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양원군 (성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원군 이항은 조선 성종의 서자이자 막내아들이다. 숙의 홍씨의 소생으로, 정국원종일등공신에 책록되었다. 충의위 조경의 딸과 혼인했으나 사별하고, 유종손의 딸과 재혼했으나 다시 사별하였다. 1535년 시녀를 강제로 범한 사건으로 파직되었으나 얼마 후 직첩을 돌려받았다. 양근군부인 문화 류씨, 첩 학정 등과 가족 관계를 맺었으며, 4남 4녀를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92년 출생 - 마르그리트 당굴렘
    마르그리트 당굴렘은 프랑스 왕족이자 작가, 예술 후원가로서, 나바라 왕비가 되어 르네상스 시대 프랑스 문화 발전에 기여하고 종교 개혁에도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 1492년 출생 - 로렌초 2세 데 메디치
    로렌초 2세 데 메디치는 1492년 피렌체에서 태어나 메디치 가문의 일원으로 피렌체의 영주와 우르비노 공작을 지냈으며, 마들렌 드 라 투르 도베르뉴와의 결혼으로 딸 카트린 드 메디시스를 두었으나 2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1551년 사망 - 오다 노부히데
    오다 노부히데는 오와리 국의 무장으로 오다 노부나가의 아버지이며, 사이토 도산, 이마가와 요시모토 등과 대립하며 오와리 지역 세력 확장에 힘썼으나, 가문 내부 분쟁과 주변 세력과의 싸움으로 오와리 통일에는 실패했고, 지략과 용맹함을 갖췄지만 시대적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1551년 사망 - 허자
    허자는 조선 중기 문신으로 김안국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을사사화에 가담하여 위사공신 1등에 책록되었으나 이기 등과의 갈등으로 유배되어 사망한 인물이며, 사후 관작이 복구되었고, 저서로는 《동애유고》와 미완성작인 《역대사감》이 있다.
  • 조선 성종의 자녀 - 견성군
    견성군 이돈은 조선 성종의 아들로 연산군 시대에 횡포와 부정행위를 저질렀으나 중종반정 이후 공신이 되었고, 이후 모반 사건에 연루되어 사사된 후 신원된 파란만장한 생애를 살았다.
  • 조선 성종의 자녀 - 정숙옹주 (성종)
    정숙옹주는 조선 성종과 숙의 홍씨의 딸로, 영평위 윤섭에게 출가하여 사후 양자를 들여 의지하며 장수하고 예법을 중시한 삶을 살았으며, 사망 후 선조가 장례를 치르도록 했다.
양원군 (성종)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작위군(君)
본명이희
출생일1491년
출생지조선 한성부
사망일1551년 (61세)
사망지조선 한성부 군 사저에서 병사
배우자
배우자정부인 한양 조씨(초취)
배우자계부인 문화 류씨(재취)
양첩학정(측실)
왕가
왕조조선 왕조
종교유교(성리학)
가족 관계
아버지성종 이혈
어머니숙의 홍씨(생모)
어머니정현왕후 윤씨(적모)
친인척연산군 이융(이복 형)
친인척완원군 이수(동복 형)
친인척중종 이역(이복 형)
친인척상원군 이세령(증손)
자녀슬하 4남 8녀

2. 생애

성종의 16남이자 서14남으로 막내아들이다. 생모는 숙의 홍씨이다.

충의위(忠義衛) 증 찬성(贈贊成) 조경(趙經)의 딸과 혼인했으나 1517년 사별했다.[1] 1535년 시녀(侍女)를 강제로 범한 것이 문제가 되어 사헌부사간원 등에서 죄를 물었으나, 중종은 엄벌을 내리지 않고 파직만 시켰으며 얼마 지나지 않아 직첩을 돌려주었다.[2] 계부인으로 양근군부인 문화 류씨, 첩부인 양첩 학정(鶴貞) 등이 있다.

정국원종일등공신(靖國原從一等功臣)에 책록되었다.

