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을 쫓는 아이 (영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을 쫓는 아이는 2007년에 개봉한 영화로, 2000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아프가니스탄계 미국인 작가 아미르 카디리와 그의 아내 소라야가 연 날리는 아이들을 보면서 시작된다. 영화는 아미르가 아버지의 친구 라힘 칸으로부터 전화를 받으면서 과거 1978년 아프가니스탄 카불에서의 어린 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 아미르는 하산이라는 친구를 배신한 죄책감으로 고통받고, 이후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과 미국 이민, 결혼 등의 과정을 겪는다. 2000년, 아미르는 라힘 칸의 부탁으로 아프가니스탄으로 돌아가 하산의 아들 소랍을 구출하려 한다. 영화는 아미르가 소랍을 만나 새로운 삶을 시작하는 모습을 그리며, 아프가니스탄의 역사적 배경과 인물들의 갈등을 통해 우정과 속죄, 용서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영화는 아역 배우들의 출연과 강간 장면 묘사 등으로 논란이 있었으며, 아프가니스탄 정부는 영화 상영을 금지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키스탄에서 촬영한 영화 - 람보 3
람보 3는 1988년 개봉한 액션 영화로, 실베스터 스탤론이 존 람보 역을 맡아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중 소련군에 잡힌 샘 트라우트먼 대령을 구출하기 위해 아프가니스탄으로 향하는 람보 시리즈의 세 번째 작품이다. - 파키스탄에서 촬영한 영화 - 보와니 분기점
《보와니 분기점》은 1947년 영국 통치 하의 인도를 배경으로 인도인 어머니와 영국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 여성 빅토리아 존스가 자신의 정체성과 사랑을 찾아가는 과정을 그린 1956년 미국 드라마 영화이다. - 마르크 포르스터 감독 영화 - 월드워Z
《월드워Z》는 맥스 브룩스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브래드 피트 주연의 2013년 미국 좀비 영화로, 전직 유엔 조사관이 좀비 바이러스의 기원을 추적하고 백신 개발에 필수적인 정보를 찾는 과정을 그린 액션 스릴러 영화이다. - 마르크 포르스터 감독 영화 - 몬스터 볼 (영화)
마크 포스터 감독의 영화 《몬스터 볼》은 조지아주 교도소를 배경으로 사형 집행에 관련된 백인 교도관과 사형수의 흑인 아내의 만남을 통해 인종, 계급, 과거의 상처 극복 과정을 그린 드라마로, 할리 베리가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 파키스탄을 배경으로 한 영화 - 스페셜 포스 (2011년 영화)
스페셜 포스는 2011년 프랑스 영화로, 아프가니스탄에서 납치된 언론인을 구출하기 위해 투입된 특수부대의 고립된 상황과 생존을 위한 여정을 그린다. - 파키스탄을 배경으로 한 영화 - 아이언맨 3
2013년 개봉한 마블 스튜디오의 슈퍼히어로 영화 아이언맨 3는 셰인 블랙 감독,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주연으로 어벤져스 뉴욕 전투 이후 토니 스타크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겪으며 새로운 위협에 맞서는 이야기와 미국 외교 정책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담고 있다.
연을 쫓는 아이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감독 | 마크 포스터 |
제작 | 윌리엄 호버그 월터 F. 파키스 레베카 옐드햄 E. 베넷 월쉬 |
원작 | 칼레드 호세이니의 《연을 쫓는 아이》 |
각본 | 데이비드 베니오프 |
주연 | 칼리드 압달라 호마윤 에르샤디 숀 토브 아토사 레오니 사이드 타그마오우이 |
음악 | 알베르토 이글레시아스 |
촬영 | 로베르토 셰퍼 |
편집 | 맷 체즈 |
제작사 | Participant Productions Sidney Kimmel Entertainment Parkes+MacDonald Neal Street Productions |
배급사 | 드림웍스 픽처스 파라마운트 클래식스 |
개봉일 | 2007년 12월 14일 |
상영 시간 | 128분 |
제작 국가 | 미국 |
사용 언어 | 다리어 영어 파슈토어 우르두어 |
제작비 | 2000만 달러 |
흥행 수익 | 7320만 달러 |
관련 정보 | |
중국 제목 | 追风筝的人 |
2. 줄거리
2000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사는 아프가니스탄계 미국인 작가 아미르 카디리는 어린 시절 친구였던 아버지의 동료 라힘 칸으로부터 파키스탄 페샤와르로 와달라는 연락을 받는다. 이 연락은 아미르를 과거의 기억 속으로 이끈다.
