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금면은 전라남도 완도군의 면으로, 삼한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여러 행정구역에 속해 있었다.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이 수군본영을 설치하고, 노량해전에서 순국한 후 유해가 안치되었던 곳이다. 현재는 유자, 고구마, 매생이 등을 생산하는 농어업 지역이며, 약산대교와 고금대교를 통해 육지와 연결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완도군의 행정 구역 - 약산면
약산면은 전라남도 완도군 조약도를 중심으로 한 면으로, 장보고의 청해진 설치 당시 백성들이 정착한 곳이며, 험준한 산세와 함께 흑염소, 김 양식, 해수욕장, 봉수터 등의 특징을 가진다. - 완도군의 행정 구역 - 금일읍
전라남도 완도군에 위치한 금일읍은 평일도를 포함한 여러 섬으로 이루어져 1916년 금일면으로 통합, 1980년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다시마 주요 생산지이자 금일해수욕장, 월송리 해송림 등 관광 명소가 있는 곳이다. - 완도군 - 장보고 수산물축제
- 완도군 - 청산도 슬로걷기축제
청산도 슬로걷기축제는 전라남도 완도군 청산도에서 매년 봄 '느림'을 주제로 개최되는 축제로, 국제슬로시티연맹 공식길 인증 및 유네스코 세계농업유산 등재 등과 관련된 행사들이 진행된다. - 전라남도의 읍·면 - 회진면
회진면은 전라남도 장흥군에 속하는 면으로, 백제 시대 마사량현에서 시작하여 고려 시대 회령을 거쳐 조선 시대 회령면으로 존속하다가 1986년 분면되어 현재 대리, 덕산리, 신상리, 진목리, 회진리의 5개 리로 구성되어 있다. - 전라남도의 읍·면 - 삼호읍
전라남도 영암군 남서쪽에 위치한 삼호읍은 대불국가산업단지 조성으로 인구가 증가하여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영암군청과 코리아 인터내셔널 서킷이 위치하고 국도 제2호선으로 연결된다.
| 고금면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지도 | |
| 기본 정보 | |
| 이름 | 고금면 |
| 한자 표기 | 古今面 |
| 영문 표기 | Gogeum-myeon |
| 광역시도 | 전라남도 |
| 시군구 | 완도군 |
| 면적 | 46.53 |
| 세대 | 2,376 |
| 세대 조사 | 2015년 12월 31일 |
| 인구 | 4146명 |
| 인구 조사 | 2022년 3월 |
| 법정리 | 10 |
| 행정리 | 33 |
| 반 | 128 |
| 면사무소 | 고금면 농상도남길 24 |
| 홈페이지 | 고금면사무소 |
2. 역사
고금면은 삼한시대 마한, 삼국시대 백제, 통일신라 탐진현을 거쳐 고려 장흥부에 속했다. 조선 건국 후 1417년 도강군과 탐진현이 강진현으로 통합되면서 대구면 고금도가 되었다. 1896년 해남과 강진 등의 부속 섬들을 통합하여 완도군이 창설되면서 완도군 고금도가 되었다.[1]
임진왜란 때 이순신이 덕동에 수군 본영을 설치했고, 노량해전에서 그가 순국하자 유해를 충무리로 옮겼다가 이듬해 충청남도 아산으로 예장하였다.[1] 고금도는 예로부터 유배지로 유명했으며, 격전지와 선사시대 유적의 흔적이 남아있다.[1]
조선 후기에는 많은 인물들이 고금도로 유배되었다.
- 김노경은 김정희의 친아버지로, 효명태자 사망 이후 안동 김씨가 풍양 조씨를 밀어내는 과정에서 고금도에서 4년간 유배생활을 했다.[8]
- 이도재는 1884년 갑신정변에 연루되어 고금도로 유배되었다. 1895년 갑오경장 때 유배에서 풀려났으며, 1896년 전라감사로 재직할 때 완도군을 만들었다.
