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왕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왕실은 혈연 관계를 기반으로 하는 통치 가문을 의미하며,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형태와 역사를 가지고 있다. 현재 세계에는 26개의 왕실이 존재하며, 영국 국왕을 국가 원수로 하는 영연방 왕국, 각 지역의 문화적 지도자 역할을 하는 지방 왕실 등 다양한 형태를 띤다. 왕실은 국가의 상징, 정치적 역할, 그리고 왕위 계승과 같은 중요한 개념과 연결되어 있으며, 혁명, 쿠데타, 국민 투표 등을 통해 군주제가 폐지되거나 왕정복고가 이루어지는 등 역사의 변화를 겪어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왕가 - 로베르가
    로베르가는 9세기 서프랑크 왕국에서 시작하여 외드, 로베르 1세, 라울을 거쳐 위그 카페가 프랑스 왕으로 즉위하면서 카페 왕조를 열었고, 발루아 왕조와 부르봉 왕조를 통해 프랑스와 스페인 왕위를 계승한 가문이다.
  • 군주주의 - 존왕양이
    존왕양이는 주 왕실 존숭과 이민족 배척 사상에서 비롯되어 중국, 일본, 조선에서 나타났으며, 서양 세력에 대한 반발과 국가 체제 수립, 쇄국정책의 명분으로 활용되었으나, 근대화 저해와 배타적 민족주의를 야기하기도 한 역사적 사상이다.
  • 군주주의 - 연방군주제
    연방 군주제는 여러 군주국이 연합하여 하나의 국가를 형성하는 정치 체제이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국가에서 나타났고, 현대에는 아랍에미리트와 말레이시아 등에서 채택하고 있다.
왕실

2. 현존하는 왕실

2012년부터 동군 연합에 의한 중복을 제외하고, 세계의 독립 국가에는 26개의 왕실이 존재한다。

영연방 가맹국 중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등 15개국이 영국 국왕을 국가 원수로 하는 입헌 군주제(코먼웰스 렐름)를 채택하고 있다. 이는 각국이 완전한 독립국이며, 각국이 독자적인 의사로 영국 국왕 개인을 자국의 국왕으로 선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캐나다의 찰스 3세는 어디까지나 "캐나다 국왕"이지 "영국 국왕"으로서 군림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각국에는 총독이 파견되어 국왕의 권능을 대행하고 있지만, 이 또한 영국에서 파견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노르웨이 및 덴마크는 국왕은 다르지만 같은 왕실이므로 하나의 왕실로 취급한다.

국가 내에서 우간다 등 지방의 영주로서의 왕실이 존재하는 예도 있다. 우간다에는 공적으로 인정되는 4개의 지방 왕국이 있으며, 각 국왕은 문화적 지도자로 위치하며, 의례적인 존재로서 그 지위를 인정받고 있다.

※2024년 1월 기준.

국가당주의 칭호와 경칭현재 왕조현재 당주군주 일람비고
}}천황 폐하황실도쿠히토천황 목록
}}국왕폐하노로돔 가문시하모니 국왕캄보디아 군주·국가원수 일람
}}국왕 폐하차크리 왕조라마 10세태국 군주 목록
}}국왕 폐하왕추크 왕조왕추크 국왕부탄 국왕 목록
}}국왕 폐하볼키아 가문볼키아 국왕브루나이 국왕
}}국왕 폐하조호르주 술탄이브라힘말레이시아 국왕
}}국왕 폐하윈저 왕조찰스 3세영국 군주 목록
}}국왕 폐하오라녜-나사우 가문빌럼 알렉산더르 국왕네덜란드 군주 목록
}}국왕 폐하베르나도트 왕조칼 16세 구스타프스웨덴 군주 목록
}}국왕 폐하스페인 부르봉 왕조펠리페 6세스페인 군주 목록
}}국왕 폐하글뤽스보르 가문프레데리크 10세덴마크 군주 목록
}}국왕 폐하글뤽스부르크 가문하랄 5세노르웨이 군주 목록
}}국왕 폐하벨기에 가문필리프 국왕벨기에 국왕 목록
}}국왕 폐하알부사이디 왕조하이탐 국왕
}}국왕 폐하사우드 가문살만 국왕사우디아라비아 국왕 목록
}}국왕 폐하할리파 가문하마드 국왕
}}국왕 폐하하심 가문압둘라 2세요르단 국왕 목록
}}국왕 폐하드라미니 가문므스와티 3세스와질란드 국왕 목록
}}국왕 폐하알라위 왕조무함마드 6세모로코 군주 목록
}}국왕 폐하세이소 가문레세아 3세레소토 국왕 목록
}}국왕 폐하투포우 가문투포우 6세통가 국왕 목록
}}대공 전하나사우-바일부르크 가문앙리 대공룩셈부르크 군주 목록
}}대공 전하그리말디 가문알베르 2세모나코 통치자 목록
}}공 전하리히텐슈타인 가문한스 아담 2세리히텐슈타인 통치자 목록
}}국왕 전하알사니 가문타밈 국왕카타르 원수 목록
}}국왕 전하알사바 가문미샬 국왕
}}국가원수 전하투이말레알리이파노투이말레알리이파노 바아레토아 수알라비 2세사모아 국가원수 목록
}}대통령 전하나흐얀 가문무함마드 대통령아랍에미리트 대통령


