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공주 앨리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국 공주 앨리스는 1843년 빅토리아 여왕과 앨버트 공의 차녀로 태어났다. 앨리스는 1862년 헤센 대공 루이 4세와 결혼하여 7명의 자녀를 두었으며, 앨리스는 1878년 디프테리아로 사망했다. 앨리스는 간호, 사회 개혁, 그리고 종교 분야에 관심을 가졌으며, 헤센 지역 사회에 많은 기여를 했다. 앨리스의 자녀들은 유럽 왕실과 러시아 황실에 영향을 미쳤으며, 혈우병 유전자를 후손에게 물려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디프테리아로 죽은 사람 - 엘리샤 오티스
엘리샤 오티스는 엘리베이터 안전 장치를 개발하고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퍼니를 설립하여 엘리베이터 산업 발전에 기여한 미국의 발명가이자 사업가이다. - 디프테리아로 죽은 사람 - 슈테파니 폰 호엔촐레른지크마링겐
슈테파니 폰 호엔촐레른지크마링겐은 독일에서 태어나 포르투갈 국왕과 결혼했으나 급성 디프테리아로 요절한 왕비로, 짧은 기간 동안 사회 기여를 위해 노력했으며 호엔촐레른-지크마링겐 가문으로서 유럽 왕가들과 혈연 관계를 맺었다. - 헤센다름슈타트가 - 헤센 대공국
헤센 대공국은 1806년 헤센-다름슈타트 방백령이 승격되어 성립된 독일 국가로, 나폴레옹 전쟁과 빈 회의의 영향, 19세기 사회·정치적 변혁, 독일 제국 편입을 거쳐 제1차 세계 대전 후 멸망, 현재 헤센 주의 일부가 되었다. - 헤센다름슈타트가 - 마리 폰 헤센다름슈타트 대공녀
마리 폰 헤센다름슈타트 대공녀는 러시아 알렉산드르 2세와 결혼하여 마리아 알렉산드로브나 황후가 되었으며, 러시아 여성 교육 발전과 적십자사 설립에 기여했지만 남편의 외도와 병마 속에서 생을 마감했다. - 영국 작센코부르크고타가 - 에드워드 7세
에드워드 7세는 빅토리아 여왕의 장남으로 태어나 웨일스 공으로 오랜 기간 지내다가 1901년 영국의 국왕으로 즉위하여 외교에 힘쓰고 9년 동안 영국을 통치하다 사망했다. - 영국 작센코부르크고타가 - 클래런스와 에이번데일 공작 앨버트 빅터
클래런스와 에이번데일 공작 앨버트 빅터는 에드워드 7세의 장남으로 영국 왕위 계승 서열 2위였으나 28세에 인플루엔자와 폐렴으로 사망하며 왕위에 오르지 못했고, 클리블랜드 스트리트 스캔들과 잭 더 리퍼 사건 연루설 등으로 역사적 평가에 영향을 받았다.