- 이경하는 1882년 임오군란의 책임을 지고 유배되었다.
- 조병갑은 고부군수로 농민 혁명이 발발하자 파면되어 고금도로 유배당하였다.
- 백낙구는 1906년 을사조약 체결에 분개하여 의병을 이끌고 순천으로 진격하다 일본군에 체포되어 고금도로 유배되었다.
- Hwang Gi-cheon|황기천영어은 우의정 김달순 탄핵 합계에 참석하지 않아 고금도로 유배되었다가, 1809년 익종 탄생으로 사면되었다.[9]
- 홍병례는 1811년 홍경래의 난에 연루되어 고금도 연동으로 유배되었다. 1864년 귀양에서 풀려났으나 이곳에서 계속 거주하다 사망하였다.
- 홍인한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정치인으로, 정조의 등극을 반대하다가 정조 즉위 후 고금도로 유배되었다.
2. 1. 고대 ~ 조선 시대
삼한시대 마한, 삼국시대 백제, 통일신라 탐진현(828년 완도군 청해진 설치로 청해진에 속함)을 거쳐 고려 장흥부에 속했다. 조선 건국 후 1417년 도강군과 탐진현이 강진현으로 통합되면서 대구면 고금도가 되었다. 1896년 해남과 강진 등의 부속 섬들을 통합하여 완도군이 창설되면서 완도군 고금도가 되었다.[1]임진왜란 때 이순신이 덕동에 수군 본영을 설치했고, 노량해전에서 그가 순국하자 유해를 충무리로 옮겼다가 이듬해 충청남도 아산으로 예장하였다.[1] 고금도는 예로부터 유배지로 유명했으며, 격전지와 선사시대 유적의 흔적이 남아있다.[1]
2. 2. 임진왜란과 이순신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이 덕동에 수군본영을 설치하였다. 노량해전에서 이순신 장군이 순국하자 유해를 충무리로 옮겨왔다가 다음 해 충청남도 아산으로 예장하였다. 예로부터 수많은 사람들의 유배지로 유명하였고, 격전지 및 선사시대 유적지로서 그 흔적이 남아있다.2. 3. 조선 후기 유배지
조선 후기에는 많은 인물들이 고금도로 유배되었다.- 김노경은 김정희의 친아버지로, 효명태자 사망 이후 안동 김씨가 풍양 조씨를 밀어내는 과정에서 고금도에서 4년간 유배생활을 했다.[8]
- 이도재는 1884년 갑신정변에 연루되어 고금도로 유배되었다. 1895년 갑오경장 때 유배에서 풀려났으며, 1896년 전라감사로 재직할 때 완도군을 만들었다.
- 이경하는 1882년 임오군란의 책임을 지고 유배되었다.
- 조병갑은 고부군수로 농민 혁명이 발발하자 파면되어 고금도로 유배당하였다.
- 백낙구는 1906년 을사조약 체결에 분개하여 의병을 이끌고 순천으로 진격하다 일본군에 체포되어 고금도로 유배되었다.
- Hwang Gi-cheon|황기천영어은 우의정 김달순 탄핵 합계에 참석하지 않아 고금도로 유배되었다가, 1809년 익종 탄생으로 사면되었다.[9]
- 홍병례는 1811년 홍경래의 난에 연루되어 고금도 연동으로 유배되었다. 1864년 귀양에서 풀려났으나 이곳에서 계속 거주하다 사망하였다.
- 홍인한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정치인으로, 정조의 등극을 반대하다가 정조 즉위 후 고금도로 유배되었다.