이야기는 1978년 카불로 거슬러 올라간다. 부유한 파슈툰족 소년 아미르에게는 하자라족 하인의 아들인 하산이라는 가장 친한 친구가 있었다. 둘은 연싸움을 하며 유년 시절을 보냈지만, 연싸움 대회 이후 비극적인 사건이 발생한다. 아미르는 동네 불량배 아세프에게 하산이 강간당하는 장면을 목격하고도 두려움 때문에 외면하고 만다. 이 사건 이후 깊은 죄책감에 시달린 아미르는 결국 하산에게 도둑 누명을 씌워 그와 그의 아버지 알리가 집을 떠나게 만든다.
1979년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으로 아미르와 그의 아버지 바바는 미국으로 망명한다. 아미르는 미국에서 성장하여 작가가 되고, 같은 아프가니스탄계 여성인 소라야와 만나 결혼한다. 아버지 바바는 폐암으로 세상을 떠난다.
2000년, 라힘 칸을 만나러 파키스탄으로 간 아미르는 충격적인 사실들을 듣게 된다. 하산이 탈레반에게 아내와 함께 살해당했으며, 그의 아들 소랍이 고아가 되었다는 소식과 함께, 하산이 사실은 아버지 바바와 하인의 아내 사이에서 태어난 자신의 이복동생이라는 비밀을 알게 된다. 라힘 칸은 아미르에게 카불로 가서 소랍을 구해달라고 부탁한다.
과거의 잘못을 속죄할 기회라고 생각한 아미르는 위험을 무릅쓰고 탈레반 치하의 카불로 향한다. 수소문 끝에 찾은 소랍은 어린 시절의 악연이었던 아세프에게 성적 학대를 당하고 있었다. 아미르는 아세프와 격투 끝에 소랍의 도움으로 그를 제압하고, 소랍과 함께 간신히 파키스탄으로 탈출한다.
아미르는 소랍을 미국으로 데려와 아내 소라야와 함께 아들처럼 키운다. 오랜 트라우마로 마음의 문을 닫았던 소랍에게 아미르는 연 날리기를 가르쳐주며 다가가려 노력한다. 영화의 마지막, 아미르는 소랍을 위해 떨어진 연을 쫓아 달려가며 어린 시절 하산이 자신에게 했던 말, "너를 위해, 천 번이라도."를 외친다. 이는 과거의 죄책감을 마주하고 소랍과의 새로운 관계를 향한 희망을 보여주는 장면이다.
2. 1. 1978년 카불
1978년 카불에서 10살 소년 아미르는 부유한 파슈툰족 자선가인 아버지 밑에서 자란다. 아미르는 아버지를 "바바"라고 부른다. 그의 가장 친한 친구는 하자라족 출신으로, 바바의 오랜 하인 알리의 아들인 하산이다. 아미르는 연싸움을 즐겼고, 하산은 연줄을 잡아주고 떨어진 연을 회수하는 '연잡이' 역할을 했다. 하산은 연이 떨어질 위치를 정확히 예측하는 능력이 있었고, 새총 실력도 뛰어났다. 아미르는 하산의 생일에 미국산 새총을 선물하기도 했다.어느 날 열린 연싸움 대회에서 아미르는 아버지의 기록을 깨며 우승하고, 하산은 마지막으로 떨어진 연을 잡으러 간다. 하지만 아미르는 골목에서 하산이 아세프와 그의 갱단에게 붙잡힌 것을 목격한다. 아세프는 아미르의 연을 내놓으라고 요구하지만, 하산이 거절하자 그들은 하산을 폭행하고 강간한다.
아미르는 이 끔찍한 광경을 지켜보면서도 두려움 때문에 나서지 못한다. 이후 깊은 죄책감에 시달리며 하산을 피하기 시작한다. 알리와 바바가 하산의 달라진 모습에 대해 묻지만, 아미르는 모른 척한다. 심지어 아미르는 바바에게 알리와 하산을 해고할 생각이 없는지 물었다가 크게 꾸짖음을 듣는다.
자신의 비겁함과 죄책감으로 괴로워하던 아미르는 자신의 11번째 생일 파티도 제대로 즐기지 못한다. 결국 다음 날, 아미르는 하산이 자신의 생일 선물인 손목시계를 훔친 것처럼 꾸민다. 하산은 자신이 하지 않은 일임에도 아미르를 위해 혐의를 인정한다. 바바는 즉시 하산을 용서하지만, 알리는 아들의 누명에 수치심을 느끼고 하산과 함께 스스로 바바의 집을 떠난다. 바바는 이들의 갑작스러운 이별에 괴로워한다.