영국 공주 앨리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앨리스 모드 메리 |
출생 | 1843년 4월 25일 |
출생지 | 영국 잉글랜드 런던 버킹엄 궁전 |
사망 | 1878년 12월 14일 |
사망지 | 독일 제국 헤센 대공국 다름슈타트 노이에스 팔라이스 |
배우자 | 루트비히 4세 |
결혼 | 1862년 7월 1일 |
자녀 | 빅토리아 엘리자베트 이레네 에른스트 루트비히 프리드리히 알릭스 마리 |
왕가 | 작센-코부르크-고타 가문 |
아버지 | 앨버트 |
어머니 | 빅토리아 여왕 |
묻힌 날짜 | 1878년 12월 18일 |
묻힌 곳 | 독일 제국 헤센 대공국 다름슈타트 로젠회에 공원, 노이에스 마우솔레움 |
![]() | |
작위 | |
헤센 대공비 | 1877년 6월 13일 - 1878년 12월 14일 |
2. 생애
앨리스는 1843년 4월 25일 런던 버킹엄 궁전에서 영국 여왕 빅토리아 여왕과 앨버트 공 사이의 셋째 아이이자 둘째 딸로 태어났다.[100] '앨리스'라는 이름은 빅토리아 여왕이 신뢰했던 전 수상 맬번 경의 추천으로 지어졌다.[101] 1843년 6월 3일 버킹엄 궁전의 사적인 예배당에서 캔터베리 대주교인 윌리엄 호울리에 의해 세례를 받았다.[2][100]
앨리스의 탄생으로 빅토리아 여왕 부부는 더 넓은 집을 찾게 되었고, 1844년 와이트 섬의 오스본 하우스를 가족 휴양지로 구입했다. 앨리스는 오스본에서 가정, 요리, 정원 가꾸기, 목공과 같은 실용적인 기술과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수업을 받았다.[5][6] 빅토리아 여왕과 앨버트 공은 가족 가치를 중시하여 앨리스와 형제자매들은 중산층 옷을 입고 난방 시설이 거의 없는 방에서 생활했다.[7]
앨리스는 왕실 밖의 세계에 매료되었으며, 발모럴 성에서 영지에서 일하는 사람들을 방문하는 것을 즐겼다.[8] 1854년 크림 전쟁 중, 11세의 앨리스는 어머니, 언니와 함께 런던의 부상병 병원을 방문했다.[9] 앨리스는 형제자매 중 가장 감정적으로 민감하고 다른 사람에게 공감을 잘 했으며, 날카로운 언변과 쉽게 흥분하는 성격을 지녔다.[10]
1858년 언니 빅토리아 공주가 프로이센의 황태자 프리드리히 왕자와 결혼하여 영국을 떠난 뒤, 앨리스는 실질적인 장녀로서 가족들에게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앨리스는 결혼 전까지 빅토리아 여왕을 보좌하였다. 여왕의 어머니 켄트 공작 부인의 사망과 부군 앨버트 공의 급사, 여왕의 칩거 등 굵직한 사건에 차분히 대처하였으며, 여왕이 칩거한 뒤 여왕과 내각 사이에서 메신저 역할을 자처했던 것도 바로 앨리스였다.[107]
앨리스는 1861년 외할머니 켄트 공작부인 빅토리아가 프로그모어에서 사망[14] 할때, 할머니 곁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며 간호했다. 같은 해 12월 14일, 앨버트 공이 윈저 성에서 사망했을 때에도 앨리스는 그의 곁을 지켰다. 이후 앨리스는 어머니의 비공식 비서가 되었고, 6개월 동안 군주의 대리인이 되어 여왕의 공식 서류를 정부 장관에게 전달했다.[18]
1860년 빅토리아 여왕은 자신의 자녀들이 사랑으로 결혼하길 바랐지만, 유럽 왕가 밖의 배우자를 선택하는 것은 아니였다. 오렌지 공과 프로이센의 알베르트 공이 후보에서 제외된 후, 빅토리아 공주는 헤센의 루이 공을 제안했다. 1860년 윈저 성에 초대된 루이와 앨리스는 서로에게 매력을 느꼈다.[24] 1861년 4월 30일 여왕의 동의를 받아 헤센의 루이 4세 대공과 약혼했고,[25] 1862년 7월 1일, 오스본 하우스의 식당에서 사적으로 결혼했다.
앨리스는 자신이 대영제국의 공주라는 사실에 강한 자부심을 가지고 있었기에, 헤센에 거주하면서도 영국식으로 꾸민 자신의 집에서 7명의 자녀를 철저히 영국식으로 교육시켰다. 1866년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에서 헤센 대공가가 오스트리아 편을 들자 언니 빅토리아가 프로이센의 황태자비였음에도 불구하고 헤센 가문을 지지하였다.[38] 앨리스는 셋째 아이를 임신한 상태에서도 군인들을 위한 붕대를 만들고 병원을 준비하는 등 왕족으로서의 의무를 다했다.[39]
전쟁이 끝난 후, 앨리스는 플로렌스 나이팅게일의 친구로서 그녀의 조언을 받아들여 헤센의 병원 청결과 환기에 힘썼다.[61] 또한, 의료 복지 사업에 헌신하여 간호원 양성 여성 조직과 자신의 이름을 딴 병원 설립에 앞장섰으며, 부상병을 직접 치료하는 등 모범적인 행동을 보여 헤센 사람들의 열렬한 지지를 받았다.