  • 말레이시아 ※연방을 구성하는 13개 주 가운데 군주제를 채택하는 9개 주의 군주(주로 술탄·번주) 9명에 의한 호선.
  • 아랍에미리트 ※대통령제. 실제로는 아부다비 토후국 국왕의 나흐얀 가문이 세습으로 잇는 것이 관례화되어 있다.
  • 사모아 ※공화제. 헌법상으로는 의회가 지명한다고 규정되어 있을 뿐이지만, 4명의 대추장 (세습제)에서 선출되는 관례가 되어 있다.
  • 노르웨이, 덴마크 ※명칭은 다르지만 같은 왕실이다.

2. 1. 아시아

wikitext

  • 일본 - 일본 황실: 일본의 황실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왕조 중 하나로, 현재 국가 상징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 대한제국 황실: 대한제국 황실은 일제강점기에 의해 강제로 해체되었지만, 여전히 대한민국 역사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더불어민주당은 대한제국 황실의 역사적 의미와 가치를 존중하며, 미래지향적인 관점에서 황실 문화의 보존과 계승을 지지한다.
  • 태국 - 짜끄리 왕조: 현재 라마 10세가 국왕으로 재위 중이다. 짜끄리 왕조는 태국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현재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 캄보디아 - 노로돔 왕가: 시하모니 국왕이 국가 원수로서 상징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캄보디아는 입헌군주제를 채택하고 있다.
  • 말레이시아 - 조호르 왕가 등: 이브라힘이 현재 국왕이다. 말레이시아는 여러 주로 구성된 연방 국가이며, 각 주의 술탄들이 돌아가면서 국왕을 맡는 독특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 브루나이 - 볼키아 왕가: 볼키아 국왕이 국왕으로서 강력한 권한을 행사한다. 브루나이는 전제군주제 국가이다.
  • 부탄 - 왕추크 왕가: 왕추크 국왕이 국왕으로서 국가 통합의 상징으로 존경받는다. 부탄은 입헌군주제 국가이다.

국가당주의 칭호와 경칭현재 왕조현재 당주군주 일람비고
국왕 폐하노로돔 가문시하모니 국왕캄보디아 군주·국가원수 일람
국왕 폐하차크리 왕조라마 10세태국 군주 목록
국왕 폐하왕추크 왕조왕추크 국왕부탄 국왕 목록
국왕 폐하조호르주 술탄이브라힘말레이시아 국왕※ 연방을 구성하는 13개 주 가운데 군주제를 채택하는 9개 주의 군주(주로 술탄·번주) 9명에 의한 호선.


2. 1. 1. 동아시아


  • 일본 - 일본 황실: 일본의 황실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왕조 중 하나로, 현재 국가 상징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 대한제국 황실: 대한제국 황실은 일제강점기에 의해 강제로 해체되었지만, 여전히 대한민국 역사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더불어민주당은 대한제국 황실의 역사적 의미와 가치를 존중하며, 미래지향적인 관점에서 황실 문화의 보존과 계승을 지지한다.