2. 2. 1979년 소련 침공과 이민
1979년 6월,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이 시작되자, 아미르와 아버지 바바는 카불을 떠나 파키스탄으로 향한다. 위험을 무릅쓰고 석유 트럭에 숨어 국경을 넘었으며, 바바의 오랜 친구이자 사업 파트너인 라힘 칸은 카불에 남아 그들의 집을 지키기로 한다.시간이 흘러 1988년, 아미르와 바바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프레몬트에 정착한다. 바바는 주유소를 운영하는 한편, 주말에는 벼룩시장에서 노점을 운영하며 생계를 유지했다. 아미르는 지역 전문대학에서 학위를 취득한 후 아버지의 일을 도왔다.
어느 날 벼룩시장에서 바바는 아미르를 아프가니스탄 육군 장교 출신인 타헤리 장군에게 소개한다. 아미르는 그곳에서 타헤리 장군의 딸 소라야를 보고 첫눈에 반한다. 아미르는 자신이 쓴 이야기를 소라야에게 건네며 마음을 표현하려 하지만, 타헤리 장군은 이를 탐탁지 않게 여겨 압수한다.
얼마 지나지 않아 바바는 말기 폐암 진단을 받는다. 죽음을 앞둔 바바에게 아미르는 마지막 소원으로 타헤리 장군에게 소라야와의 결혼 주선을 부탁한다. 바바는 아들의 부탁을 들어주었고, 타헤리 장군도 결혼을 승낙한다. 결혼 전, 소라야는 아미르에게 과거 버지니아에서 한 파슈툰 남자와 가출했던 일과 그로 인한 소문 때문에 가족이 캘리포니아로 이사해야 했던 경험을 솔직하게 털어놓는다. 아미르는 잠시 충격을 받지만, 소라야에 대한 변함없는 사랑을 확인하고 결혼한다. 결혼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바바는 세상을 떠난다.
2. 3. 1988년 미국 정착과 결혼
1988년,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을 피해 파키스탄을 거쳐 미국으로 망명한 아미르와 그의 아버지 바바는 캘리포니아주 프레몬트에 정착한다. 바바는 주유소에서 일하며 주말에는 벼룩시장에서 장사를 하고, 아미르는 지역 전문대학을 졸업한 후 아버지와 함께 일한다.[1] 벼룩시장에서 아미르는 아버지의 소개로 전 아프가니스탄 육군 장교였던 타헤리 장군과 그의 딸 소라야를 만난다. 아미르는 소라야에게 호감을 느끼고 자신이 쓴 소설을 건네지만, 타헤리 장군에게 제지당한다.[1]얼마 지나지 않아 바바는 말기 폐암 진단을 받는다. 아미르는 아버지에게 마지막 소원으로 소라야와의 결혼을 주선해 달라고 부탁하고, 바바는 타헤리 장군에게 이를 요청하여 허락을 받는다.[1] 결혼을 앞두고 소라야는 아미르에게 과거 버지니아에서 한 남성과 도망쳤던 사실과 그로 인해 캘리포니아로 이사하게 된 사정을 고백한다. 아미르는 잠시 충격을 받지만, 그녀의 솔직함에 감명받고 변함없는 사랑을 약속하며 결혼한다.[1] 결혼식 직후, 바바는 병세가 악화되어 세상을 떠난다.[1]
2. 4. 2000년 아프가니스탄으로의 귀환
2000년, 파키스탄 페샤와르에 있는 라힘 칸은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아미르에게 연락하여 자신을 방문해 달라고 설득한다. 페샤와르에서 죽음을 앞둔 라힘 칸은 아미르에게 자신이 하산을 다시 집으로 불렀으며, 하산이 아내와 아들 소랍과 함께 돌아왔었다고 말한다. 이후 라힘 칸은 파키스탄으로 피신하며 집을 하산과 그의 가족에게 맡겼다. 내전 이후 권력을 잡은 탈레반은 하산에게 집에서 나갈 것을 요구했고, 그가 거부하자 하산과 그의 아내를 처형했다. 아들 소랍은 고아원으로 보내졌다.라힘 칸은 아미르에게 카불로 돌아가 소랍을 찾아달라고 간청하며, 하산이 직접 글쓰기를 배워 쓴 편지를 건넨다. 아미르는 처음에는 거절하지만, 라힘 칸이 하산이 사실 아미르의 이복형제임을 밝히자 충격을 받는다. 하산은 아미르의 아버지 바바와 하인의 아내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었다.