2. 4. 근현대
고금면은 삼한시대에는 마한, 삼국시대에는 백제, 통일신라시대에는 탐진현에 속했다. 828년 완도군에 청해진이 설치되면서 청해진에 속하게 되었고, 고려시대에는 장흥부에 속했다. 조선시대 1417년 도강군과 탐진현이 통합되어 강진현으로 개편되며 대구면 고금도가 되었다. 1896년 해남과 강진 등의 부속 섬들을 하나로 통합하여 완도군이 창설되면서 완도군 고금도가 되었다.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이 덕동에 수군본영을 설치하였다. 이순신 장군이 노량해전에서 순국하자 유해를 충무리로 옮겨왔다가 다음 해 충남 아산으로 예장하였다. 예로부터 수많은 사람들의 유배지였으며, 격전지이자 선사시대 유적지로서 그 흔적이 남아있다.
3. 지리
완도군 동북부에 위치하며 유인도 3개 섬과 무인도 14개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강진군 마량면과 북일면 사이, 조약도(약산도), 신지도로 둘러싸여 있다. 원래 섬이었던 척찬리, 화성리와 항동리를 잇는 항동방조제가 있다.
가장 높은 산은 214.5m의 봉황산, 덕암산 공원이 있는 189m의 덕암산, 봉수대 유적이 있는 망덕산 등 200m 내외의 산들이 있다. 농업·식수용으로 백운저수지, 덕암저수지, 내동저수지, 청학제가 있다.
반도 남단과의 최단 거리는 약 800m, 서쪽 완도와는 약 2km, 동쪽 조약도와는 약 300m 떨어져 있으며, 해안선 길이는 54.5km이고 동남 반부는 낮고 평평하다.
3. 1. 지형
완도군 동북부에 위치하며 유인도 3개 섬과 무인도 14개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강진군 마량면과 북일면 사이, 조약도(약산도), 신지도로 둘러싸여 있다. 원래 섬이었던 척찬리, 화성리와 항동리를 잇는 항동방조제가 있다.가장 높은 산은 214.5m의 봉황산, 덕암산 공원이 있는 189m의 덕암산, 봉수대 유적이 있는 망덕산이다. 200m 내외의 산들이 산재해 있다. 농업·식수용으로 백운저수지, 덕암저수지, 내동저수지, 청학제가 있다.
반도 남단과의 최단 거리는 약 800m, 서쪽 완도와는 약 2km, 동쪽 조약도와는 약 300m씩 각각 떨어져 있다. 해안선 길이는 54.5km이고 동남 반부는 낮고 평평하다.
3. 2. 기후
남해 난류의 영향으로 온난다습한 해양성 기후를 띠며 난대 활엽수림이 무성하다. 연평균 기온은 13.9 ℃, 1월 평균기온 2.2 ℃, 8월 평균기온 26.3 ℃, 연강수량은 1201mm이다.4. 행정구역
면소재지는 농상리이다. 처음 농상리에 있던 면사무소는 1914년 조약면을 통합하면서 덕동리로 이전했다가 1949년 조약도가 약산면으로 분면하면서 다시 농상리로 이전했다.
| 법정리 | 행정리 |
|---|---|
| 가교리 | 가교리, 교성리 |
| 농상리 | 농상리, 대곡리, 석치리, 영부리 |
| 덕동리 | 넙도리, 덕동리, 윤동리, 충무리, 화성리 |
| 덕암리 | 이덕암리, 일덕암리 |
| 도남리 | 장풍리, 도남리, 부곡리, 연동리, 척찬리 |
| 봉명리 | 봉명리, 봉성리, 장항리, 칠성리 |
| 상정리 | 상정리 |
| 세동리 | 내동리, 세동리, 신장리, 항동리 |
| 청용리 | 용초리, 청용리, 청학리 |
| 회룡리 | 봉암리, 장중리, 회룡리 |
4. 1. 법정리 및 행정리
고금면의 면소재지는 농상리이다. 처음 농상리에 있던 면사무소는 1914년 조약면을 통합하면서 덕동리로 이전했다가 1949년 조약도가 약산면으로 분면하면서 농상리로 다시 이전했다.| 법정리 | 행정리 |
|---|---|
| 가교리 | 가교리, 교성리 |
| 농상리 | 농상리, 대곡리, 석치리, 영부리 |
| 덕동리 | 넙도리, 덕동리, 윤동리, 충무리, 화성리 |
| 덕암리 | 이덕암리, 일덕암리 |
| 도남리 | 장풍리, 도남리, 부곡리, 연동리, 척찬리 |
| 봉명리 | 봉명리, 봉성리, 장항리, 칠성리 |
| 상정리 | 상정리 |
| 세동리 | 내동리, 세동리, 신장리, 항동리 |
| 청용리 | 용초리, 청용리, 청학리 |
| 회룡리 | 봉암리, 장중리, 회룡리 |
5. 부속 도서
고금면에는 다음과 같은 부속 도서들이 있다.