앨리스는 신학자 다비드 프리드리히 슈트라우스와 깊은 우정을 나누었다. 슈트라우스는 당시 예수의 기적을 신화로 보고 성경을 문자 그대로 해석할 수 없다고 주장하여 논란의 중심에 있던 인물이었다.[43] 앨리스는 슈트라우스의 견해에 공감하며, 빅토리아 시대 사회가 하나님을 초기 기독교인들이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표현하고 있다고 믿었다.[44]
1878년 11월, 앨리스 공주의 가족은 디프테리아에 걸렸다. 엘리자베트를 제외한 가족 구성원 모두가 병에 걸렸다. 11월 15일, 막내딸 마리가 디프테리아로 사망하자, 앨리스는 슬픔에 잠겼다. 앨리스는 마리의 죽음을 아이들에게 숨겼지만, 12월 초 에른스트에게 사실을 알렸다. 에른스트가 슬픔에 잠겨 울자, 앨리스는 환자와의 접촉을 금지하는 규칙을 어기고 그에게 입을 맞췄다.[65]
이후 앨리스는 병에 걸리지 않은 듯했으나, 12월 14일 아버지 앨버트 공의 기일에 디프테리아로 심각하게 아팠다. "사랑하는 아빠"라는 마지막 말을 남기고 오전 2시 30분에 의식을 잃었으며, 오전 8시 30분 직후 사망했다.[66][64] 앨리스는 1878년 12월 18일 다름슈타트 외곽 로젠회에 있는 대공 묘소에 안장되었다.[67]
2. 1. 탄생과 유년기
앨리스는 1843년 4월 25일 런던 버킹엄 궁전에서 영국 여왕 빅토리아 여왕과 앨버트 공 사이의 셋째 아이이자 둘째 딸로 태어났다.[100] '앨리스(Alice)'라는 이름은 빅토리아 여왕이 신뢰했던 전 수상 맬번 경(Lord Melbourne)의 추천으로 지어졌다.[101] '모드(Maud)'는 앨리스의 대모이자 대종고모였던 소피아 마틸다 공주의 이름 '마틸다'의 앵글로 색슨식 표기이며, '메리(Mary)'는 글로스터 공작 부인 메리 공주의 이름에서 따왔다.[102][103] 앨리스는 1843년 6월 3일 버킹엄 궁전의 사적인 예배당에서 캔터베리 대주교인 윌리엄 호울리에 의해 세례를 받았다.[2][100] 그녀의 대부모는 하노버 국왕 (증조부, 케임브리지 공작이 대리), 호엔로에-랑엔부르크 공주 (고모, 켄트 공작부인이 대리),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 (삼촌,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대공이 대리), 글로스터 공주 소피아 (사촌)였다.[4]
앨리스의 탄생으로 빅토리아 여왕 부부는 더 넓은 집을 찾게 되었고, 1844년 와이트 섬의 오스본 하우스를 가족 휴양지로 구입했다. 앨리스의 교육은 아버지 앨버트 공과 그의 절친한 친구인 스톡마르 남작이 맡았다. 앨리스는 오스본에서 가정, 요리, 정원 가꾸기, 목공과 같은 실용적인 기술과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수업을 받았다.[5][6]
빅토리아 여왕과 앨버트 공은 가족 가치를 중시하여 앨리스와 형제자매들은 중산층 옷을 입고 난방 시설이 거의 없는 방에서 생활했다.[7] 앨리스는 왕실 밖의 세계에 매료되었으며, 발모럴 성에서 영지에서 일하는 사람들을 방문하는 것을 즐겼다. 한번은 윈저 성의 예배당에서 보모로부터 벗어나 일반 신도석에 앉기도 했다.[8] 1854년 크림 전쟁 중, 11세의 앨리스는 어머니, 언니와 함께 런던의 부상병 병원을 방문했다.[9] 앨리스는 형제자매 중 가장 감정적으로 민감하고 다른 사람에게 공감을 잘 했으며, 날카로운 언변과 쉽게 흥분하는 성격을 지녔다.[10]
앨리스는 빅토리아 여왕의 딸들 중 가장 아름다운 딸 중 한 명으로 여겨졌다.[11] 어릴 때 앨리스는 오빠 웨일스 공과 언니 공주 로열과 가까운 관계를 형성했다.[13]
2. 2. 가정 내 역할과 결혼
