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양태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태과는 1839년 윌리엄 존 스웨인슨에 의해 처음 제안된 쏨뱅이목의 물고기 과이다. 인도양-태평양 연안에 주로 분포하며, 육식성 어종으로 작은 물고기와 갑각류를 먹고 산다. 머리가 납작한 형태가 특징이며, 모래나 진흙에 몸을 숨기고 매복하여 먹이를 사냥한다. 한국에서는 낚시와 식용으로 인기가 높으며, 회, 찜, 탕 등 다양한 요리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태과 - 양태 (물고기)
    양태는 인도양과 인도-태평양에 분포하는 납작한 형태의 바다 물고기로, 최대 1m까지 성장하며 작은 물고기와 갑각류를 먹고 사는 야행성 포식자로서 식용으로 이용되는 상업적으로 중요한 어종이다.
  • 태평양의 물고기 - 송어
    송어는 연어과에 속하며 흑색 반점을 가진 어류로, 강해형과 육봉형이 있으며 동해안에서 어업 대상이며, 개체 수 감소로 보전 노력이 필요한 종이다.
  • 태평양의 물고기 - 연어
    연어는 태평양과 북극해에 분포하며 강에서 태어나 바다에서 성장 후 산란을 위해 다시 강으로 돌아오는 어류로, 몸 색깔이 변하고 기름지느러미가 있으며 물렁뼈 비중이 높은 골격 구조를 가진 중요한 수산 자원이지만, 개체 수 감소가 심각한 문제이다.
양태과 - [생물]에 관한 문서
개요
Sunagocia otaitensis
Sunagocia otaitensis
학명Platycephalidae
과 명명자Swainson, 1839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기어강
쏨뱅이목
Acanthocephala
Amblypsalis
Cociella
Cochleoceps
Elates
Eurycephalus
Grammoplites
Inegocia
Kumococius
Leviprora
Ludwigichthys
Megacephalichthys
Onigocia
Papilloculiceps
Platycephalus
Platycephaloide
Plectorhynchus
Rogadius
Sorsogona
স্টেগো빌
Sunagocia
Thysanophrys''

2. 분류

양태과는 조기어강에 속하는 어류의 한 과로, 양태아목으로 분류된다. 이 과가 속한 양태아목을 쏨뱅이목에 포함시킬지, 아니면 농어목 내의 아목으로 분류할지에 대해서는 학자들 간에 견해 차이가 있다.[2][3]

2. 1. 하위 속

양태과(Platycephalidae)는 약 86종을 포함하는 17개 속으로 분류된다.[4]

속명 (학명)명명자연도종 수
Ambiserrula이마무라19961종 (단일 종)
Cociella휘틀리19406종
Cymbacephalus파울러19384종
ElatesD. S. 조던과 실19071종 (단일 종)
Grammoplites파울러19044종
InegociaD. S. 조던과 W. F. 톰슨19133종
InsidiatorD. S. 조던과 스나이더19003종
Kumococius마츠바라와 오치아이19551종 (단일 종)
Leviprora휘틀리19312종
OnigociaD. S. 조던과 W. F. 톰슨19139종
Papilloculiceps파울러와 슈테이니츠19561종 (단일 종)
Platycephalus블로흐179519종
RatabulusD. S. 조던과 헙스192510종
RogadiusD. S. 조던과 리처드슨19087종
Solitas이마무라19961종 (단일 종)
Sunagocia이마무라20035종
Thysanophrys오길비189810종



일부 학자들은 양태과를 최대 5개의 아과로 나누기도 하지만, 《세계의 물고기》(Fishes of the World)에서는 아과를 인정하지 않으며, 일부 학자들이 두 개의 아과를 인정한다고 언급하고 있다.[1] 이 두 아과는 ''Elates''와 ''Platycephalus''를 포함하는 Platycephalinae와 나머지 속을 포함하는 Onigociinae이다.[5] 이 두 그룹은 에오세 시기에 분화된 것으로 추정되며, Platycephalinae는 주로 온대 지역에, Onigociinae는 주로 열대 지역에 분포한다. 기저 Platycephalinae 종은 호주 남부에 국한되어 분포하며, 더 분화된 분류군은 열대 인도-서태평양 지역에서 다양하게 나타났다.[6]

FishBase는 ''Sorsogona'' 속을 인정하지만, 이 속에는 모식종인 ''Sorsogona serrulata''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7] 반면, Catalog of Fishes는 이 속을 ''Rogadius''의 동의어로 취급하면서도, 모식종을 포함한 모든 종을 ''Ratabulus'' 속에 분류하며, 모식종을 ''Ratabulus tuberculatus''의 동의어로 간주한다.[8][9]

2. 2. 계통 분류

양태과는 1839년 영국의 박물학자 윌리엄 존 스웨인슨에 의해 처음으로 과(family)로 제안되었다.[1]

분류학적으로 양태과의 위치에 대해서는 여러 견해가 있다. 《세계의 물고기》 제5판에서는 이 과를 쏨뱅이목 양태아목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한다.[2]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쏨뱅이목을 독립된 목으로 인정하지 않는데, 쏨뱅이목의 일부 분류군을 제외하면 농어목이 단일계통군을 이루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들은 양태과를 농어목 내의 양태아목에 속하며, 벤베라과, 파라벤브라스과, 호플리크티스과, 플렉토게니우스과와 함께 분류한다.[3]