| 리 | 섬 이름 |
|---|---|
| 가교리 | 고금도, 산233번지 섬 |
| 농상리 | 고금도 |
| 덕동리 | 고금도, 넙도, 대게도, 원도, 인도, 장고도, 초완도, 해남도, 698번지 섬, 산39번지 섬 |
| 덕암리 | 고금도 |
| 도남리 | 고금도 |
| 봉명리 | 고금도 |
| 상정리 | 고금도, 황도, 산173번지 섬 |
| 세동리 | 고금도 |
| 청용리 | 고금도, 산318번지 섬 |
| 회룡리 | 고금도 |
6. 교통
1999년 약산면과 연결되는 약산대교가 완공되었고, 2007년 6월 30일 강진군 마량과 연결되는 고금대교가 개통되었다. 2010년 3월 3일 고금대교에 LED 경관 조명이 설치되었다.[3]
국도 제77호선이 강진군 마량에서 고금대교를 통해 들어오며, 지방도 제830호선이 약산대교 방향으로 이어진다. 강진 마량과 신지 완도읍 사이에 다리가 놓이기 전에는 각각 배가 다녔었다.
고금대교 개통으로 광주에서 고금도까지 직행 노선이 생겼다. 강진군내버스가 석치까지 연결되어 강진읍과 직접 연결된다. 약산대교 개통으로 덕동 방향 버스 노선은 약산면과 통합 운행한다.
6. 1. 교량
1999년 약산면과 이어주는 연도교인 약산대교가 완성되었고, 2007년 6월 30일 강진군 마량과 연결하는 연륙교인 고금대교가 개통되었다. 2010년 3월 3일에는 고금대교에 LED를 이용한 경관조명 150여 개가 설치되었다.[3]6. 2. 도로
1999년 약산면과 연결되는 연도교인 약산대교가 완성되었고, 2007년 6월 30일 강진군 마량과 연결되는 연륙교인 고금대교가 개통되었다. 2010년 3월 3일에는 760m 길이의 고금대교에 LED 경관조명 150여 개가 설치되었다.[3]국도 제77호선이 강진군 마량에서 고금대교를 통해 들어오며, 지방도 제830호선이 약산대교 방향으로 이어진다. 강진 마량과 신지 완도읍 사이에 다리가 놓이기 전에는 각각 배가 다녔었다.
고금대교 개통으로 광주에서 고금도까지 직행 노선이 11차례 생겼다. 또한 강진군내버스가 석치까지 11차례 연결되어 강진읍과 직접 연결된다. 약산대교 개통으로 덕동 방향 버스 노선은 약산면과 통합 운행되고 있다.
- 버스: 고금도 내를 다니는 버스와 배를 타고 신지도를 거쳐 완도읍까지 가는 버스가 있다.
- 택시: 고금영흥택시와 고금개인택시가 영업 중이다.
- 배: 신지도와 고금도를 다닌다.