1858년 언니 빅토리아 공주가 프로이센의 황태자 프리드리히 왕자와 결혼하여 영국을 떠난 뒤, 앨리스는 실질적인 장녀로서 가족들에게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앨리스는 결혼 전까지 왕실 내에서 여왕의 어머니 켄트 공작 부인의 사망과 부군 앨버트 공의 급사, 여왕의 칩거 등 굵직한 사건에 차분히 대처하며 빅토리아 여왕을 보좌하였다. 여왕이 칩거한 뒤 여왕과 내각 사이에서 메신저 역할을 자처했던 것도 바로 앨리스였다.[107]
앨리스는 1861년 외할머니 켄트 공작부인 빅토리아가 프로그모어에서 사망[14] 할때, 할머니 곁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며 간호했다. 어머니의 사망 이후 슬픔에 잠긴 여왕은 앨리스에게 크게 의존했다.[14]
1861년 12월 14일, 앨버트 공이 윈저 성에서 사망했을 때, 앨리스는 그의 곁을 지켰다. 앨리스는 어머니의 비공식 비서가 되었고, 그 후 6개월 동안 군주의 물리적 대리인이 되었다. 여왕의 공식 서류는 앨리스를 통해 정부 장관에게 전달되었다.[18]
1860년 빅토리아 여왕은 자신의 자녀들이 사랑으로 결혼하길 바랐지만, 유럽 왕가 밖의 배우자를 선택하는 것은 아니였다. 오렌지 공과 프로이센의 알베르트 공이 후보에서 제외된 후, 빅토리아 공주는 헤센의 루이 공을 제안했다. 1860년 윈저 성에 초대된 루이와 앨리스는 서로에게 매력을 느꼈다.[24]
앨리스는 1861년 4월 30일 여왕의 동의를 받아 헤센의 루이 4세 대공과 약혼했다.[25] 펄머스턴 자작인 총리는 앨리스가 지참금으로 3만 파운드 스털링( 파운드, 기준)를 받도록 의회 동의를 얻도록 설득했다.[26]
1862년 7월 1일, 앨리스와 루이는 오스본 하우스의 식당에서 사적으로 결혼했다. 앨리스는 호니턴 레이스로 만든 베일과 오렌지 꽃과 몰약 화환을 쓴 단순한 흰색 드레스를 입었지만, 결혼식 전후에는 검은 상복을 입어야 했다. 알프레드 테니슨 경에게 "내가 기억할 수 있는 가장 슬픈 날"이라고 말했다.[29] 제라드 노엘이 "현대 시대에서 가장 슬픈 왕실 결혼식"이라고 묘사했다.[30]
앨리스는 결혼 후 여왕을 불쾌하게 하지 않도록 조심했다. 여왕이 세인트 클레어에서 부부를 방문했을 때, 앨리스는 "너무 행복한" 모습을 보이지 않으려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앨리스의 낭만적인 행복의 표현은 여왕이 딸의 행복에 질투하게 만들었다.[31]
2. 3. 헤센 대공비 시절
앨리스는 자신이 대영제국의 공주라는 사실에 강한 자부심을 가지고 있었기에, 헤센에 거주하면서도 영국식으로 꾸민 자신의 집에서 7명의 자녀를 철저히 영국식으로 교육시켰다. 그러나 앨리스는 항상 헤센 사람들을 이해하려 노력하였고, 1866년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에서 헤센 대공가가 오스트리아 편을 들자 언니 빅토리아가 프로이센의 황태자비였음에도 불구하고 헤센 가문을 지지하였다.[38]
전쟁 중 앨리스는 셋째 아이를 임신한 상태에서도 군인들을 위한 붕대를 만들고 병원을 준비하는 등 왕족으로서의 의무를 다했다.[39] 프로이센 군대가 다름슈타트 진입 직전에 이르자, 앨리스는 대공에게 프로이센의 조건에 따라 항복할 것을 간청하기도 했다.[39]
전쟁이 끝난 후, 앨리스는 플로렌스 나이팅게일의 친구로서 그녀의 조언을 받아들여 헤센의 병원 청결과 환기에 힘썼다.[61] 또한, 앨리스는 의료 복지 사업에 헌신하여 간호원 양성 여성 조직과 자신의 이름을 딴 병원 설립에 앞장섰으며, 부상병을 직접 치료하는 등 모범적인 행동을 보여 헤센 사람들의 열렬한 지지를 받았다.
