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야로슬랍스키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로슬랍스키 역은 러시아 모스크바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러시아 북부 철도 노선의 건설과 함께 역사가 시작되었다. 1902년부터 1904년까지 표도르 셰흐텔의 설계로 현재의 역사가 건설되었으며, 시베리아 횡단 철도의 주요 기종착역으로 블라디보스토크, 하바롭스크 등 러시아 극동 지역과 중국 베이징, 몽골 울란바토르, 북한 평양으로 가는 국제 열차가 운행된다. 역 건물 내에는 상업 시설이 있으며, 콤소몰스카야 광장이 인접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스크바의 철도역 - 레닌그라츠키역
    레닌그라츠키 역은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를 연결하는 철도의 모스크바 측 터미널 역으로, 이탈리아 양식으로 지어져 여러 차례 역명 변경을 거쳐 현재의 이름으로 불리며 다양한 노선이 운행된다.
  • 모스크바의 철도역 - 벨로루스키역
    벨로루스키역은 1870년 스몰렌스키 역으로 개업하여 현재의 이름을 갖게 된 모스크바의 기차역으로, 러시아와 벨라루스, 유럽을 연결하는 장거리 열차와 셰레메티예보 국제공항행 아에로익스프레스, 통근 열차의 주요 기점이며 러시아 문화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1862년 개업한 철도역 - 로마 테르미니역
    로마 테르미니역은 이탈리아 최대 규모의 철도역이자 주요 철도 허브로서, 다양한 노선이 연결되어 이탈리아 전역과 유럽 주요 도시로의 접근성을 제공하며, 독특한 건축 양식과 역사적 의미를 지닌 로마의 랜드마크이자 대중교통의 중심지이다.
  • 1862년 개업한 철도역 - 프리부르역
    프리부르역은 1862년 로잔-베른 철도 구간 완공과 함께 개통된 스위스 프리부르의 철도역으로, 여러 재건축과 확장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으며, 구 역 건물은 문화 센터로 탈바꿈하여 지역 중요 문화재로 지정되었고, 다양한 노선과 시내 버스 노선과의 환승이 가능한 주요 교통 허브이다.
  • 모스크바 - 셰레메티예보 국제공항
    셰레메티예보 알렉산드르 S. 푸시킨 국제공항은 모스크바에 있는 4개의 국제공항 중 하나로, 군용 비행장에서 민간 공항으로 전환되어 2019년에 러시아 대문호의 이름을 따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북쪽과 남쪽 터미널로 나뉘어 지하 셔틀로 연결되고 아에로플로트를 비롯한 여러 항공사가 취항하는 러시아에서 가장 붐비는 공항이다.
  • 모스크바 - 브누코보 국제공항
    브누코보 국제공항은 1941년 개항한 러시아 모스크바 소재 국제공항으로, 민영화 후 확장과 개선을 거쳐 유럽 주요 공항으로 성장했으나 현재는 A 터미널만 운영 중이며, 다양한 교통수단으로 모스크바 시내와 연결되고 대형 개인 항공기 국제선 운항이 많은 공항이다.
야로슬랍스키역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2022년 야로슬랍스키 역
2022년 야로슬랍스키 역
역 이름모스크바-야로슬랍스키
로마자 표기Moskva-Yaroslavskaya
러시아어 표기Москва–Ярославская
다른 이름야로슬랍스키 역
스타일러시아 철도 (RZD)
주소러시아, 모스크바, 콤소몰스카야 광장 5
운영사모스크바 철도
소유주러시아 철도
위치
좌표55.776, 37.658
운영 정보
노선시베리아 철도 본선
야로슬랍스코예 나프라블레니예 모스코프스코이 젤레즈노이 도로기
플랫폼 수11
선로 수16
환승모스크바 지하철: [[File:Moskwa Metro Line 1.svg|15px|link=콤소몰스카야 (소콜니체스카야 선)]] [[File:Moskwa Metro Line 5.svg|15px|link=콤소몰스카야 (콜체바야 선)]] 콤소몰스카야 역
모스크바 트램: 7, 13, 37, 50
버스: 40, 122, А
트롤리버스: 14, 41
구조지상역
개업일1862년 8월 18일
재건축1904–1910년, 1965–1966년, 1995년
전철화 여부
코드195506
주차 가능 여부
자전거 보관소 유무
접근성
건축
건축 양식러시아 부흥 양식
운행 계통
열차 운영사러시아 철도
중국 철도
울란바타르 철도국
서비스
인접 역{{Adjacent stations|system=RZD

3
기타 정보
웹사이트해당 사항 없음

2. 역사

1862년 모스크바와 세르기예프 포사드를 잇는 철도 노선이 개통되면서 야로슬랍스키 역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이 노선은 트리니티 수도원으로 가는 순례자들을 수송하기 위해 건설되었으며, 초기에는 '삼위일체 열차'로 불렸다.[1]

1870년에는 야로슬라블까지 노선이 연장되었고, 이후 코스트로마(1887년), 아르한겔스크(1898년) 등으로 확장되었다. 1905년에는 보로그다에서 뱌트카까지의 노선이 건설되어 시베리아 횡단 철도와 직접 연결되었다. 20세기 초, 모스크바-야로슬라블-아르한겔스크 철도는 러시아 국가에 인수되어 러시아 철도의 북부 철도 지점으로 개편되었다.[1]

