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베로드빈스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베로드빈스크는 러시아 아르한겔스크주에 위치한 도시로, 백해가 북드비나강과 만나는 지점에 자리 잡고 있다. 1936년 조선소 건설을 시작으로 발전했으며, 1938년 도시로 등록되었다. 주요 산업은 방위산업으로, 세브마쉬에서 잠수함을 건조하고 수리한다. 소련 최초의 원자력 잠수함인 K-3 레닌스키 콤소몰이 1957년에 건조되었으며, 1980년대 초에는 세계 최대 잠수함인 타이푼급이 건조되기도 했다. 세베로드빈스크는 외국인의 출입이 제한된 도시이며, 2019년 뇨노크사 방사능 사고가 발생한 곳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르한겔스크주의 도시 - 코틀라스
    코틀라스는 러시아 아르한겔스크주에 위치한 도시로, 1917년 도시 지위를 부여받았으며 목재 산업, 하항, 철도 중심지로서 굴라그 수용소, 코틀라스 공항, 페름의 성 스테판 교회가 위치해 있다.
  • 아르한겔스크주의 도시 - 미르니 (아르한겔스크주)
    미르니는 러시아 아르한겔스크주에 위치한 도시로, 1957년 탄도 미사일 발사 기지 노동자들을 위한 정착지로 지정되었으며, 1966년 우주 기지 개발과 함께 폐쇄 도시가 되었다.
  • 백해 - 카렐리야
    카렐리야는 백해에서 핀란드만까지 뻗어 있는 지역으로, 역사적으로 분할과 병합을 거쳐 핀란드와 러시아에 걸쳐 있으며 핀란드의 국민 서사시와 관련된 문화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다.
  • 백해 - 사미인
    사미인은 북유럽에 거주하는 원주민으로, 고유한 언어와 문화를 지니고 순록 방목 등의 전통적인 방식으로 생활해 왔으며, 차별과 동화 정책을 겪었으나 현재는 자치권 확보와 문화 보존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러시아의 항구 도시 - 블라디보스토크
    블라디보스토크는 "동방을 지배하다"라는 뜻을 가진 러시아 프리모르스키 지방의 행정 중심지이자 항구 도시로, 태평양 함대 기지가 주둔하며 시베리아 횡단 철도의 종착역이자 주요 무역항으로 발전했고, 한때 폐쇄 도시였다가 현재는 극동 연방관구의 행정 중심지이다.
  • 러시아의 항구 도시 - 세바스토폴
    세바스토폴은 크림반도 남서쪽 흑해 연안의 도시로, 러시아 제국 시대에 흑해 함대의 주요 기지로 건설되어 크림 전쟁과 제2차 세계 대전 격전지였으며, 소련 붕괴 후 러시아에 합병되었으나 우크라이나와 국제 사회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세베로드빈스크 - [지명]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시 행정부
시 행정부
쿠뎀스카야 협궤 철도
쿠뎀스카야 협궤 철도
야그리 섬의 백해 해안
백해 연안 (야그리 섬)
노동의 용맹과 영광의 도시 기념비
"노동의 용맹과 영광의 도시" 기념비
세브마쉬
세브마쉬
다비드 파샤예프 광장
다비드 파샤예프 광장
도시 이름세베로드빈스크
로마자 표기Severodvinsk
위치러시아 아르한겔스크주
공휴일7월 마지막 주 일요일
국가러시아
연방 주체아르한겔스크주
도시 관할세베로드빈스크 도시 округ
시장이고르 스쿠벤코(2017년 이후)
대표 기관시 의회 депутатов
면적120.51 제곱킬로미터
설립일1936년
우편 번호164500–164502, 164504, 164505, 164507, 164509, 164510, 164512, 164514, 164515, 164518, 164520–164524, 164529
지역 번호81842
웹사이트세베로드빈스크 시 공식 웹사이트
인구
2021년 인구180,806명
2010년 인구 조사192,353명
인구 순위95위
상징
국가세베로드빈스크 국가