아미르는 탈레반의 엄격한 규율을 따르는 척하기 위해 가짜 수염을 붙이고 카불로 향한다. 고아원을 찾아가지만, 소랍이 이미 탈레반 관리에게 팔려갔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그 관리를 만나러 간 아미르는 그가 바로 어린 시절의 악연이었던 아세프임을 알고 경악한다. 탈레반 간부가 된 아세프는 소랍을 바차로 삼아 학대하고 있었으며, 소랍을 미국으로 데려가려는 아미르를 잔인하게 구타한다. 이때 소랍이 하산이 사용하던 새총으로 아세프의 눈을 쏘아 아미르를 구한다.
부상당한 아미르는 소랍과 함께 페샤와르로 탈출한다. 그러나 그곳에서 라힘 칸이 이미 사망했으며, 아미르에게 편지를 남겼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이후 아미르와 그의 아내 소라야는 소랍을 샌프란시스코의 집으로 데려온다. 아미르는 소랍에게 연 날리는 법을 가르쳐주고, 그의 "연잡이"가 되어주겠다고 자원한다. 마지막 연을 쫓아 달려가며, 아미르는 어린 시절 하산이 자신에게 했던 말, "너를 위해, 천 번이라도"를 소랍에게 그대로 전한다.
2. 5. 소랍과의 새로운 삶
페샤와르로 도망친 아미르와 소랍은 그곳에서 라힘 칸이 이미 세상을 떠났으며, 아미르에게 편지를 남겼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미국 샌프란시스코로 돌아온 아미르와 그의 아내 소라야는 소랍을 가족으로 맞이한다. 오랜 트라우마로 인해 마음의 문을 닫았던 소랍에게 아미르는 연 날리기를 가르쳐주며 다가간다. 아미르는 소랍의 "연잡이"가 되어주겠다고 자원하며, 과거 하산에게 진 빚을 갚고 새로운 관계를 만들어가려는 노력을 보인다. 마침내 소랍이 연 날리기에 흥미를 보이자, 아미르는 떨어진 연을 주우러 달려가며 어린 시절 하산이 자신에게 했던 말, "너를 위해, 천 번이라도."를 소랍에게 외치며 과거의 상처를 마주하고 미래를 향한 희망을 보여준다.3. 등장인물
주요 등장인물은 다음과 같다. 자세한 내용은 각 인물의 하위 문단을 참고한다.
- 아미르: 주인공. 성인 역은 칼리드 압달라, 어린 시절 역은 제케리아 에브라히미가 연기했다.
- 하산: 아미르의 어린 시절 친구. 어린 시절 역은 아마드 칸 마흐무드자다가 연기했다.
- 바바: 아미르의 아버지. 호마윤 에르샤디가 연기했다.
- 소라야: 아미르의 아내. 아토사 레오니가 연기했다.
- 라힘 칸: 바바의 친구이자 아미르의 정신적 지주. 숀 토브가 연기했다.
- 아세프: 아미르와 하산의 어린 시절 적대자이자 후일 탈레반 간부. 성인 역은 압둘 살람 유수프자이(Abdul Salaam Yusoufzai영어), 어린 시절 역은 엘함 에흐사스(Elham Ehsas영어)가 연기했다.
- 소랍: 하산의 아들. 알리 다네시 바크티아리(Ali Danish Bakhtyarifa)가 연기했다.
그 외 등장인물은 다음과 같다.
- 사이드 타그마우이: 파리드(Farid영어) 역. 아미르가 아프가니스탄으로 돌아왔을 때 돕는 택시 운전사.
- 압둘 카디르 파루크(Abdul Qadir Farookh영어): 타헤리 장군 역. 소라야의 아버지.
- 마이무나 게잘(Maimuna Ghezal영어): 자밀라 타헤리 역. 소라야의 어머니.
- 나비 탄하(Nabi Tanha영어): 알리 역. 바바의 오랜 하인이자 하산의 아버지로 여겨지는 인물.
- 나세르 메마르지아(Nasser Memarzia영어): 자만 역. 페샤와르의 고아원 원장.
- 바람 에흐사스(Barham Ehsas영어): 어린 왈리 역. 아세프의 친구 중 한 명.
- 모하마드 아민 라히미(Mohammad Amin Rahimi영어): 가지 스타디움에서 연설하는 탈레반 관리 역.