2. 1. 초기 생애

이름은 항(𢢝)이며, 자는 미상이다. 성종의 서14남이자 막내아들로, 생모는 숙의 홍씨이다.[1]

충의위(忠義衛) 증 찬성(贈贊成) 조경(趙經)의 딸 풍양 조씨와 혼인했으나 1517년 사별했다.[1] 이후 사복정(司僕正) 증(贈) 우찬성(右贊成) 유종손(柳終孫)의 딸 문화 유씨와 재혼했으나, 1527년에 또다시 사별했다.

2. 2. 파직과 복직

1535년(중종 30년) 양원군은 시녀(侍女)를 강제로 범한 것이 문제가 되어 사헌부사간원 등에서 죄를 물었다. 그러나 중종은 엄벌을 내리지 않고 파직만 시켰으며, 얼마 지나지 않아 직첩을 돌려주며 복직시켰다.[2] 이 사건은 당시 조선 사회의 윤리 의식과 왕족의 특권 의식 사이의 갈등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한편으로는 중종의 왕권이 신권에 의해 제약받고 있었음을 시사하기도 한다.

2. 3. 공신 책록

정국원종일등공신(靖國原從一等功臣)에 책록되었다.

3. 가족 관계

성종의 서자인 양원군은 정실 부인으로 문천군부인 풍양 조씨와 양근군부인 문화 유씨를 두었으나, 이들 사이에서는 자녀를 얻지 못했다. 양원군은 여러 첩을 통해 4남 4녀를 얻었는데, 아들 넷은 모두 양첩 소생으로 서자였으며, 딸 넷은 천첩 소생이었다.

3. 1. 부모와 형제

3. 2. 처와 자녀

안동 권씨 - 감사(監司) 권덕여(權德輿)의 딸서손녀
양손자 : 영천군 정(靈川君 侹, 1550 ~ ?) → 경명군의 손자, 안남군 수련(安南君 壽鍊)의 3남양첩 : 학정(鶴貞)차남 : 연성부정 옥정(蓮城副正 玉精, ? ~ ?)며느리 : 판서(判書) 안윤덕(安潤德)의 딸손녀 : 이도치(李都致, 1539 ~ ?)
손자 : 의창부수 숙(義昌副守 淑, 1550 ~ ?)장녀 : 전주 이씨사위 : 성주 이씨 현령(縣令) 이완(李完)차녀 : 이명복(李命福)사위 : 광산 김씨 군수(郡守) 김복휘(金復輝)3녀 : 이말종(李唜終)사위 : 파평 윤씨 봉사(奉事) 윤황(尹滉)3남 : 화령군 옥명(花寧君 玉命, 1538 ~ ?)며느리 : 참판(參判) 김광진(金光軫)의 딸, 양첩 빙이(氷伊)서손자 : 무창군 효생(武昌君 孝生, 1562 ~ ?), 익창부수 충생(益昌副守 忠生, 1588 ~ ?)서손녀 : 이정생(李貞生, 1590 ~ ?), 이예생(李禮生, 1591 ~ ?), 이응생(李應生, 1595 ~ ?), 이순생(李順生, 1601 ~ ?)손자 : 평창군 만수(平昌君 萬壽, 1598 ~ ?)양첩 : 미상4남 : 강양수 옥호(江陽守 玉糊, 1520년 6월 22일 ~ 1578년 3월 27일)며느리 : 첨지(僉知) 김승석(李承碩)의 딸손녀 : 이덕복(李德福, 1547 ~ ?), 이애복(李愛福, 1552 ~ ?), 손자 : 낙창령 인서(洛昌令 麟瑞, 1555 ~ ?)4녀 : 전주 이씨사위 : 단양 우씨 찰방(察訪) 우승경(禹承慶)첩 : 노비(이름 미상)6녀 : 전주 이씨사위 : 전의 이씨 참봉(參奉) 이대윤(李大胤)첩 : 미상7녀 : 전주 이씨사위 : 영산 신씨 현감(縣監) 신현(辛鉉)8녀 : 이춘종(李春終, 1540년 ~ ?)사위 : 남원 양씨 현감(縣監) 양훈(梁訓)첩 : 미상5녀 : 전주 이씨사위 : 창원 황씨 봉사(奉事) 황수천(黃壽千)


참조

[1] 서적 조선왕조실록 년12월 15일
[2] 서적 조선왕조실록 년5월 25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