2. 역사

1936년에 '''수도스트로이'''(Судострой)라는 마을이 건설되었고, 1938년에 도시로 승격되면서 혁명가 뱌체슬라프 몰로토프의 이름을 따 '''몰로토프스크'''로 불렸다. 1957년에 현재의 이름인 '''세베로드빈스크'''로 바뀌었다.[11]

20세기 초 니콜로-코렐스키 수도원 전경


표트르 1세가 러시아 제국 해군을 창설하면서 처음 조선소를 설치한 곳이기도 하다. 세브마슈 등 잠수함 공창과 북방 함대의 원자력 잠수함 기지가 있는 중요한 항구 도시이며, 이 때문에 러시아 해군의 최대급 원자력 잠수함에는 "세베로드빈스크"라는 이름이 붙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북극 호송대를 통해 무르만스크아르한겔스크로 전달된 소련 지원 물자의 상당량이 이곳에서 하역되었다.

2. 1. 20세기 이전

바이킹은 2천년 초 북드비나강 주변 영토, 즉 뱌르말란드의 일부를 탐험했다. 13세기 이전에는 영국과 노르만 선박[11]이 채광, 모피, 어업을 위해 이 지역에 왔지만, 이후 기후가 추워지고 북극해 접근이 막혔다.

역사 기록에 따르면, 현대 세베로드빈스크 부지의 정착지는 1419년에 처음 언급되었는데, 당시 스웨덴 군이 만으로 항해하여 스웨덴-노브고로드 전쟁 중 해안에 있던 니콜로-코렐스키 수도원을 불태웠다. 전통에 따르면 카렐리야러시아 정교회 선교사인 성 에우페미우스가 이 수도원을 세웠다고 한다. 수도원은 1471년까지 폐허로 남아 있었는데, 당시 마르파 보레츠카야의 두 아들이 맹렬한 폭풍에 사망했다. 12일 후, 그들의 시신이 수도원 근처 해변에서 발견되었다. 보레츠카야의 권유로 수도원이 복원되었고, 그녀의 아들은 그곳에 묻혔다.

1553년 8월 24일, 리처드 챈슬러의 배가 소금 채광 정착지인 뇨노크사에 도착했는데, 그곳은 여전히 전통적인 목조 건축으로 유명하다. 영국 선원들은 니콜로-코렐스키 수도원을 방문하여 "수단(러시아 정교 사제복)"을 입은 공동체와 여러 배를 수용할 수 있을 만큼 큰 부두를 발견하고 놀라워했다. 이 특별한 시설의 주요 교회는 선원의 성스러운 수호성인인 성 니콜라스에게 헌정되었다. 그래서 16세기 영어 지도에서 백해 전체가 "성 니콜라스 만"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1613년 말, 러시아의 혼란기 동안, 폴란드-리투아니아 방랑자들인 리소프치가 수도원과 함께 세베로드빈스크를 점령하고 약탈했다.

모스크바 회사가 설립된 후, 그들의 무역 대부분이 현지 항구를 통해 이루어지면서 니콜로-코렐스키 수도원은 번성했다. 1618년 8월에는 존 트레이드스컨트 시니어가 항구를 방문하여 수도원 맞은편에 위치한 섬을 조사했다. 이 섬은 영국인들에게 "로즈 아일랜드"로 알려지게 되었는데, 트레이드스컨트가 "로사 모스코비타"(현재는 ''로사 아시큘라리스''로 알려짐)라고 이름 붙인 매우 희귀한 식물을 발견하여 런던으로 가져갔기 때문이다.[12]

수도원의 현존하는 건물들은 모스크바 대공국 시대 말에 건설되었다. 성 니콜라스의 5개의 돔이 있는 대성당은 1670년에서 1674년 사이에 건설되었으며, 갤러리로 연결된 성모 승천 교회(1664–1667)가 그 앞에 있었다. 수십 년 후, 벽과 탑은 목재로 지어졌으며, 소비에트 연방은 이 탑들 중 가장 잘 보존된 것을 모스크바 콜로멘스코예로 옮겼으며, 그곳에 여전히 남아 있다.