- 크리스 베릴(Chris Verrill영어): 스타로빈 박사 역. 러시아계 미국인 의사.
- 아마르 쿠레이시(Amar Kureishi영어): 아마니 박사 역. 이란인 의사.
- 메흐부브 알리(Mehboob Ali영어): 파키스탄에서 아미르의 택시 운전사 역.
- 카밀로 쿠에르보(Camilo Cuervo영어): 탈레반 병사 역.
카메오 출연:
- 할레드 호세이니: 원작 소설의 작가. 공원에서 아미르에게 말을 거는 의사 역으로 카메오 출연했다.
- 에흐산 아만: 아미르와 소라야의 결혼식 장면에서 노래하는 가수 역으로 카메오 출연했다.
3. 1. 아미르
영화의 주인공으로, 어린 시절의 잘못을 속죄하려는 재미 아프가니스탄인 소설가이다.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당시 소년의 신분으로 미국으로 도망쳤다. 성인 아미르 역은 칼리드 압달라가 맡았으며, 어린 아미르 역은 제케리아 에브라히미가 연기했다.3. 2. 하산
아미르의 어린 시절 가장 친한 친구이자, 나중에 이복 형제임이 밝혀지는 인물이다. 아프가니스탄 내 소수 민족인 하자라족 출신이며, 어린 시절 아세프에게 끔찍한 일을 당하는 비극을 겪는다.어린 하산 역할은 아마드 칸 마흐무드자다가 연기했다. 하산 역의 아마드 칸 마흐무드자다와 아미르 역의 제케리아 에브라히미는 영화 촬영 당시 각각 11세와 12세였다.[11]
3. 3. 바바
호마윤 에르샤디가 연기했다. 아미르의 아버지로, 작중에서는 Agha Sahib|아가 사히브fa라고도 불린다. 존경받는 사업가이며 파슈툰족 출신이다. 그의 하인으로 알리가 있다.3. 4. 소라야
아미르의 아내이자 타헤리 장군의 딸이다. 어머니는 자밀라 타헤리이다.[11] 배우 아토사 레오니가 소라야 역을 연기했다.3. 5. 라힘 칸
숀 토브가 라힘 칸 역을 연기했다.3. 6. 아세프
어린 시절 아미르와 하산의 고문자였으며, 성인이 되어 탈레반 관리가 되는 인물이다.[11] 압둘 살람 유수프자이(Abdul Salaam Yusoufzaieng)가 성인 아세프 역을, 엘함 에흐사스(Elham Ehsaseng)가 어린 아세프 역을 연기했다.3. 7. 소랍
하산의 아들로, 전쟁으로 인해 고아가 된다. 영화 연을 쫓는 아이에서는 배우 Ali Danish Bakhtyari|알리 다네시 바크티아리fa가 소랍 역을 맡았다.4. 제작
(내용 없음)
4. 1. 촬영
아프가니스탄에서의 촬영 위험 때문에, 영화의 대부분은 대신 카불에서 약 약 804.67km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시각적으로 유사한 점이 많은 카슈가르 (중국)에서 촬영되었다.[2]4. 2. 캐스팅 비화
감독 마르크 포르스터는 원작 소설 연을 쫓는 아이에서 등장인물 하산이 선천적인 입술 기형을 가진 것으로 묘사되지만, 영화에서는 해당 설정을 제외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러한 특징을 분장으로 표현하는 데 매일 2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이야기 전개에 반드시 필요한 요소는 아니라고 판단하여 생략했다고 설명했다.5. 평가
영화 《연을 쫓는 아이》에 대한 비평가들의 반응은 대체로 긍정적이었으나, 일부에서는 비판적인 시각도 제기되었다. 로튼 토마토에서는 178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신선도 65%, 평균 평점 6.20/10점을 기록했으며, "몇몇 훌륭한 연기에도 불구하고, 《연을 쫓는 아이》는 소설의 마법을 스크린으로 옮기는 데 약간 미치지 못한다"는 평가를 받았다. 메타크리틱에서는 34개의 리뷰를 기반으로 100점 만점에 61점을 받아 "대체로 호의적인(generally favorable)" 평가를 받았다.[6]
특히 배우들의 연기, 그중에서도 아역 배우인 아흐마드 칸 마흐무드자다[7]와 제케리아 에브라히미[7], 그리고 성인 배우 호마윤 에르샤디[9][8]의 연기는 좋은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일부 비평가들은 원작 소설의 감성을 영화가 충분히 살리지 못했다거나([8] 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 특정 장면의 연출 방식[8][9], 데이비드 베니오프의 각색[9](뉴욕 타임스) 등에 대해 비판적인 의견을 내놓기도 했다. 시카고 선타임스의 로저 이버트는 이 영화를 2007년 최고의 영화 중 하나로 꼽기도 했다.[10]
5. 1. 긍정적 평가
메타크리틱에서는 34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100점 만점에 61점을 받아 "대체로 호평"이라는 평가를 받았다.[6]특히 영화에 출연한 배우들의 연기가 좋은 평가를 받았는데, 아역 배우인 제케리아 에브라히미(어린 아미르 역)와 아흐마드 칸 마흐무드자다(어린 하산 역)[7], 그리고 성인 배우 호마윤 에르샤디(바바 역)[9][8]가 보여준 연기는 많은 찬사를 받았다.
