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약산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약산면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완도군에 속한 면으로, 본섬인 조약도와 여러 부속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1949년 고금면에서 분면하여 약산면으로 승격되었으며, 1999년 약산대교 개통과 2007년 고금대교 개통으로 육지와 연결되었다. 주요 산업으로는 농업, 어업, 흑염소 사육 등이 있으며, 특히 약산흑염소는 유명하다. 삼문산, 가사동 해수욕장, 약산 진달래 축제 등이 관광 명소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완도군의 행정 구역 - 금일읍
    전라남도 완도군에 위치한 금일읍은 평일도를 포함한 여러 섬으로 이루어져 1916년 금일면으로 통합, 1980년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다시마 주요 생산지이자 금일해수욕장, 월송리 해송림 등 관광 명소가 있는 곳이다.
  • 완도군의 행정 구역 - 고금면
    전라남도 완도군 동북부에 위치한 고금면은 고금도를 중심으로 유·무인도들로 이루어져 유배지로 활용되었으며 이순신 장군이 왜군에 맞서 싸운 역사적인 장소이고 유자, 매생이 등의 특산물과 문화재, 축제 등의 볼거리를 제공한다.
  • 완도군 - 장보고 수산물축제
  • 완도군 - 청산도 슬로걷기축제
    청산도 슬로걷기축제는 전라남도 완도군 청산도에서 매년 봄 '느림'을 주제로 개최되는 축제로, 국제슬로시티연맹 공식길 인증 및 유네스코 세계농업유산 등재 등과 관련된 행사들이 진행된다.
  • 전라남도의 읍·면 - 회진면
    회진면은 전라남도 장흥군에 속하는 면으로, 백제 시대 마사량현에서 시작하여 고려 시대 회령을 거쳐 조선 시대 회령면으로 존속하다가 1986년 분면되어 현재 대리, 덕산리, 신상리, 진목리, 회진리의 5개 리로 구성되어 있다.
  • 전라남도의 읍·면 - 삼호읍
    전라남도 영암군 남서쪽에 위치한 삼호읍은 대불국가산업단지 조성으로 인구가 증가하여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영암군청과 코리아 인터내셔널 서킷이 위치하고 국도 제2호선으로 연결된다.
약산면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이름약산면
한자 표기藥山面
영문 표기Yaksan-myeon
광역시도전라남도
시군구완도군
면적26.70
세대1,335
세대 조사2015.12.31.
인구2246
인구 조사2022년 3월
법정리5
행정리21
73
면사무소약산면 약산로 367
홈페이지약산면사무소
약산면 지도
약산면 지도

2. 역사

828년(신라 흥덕왕 3년) 장보고가 완도읍 죽청리에 청해진을 설치할 때 주민이 최초로 섬에 들어왔다. 고려 시대에는 영암군의 탐진현에 속하였다가, 1124년 장흥부에 속하였다. 1417년 탐진현이 도강현과 합하여 강진현이 되었고, 1501년 강진현의 칠량으로 소속이 이관되어, 이때부터 강진현 소속으로 485년간 속했다.

1896년 완도군이 신설되어 조약면이라 칭하고, 행정구역으로 16개리를 설치하고 면사무소는 관산리에 위치하였다. 1914년 4월 1일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고금면과 통합되었다. 1949년 4월 1일 고금면으로부터 분면하여 약산면으로 승격되었다.

2. 1. 고대 ~ 조선 시대

828년(신라 흥덕왕 3년) 장보고가 완도읍 죽청리에 청해진을 설치할 때 주민이 최초로 섬에 들어왔다. 고려 시대에는 영암군의 탐진현에 속하였다가, 1124년 장흥부에 속하였다. 1417년 탐진현이 도강현과 합하여 강진현이 되었고, 1501년 강진현의 칠량으로 소속이 이관되어, 이때부터 강진현 소속으로 485년간 속했다.