2. 2. 현대 도시

세베로드빈스크는 소련 시대에 발전한 현대 도시이다. 건설 초기에는 '''수도스트로이'''(Судострой|배 건조ru)라고 불렸다.[11] 1938년에 도시 지위를 얻었으며, 1957년까지는 뱌체슬라프 몰로토프의 이름을 따서 '''몰로토프스크'''(Молотовскru)라고 불렸다.[11] 1957년 9월 12일, 세베로드빈스크("북부 드비나 도시"라는 의미)로 이름이 바뀌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에는 북극 호송대가 무르만스크아르한겔스크에 전달한 소련 지원 물자의 상당 부분이 세베로드빈스크에서 하역되었다. 예를 들어, PQ 16 호송대와 함께 아르한겔스크에 도착하여, PQ 17 호송대의 선박에서 8주 동안 하역 작업을 했던 영국 중량물 운반선인 ''엠파이어 엘가''호가 있었다.

러시아 해군 기지는 이 지역의 주요 잠수함 건조 및 수리 시설(북위 64.5817도, 동경 39.8307도)에서 원자력 잠수함의 해상 시험을 지원한다. 소련 시대에는 조선소 부지에 있던 17세기 니콜로-코렐스키 수도원의 건물이 조선 목적으로 개조되어 사용되었다.[13] 최근 몇 년 동안, 수도원 건물, 특히 주요 교회는 복원되어 다시 문을 열었다. 예배에 참석하는 신자들은 조선소 노동자이거나 조선소 내 교회 출입증을 소지해야 한다.

세베로드빈스크는 외국인의 출입이 제한된 도시로, 특별 출입증이 필요하다.[10]

2019년 8월 8일, 원자력 사고가 세베로드빈스크에서 서쪽으로 30km 떨어진 뇨노크사에 있는 러시아 해군 중앙 미사일 시험장에서 발생했다.[14]

3. 행정 구역 및 인구 통계

행정 구역 내에서, 11개의 농촌 정착지와 함께, '''세베로드빈스크 시(oblast significance)'''로 통합되어, 아르한겔스크주와 동등한 지위를 가진 행정 단위이다.[15] 지방 자치 단체로서, 세베로드빈스크 시는 '''세베로드빈스크 도시 구'''로 통합된다.[16]

1950년부터 1990년까지 첨단 기술 산업은 상당한 수의 자격을 갖춘 전문가와 근로자에 대한 수요를 창출하여 인구 증가를 촉진했다. 1992년 이후, 경제 위기와 실업으로 인해 도시에서 상당한 이주가 발생하면서 인구가 감소했다.

1939년부터 현재까지 세베로드빈스크의 인구[15]
1939194419591962196719701973
21,00028,90078,65797,000121,000144,672160,000
1975197619791982198519861987
177,000177,000197,232214,000238,000233,000239,000
1989199019911992199319941995
248,670255,000252,000250,000245,000243,000246,000
1996199719981999200020012002
244,000237,000239,000231,800229,300232,800201,551
2003200420052006200720082009
201,600199,300197,400195,200193,200191,400188,855
2010201120122013201420152016
192,353191,794190,083188,539187,284186,172185,075
2017201820192020202120222023
183,996183,255182,291181,990180,806



2010년 전러시아 인구 조사에 따른 민족별 인구[15]
민족인구비율(%)
러시아인176,39795.50
우크라이나인3,1351.70
벨라루스인1,1490.62
타타르인4060.22
아제르바이잔인2550.14
추바쉬인2370.13
인도인1810.10
아르메니아인1400.08
모르도바인1340.07
코미인1090.06
몰도바인1080.06
유대인1070.06
우드무르트인1040.05
마리인910.05
독일인620.03
바시키르인580.03
레즈긴인540.03
리투아니아인520.03
기타1,9301.04
민족을 지정한 총계184,709100.00
민족을 명시하지 않은 시민8,898