시카고 선타임스의 저명한 영화 평론가 로저 이버트는 이 영화를 높이 평가하여 2007년 최고의 영화 중 5위로 선정하기도 했다.[10]
일부 비평가들은 원작 소설의 깊이를 스크린으로 옮기는 데 아쉬움을 표하거나[8] 특정 장면 연출에 문제를 제기하기도 했으나,[8][9] 전반적으로 배우들의 호연과 이야기가 좋은 반응을 얻었다.
5. 2. 부정적 평가
로튼 토마토에서는 178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신선도 65%를 기록했으며, 평균 평점은 10점 만점에 6.20점이다. 사이트의 평론가 총평은 "몇몇 훌륭한 연기에도 불구하고, 《연을 쫓는 아이》는 소설의 마법을 스크린으로 옮기는 데 약간 미치지 못한다."이다. 메타크리틱에서는 34개의 리뷰를 기반으로 100점 만점에 61점을 받아 "대체로 호평"을 받았다.[6]일부 비평가들은 영화의 각색과 특정 장면에 대해 비판적인 평가를 내놓았다. 《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의 믹 라살은 영화가 "가치 있는 작품"이라고 하면서도, 원작 소설가 할레드 호세이니의 간결한 문체가 마크 포스터 감독의 감상적인 접근 방식으로 대체되어 "예상보다 더 길고 화려하며 감상적인 영화"가 되었다고 지적했다.[8] 《뉴욕 타임스》의 마노라 다기스는 데이비드 베니오프의 각본을 비판하며, 영화가 공산주의자, 물라, 소련 침략자, 탈레반 반군 등 다양한 역사적, 정치적 요소를 피상적으로 다루고 "이들 중 어느 누구도 이야기에서 의미 있는 방식으로 등장하지 않는다"고 평가했다.[9] 라살과 다기스는 공통적으로 영화 속 강간 장면의 묘사 방식에 대해서도 비판적인 의견을 제시했다.[8][9]
6. 논란
영화 개봉 이후, 작품 내용과 아역 배우들의 처우를 둘러싸고 여러 논란이 일었다. 특히 영화 속 강간 장면 묘사와 관련된 아역 배우들의 안전 문제, 그리고 하자라족과 파슈툰족 간의 민족 갈등 묘사는 큰 파장을 일으켰다.[11][13]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아프가니스탄 정부는 자국 내 영화 상영을 금지하는 조치를 취하기도 했다.[4][14] 또한 아역 배우들의 출연료 문제[11]와 신변 안전 확보를 위한 제작사의 지원[15][16] 및 배우들의 이후 삶[17][18] 역시 주요 쟁점이 되었다.