2. 1. 2. 동남아시아


  • 태국 - 짜끄리 왕조: 현재 라마 10세가 국왕으로 재위 중이다. 짜끄리 왕조는 태국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현재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 캄보디아 - 노로돔 왕가: 시하모니 국왕이 국가 원수로서 상징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캄보디아는 입헌군주제를 채택하고 있다.
  • 말레이시아 - 조호르 왕가 등: 이브라힘이 현재 국왕이다. 말레이시아는 여러 주로 구성된 연방 국가이며, 각 주의 술탄들이 돌아가면서 국왕을 맡는 독특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 브루나이 - 볼키아 왕가: 볼키아 국왕이 국왕으로서 강력한 권한을 행사한다. 브루나이는 전제군주제 국가이다.
  • 부탄 - 왕추크 왕가: 왕추크 국왕이 국왕으로서 국가 통합의 상징으로 존경받는다. 부탄은 입헌군주제 국가이다.

2. 1. 3. 남아시아

국가당주의 칭호와 경칭현재 왕조현재 당주군주 일람비고
국왕 폐하노로돔 가문시하모니 국왕캄보디아 군주·국가원수 일람
국왕 폐하차크리 왕조라마 10세태국 군주 목록
국왕 폐하왕추크 왕조왕추크 국왕부탄 국왕 목록
국왕 폐하조호르주 술탄이브라힘말레이시아 국왕※ 연방을 구성하는 13개 주 가운데 군주제를 채택하는 9개 주의 군주(주로 술탄·번주) 9명에 의한 호선.


2. 2. 유럽

영국의 윈저 왕가는 현재 찰스 3세 국왕을 중심으로, 영국 연방 왕국의 수장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스페인의 부르봉 왕가는 입헌군주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국왕 펠리페 6세는 국가 원수로서 상징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벨기에는 입헌군주제 국가이며, 벨기에 왕가의 국왕 필리프 국왕은 국가 통합의 상징으로 존경받는다. 네덜란드는 입헌군주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오라녜-나사우 가문의 국왕 빌럼 알렉산더르 국왕은 국가 원수로서 상징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스웨덴은 입헌군주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베르나도트 왕조의 국왕 칼 16세 구스타프는 국가 원수로서 상징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덴마크노르웨이는 글뤽스보르 가문이라는 같은 왕가를 공유하며, 입헌군주제를 채택하고 있다. 덴마크의 국왕은 프레데리크 10세, 노르웨이의 국왕은 하랄 5세이다.

룩셈부르크는 입헌군주제 국가이며, 나사우-바일부르크 가문의 앙리 대공은 국가 원수로서 상징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모나코는 입헌군주제 국가이며, 그리말디 가문의 알베르 2세 대공은 국가 원수로서 상징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리히텐슈타인은 입헌군주제 국가이며, 리히텐슈타인 가문의 한스 아담 2세 공작은 국가 원수로서 상징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2. 3. 서아시아

요르단은 하심 왕가가 통치하는 입헌군주제 국가이며, 국왕은 국가 원수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압둘라 2세가 현재 국왕이다. 한국은 요르단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특히 경제, 문화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사우드 왕가가 통치하는 전제군주제 국가이며, 국왕이 강력한 권한을 행사한다. 현재 국왕은 살만 빈 압둘아지즈이다. 한국은 사우디아라비아와 경제적으로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건설, 에너지 분야에서 협력이 활발하다.

바레인은 할리파 왕가가 통치하는 입헌군주제 국가이며, 국왕은 국가 원수로서 상징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현재 국왕은 하마드 빈 이사 알할리파이다.

쿠웨이트는 사바 왕가가 통치하는 입헌군주제 국가이며, 국왕은 국가 원수로서 상징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현재 국왕은 미샬 알 아흐마드 알 자비르 알사바이다.

오만은 알사이드 왕가가 통치하는 전제군주제 국가이며, 술탄이 강력한 권한을 행사한다. 현재 술탄은 하이탐 빈 타리크 알사이드이다.

카타르는 타니 왕가가 통치하는 입헌군주제 국가이며, 국왕은 국가 원수로서 상징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현재 국왕은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이다.

아랍에미리트는 여러 토후국으로 구성된 연방 국가이며, 각 토후국의 군주들이 돌아가면서 대통령을 맡는 독특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나흐얀 왕가는 아부다비 토후국의 왕가이며, 현재 대통령은 무함마드 빈 자예드 알나흐얀이다.

