)는 8문의 포를 보유한다. 포대는 다음과 같이 세분화된다.

  • 경포대: 105mm 곡사포 또는 그에 상응하는 무기를 장비
  • 중포대: 155mm 곡사포 또는 그에 상응하는 무기를 장비
  • 중(重)포대: 203mm 이상의 구경의 포를 장비하지만, 현재는 매우 드물다.
  • 기타 다양한 특수 유형: 대공포, 미사일, 다연장 로켓 발사대(MLRS) 포대 등
  • 사령부 포대: 자체적으로 포를 보유하지 않고, 여러 발사 포대(예: 연대 또는 대대 사령부 포대)에 대한 지휘 통제 조직이다.


미군에서 포대는 일반적으로 대위가 지휘하며, 보병 중대와 동등하다. 미 육군 포대는 다음과 같은 부대로 나뉜다.

  • 발사 분대: 개별 포 분대를 포함한다. 각 포 분대는 일반적으로 상사(미 육군 병사 계급 E-6)가 이끌고, 발사 분대 전체는 일반적으로 중위와 고참 부사관이 이끈다.
  • 화력 지휘소(FDC): 지도 좌표를 기반으로 사격 솔루션을 계산하고, 관측병과 보병 부대에서 사격 요청 및 피드백을 받고, 발사 분대에 지시 사항을 전달한다. 또한 상급 사령부(즉, 대대 FDC는 집중 사격을 동기화하기 위해 모든 3개 포대의 FDC에 명령을 보낸다)로부터 명령을 받는다.


그러나 다른 국가의 군대는 상당히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영국과 영연방 군대는 포의 구경에 따라 포대를 분류하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다.

  • 경포대: 105mm 곡사포 이하를 장비
  • 중포대: 155mm 곡사포 또는 그에 상응하는 것까지의 더 큰 구경을 장비
  • 중(重)포대: 더 큰 구경을 장비
  • 기타 다양한 특수 유형: 대공포, 미사일, 다연장 로켓 발사대 포대 등
  • 사령부 포대: 자체적으로 포를 보유하지 않고, 여러 발사 포대(예: 연대 또는 대대 사령부 포대)에 대한 지휘 통제 조직이다.


기본적인 야전 조직은 "포병대"와 "전술대"이다. 전자는 정찰 및 측량, 포, 지휘소, 물류 및 장비 지원 요소이고, 후자는 포대장과 지원하는 병과와 함께 배치되는 관측팀이다. 이러한 군대에서는 포가 여러 발사 부대로 나뉘어 광범위하게 분산되어 배치되거나 단일 위치에 집중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포대가 6문의 완전히 분리된 포로 작전 배치되지만, 분대(2문씩)가 더 일반적이다.

포대장("BC")은 소령이며(보병 중대장과 마찬가지로), 이러한 군대에서 포대장은 "전술대"를 이끌고 일반적으로 포대가 지원하는 보병 또는 기갑 부대의 사령부에 위치한다. 점점 더 이러한 직접 지원 포대장은 포병뿐만 아니라 모든 형태의 화력 지원(박격포, 공격 헬기, 기타 항공기 및 함포 사격)의 조율을 담당한다. 일반 지원 포대장은 여단 또는 그 이상의 사령부에 있을 가능성이 높다.

포병대는 포대장(BK, 포대의 2인자)이 지휘한다. 그러나 이 직책은 기술적인 책임이 없으며, 탄약 공급, 지역 방어를 포함한 행정이 주된 관심사이며, 실제 포 위치에서 약간 떨어진 "수송선"에 기반을 두고 포 견인 및 물류 차량이 은폐되어 있다. 기술적 통제는 정찰 장교이기도 한 포 위치 장교(GPO, 중위)가 한다. 포대는 1개의 활성 지휘소(CP)와 1개의 대체 지휘소를 가지며, 후자는 사상자가 발생할 경우 백업을 제공하지만, 주로 다음 포 위치로 준비 파티와 함께 이동하여 주요 CP가 된다. 각 CP는 일반적으로 중위, 소위 또는 준위 2급이 통제한다. 포 위치는 대응 포병 위협이 낮을 때는 약 150x일 수 있고, 대응 포병 위협이 높을 경우 자주포 쌍이 훨씬 더 넓은 지역을 이동하는 포 기동 지역일 수 있다.