2. 2. 근현대

828년(신라 흥덕왕 3년) 장보고가 완도읍 죽청리에 청해진을 설치할 때 주민이 최초로 섬에 들어왔다. 고려 시대에는 영암군의 탐진현에 속하였다가, 1124년 장흥부에 속하였다. 1417년 탐진현이 도강현과 합하여 강진현이 되었고, 1501년 강진현의 칠량으로 소속이 이관되어, 이때부터 강진현 소속으로 485년간 속했다.

1896년 완도군이 신설되어 조약면이라 칭하고, 행정구역으로 16개리를 설치하고 면사무소는 관산리에 위치하였다. 1914년 4월 1일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고금면과 통합되었다. 1949년 4월 1일 고금면으로부터 분면하여 약산면으로 승격되었다.

3. 지리

약산면은 본섬인 조약도(助藥島)와 섬어두리 등 4개의 무인 부속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장흥반도의 남쪽 해상 약 2 km에 위치해 있는데, 완도군의 본섬인 완도와는 약 11 km 동쪽에 위치하고 있다. 서쪽으로 고금도와 약 300m, 동쪽으로는 평일도생일도에 각각 약 3.5 km, 동북쪽 금당도에 8.2 km, 남서쪽 신지도와는 1.4 km로 주변 섬들과 근거리에 인접해 있으며, 남쪽 청산도와는 약 15.5 km 떨어져 있다.

면적은 26.70 km2이고, 해안선 길이는 약 50 km이다.(각각의 기록에 따라 면적의 차이가 있는데 가장 작은 기록은 23.80 km2 이고, 최고인 기록은 28.75 km2로 기록하고 있다.) 섬의 남부에는 397m 높이의 삼문산이 솟아 섬의 2/3 가량을 지배하고 있다. 망봉의 정상에는 봉화대의 흔적이 아직까지 남아있다.

조약도는 험한 산세로 사제를 출연하여 개간되어(사패지) 궁중장토로 대대로 내려오면서 이전부터 막대한 조세부담이 있어왔다. 그래서 섬에는 산을 농토로 개간하는 것(해발 300m가 넘는 불당에는 아직도 논의 흔적들을 볼 수 있다.)과 별개로 농토를 늘리기 위한 목적으로 소규모의 간척사업들이 많았다. 우두리 앞, 관중리와 신기리 앞 2개소, 천동리 앞, 화가리 앞, 여동리 앞, 장용리 앞, 그리고 제일 규모가 컸던 해동리 앞 간척지까지 경작면적을 늘이기 위한 노력이 지속되었다.

현대에 들어와 국책사업으로 우두리와 구암리 앞바다를 가로 지르는 간척사업이 1987년 착공하여 10여년의 공사가 진행되어 1997년 완공되었다. 이 간척사업으로 약 300ha의 면적이 조성되어 농경지로 181ha와 780만m2의 담수호가 조성되었다.

3. 1. 위치 및 지형

약산면은 본섬인 조약도(助藥島)와 섬어두리 등 4개의 무인 부속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장흥반도의 남쪽 해상 약 2 km에 위치해 있는데, 완도군의 본섬인 완도와는 약 11 km 동쪽에 위치하고 있다. 서쪽으로 고금도와 약 300m, 동쪽으로는 평일도생일도에 각각 약 3.5 km, 동북쪽 금당도에 8.2 km, 남서쪽 신지도와는 1.4 km로 주변 섬들과 근거리에 인접해 있으며, 남쪽 청산도와는 약 15.5 km 떨어져 있다.

면적은 26.70 km2이고, 해안선 길이는 약 50 km이다. 섬의 남부에는 397m 높이의 삼문산이 솟아 섬의 2/3 가량을 지배하고 있다. 망봉의 정상에는 봉화대의 흔적이 아직까지 남아있다.

조약도는 험한 산세로 사제를 출연하여 개간되어(사패지) 궁중장토로 대대로 내려오면서 이전부터 막대한 조세부담이 있어왔다. 그래서 섬에는 산을 농토로 개간하는 것과 별개로 농토를 늘리기 위한 목적으로 소규모의 간척사업들이 많았다. 우두리 앞, 관중리와 신기리 앞 2개소, 천동리 앞, 화가리 앞, 여동리 앞, 장용리 앞, 그리고 재일 규모가 컸던 해동리 앞 간척지까지 경작면적을 늘이기 위한 노력이 지속되었다.