6. 3. 대중교통
1999년 약산면과 이어주는 연도교인 약산대교가 완성되었고, 2007년 6월 30일 강진군 마량과 연결하는 연륙교인 고금대교가 개통되었다. 고금대교는 국도 제77호선이 들어오며 약산대교 방향으로 지방도 제830호선이 이어진다. 강진 마량과 신지 완도읍간에 다리가 놓이기 전에는 각각 배가 다녔었다.[3]고금대교 개통으로 광주광역시에서 고금도까지 직행 노선이 생겼다. 강진군내버스가 석치까지 연결되어 강진읍과 직접 연결된다. 약산대교 개통으로 덕동 방향 버스 노선이 약산면과 통합 운행한다.
7. 주요 시설
| 주요 시설 |
|---|
| 고금파출소 |
| 고금우체국 |
| 고금수협 |
| 고금농협 |
| 고금축협 |
| 고금보건지소 |
| 예비군고금면대 |
| 한전고금출장소 |
| 고금119안전센터 |
8. 교육
9. 경제

고금면에서는 농업, 축산업, 어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산물로는 유자가 있으며, 고구마, 콩, 보리, 쌀 등을 재배한다. 한우와 흑염소를 기르며, 김, 미역, 전복, 굴, 조개, 감태 등을 양식하거나 채취한다.
9. 1. 농업
40여 농가가 특산품인 유자 농사를 전문으로 하고 있다. 살충제를 거의 쓰지 않아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으로부터 저농약 재배 품질 인증을 받았다.[4] 고구마, 콩, 보리, 쌀 농사를 한다. 고구마라는 이름의 유래설 중 고구마를 들여와 처음 재배한 곳이 고금도이므로 '고금마(古今의 마)'로 불렀다고 한다.[5]9. 2. 축산업
한우, 흑염소를 기른다.9. 3. 어업
김, 미역을 양식하며 패류인 전복, 굴, 조개와 감태를 채취한다. 특산품 중 하나는 겨울 김 양식 때 김과 파래에 함께 채취되는 해초인 매생이이다.[4] 가두리양식장, 축양장, 전복양식장, 미역양식장을 운영하며 소득을 올리고 있다.10. 생태계

- 잘피: 개펄에서 자라는 풀의 종류로, 사투리로 진저리, 진질이라고 한다. 고금면 장항리에 대규모로 서식하며, 썰물 때면 강섬동, 우럭, 광어 등을 맨손으로 잡을 수 있다.[6][7]
- 비파나무: 식용 또는 약용으로 쓰이며, 원산지는 일본이다. 고금도에서 숲을 이루고 있다.
- 감태: 청정해역의 갯벌에서만 자라는 해조류이다. 소라와 전복의 먹이가 되며, 말려서 요리해 먹는다.
10. 1. 잘피 (진질)
잘피는 개펄에서 자라는 풀의 종류이다. 사투리로 진저리, 진질이라고 한다. 배고픈 시절 구황식물이기도 했고 보리 농사철 거름으로 쓰이기도 하며 바다 수질 정화 역할도 한다.[6] 고금면 장항리에 대규모로 서식한다. 썰물이 되어 물이 빠져나가면 미처 빠져나가지 못한 강섬동, 우럭, 광어 등을 맨손으로 잡을 수 있다.[7]
10. 2. 비파나무
비파나무는 식용 또는 약용으로 쓰인다. 원산지는 일본이며 고금도에서 숲을 이루고 있다.10. 3. 감태
감태는 청정해역의 갯벌에서만 자라는 해조류이다. 소라와 전복의 먹이가 되며 말려서 요리를 해먹는다.11. 문화
- 묘당도 이충무공 유적(사적 제114호): 정유재란 때 이순신이 본영을 설치하고 왜적을 물리쳤던 곳이다. 노량 해전에서 전사한 이순신의 유해가 임시 안치되었다가 아산으로 옮겨졌다. 명나라 장수가 이순신의 전사를 애석해하며 피를 토하며 슬퍼하고 귀국했다는 비석이 남아있다.
- 우수영 전진도첩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63호): 1780년(영조 4년)에 제작되었으며, 당시 전라우수영의 군사조직, 운영, 해상 작전 수행 방법 등을 알 수 있다.