4. 지리

북드비나강이 백해와 만나는 지점 근처에 있는 이 도시는 아르한겔스크주의 행정 중심지인 아르한겔스크에서 북서쪽으로 35km 떨어져 있다. 북위 64°34′에 위치해 북극광을 관찰할 수 있다.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아한대 기후에 속하며, 여름은 서늘하고 겨울은 매우 춥다. 5월 17일부터 7월 27일까지는 백야 현상이 나타난다.[19]

세베로드빈스크의 기후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C)-9.6°C-8.3°C-2.9°C4.1°C10.8°C17.6°C20.9°C18.3°C11.5°C3.9°C-2.2°C-6.6°C4.8°C
평균 기온 (°C)-14.5°C-12.2°C-6.3°C-0.2°C6.5°C12.6°C15.8°C13.2°C7.8°C1.6°C-4.5°C-10.3°C0.8°C
평균 최저 기온 (°C)-16.6°C-15.6°C-11.7°C-4.6°C1.9°C7.9°C11.2°C9.8°C5.2°C-0.6°C-7.2°C-13.2°C-2.7°C
평균 강수/강설 일수211919161515131616212224217
최고 기온 기록 (°C)3.5°C5°C10.4°C19.6°C31.2°C30.9°C35.9°C29.9°C26.9°C15.8°C9.8°C3.7°C35.9°C
최저 기온 기록 (°C)-36.3°C-34°C-29.6°C-16.6°C-3.9°C1.3°C3.7°C3.7°C-1.4°C-12.1°C-20.6°C-28.8°C-36.6°C
평균 강수량 (mm)322622292870719357574141566
평균 상대 습도 (%)85837873657073778286878779


4. 1. 위치

이 도시는 북드비나강이 백해와 만나는 지점인 니콜스키 어귀 근처에 있으며, 아르한겔스크주의 행정 중심지인 아르한겔스크에서 북서쪽으로 35km 떨어져 있다.

세베로드빈스크 시와 인근 농촌 지역을 포함하는 세베로드빈스크 도시 구역의 면적은 1193.49km2로, MKAD 내의 모스크바 면적보다 넓다. 이는 세베로드빈스크 시 외에도 시의 남쪽과 서쪽에 있는 정착지(마을 및 별장)가 있는 넓은 숲 지역이 세베로드빈스크 도시 구역의 경계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경계 내의 시 면적은 120.5km2이다.

이 도시는 북위 64°34′에 위치해 있어 북극광을 관찰할 수 있다.

4. 2. 기후

세베로드빈스크의 기후는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아한대 기후에 속한다. 여름은 서늘하고 겨울은 매우 춥다. 겨울 평균 기온은 러시아 유럽의 중부, 남부, 심지어 일부 북부(상트페테르부르크 등) 지역보다 낮다. 12월에는 오전 9시 이후에 해가 뜨고 오후 4시 전에 해가 진다. 그러나 5월 17일부터 7월 27일까지 이 도시에서는 백야 현상이 관찰된다.[19]

세베로드빈스크의 기후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C)-9.6°C-8.3°C-2.9°C4.1°C10.8°C17.6°C20.9°C18.3°C11.5°C3.9°C-2.2°C-6.6°C4.8°C
평균 기온 (°C)-14.5°C-12.2°C-6.3°C-0.2°C6.5°C12.6°C15.8°C13.2°C7.8°C1.6°C-4.5°C-10.3°C0.8°C
평균 최저 기온 (°C)-16.6°C-15.6°C-11.7°C-4.6°C1.9°C7.9°C11.2°C9.8°C5.2°C-0.6°C-7.2°C-13.2°C-2.7°C
평균 강수/강설 일수211919161515131616212224217
최고 기온 기록 (°C)3.5°C5°C10.4°C19.6°C31.2°C30.9°C35.9°C29.9°C26.9°C15.8°C9.8°C3.7°C35.9°C
최저 기온 기록 (°C)-36.3°C-34°C-29.6°C-16.6°C-3.9°C1.3°C3.7°C3.7°C-1.4°C-12.1°C-20.6°C-28.8°C-36.6°C
평균 강수량 (mm)322622292870719357574141566
평균 상대 습도 (%)85837873657073778286878779