6. 1. 아역 배우 관련 논란
영화 촬영 자체는 즐거웠다고 알려졌으나, 개봉 이후 아역 배우 본인과 가족들은 여러 우려를 표명했다.[21][11] 특히 영화 속 강간 장면은 논란의 중심이 되었다. 어린 하산 역을 맡은 아흐마드 칸 마흐미드제다는 "영화를 계속 만들고 배우가 되고 싶지만, 강간 장면 때문에 마음이 불편했다. 친구들이 그걸 보면 내가 진짜 강간당했다고 생각할까 봐 더 이상 밖에 나갈 수 없을 것 같다."라고 말하며 고충을 토로했다.[11][21] 해당 장면은 원래 더 자극적으로 묘사될 계획이었으나, 실제 촬영에서는 노출 없이 대역을 사용했으며 성적인 공격은 장면 마지막에 짧게 암시되는 수준으로 표현되었다.[12] 또한, 피해자인 하산이 하자라이고 가해 소년들이 파슈툰족이라는 설정 때문에, 아프가니스탄 내 민족 갈등으로 인한 보복의 두려움도 제기되었다.[13]이러한 논란으로 인해 당시 하미드 카르자이 대통령이 이끌던 아프가니스탄 정부는 강간 장면과 민족 간 긴장 묘사를 문제 삼아 자국 내 극장 상영 및 DVD 유통을 금지했다. 정보 문화부 차관은 "이 영화는 아프가니스탄의 민족 집단을 부정적으로 묘사했다"며, "표현의 자유를 존중하지만 아프가니스탄 사회의 민감성을 고려할 때 특정 민족 집단에게 굴욕감을 줄 수 있다"고 금지 이유를 설명했다.[4][14]
출연료와 관련해서도 문제가 제기되었다. 어린 아미르 역의 제케리아 에브라히미와 하산 역의 아흐마드 칸 마흐미드제다는 각각 17500USD를 받았고, 소랍 역의 알리 다네시는 13700USD를 받았다. 하지만 이후 이 금액이 충분하지 않았다는 주장이 나왔다.[11][21]
배우들의 안전 문제도 심각하게 대두되었다. 에브라히미는 "미국에서 공부하고 싶다. 그곳은 현대적이고 카불보다 안전하다. 여기서 부자가 되면 납치 위험 때문에 안전을 걱정해야 한다"고 말하며 불안감을 드러냈다.[11][21] 이에 영화 제작사인 파라마운트 픽처스는 에브라히미, 마흐미드제다, 알리 다네시(소랍 역), 그리고 오마르 역의 단역 배우까지 총 4명의 아역 배우를 아랍에미리트로 이주시키고, 이들이 성인이 될 때까지 모든 생활비를 지원하기로 약속했다. 이 지원 비용은 최대 50만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산되었다.[15][16]
그러나 이러한 조치에도 불구하고 배우들의 어려움은 계속되었다. 에브라히미는 두바이에서 4개월을 보낸 후 2008년 3월 이모와 함께 카불로 돌아왔으나, 생명의 위협을 느껴 집 밖으로 나가지 못하고 삼촌에게 홈스쿨링을 받아야 했다. 그는 이후 영화 출연을 후회한다고 밝혔다.[17] 마흐미드제다는 두바이에서 2년을 머물렀지만, 다른 가족 구성원들이 비자를 받지 못해 결국 카불로 돌아왔다. 고향에서 그는 하자라족(약하게 묘사되었다는 이유)과 파슈툰족(잔인하게 묘사되었다는 이유) 양측으로부터 지속적인 공격과 굴욕을 겪었다. 결국 마흐미드제다는 인신매매범의 도움을 받아 스웨덴으로 이주했으며, 2017년 기준으로 보를랑에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18]
6. 2. 아프가니스탄 정부의 상영 금지 조치
당시 하미드 카르자이 대통령이 이끌던 아프가니스탄 정부는 영화 속 강간 장면과 민족 간 긴장 묘사를 문제 삼아 극장 및 DVD 가게에서의 상영을 금지했다.[4][14] 특히 영화에서 하자라족 소년 하산이 파슈툰족 소년들에게 성폭행당하는 장면은 아역 배우들의 안전 우려와 부족 간 보복 가능성에 대한 두려움을 낳기도 했다.[11][13] 아프가니스탄 정보문화부 차관은 상영 금지 결정에 대해 "이 영화는 아프가니스탄의 민족 집단을 좋지 않게 묘사했다"며, "언론의 자유를 존중하지만, 이 영화가 상영될 경우 특정 민족 집단에게 굴욕감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4][14]7. 수상 및 후보 지명
연도 | 시상식 | 부문 | 결과 |
---|---|---|---|
2008 | 제80회 아카데미상 | 음악상 - 알베르토 이글레시아스 | 후보 |
제65회 골든 글로브상 | 영화 부문 음악상: 알베르토 이글레시아스 | 후보 | |
외국어 영화상 | 후보 | ||
제61회 BAFTA상 | 앤서니 애스퀴스상 - 영화 음악: 알베르토 이글레시아스 | 후보 | |
각색상: 데이비드 베니오프 | 후보 | ||
비영어 영화상 | 후보 | ||
제7회 AARP 영화상 | 남우조연상 - 호마윤 에르샤디 | 후보 | |
어른들을 위한 영화상 | 후보 | ||
미술 감독 길드상 | 현대 영화 | 후보 | |
제13회 방송 영화 비평가 협회상 | 신인 배우상 - 아흐마드 칸 마흐무드자다 | 수상 | |
작품상 | 후보 | ||
크리스토퍼상 | 장편 영화 | 수상 | |
2007 | 댈러스-포트워스 영화 비평가 협회상 2007 | 작품상 | 후보 |
2008 | 할리우드 포스트 얼라이언스 | 디지털 중간 처리 과정에서 뛰어난 색 보정 장편 영화 | 후보 |
휴스턴 영화 비평가 협회상 2007 | 외국어 영화상 | 후보 | |