현대에 들어와 국책사업으로 우두리와 구암리 앞바다를 가로 지르는 간척사업이 1987년 착공하여 10여년의 공사가 진행되어 1997년 완공되었다. 이 간척사업으로 약 300ha의 면적이 조성되어 농경지로 181ha와 780만m2의 담수호가 조성되었다.

3. 2. 간척 사업

3. 3. 기후

남해의 난류의 영향으로 온난 다우한 해양성 기후를 가지고 있으며, 1월 평균기온 0.1°C, 8월 평균기온 25°C, 연강우량 1217.9mm이다. 강설양은 2.0mm이다. 그러나 2000년대 이르러 겨울철 기온의 상승으로 10cm 이상의 폭설이 종종 내리는 등 겨울철 강설량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4. 교통

1999년에 이르러 고금도와 연결하는 연도교인 약산대교가 개통되고, 2007년 6월 29일 고금도강진군 마량면을 연결하는 고금대교가 개통되어 육지화가 되어 기상에 관계없이 육지를 오갈 수 있게 되었다.

약산대교와 고금대교가 개통된 이후 육지와의 교통편은 대폭 개선 되었다. 강진군의 군내버스가 당목항에서 강진까지 하루 5번 연결하고, 금호고속 직행버스가 광주에서 약산면 당목항까지 하루 4번씩 운행한다. 고금면과의 군내버스도 연계운행중이다. 고금면과 육지와의 교통편은 강진군내버스와 시외버스 모두 각각 11편씩이 있다.

면내의 교통상황은 줄어든 인구수와 더불어 약산대교 개통 이후 고금면과 교통편이 연계되는 과정과 고금대교가 개통되면서 강진군과 교통편이 연계되는 과정에서, 섬의 남부지역 마을들은 이전보다 버스 회차가 줄어드는 등 불편해졌는데, 이 부족해진 교통 상황은 택시를 이용해 해소하고 있다.

해상교통은 연도교인 약산대교와 연륙교인 고금대교가 잇따라 개통됨에 따라 강진군 마량항에서 완도군의 동부의 섬들을 이어주던 교통편은 대부분 사라졌다. 다리 개통 이전에는 추석과 구정때마다 마량항에서 몇시간씩 기다려서 고향을 찾곤했다. 마량항에서 약산면의 동쪽지역인 금일읍생일면을 이어주던 해상교통은 당목항에서 계속되고 있으며 금일읍생일면을 이어주는 뱃길이 30분마다 있다. 금일읍생일면은 마량항에서 해상으로 20km가 넘던 뱃길이 8km 이내로 단축되었고 소요시간도 1시간이 넘던 시간이 30분대로 줄어들었다.

4. 1. 육상 교통

1999년 고금도와 연결하는 연도교인 약산대교가 개통되고, 2007년 6월 29일 고금도와 강진군 마량면을 연결하는 고금대교가 개통되어 육지화되면서 기상에 관계없이 육지를 오갈 수 있게 되었다. 약산대교와 고금대교가 개통된 이후 육지와의 교통편은 대폭 개선되었다. 강진군의 군내버스가 당목항에서 강진까지 하루 5번, 금호고속 직행버스가 광주에서 약산면 당목항까지 하루 4번씩 운행한다. 고금면과의 군내버스도 연계 운행 중이다. 고금면과 육지와의 교통편은 강진군내버스와 시외버스 모두 각각 11편씩 있다.

면내의 교통 상황은 인구 감소와 더불어 약산대교 개통 이후 고금면과 교통편이 연계되는 과정과 고금대교가 개통되면서 강진군과 교통편이 연계되는 과정에서, 섬의 남부 지역 마을들은 버스 회차가 줄어드는 등 불편을 겪고 있다. 이 부족해진 교통 상황은 택시를 이용해 해소하고 있다.