5. 경제

세베로드빈스크는 러시아 해군원자력 잠수함 기지가 있는 중요한 항구 도시이다. 표트르 1세가 처음 조선소를 설치했고, 세브마슈 등 잠수함 공창이 있다. 러시아 해군의 가장 큰 원자력 잠수함에는 "세베로드빈스크"라는 이름이 붙여졌다.[1]

5. 1. 산업

세베로드빈스크는 아르한겔스크주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다. 주요 산업은 방위산업 관련으로, 거대한 북부 기계 제작 기업인 세브마쉬(SEVMASH)에서 잠수함을 건조하고 수리한다. ''레닌스키 콤소몰''은 1957년에 이곳에서 건조된 소련 최초의 원자력 잠수함이었다. 1980년대 초에는 세계 최대의 잠수함인 타이푼급도 이곳에서 건조되었으며, 나중에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되었다.

니콜스코예 입구, "즈뵤즈도치카" 공장은 오른쪽 강둑에, "세브마쉬" 공장은 왼쪽 강둑에 있다.


이 도시의 주요 역할은 잠수함과 군함을 생산하고 수리하는 것이었고, 현재도 그러하다. 냉전 기간 동안 도시는 번성했지만, 소련의 쇠퇴와 해체, 냉전의 종식과 함께 도시는 쇠퇴했다. 도시의 대규모 군사 기업들은 1990년대의 경제 위기를 견뎌냈고 새로운 경제 상황에 적응했다. 세베로드빈스크는 현재 대형 선박(유조선, 화물선)을 위한 러시아 최대의 조선소를 보유하고 있다.

세베로드빈스크의 주요 기업은 다음과 같다.

기업명주요 사업
세브마쉬 (СевМашru) 또는 북부 기계 제작 기업 (Северное машиностроительное предприятиеru)잠수함 및 기타 해군 함정, 민간 선박 및 석유 플랫폼 건조 및 수리
즈베즈도치카 (Звёздочкаru ("스타"))잠수함, 군함 및 민간 선박 수리, 석유 플랫폼 건설 및 다이아몬드 연마
세베르니 레이드 (Северный рейдru("북극 원정"))해양 장비 제조
아르크티카 (Арктикаru ("북극"))자동화 장비 제조


5. 2. 교통

세베로드빈스크는 이삭고르카역에서 모스크바아르한겔스크를 연결하는 노선에서 갈라지는 철도 노선의 종착역이다.

쿠뎀스카야 협궤 철도는 2010년 포브스 선정 세계 10대 아름다운 철도 노선에 선정되었다.

세브마쉬(Sevmash) 밴디 경기

6. 스포츠

세베로드빈스크를 대표하여 시, 지역 및 전 러시아 대회에 참가하는 스포츠 팀은 다음과 같다.

팀명대표 기업종목
"세브마시"북부 기계 제작 기업축구, 풋살, 아이스하키, 반디, 배구, 플로어볼
"즈베즈도치카""즈베즈도치카" 기업축구, 풋살, 하키, 배구
"세베르"반디


7. 사회

세베로드빈스크에는 20여 개의 기념비와 기념 단지가 있다.


  • 파샤예바 광장에 있는 도시 창립자를 기리는 기념비 (높이 30m 조각)
  • 이 지역 출신의 러시아 과학자 미하일 로모노소프 기념비. 도시의 주요 거리 중 하나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 블라디미르 레닌 기념비 2개
  • 아르한겔스크에서 오는 길에 있는 도시 문

피쿨의 집

  • 제2차 세계 대전 후방 노동자 기념비
  • 야그리 섬의 군사 기념 단지: 제2차 세계 대전 참전자 기념비 "슬픔에 잠긴 조국", 쿠르스크 잠수함 침몰 사고 희생자 기념비,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수습 요원 기념비

야그리 섬의 "그리스도 부활" 교회


세베로드빈스크에는 15개의 문화 유산 기념물이 보호받고 있다. 특히, 뇬옥사 마을의 뇬오코츠키 포고스트는 연방 차원의 건축 기념물로, 두 개의 교회(여름에 사용하는 크고 난방이 안 되는 교회와 겨울에 사용하는 작고 난방이 되는 교회)와 종탑으로 구성된 몇 안 되는 삼중 목조 교회 앙상블 중 하나이다.