- 德洞里 貝塚중국어 (덕동리 패총): 조개무덤으로, 토기 등 당시 생활상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사료이다.
- 駕轎里 石城址중국어 (가교리 석성지): 돌로 성을 쌓았던 곳이다.
- 靑龍里중국어 가마터 (청룡리 가마터)
- 靑龍里 支石墓중국어 (청룡리 고인돌)
- 월송축제: 이순신 장군 서거 후 83일간 안치했던 월송대(충무리 소재)에서 따온 명칭이다.[10] 지역 특산품 판촉 행사와 면민 체육대회를 한다.
- 돌미역축제: 영화 천년학 촬영지인 청학리에서 여는 축제이며, 김뜨기 행사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한다.[11]
11. 1. 유배 문화
- 김노경 - 영조의 사위인 월성위의 직계자손으로 추사 김정희의 친아버지이다. 이조·예조·병조의 판서(정2품)와 사헌부 대사헌(종2품)등을 역임하였다. 효명태자가 사망한 이후 안동 김씨가 풍양 조씨를 밀어내고 조정의 세력을 잡는 과정에서 고금도에서 4년동안 유배생활을 했다.[8]
- 이도재 - 1884년 갑신정변에 연좌되어 당시 강진현 고금도로 유배되었다. 1895년 갑오경장때 유배에서 풀려나서 1896년 전주에서 전라감사로 재직할 때 각 지역에 분할된 도서를 모아 완도군을 만들었다.
- 이경하 - 조선말기 포도대장. 1882년 임오군란에 책임을 지고 유배되었다.
- 조병갑 - 고부군수. 농민 혁명이 발발하자 파면을 당하고 당시 강진군 고금도로 유배당하였다.
- 백낙구 - 의병장. 1906년 을사조약 늑결에 분개하여 의병 수백명을 이끌고 순천으로 진격하다가 일본군에게 체포되어 완도군 고금도로 유배되었다.
- Hwang Gi-cheon|황기천영어 - 조선의 문신·서예가. 장령[9].1806년 우의정 김달순을 탄핵하는 합계에 참석하지 않아 용천(龍川)에 유배, 이어 고금도로 이배되었다. 1809년 익종 탄생으로 사면되었다.
- 홍병례 - 1811년 홍경래의 난에 연루되 고금도 연동으로 유배왔다. 1864년 귀양에서 풀려났으나 이곳에서 계속 거주하다가 사망하였다. 연동에 위치한 영모사는 홍병례와 그의 제자였던 윤세용, 배학연등을 추모하기 위해 만든 사당이다.
- 홍인한 -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정치인. 정조의 외조부인 홍봉한의 친동생으로 혜경궁 홍씨의 친숙부이다. 영조가 죽은 뒤 정조의 등극을 반대하다가 정조가 즉위하자 고금도로 유배되었다.