4. 2. 해상 교통

1999년 고금도와 연결하는 연도교인 약산대교가 개통되고, 2007년 6월 29일 고금도와 강진군 마량면을 연결하는 고금대교가 개통되어 육지화가 되어 기상에 관계없이 육지를 오갈 수 있게 되었다. 약산대교와 고금대교가 개통된 이후 육지와의 교통편은 대폭 개선되었다. 강진군의 군내버스가 당목항에서 강진까지 하루 5번 연결하고, 금호고속 직행버스가 광주광역시에서 약산면 당목항까지 하루 4번씩 운행한다. 고금면과의 군내버스도 연계 운행 중이다.

해상교통은 연도교인 약산대교와 연륙교인 고금대교가 잇따라 개통됨에 따라 강진군 마량항에서 완도군의 동부의 섬들을 이어주던 교통편은 대부분 사라졌다. 다리 개통 이전에는 추석과 구정 때마다 마량항에서 몇 시간씩 기다려서 고향을 찾곤 했다. 마량항에서 약산면의 동쪽 지역인 금일읍생일면을 이어주던 해상 교통은 당목항에서 계속되고 있으며 금일읍생일면을 이어주는 뱃길이 30분마다 있다. 금일읍생일면은 마량항에서 해상으로 20km가 넘던 뱃길이 8km 이내로 단축되었고 소요 시간도 1시간이 넘던 시간이 30분대로 줄어들었다.

5. 행정 구역

약산면에는 5개의 법정리와 21개의 행정리가 있다. 법정리에는 장룡리, 관산리, 해동리, 우두리, 득암리가 있으며, 면사무소는 장용리에 있다.

법정리행정리
관산리관산리, 관중리, 관서리, 신기리
득암리득암리, 구암리, 상득암리, 사동리
우두리우두리, 천동리, 넙고리, 화가리, 여동리
장용리장용리, 구성리, 죽선리, 가래리
해동리해동리, 당목리, 어두리, 가사리



6. 부속 도서

조약도완도군 약산면 관산리, 득암리, 우두리, 장용리, 해동리에 걸쳐 있는 섬이다. 장용리에는 대죽도, 소죽도가 있다. 해동리에는 덕도, 1098번지 섬이 있다.

7. 관광 및 문화

7. 1. 유적 및 볼거리

삼문산 정상에는 남해의 부속섬들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위치(맑은 날에는 제주도의 한라산까지 보임.)에 있어서 조선시대부터 사용하던 대한민국 최남단 봉수터가 아직도 남아있다. 해동리에 사지, 득암리에 베틀굴이 있다.

1984년 전남 완도군 약산면 어두리 앞바다에서 일명 '완도선'이라 명명된 11세기 선박이 인양되었고, 약 3,000여점의 도자기, 18여편의 금속조각, 9여편의 나무조각, 18여편의 선체 조각등 고려시대 자기들과 고대 한국 선박의 원형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유물이 출토되었다. 인양된 완도선은 현재는 복원되어 목포해양박물관에 전시하고 있다.
가사동 해수욕장은 약 200m의 작은 해변을 가진 소규모 해수욕장이지만 배후에 동백등 활엽수군락이 있고, 이 활엽수군락을 지나 흘러 들어오는 자연수에 바닷물이 깨끗하고 시원하다. 주위에 바다갯바위 낚시등을 할 수 있어 조용하게 휴양을 즐길 수 있다. 근처 해동사는 아침 일출이 아름답다.
삼문산 등반로는 비교적 낮은 해발의 산이지만 골짜기가 비교적 험한 산이다. 그러나 등산로는 비교적 평탄하고 짧은편 이어서 가족단위로 등산을 즐길 수 있고, 삼문산 정상인 망봉에서는 탁트인 남해의 전망을 즐길 수 있다. 망봉의 정상에는 조선시대 최남단 봉수대터가 남아있다. 맑은 날 등거산의 토끼봉은 신지도 건너 청산도와 그 뒤로 한라산까지 보이기도 한다.
약산 진달래축제는 지역경제 활성화 일환으로 2000년 시작된 지역축제로 망봉의 남쪽 아래에 행사를 진행하는 진달래공원을 조성해 놓았는데 4월에 시원하게 펼쳐진 남해바다를 배경으로 진달래와 철축이 가득 피고, 흑염소 싸움대회등 여러 행사들을 즐길 수 있다. 진달래공원은 수세식화장실과 수도시설을 갖추어 놓아 카캠핑도 가능하다.
충혼탑약산면사무소 뒷편에 위치한 한국 전쟁 당시 인민군과 전투를 벌여 격퇴한 경찰 26명과 방위군3명의 넋을 위로하는 기념비다. 최초에는 약산중학교 교내에 세웠으나, 장소가 협소하여 1980년대 후반 격전지였던 현재의 자리로 이전하였다.
약산호는 약산방조제 공사에서 약 780만m2의 규모로 조성된 담수호로 낚시꾼 사이에서는 씨알이 굵은 붕어민물낚시로 많이 알려져 있다. 또한 겨울철에는 많은 철새들이 찾아오는 철새의 도래지이다.