앨리스는 신학자 다비드 프리드리히 슈트라우스와 깊은 우정을 나누었다. 슈트라우스는 당시 예수의 기적을 신화로 보고 성경을 문자 그대로 해석할 수 없다고 주장하여 논란의 중심에 있던 인물이었다.[43] 앨리스는 슈트라우스의 견해에 공감하며, 빅토리아 시대 사회가 하나님을 초기 기독교인들이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표현하고 있다고 믿었다.[44] 슈트라우스는 앨리스에게 지적인 교제를 제공했으며, 앨리스는 그를 신궁전에 정기적으로 초청하여 책을 읽게 했다.[45] 앨리스와 슈트라우스의 관계는 황후 아우구스타의 분노를 사기도 했다.[43]
2. 4. 사망
1878년 11월, 앨리스 공주의 가족은 디프테리아에 걸렸다. 장녀 빅토리아를 시작으로 알릭스, 마리, 이레네, 에른스트와 남편 루이까지 병에 걸렸다.[63] 엘리자베트는 앨리스에 의해 다른 곳으로 보내져 병을 피할 수 있었다.[63]11월 15일, 막내딸 마리가 디프테리아로 사망하자, 앨리스는 슬픔에 잠겨 빅토리아 여왕에게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고통"이라고 편지를 썼다.[64] 앨리스는 마리의 죽음을 아이들에게 숨겼지만, 12월 초 에른스트에게 사실을 알렸다. 에른스트가 슬픔에 잠겨 울자, 앨리스는 환자와의 접촉을 금지하는 규칙을 어기고 그에게 입을 맞췄다.[65]
이후 앨리스는 병에 걸리지 않은 듯했으나, 12월 14일 아버지 앨버트 공의 기일에 디프테리아로 심각하게 아팠다. "사랑하는 아빠"라는 마지막 말을 남기고 오전 2시 30분에 의식을 잃었으며, 오전 8시 30분 직후 사망했다.[66][64] 앨리스는 1878년 12월 18일 다름슈타트 외곽 로젠회에 있는 대공 묘소에 안장되었고, 유니언 기가 덮인 관에 안치되었다.[67] 조셉 뵘이 제작한 앨리스와 마리의 특별한 기념비가 세워졌다.[68]
빅토리아 여왕은 앨버트 공과 앨리스의 사망 날짜가 일치하는 것에 대해 "거의 믿을 수 없고 가장 신비로운 일"이라고 언급했다.[69] 앨리스의 죽음에 대해 ''더 타임스''는 "가장 겸손한 사람들도 딸, 자매, 아내, 어머니로서 가족의 미덕의 모델이었던 공주와 본질적인 친족 관계를 느꼈다"고 썼다.[67]
3. 신체적 특징
어머니 빅토리아 여왕에게서 혈우병 유전자를 물려받아, 본인이 혈우병 보인자였다.[1] 앨리스는 혈우병 유전자를 자녀들에게 유전시켰으며, 차남은 이 때문에 요절했다.[1]
4. 자녀
사진 | 이름 | 생일 | 사망 | 기타 |
---|---|---|---|---|
![]() | 빅토리아 | 1863년 4월 5일 | 1950년 9월 24일 (87세) | 바텐베르크 공자 루이와 결혼, 2남 2녀. 필립 공의 할머니. |
![]() | 엘리자베트 | 1864년 11월 1일 | 1918년 7월 18일 (53세) | 세르게이 알렉산드로비치와 결혼, 자녀 없음.[80] |
![]() | 이레네 | 1866년 7월 11일 | 1953년 11월 11일 (87세) | 하인리히 폰 프로이센 왕자와 결혼, 3남. |
![]() | 에른스트 루트비히 | 1868년 11월 28일 | 1937년 10월 9일 (68세) | 헤센 대공위 계승, 슬하 2남 1녀. |
프리드리히 | 1870년 10월 7일 | 1873년 5월 29일 (2세) | 혈우병으로 요절. | |
![]() | 알릭스 | 1872년 6월 6일 | 1918년 7월 18일 (46세) | 러시아 차르 니콜라이 2세와 결혼, 1남 4녀.[78] |
![]() | 마리 | 1874년 5월 24일 | 1878년 11월 16일 (4세) | 디프테리아로 요절. |
5. 유산