11. 2. 문화재 및 유적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이 고금면 덕동에 수군 본영을 설치하였다. 노량 해전에서 이순신 장군이 순국하자 유해를 충무리로 옮겨왔다가 다음 해 충남 아산으로 예장하였다. 고금면은 예로부터 수많은 사람들의 유배지였으며, 격전지이자 선사시대 유적지로서 그 흔적이 남아있다.- 묘당도 이충무공 유적 (사적 제114호): 고금면 덕동리에 있다. 정유재란 때 이충무공이 본영을 설치하고 왜적을 물리쳤던 곳이다. 이충무공이 노량해전에서 명의 진린 장군과 함께 왜군과 싸우다 전사하자, 유해를 이곳에 임시로 안장했다가 아산으로 옮겨 장례를 치렀다. 명나라 장수가 이충무공의 죽음을 애석하게 여겨 이곳에서 피를 뿌리고 귀국했다는 비석이 남아있다.[10]
- 우수영 전진도첩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63호): 1780년 (영조 4년)에 제작되었으며, 덕동리 충무사에 보관되어 있다. 당시 전라우수영의 군사조직, 운영, 해상 작전 수행 방법 등을 보여준다.[10]
- 덕동리 패총: 조개무덤으로, 토기 등 당시 생활상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사료이다.[10]
- 가교리 석성지: 돌로 성을 쌓았던 곳이다.[10]
- 청룡리 가마터[10]
- 청룡리 고인돌[10]
- 월송축제: 이순신 장군이 순국 후 83일간 안치되었던 월송대(충무리 소재)에서 이름을 따왔다. 지역 특산물 판촉 행사와 면민 체육대회를 개최한다.[10]
- 돌미역축제: 영화 '천년학' 촬영지인 청학리에서 열리며, 김뜨기 행사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한다.[11]
11. 3. 축제
- 廟堂島李忠武公遺蹟중국어 - 사적 114호이다. 고금면 덕동리에 위치한다. 정유재란 때 이순신이 본영을 설치하고 왜적을 물리쳤던 곳이다. 노량 해전에서 명나라 진린 장군과 함께 왜군과 싸우다가 적의 유탄에 맞아 순국하자, 공의 유해를 이곳에 임시로 안치하였다가 아산으로 옮겨 장례를 치렀다. 명나라 장수가 공의 전사를 애석하게 여겨 이곳에서 피를 토하며 슬퍼하고 귀국하였다는 비석이 남아있다.
- 右水營戰陣圖帖중국어 -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163호이다. 1780년(영조 4년)에 제작되었으며, 덕동리 충무사에 보관되어 있다. 당시 전라우수영의 군사조직, 운영, 바다에서의 작전 수행 방법 등을 알 수 있다.
- 德洞里 貝塚중국어 - 패총은 조개 무덤을 뜻한다. 그 안에 토기 등 당시 생활상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사료가 있다.
- 駕轎里 石城址중국어 - 돌로 성을 쌓았던 곳이다.
- 靑龍里중국어 가마터
- 靑龍里 支石墓중국어
- 월송축제 - 이순신 장군이 서거한 후 83일간 안치했던 장소인 월송대(충무리 소재)에서 따온 명칭이다.[10] 지역 특산품 판촉 행사와 면민 체육대회를 한다.
- 돌미역축제 - 영화 천년학 촬영지인 청학리에서 여는 축제이며, 김뜨기 행사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한다.[11]
12. 출신 인물
참조
[1]
뉴스
완도군, 장보고대교 개통... 군민화합의 새장 열려
http://www.asiae.co.[...]
아시아 경제
2017-12-06
[2]
뉴스
완도 고금도 친환경 농수산물에 ‘희망’ 건다
http://www.honammaei[...]
호남매일
2006-12-15
[3]
뉴스
강진 고금대교, 오색경관조명으로 새로운 볼거리 제공
http://www.seoulpost[...]
서울포스트
2010-03-12
[4]
웹사이트
박상건의 살아가는 이야기
http://pass386.com/b[...]
[5]
웹사이트
우리힘 닷컴 고구마 이야기
http://woorihim.com/[...]
[6]
웹사이트
전라도닷컴 “진질이 나믄 뻘이 좋다는 거여”
http://www.jeonlado.[...]
[7]
웹사이트
SBS '생방송 투데이'
http://www.maxmovie.[...]
[8]
웹사이트
법련연꽃동산
http://www.bubryun.c[...]
[9]
문서
장령
[10]
웹사이트
완도관광문화정보관
http://tour.wando.go[...]
[11]
뉴스
완도군, 고금면 청학동 녹색농촌체험마을 ‘돌미역 축제’ 개최
http://media.daum.ne[...]
뉴시스
2010-09-24
[12]
뉴스
미국최고 훈장 받은 6.25 전쟁영웅‘고마도 뻘수’김기운씨를 아시나요?
http://www.yestv.co.[...]
yestv
2009-11-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