야그리 섬에 있는 나무로 된 그리스도 부활 교회는 1990년대에 세베로드빈스크 북부로 옮겨졌으며, 이 도시에서 처음으로 문을 연 종교 건물이었다. 이 교회는 19세기 말 세베로드빈스크에서 약 20km 떨어진 솔자 마을에 지어졌다.

성 니콜라스 석조 교회는 세브마쉬 조선소 동쪽에 있으며, 15세기부터 솔로베츠키 섬 순례 수도원으로 가는 관문 역할을 했던 스뱌토-니콜스코예 수도원의 마지막 잔재이다.

7. 1. 교육

세베로드빈스크에는 고아와 장애 아동을 위한 특수 학교를 포함하여 32개의 중등 일반 교육 학교가 있으며, 2개의 음악 학교와 2개의 미술 학교가 있다. 또한, 다음과 같은 교육 기관들이 있다.

  • 기술 전문 대학 (2011년부터 북극 연방 대학교의 일부)
  • 건설, 디자인 및 기술 기술 전문 학교
  • 조선 및 엔지니어링 기술 전문 학교
  • 조선 및 선박 수리 기술 전문 학교
  • 사회 기반 시설 기술 전문 학교
  • 배선 및 통신 기술 전문 학교
  • 경영 및 정보 기술 대학
  • 아르한겔스크 의과 대학 분교


다음과 같은 교육 기관의 분교도 이 도시에 있다.

  • 북극 연방 대학교 (조선 및 해양 북극 공학 연구소(ISMART) 및 인문학 연구소 포함)
  • 국제 경영 연구소 (아르한겔스크)
  • 모스크바 현대 인문 아카데미
  • 국가 서비스 북서 아카데미 (상트페테르부르크)

7. 2. 문화 유산

바이킹은 2천년 초 북드비나강 주변 영토, 즉 뱌르말란드의 일부를 탐험했다. 13세기 이전에는 영국과 노르만 선박[11]이 채광, 모피, 어업을 위해 이 지역에 왔지만, 이후 기후가 추워지고 북극해 접근이 막혔다.

역사 기록에 따르면, 현대 세베로드빈스크 부지의 정착지는 1419년에 처음 언급되었는데, 당시 스웨덴 군이 만으로 항해하여 스웨덴-노브고로드 전쟁 중 해안에 있던 니콜로-코렐스키 수도원을 불태웠다. 1613년 말, 러시아의 혼란기 동안, 폴란드-리투아니아 방랑자들인 리소프치가 수도원과 함께 세베로드빈스크를 점령하고 약탈했다.

모스크바 회사가 설립된 후, 그들의 무역 대부분이 현지 항구를 통해 이루어지면서 니콜로-코렐스키 수도원은 번성했다.

수도원의 현존하는 건물들은 모스크바 대공국 시대 말에 건설되었다. 성 니콜라스의 5개의 돔이 있는 대성당은 1670년에서 1674년 사이에 건설되었으며, 갤러리로 연결된 성모 승천 교회(1664–1667)가 그 앞에 있었다. 수십 년 후, 벽과 탑은 목재로 지어졌으며, 소비에트 연방은 이 탑들 중 가장 잘 보존된 것을 모스크바 콜로멘스코예로 옮겼으며, 그곳에 여전히 남아 있다.

세베로드빈스크에는 거의 20개의 기념비와 기념 단지가 있다.