앨리스는 1869년 다름슈타트에 앨리스 병원을 설립하여 도시의 아픈 사람들과 부상자를 치료했다. 이 단체는 앨리스 사후에도 오랫동안 번창했으며, 1953년 그녀의 손자인 루이스 마운트배튼 백작이 병원에 대해 강연을 했다. 그는 앨리스를 높이 평가하며 "그녀에게 있어서 출발점은 항상 아프고 도움이 필요한 사람이었고, 전쟁과 평화 속에서 그의 필요였다. 그의 옆에는 도움을 주고 싶어하고, 그의 필요를 개선하고, 이를 위해 점점 더 간소화되는 조직을 활용할 의향이 있는 사람이 있었다."라고 말했다.[75] 앨리스가 설립한 다른 기관으로는 여성 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앨리스 여성 훈련 및 산업 협회와 간호사 훈련을 위한 프린세스 앨리스 여성 길드가 있었다. 이 단체들은 오스트리아-프로이센 전쟁 동안 특히 활발하고 중요했지만, 앨리스가 이 단체에 헌신하는 시간은 그녀의 남편을 짜증나게 했는데, 그는 아내가 자신의 시간을 낭비한다고 여겼다.[76]
앨리스의 기념비는 독일 다름슈타트, 위핑엄, 와이트 섬, 그리고 프로그모어 왕립 묘지에 있다. 1879년 빅토리아 여왕은 발모랄 성 부지에 켈트 십자가 형태의 앨리스 기념비를 세웠다. 거기에는 '그녀는 더 이상 없지만 그녀의 이름은 살아있을 것이다'라고 새겨져 있다.[77]
참조
[1]
서적
Above the fray: The Red Cross and the making of the humanitarian NGO sector
https://press.uchica[...]
Univ. of Chicago Press
2020
[2]
문서
Packard, p. 25
[3]
문서
Packard, p. 26
[4]
간행물
London Gazette
1843-06-06
[5]
서적
Serving Victoria: Life in the Royal Household
Clays
[6]
문서
Van der Kiste, p. 22
[7]
문서
Van der Kiste, p. 23
[8]
문서
Packard, p. 64
[9]
문서
Van der Kiste, p. 28
[10]
문서
Packard, p. 50
[11]
문서
Alice, p. 6
[12]
문서
Pakula, p. 261
[13]
문서
Packard, p. 51
[14]
문서
Packard, p. 87
[15]
문서
Benson, p. 66
[16]
문서
Magnus, p. 52
[17]
문서
Zeepvat, p. 42
[18]
문서
Packard, p. 102
[19]
문서
Packard, 102
[20]
문서
Packard, p. 77
[21]
문서
Packard, p.79
[22]
문서
Packard, p. 78
[23]
문서
Pakula, p. 138
[24]
문서
Pakula, p. 139
[25]
간행물
London Gazette
1861-05-03
[26]
문서
Packard, pp. 88–89
[27]
문서
Packard, p. 89
[28]
문서
Packard, p. 104
[29]
문서
Van der Kiste, p. 52
[30]
문서
Noel, p. 95
[31]
문서
Noel, p. 96
[32]
문서
Noel, p. 106
[33]
문서
Alice, p. 28
[34]
문서
Noel, p. 107
[35]
문서
Noel, p. 108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47]
서적
[48]
서적
[49]
서적
[50]
서적
[51]
서적
[52]
서적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57]
서적
[58]
서적
[59]
서적
[60]
서적
[61]
서적
[62]
서적
[63]
서적
[64]
서적
[65]
서적
[66]
뉴스
Death of the Grand Duchess of Hesse
1878-12-16
[67]
서적
[68]
간행물
Princess Alice
http://www.oxforddnb[...]