냉전 시대에 핵무기 역할을 전담한 나토 포대는 일반적으로 단일 포 또는 발사기를 포함하는 "분대"로 운영되었다.

박격포가 포병이 운영하지 않는 경우, 일반적으로 분대로 지칭된다.

5. NATO 회원국의 포대

NATO 회원국에서는 포병 중대 규모의 부대를 일반적으로 "포대(battery)"라고 부른다.[2]

NATO 회원국 군대에서 포대 명칭
국가명칭
미국[3]Battery
벨기에[4]Batterie
영국[5]Battery
불가리아[6]Batareja (Батарея)
캐나다[7]Battery
체코[8]Baterie
덴마크[9]Batteri
에스토니아Patarei
핀란드Patteri
프랑스[10]Batterie
독일[11]Batterie
헝가리Üteg
이탈리아[12]Batteria
리투아니아[13]Baterija
네덜란드[14]Batterij
노르웨이[15]Batteri
폴란드[16]Bateria
포르투갈[17]Bateria
루마니아Bateria
스페인[18]Bateria
터키[19]Batarya



NATO 지도 기호[1]에서 포병 중대는 다음과 같다.

포병 중대


포병 중대


기계화 포병 중대는 다음과 같다.

기계화 포병 중대


지대지 미사일 중대는 다음과 같다.

지대지 미사일 중대


표적 획득 중대는 다음과 같다.

표적 획득 중대

5. 1. 명칭

NATO 회원국에서는 포병 중대 규모의 부대를 일반적으로 "포대(battery)"라고 부른다. NATO는 중대를 "소대보다 크고 대대보다 작은" 부대로 정의하며, "통상 같은 유형의 두 개 이상의 소대로 구성되며, 사령부와 제한적인 자체 지원 능력을 갖춘 부대"[2]라고 한다. 중대를 나타내는 표준 NATO 기호는 부대 기호가 있는 프레임 위에 단일 수직선을 배치하는 것이다.[2]

NATO 회원국 군대에서 포대 명칭
국가명칭
미국[3]Battery
벨기에[4]Batterie
영국[5]Battery
불가리아[6]Batareja (Батарея)
캐나다[7]Battery
체코[8]Baterie
덴마크[9]Batteri
에스토니아Patarei
핀란드Patteri
프랑스[10]Batterie
독일[11]Batterie
헝가리Üteg
이탈리아[12]Batteria
리투아니아[13]Baterija
네덜란드[14]Batterij
노르웨이[15]Batteri
폴란드[16]Bateria
포르투갈[17]Bateria
루마니아Bateria
스페인[18]Bateria
터키[19]Batarya


5. 2. NATO 표준 기호

NATO 지도 기호[1]에서 중대를 나타내는 표준 기호는 부대 기호가 있는 프레임 위에 단일 수직선을 배치하는 것이다.[2]

NATO 지도 기호[1]
기호설명

포병 중대
--
기계화 포병 중대
--
지대지 미사일 중대
--
표적 획득 중대


6. 해군에서의 용법

해군에서 "포대"라는 용어는 함선에 탑재된 주포 또는 부포의 집합체를 의미한다.

6. 1. 역사

범선 시대전열함들은 수십 개의 유사한 대포를 측면에, 때로는 여러 갑판에 걸쳐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것은 19세기 중반 함포 라이플과 회전식 포탑이 고정식 대포를 대체할 때까지 수세기 동안 표준 주무장 배치로 남아 있었다.