7. 2. 관련 전설

약 150여 년 전 이 섬의 한 어부가 어전(漁箭)에 김이 착생한 것을 보고 양식했다는 전설이 있다. 옛날 삼문산에 살던 3명의 처녀가 섬 남쪽에 난파된 오키나와/オキナワryu인들을 구조했는데, 그들이 감사의 표시로 고구마를 주고 갔다고 한다. 이 처녀들이 고구마를 심어 먹으면서 고금도 주민들에게도 전해 주었고, 이것이 전국으로 퍼지면서 고금도의 이름을 따서 고구마라고 불렀다고 한다. 약 350년 전 마을에 정착한 사람들이 마을 도로 작업을 하다 돌을 발견했는데, 괭이에 상처 입은 자리에서 피가 흘러나와 이를 괴이하게 여겨 신당을 만들어 모셨다는 전설도 있다.

8. 주요 시설

약산면에는 약산면사무소, 약산면파출소, 약산우체국, 완도농협 약산지점, 수협약산지점, 약산면보건지소, 해동진료소, 약산면소방출장소가 있다. 2개의 주유소, 농협마트, 개인택시조합도 운영되고 있다.

교육 시설로는 약산초등학교 병설유치원, 약산초등학교, 약산중고등학교가 있다. 약산초등학교는 1920년 개교하였으며, 1990년대에 분교 2개소가 통합되었다. 해동초등학교는 1946년 해동분교로 시작하여 1949년 국민학교로 승격되었으나 2003년 약산초등학교로 통합되었다. 득암초등학교는 1950년 득암분교로 시작하여 1960년 국민학교로 승격되었으나 1993년 약산초등학교로 통합되었다. 약산중학교는 1969년, 약산고등학교는 1984년 개교하였으며, 1999년부터 통합 운영되고 있다. 완도농협 약산지점은 2009년 5월 약산금일농협이 완도농협에 흡수통합되면서 설치되었다.

9. 주요 생산물

약산면의 주요 농산물은 쌀, 보리, 콩, 고추 등이다. 약산간척지 조성으로 쌀은 연간 1,000톤 이상 생산하고 있다.

섬의 남동쪽과 남서쪽 연안에서는 김과 미역 양식이 활발하며, 최근에는 다시마 양식도 이루어지고 있다. 부근 수역은 제주해협을 통과하는 난류의 영향으로 난류성 어족이 풍부하여 고등어, 전갱이, 도미, 갈치 등이 많이 잡힌다. 최근에는 광어와 전복 양식으로도 유명하다.

약산면은 섬에서 자생하는 다양한 약초를 먹고 자란 약산흑염소로 유명하다. 조선시대에는 궁중진상품으로 알려졌으며, 삼지구엽초 또한 스테미너에 효과가 있어 진상되었다. 현재에도 이러한 전통을 이어가고 있으며, 과거 약초의 섬이라 불리며 궁중 약재를 공급하던 명성과 흑염소의 명성을 살려 생약초 테마파크를 조성하고, 대도시 부녀회와 자매결연을 맺는 등 특산품화를 추진하고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