최초의 역사는 1862년에 완공되었으며, 단순한 고전주의 양식의 건물이었다. 1868년 야로슬라블까지 노선이 연장되면서 역사가 확장되었고, 1900년에는 레프 케쿠셰프의 주도로 플랫폼 시설이 개선되었다.[1]

모스크바 야로슬랍스키역 재건축


1902년부터 1904년까지 표도르 셰흐텔의 설계로 현재의 역사가 건설되었다. 셰흐텔은 북러시아 도시들의 고대 건축물을 참조하여 아르누보 양식으로 역사를 설계했으며, 이는 모스크바와 러시아 북부 간의 긴밀한 관계를 상징했다.[1]

1965년-1966년, 1990년대 중반, 2000년대 초에 역사가 여러 차례 확장 및 현대화되었다. 1995년에는 역의 대규모 확장이 이루어졌다.[3]

2001년 8월 3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장갑 열차를 타고 이 역에 도착하여 러시아 국빈 방문 일정을 시작했다.[1]

3. 역 구조

두단식 승강장 10면 16선을 갖춘 지상역이다. 역 건물 내에는 카페약국 등의 상업 시설이 입점해 있다.[3]

1902년~1904년에 표도르 셰흐텔의 설계로 건설된 현재 역사는 네오 러시아 양식을 띠고 있으며, 러시아의 오래된 성채(크렘린)를 본떠 만들었다. 벽에는 채색 타일이 붙어 있으며, "소비에트 연방"을 나타내는 키릴 문자 머리글자 "СССРru" 마크가 있다. 표도르 셰흐텔은 이 역을 모스크바의 북쪽 관문으로서의 중요성에 걸맞게, 전통적인 모스크바 양식으로 재건축하려 했지만, 북러시아 도시들의 고대 건축물을 참조하여 모스크바와 러시아 북부 간의 긴밀한 관계를 표현하고자 했다.

1910년에는 레프 케쿠셰프에 의해 승강장과 콩코스가 확장되었다. 1965년1966년에 걸쳐 역 건물 뒷부분에 철근 콘크리트 및 유리 외관으로 된 2층 증축 건물이 추가되었고, 1990년대 중반과 2000년대 초에도 추가 확장 및 현대화가 이루어졌다.[3]

역 건물 내부 모습

4. 운행 노선

야로슬랍스키역은 시베리아 횡단 철도의 주요 역 중 하나로, 러시아 극동 지역으로 향하는 장거리 열차들이 이곳에서 출발한다. 대표적인 종착역으로는 블라디보스토크, 하바롭스크 등이 있다. 또한, 중국의 베이징, 몽골울란바토르, 북한의 평양 등지로 가는 국제 열차도 운행된다.[2]

야로슬라블 근교 철도 노선(엘렉트리치카)은 모스크바 주변의 미티시, 코롤료프, 푸시킨, 세르기예프 포사트 등 여러 도시를 연결한다.

다음은 야로슬랍스키 역에서 운행되었던 주요 장거리 열차의 목록이다.

열차 번호열차 이름종착역운영 주체
007/008카마
Кама
페름 러시아 철도
011/012야말
Ямал
노비우렌고이 러시아 철도
021/022폴랴르나야 스트렐라
Полярная Стрела
라비트낭기 러시아 철도
029/030쿠즈바스
Кузбасс
케메로보 러시아 철도
031/032뱌트카
Вятка
키로프 러시아 철도
033/034시크티프카르
Сыктывкар
시크티프카르 러시아 철도
035/036니제고로데츠
Нижегородец
니즈니노브고로드 러시아 철도
037/038토미치
Томич
톰스크 러시아 철도
041/042보르쿠타
Воркута
보르쿠타 (»: 우신스크) 러시아 철도
049/050말라히트
Малахит
예카테린부르크 러시아 철도
055/056예니세이
Енисей
크라스노야르스크 러시아 철도
067/068사야니
Саяны
아바칸 러시아 철도
083/084세베르니 우랄
Северный Урал
프리오비예 러시아 철도
101/102
103/104
105/106
모스크바-야로슬라블
Москва-Ярославль
야로슬라블 러시아 철도
115/116/117/118포모르
Поморье
아르한겔스크
세베로드빈스크
러시아 철도
125/126셰크스나
Шексна
체레포베츠 러시아 철도
147/148코스트로마
Кострома
코스트로마 러시아 철도



이 외에도 블라고베셴스크, 치타, 이르쿠츠크, 이바노보, 키네시마, 코틀라스 등 다양한 러시아 도시로 가는 열차가 운행된다.[2]

4. 1. 주요 장거리 열차

Россия 블라디보스토크[2] 러시아 철도003/004— 베이징[2] 중국철도005/006— 울란바토르 (중앙역)[2] 몽골 철도, 러시아 철도019/020보스토크
Восток 베이징[2] 러시아 철도069/070— 치타 2[2] | 러시아 철도099/100— 블라디보스토크 (오리지널 노선)[2] | 러시아 철도973/974— 블라디보스토크 (신규 노선)[2] | 러시아 철도


4. 2. 인접역


모스크바 지하철
모스크바 지하철

5. 주변 시설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Moscow M 1997
[2] 웹사이트 http://vszd.rzd.ru/n[...]
[3] 서적 Encyclopedia of Moscow M 199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