회전식 포탑을 처음으로 운용한 것은 미국 철갑함 였는데, 미국 남북 전쟁 당시 존 에릭슨이 설계했다. 개방형 바베트도 회전식 받침대에 주포를 설치하는 데 사용되었다. 두 가지 설계 모두 소수의 함포로도 함선의 양쪽에 집중 사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군 기술자들이 포대에 있는 함포의 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이러한 추세는 역전되어 여러 구경의 무기가 함선에 다소 무작위로 배치되었고, 많은 무기가 선체 또는 상부 구조물에 제한된 이동 범위를 가진 받침대에 장착되었다. 또한 다양한 공격 및 방어 용도의 대구경 "주포"와 소구경 "부포"를 결합하여 사용하면서 혼란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는 혁신적인 "전함포" 전함 가 1906년 진수되면서 해결되기 시작했다. 이 함선은 10문의 대구경 주포와 자체 방어용 소구경 부포를 장착했다. 표준 4문의 대구경 함포에서 10문의 주포로의 이러한 대규모 공격 무장의 발전은 기존의 모든 전함을 하루아침에 쓸모없게 만들었다. 이는 발사할 수 있는 측면 사격의 무게와 유사한 무기를 더 많이 장착하여 지속할 수 있는 압도적인 사격 속도가 동급 크기의 다른 어떤 군함이라도 제압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thumb 포탑의 단면도. 의 주포는 이것 3문으로 구성되었다.]]

부포보다 가벼운 무기인 제3포대, 즉 예비 포대가 일반적으로 장착되었다. 설계를 단순화하기 위해 후대의 많은 함선들은 겸용포를 사용하여 부포와 더 무거운 예비 포대의 기능을 결합했다. 많은 겸용포는 대공포 역할도 했다. 또한, 수십 문에 달하는 전용 소구경 고속 대공 무기가 배치되었다. 이러한 조합의 예로 가 있는데, 이 함선은 8문의 380mm 주포, 구축함과 어뢰정에 대한 방어를 위한 12문의 150mm 부포, 그리고 105mm 에서 20mm 구경의 다양한 대공포로 구성된 예비 포대를 장착했다.

선박의 포대 역할을 하는 기존의 함포는 공격과 방어 작전 모두에서 유도 미사일로 대체되었다. 소구경 함포는 근접 방어에 사용되는 다중 배럴 팰런크스 CIWS 회전포와 같이 틈새 역할을 위해 유지되고 있다. 수면 전투함과 해안 폭격에 사용되는 고속 사격 5인치/54구경 Mark 45 함포 약 12.70cm와 오토브레다 76mm (3.0인치)는 여전히 사용 중인 마지막 전통적인 해군 함포 중 하나이다.

6. 2. 현대

현대 군함에서는 주포, 부포, 대공포 등 다양한 종류의 함포가 포대의 역할을 수행한다. 많은 겸용포는 대공포 역할도 했다. 또한, 수십 문에 달하는 전용 소구경 고속 대공 무기가 배치되었다. 이러한 조합의 예로 비스마르크가 있는데, 이 함선은 8문의 380mm 주포, 구축함과 어뢰정에 대한 방어를 위한 12문의 150mm 부포, 그리고 105mm에서 20mm 구경의 다양한 대공포로 구성된 예비 포대를 장착했다.

공격과 방어 작전 모두에서 기존의 함포는 유도 미사일로 대체되었다. 소구경 함포는 근접 방어에 사용되는 다중 배럴 팰런크스 CIWS 회전포와 같이 틈새 역할을 위해 유지되고 있다. 수면 전투함과 해안 폭격에 사용되는 고속 사격 5인치/54구경 Mark 45 함포 약 12.70cm와 오토브레다 76mm (3.0인치)는 여전히 사용 중인 마지막 전통적인 해군 함포 중 하나이다.

참조

[1] 서적 APP-6C Joint Military Symbology http://armawiki.zumo[...] NATO 2011-05-01
[2] 서적 APP-6D NATO Joint Military Symbology NATO Standardization Office 2017-10-01
[3] 문서 APP-6D B-31
[4] 문서 APP-6D B-4
[5] 문서 APP-6D B-14
[6] 문서 APP-6D B-5
[7] 문서 APP-6D B-6
[8] 문서 APP-6D B-7
[9] 문서 APP-6D B-10
[10] 문서 APP-6D B-13
[11] 문서 APP-6D B-8
[12] 문서 APP-6D B-19
[13] 문서 APP-6D B-20
[14] 문서 APP-6D B-23
[15] 문서 APP-6D B-24
[16] 문서 APP-6D B-25
[17] 문서 APP-6D B-26
[18] 문서 APP-6D B-11
[19] 문서 APP-6D B-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