2004-08
[69]
서적
[70]
웹사이트
Queen Victoria's Journals
http://www.queenvict[...]
RA VIC/MAIN/QVJ (W)
1878-12-14
[71]
문서
Packard, p. 169
[72]
문서
Packard, p. 170
[73]
문서
Noel, p. 240
[74]
문서
Martin, p. 113
[75]
문서
Quoted in Noel, p. 141.
[76]
문서
Packard, p. 157
[77]
간행물
Historic Environment Scotland
2023-04-20
[78]
서적
Genes: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79]
서적
The Russian Revolution and Civil War 1917–1921: An Annotated Bibliography
Continuum
[80]
서적
Cox's Book of Modern Saints and Martyrs
Continuum
[81]
뉴스
On This Day: 27 August 1979: IRA Bomb Kills Lord Mountbatten
http://news.bbc.co.u[...]
1979-08-27
[82]
서적
The Duke: A Portrait of Prince Philip
Hodder and Stoughton
[83]
간행물
London Gazette
1878-01-04
[84]
간행물
Königlich Preussische Ordensliste
https://babel.hathit[...]
[85]
간행물
Königlich Preussische Ordensliste
https://babel.hathit[...]
[86]
논문
The Royal Armory of England
Virtue & Co
[87]
서적
Heraldry: Sources, Symbols and Meaning
Diane Publishing Company
[88]
서적
Louis and Victoria: The Family History of the Mountbattens. Second edition
Weidenfeld and Nicolson
[89]
서적
Alice, Grand Duchess Of Hesse
Book on Demand Ltd
[90]
문서
Mager, p. 27
[91]
서적
Uncrowned King: The Life of Prince Albert
https://archive.org/[...]
The Free Press
[92]
문서
Mager, pp. 45-46
[93]
서적
Born to Rule
https://archive.org/[...]
St Martin's Press
[94]
서적
Smallpox, Syphilis and Salvation: Medical Breakthroughs that Changed the World
Exisle Publishing Ltd
[95]
서적
Lenin, Religion, and Theology
Palgrave Macmillan
2013
[96]
문서
Montgomery-Massingberd, Hugh (ed.) (1977). Burke's Royal Families of the World, 1st edition. London: Burke's Peerage
[97]
문서
Huberty, M., Giraud, A., Magdelaine, F. & B. (1976–1994). L'Allemagne Dynastique, Vols I–VII. Le Perreux, France: Alain Giraud
[98]
간행물
Lines of Succession: Heraldry of the Royal Families of Europe
Little, Brown
1999
[99]
문서
외증조모는 어머니의 아버지의 어머니를 이르는 말이다. 필립 공의 외증조모는 알리체 대공비가 아닌 줄리아 호크 여백작이다. 한편, 외외증조모는 어머니의 어머니의 어머니를 가리켜 쓰는 호칭이니 필리프 공의 외외증조모가 바로 알리체 대공비다.
[100]
문서
Packard, p. 25
[101]
문서
Packard, p. 26
[102]
문서
Princess Christian, p. 13
[103]
문서
앨리스와 생일이 같은 외왕고모이자 외재종조모이다.
[104]
문서
Van der Kiste, p. 22
[105]
문서
Packard, p. 51
[106]
서적
Packard
[107]
서적
Packard
[108]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