  • 파샤예바 광장에 있는 도시 창립자를 기리는 기념비 (높이 30m 조각)
  • 이 지역에서 태어난 유명한 러시아 과학자 미하일 로모노소프 기념비. 도시의 주요 거리 중 하나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 블라디미르 레닌 기념비 2개
  • 아르한겔스크에서 오는 길에 있는 도시 문

  • 제2차 세계 대전의 후방 노동자 기념비
  • 야그리 섬의 군사 기념 단지에는 제2차 세계 대전 참전자를 위한 기념비 "슬픔에 잠긴 조국", 쿠르스크 잠수함 침몰 사고 희생자 기념비 및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수습 요원 기념비가 있다.


세베로드빈스크에는 15개의 문화 유산 기념물이 보호를 받고 있다. 특히, 뇬옥사 마을의 뇬오코츠키 포고스트는 연방 차원의 건축 기념물로 보호받고 있다. 이 곳은 두 개의 교회(여름에 사용되는 크고 난방이 안 된 교회와 겨울에 사용되는 작고 난방이 되는 교회)와 종탑으로 구성된 몇 안 되는 삼중 목조 교회 앙상블 중 하나이다.

또한, 현재 세베로드빈스크 북부에 위치한 야그리 섬에 있는 나무로 된 그리스도 부활 교회는 1990년대에 이곳으로 옮겨졌으며, 이 도시에서 처음으로 문을 연 종교 건물이었다. 이 교회는 19세기 말 세베로드빈스크에서 약 20km 떨어진 솔자 마을에 지어졌다.

성 니콜라스 석조 교회는 세브마쉬 조선소의 동쪽에 위치해 있다. 이 교회 건물은 15세기부터 솔로베츠키 섬의 순례 수도원으로 가는 관문 역할을 했던 스뱌토-니콜스코예 수도원의 마지막 잔재이다.

8. 자매 도시

세베로드빈스크는 다음과 같은 도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국가도시
Приднестровская Молдавская Республика|프리드네스트로비예 몰도바 공화국ru티라스폴
Россия|러시아ru브랸스크
Беларусь|벨라루스be마지르
Україна|우크라이나uk수미
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영어포츠머스


참조

[1] 문서 Decision #123
[2] 문서 Charter of Severodvinsk, Article 1.3
[3] 문서 Law #65-5-OZ, Article 15.1.1
[4] 간행물 OKATO reference
[5] 문서 Charter of Severodvinsk, Article 33.1.2
[6] 웹사이트 Mikhail Arkadyevich Gmyrin, Mayor of Severodvinsk http://www.severodvi[...] Official website of the Administration of Severodvinsk
[7] 문서 Charter of Severodvinsk, Article 33.1.1
[8] 웹사이트 Телефонный код города Северодвинск http://kodcity.ru/in[...] Коды городов 2011-08-26
[9] 웹사이트 Оценка численности постоянного населения по субъектам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https://rosstat.gov.[...]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2022-09-01
[10] 웹사이트 What is Unreachable in Arkhangelsk Region - The Official Tourist Web Portal of Arkhangelsk Region of Russian Federation http://www.pomorland[...] 2014-08-08
[11] 서적 Severodvinsk—test of strength "Pravda Severa" publishing house
[12] 서적 England and Russia: Comprising the Voyages of John Tradescant, the Elder... Adamant Media Corporation 1999-01-01
[13] 웹사이트 XX век http://www.edu.sever[...] Управление образования Северодвинска 2011-08-26
[14] 웹사이트 New Russian government data on August 8 explosion reveals that a nuclear reactor was definitely involved https://meduza.io/am[...] 2019-08-31
[15] 문서 Oblast Law #65-5-OZ
[16] 문서 Oblast Law #258-vneoch.-OZ
[17] 서적 Русская жена убийцы президента: Молотовск-Даллас
[18] 웹사이트 city population http://citypopulatio[...] 2023-05-05
[19] 웹인용 Historical Weather for Severodvinsk http://pogoda.ru.net[...] 2011-08-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