2007 | 국제 영화 음악 비평가상 (IFMCA) | 드라마 영화 음악상 - 알베르토 이글레시아스 | 후보 |
전미 비평 위원회상 2007 | 올해의 10대 영화 | 수상 | |
2008 | 노스 텍사스 영화 비평가 협회상 | 외국어 영화상 | 수상 |
2007 | 제12회 새틀라이트상 | 음악상 - 알베르토 이글레시아스 | 수상 |
각색상 - 데이비드 베니오프 | 후보 | ||
세인트루이스 영화 비평가 협회상 2007 | 작품상 | 후보 | |
외국어 영화상 (아프가니스탄) | 후보 | ||
촬영상 - 로베르토 셰퍼 | 후보 | ||
2008 | 시각 효과 협회상 | 영화 부문 뛰어난 시각 효과 | 후보 |
월드 사운드트랙상 | 올해의 사운드트랙 작곡가 - 알베르토 이글레시아스 | 후보 | |
M13 | 후보 | ||
제29회 영 아티스트 어워드 | 국제 장편 영화 부문 연기상 - 주연 아역: 제케리아 에브라히미 | 후보 | |
국제 장편 영화 부문 연기상 - 주연 아역: 아흐마드 칸 마흐무드자다 | 후보 |
참조
[1]
웹사이트
The Kite Runner (2007) - Financial Information
http://www.the-numbe[...]
2014-03-21
[2]
뉴스
Where to Shoot an Epic About Afghanistan? China, Where Else?
https://www.nytimes.[...]
2006-12-31
[3]
뉴스
'Kite Runner' release delayed to protect young stars
http://www.cnn.com/2[...]
2007-10-05
[4]
웹사이트
"The Kite Runner" Banned in Afghanistan
https://www.cbsnews.[...]
2008-01-16
[5]
웹사이트
The Kite Runner
http://www.boxoffice[...]
[6]
웹사이트
Kite Runner, The (2007): Reviews
https://www.metacrit[...]
2007-12-14
[7]
웹사이트
"You should come home. There is a way to be good again."
https://www.rogerebe[...]
2007-12-13
[8]
뉴스
Review: Hosseini's dry-eyed 'Kite Runner' yields mushy movie
https://www.sfgate.c[...]
2006-12-14
[9]
뉴스
From Memories, There's No Escape
https://www.nytimes.[...]
2007-12-14
[10]
웹사이트
The year's ten best films and other shenanigans
http://rogerebert.su[...]
2008-01-05
[11]
웹사이트
'Kite Runner' Boys Fear Afghan Backlash
http://www.rawa.org/[...]
2007-01-14
[12]
웹사이트
Inside 'The Kite Runner' Rape Scene
http://defamer.com/h[...]
2007-10-05
[13]
뉴스
The Kite Runner: real-life drama that forced four child stars into exile
https://www.telegrap[...]
2007-12-18
[14]
뉴스
Kite Runner banned in Afghanistan
http://news.bbc.co.u[...]
2008-01-17
[15]
뉴스
Life In The Raw
http://www.theage.co[...]
2008-01-06
[16]
웹사이트
Studio to delay release of Kite Runner to protect Afghan actors
http://movies.monste[...]
2007-10-04
[17]
웹사이트
'Kite Runner' Star's Family Feels Exploited By Studio
https://www.npr.org/[...]
National Public Radio
2008-07-02
[18]
뉴스
Child hero of Afghan film 'The Kite Runner' finds new home in Sweden
https://www.telegrap[...]
2015-08-22
[19]
뉴스
Where to Shoot an Epic About Afghanistan? China, Where Else?
https://www.nytimes.[...]
2007-02-15
[20]
뉴스
'Kite Runner' release delayed to protect young stars
http://www.cnn.com/2[...]
CNN
2007-10-05
[21]
웹인용
'Kite Runner' Boys Fear Afghan Backlash
http://www.rawa.org/[...]
2007-01-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