최근의 분자계통학적 연구(Near et al.)에 따르면, 양태과는 불미역치과 및 잔클로린쿠스과와 가까운 관계를 형성하며, 이 그룹은 다시 빨간양태과, 꼬리점눈퉁이과, 쏨뱅이과로 이루어진 그룹과 자매군 관계에 있다. 이 전체 분류군은 남극암치아목과 유연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18][19]

2. 3. 과의 기원 및 명칭

양태과의 이름은 "납작한"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단어 ''platy''와 "머리"를 의미하는 ''kephale''에서 유래되었다.[10]

3. 형태

양태과는 소형에서 중형 크기의 물고기이다. 대부분의 종은 작으며, 평균 길이는 10cm에 이른다. 그러나 양태속의 몇몇 종은 길이가 1m 이상으로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1] 이들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머리의 납작한 형태이다. 몸체의 나머지 부분은 자주 서식하는 다른 물고기와 유사한 모양을 하고 있지만, 머리는 삼각형 모양이고 등배쪽으로 납작하여 흙손이나 화가의 주걱과 같은 모양을 한다.[13] 눈은 바닥에 사는 생활 방식에 따라 윗면에 위치해 있다. 그들은 2개의 완전한 등지느러미를 가지고 있으며, 첫 번째 지느러미는 6개에서 9개의 강한 가시로 지지된다.

헤엄치는 양태과


''Platycephalus fuscus''

4. 분포 및 서식지

양태과는 인도양-태평양 연안에서 자연적으로 발견될 수 있다.[1] 소수의 종은 수에즈 운하를 통해 홍해에서 이동해 지중해 동부에서도 잡힌다.[12]

5. 생태

양태과는 대부분 저서생물인 해양 어류로, 종종 해저 바닥에 직접 머무르며 때로는 모래나 진흙에 몸 일부를 파묻고 지낸다. 서식 깊이는 10m에서 대륙붕 가장자리인 약 300m 깊이까지 다양하다.[13]

육식성 어류로, 작은 물고기나 갑각류를 주로 잡아먹는다. 사냥할 때는 모래 속에 몸을 숨기고 눈만 밖으로 내놓은 채 매복하는 매복 포식자이다. 먹이가 머리 근처로 다가오거나 지나가면, 재빨리 공격하여 큰 입으로 삼킨다. 이러한 사냥 방식 때문에 비교적 한곳에 머물러 살며 성어가 되어서도 먼 거리를 이동하지 않을 것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일부 양태과 종의 개체군 중 일부는 장거리 이동을 하거나 산란을 위해 이동하기도 한다.[14][15]

6. 인간과의 관계

양태는 활발한 상업 어업의 대상이 되며, 낚시꾼들에게도 인기 있는 어종이다.[16] 한국에서는 쫄깃한 식감으로 , , 등 다양한 요리에 이용된다. 일본에서는 일부 종이 실험적인 양식 프로그램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특히 몸집이 큰 종류는 스포츠 피시로 여겨진다.

참조

[1] 논문 Family-group names of Recent fishes https://www.research[...]
[2] 서적 Fishes of the World https://sites.google[...] Wiley
[3] 논문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4] 웹사이트 2022-07-02
[5] 논문 Phylogeny of the Family Platycephalidae and Related Taxa (Pisces: Scorpaeniformes) https://www.jstage.j[...]
[6] 논문 From the tropics to the pole and back again: Radiation in the flathead fishes (Platycephalidae) across Australia and the Indo-West Pacific
[7] FishBase
[8] 웹사이트 2020-07-20
[9] 웹사이트 2022-07-20
[10] 웹사이트 Order Perciformes (Part 11): Suborder Platycephaloidei: Families Bembridae, Parabembridae, Hoplichthyidae, Platycephalidae and Plectrogeniidae https://etyfish.org/[...] Christopher Scharpf and Kenneth J. Lazara 2021-12-07
[11] 논문 Taxonomic revision of the flathead fish genus Platycephalus Bloch, 1785 (Teleostei: Platycephalidae) from Australia, with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2015-01-06
[12] 논문 First confirmed record of the Bartail flathead Platycephalus indicus (L.; 1758) (Actinopterygii:Platycephalidae) in the Syrian marine waters (Eastern Mediterranean) https://www.research[...]
[13] 서적 Encyclopedia of Fishes Academic Press
[14] 논문 Active acoustic tracking suggests that soft sediment fishes can show site attachment: a preliminary assessment of the movement patterns of the blue-spotted flathead (Platycephalus caeruleopunctatus) 2016-07-28
[15] 서적 Gippsland Lakes dusky flathead tracking project https://vfa.vic.gov.[...] Victorian Fisheries Authority 2015-07-29
[16] 논문 STATUS OF FISHERIES RESOURCES IN NSW 2013-14 https://www.research[...] 2015
[17] FishBase
[18] 간행물 Ancient climate change, antifreeze, and the evolutionary diversification of Antarctic fishes 2012-02-28
[19] 간행물 Identification of the notothenioid sister lineage illuminates the biogeographic history of an Antarctic adaptive radiation 2015-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