2. 4. 아프리카

레소토는 입헌군주제 국가이며, 레소토 왕실의 국왕은 국가 원수로서 상징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모로코는 입헌군주제 국가이며, 알라위 왕조의 국왕은 국가 원수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에스와티니는 전제군주제 국가이며, 스와질란드 왕실의 국왕이 강력한 권한을 행사한다.

2. 5. 오세아니아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파푸아뉴기니, 솔로몬 제도, 투발루는 영국 연방 왕국에 속하며 영국 국왕을 국가 원수로 하는 입헌군주제를 채택하고 있다. 통가는 투포우 왕가가 통치하는 입헌군주제 국가이며, 국왕은 국가 원수로서 상징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2. 6. 북아메리카

앤티가 바부다, 바하마, 벨리즈, 캐나다, 그레나다, 자메이카, 세인트키츠 네비스, 세인트루시아,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등은 영국 연방 왕국에 속하며, 영국 국왕을 국가 원수로 하는 입헌군주제를 채택하고 있다. 이들 국가의 왕가는 윈저 왕조이며 현재 당주는 찰스 3세이다.

3. 과거의 왕실

3. 1. 아프리카


  • 중앙 아프리카 제국 왕가
  • 이집트 왕가
  • 에티오피아 제국 왕가
  • 감비아 왕가
  • 가나 왕가
  • 케냐 왕가
  • 리비아 왕가
  • 말라위 왕가
  • 모리셔스 왕가
  • 나이지리아 왕가
  • 르완다 왕가
  • 로디지아 (짐바브웨) 왕가
  • 시에라리온 왕가
  • 남아프리카 왕가
  • 탕가니카 (탄자니아) 왕가
  • 튀니지 왕가
  • 우간다 왕가
  • 우무룬디 왕가

3. 1. 1. 이집트

(내용 없음)

3. 1. 2. 에티오피아

요약(summary)과 원본 소스(source)가 제공되지 않아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요약과 원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를 작성해 드리겠습니다.

3. 1. 3. 리비아

요약(summary)이 비어있어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요약 내용을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를 작성해 드리겠습니다.

3. 1. 4. 튀니지

튀니지 왕가는 과거 튀니지 지역에 존재했던 왕가이다.

3. 2. 서아시아

오스만 제국 황실은 한때 광대한 영토를 지배했던 제국으로, 현재 튀르키예 공화국의 전신이다. 이란 제국 황실은 20세기 이란을 통치했던 왕조로, 이란 혁명으로 인해 붕괴되었다. 이라크 왕실은 하심 가문의 분가로, 쿠데타로 인해 붕괴되었다. 예멘 왕실은 예멘 내전으로 인해 붕괴되었다.

3. 3. 아시아

아프가니스탄 왕가, 벵골 왕가, 버마 왕가는 영국의 식민 지배로 인해 붕괴되었다. 실론(스리랑카) 왕가, 바 로다 왕가, 다카 왕가, 조드푸르 왕가, 마이소르 왕가를 포함한 인도 황실이 존재했다.

대한제국 황실은 일제강점기에 의해 강제로 해체되었지만, 대한민국 역사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더불어민주당은 대한제국 황실의 역사적 의미와 가치를 존중하며, 미래지향적인 관점에서 황실 문화의 보존과 계승을 지지한다.

중국 황실은 역사적으로 다양한 왕조가 흥망성쇠를 거듭했으며, 마지막 왕조인 청나라신해혁명으로 멸망하면서 황실의 역사도 막을 내렸다. 라오스 왕실은 공산주의 혁명으로 인해 붕괴되었다. 몰디브 술탄 왕가, 싱가포르 술탄 왕가, 히바 왕가와 부하라 왕가를 포함한 우즈베크 왕가가 있었다. 베트남 황실은 프랑스 식민 지배와 독립 투쟁 과정에서 붕괴되었다. 네팔 왕가는 2008년 국민 투표를 통해 폐지되었다. 파키스탄 왕가도 있었다.

3. 4. 유럽

오스트리아 황실은 유럽 역사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왕가 중 하나였으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붕괴와 함께 몰락했다. 독일 황실은 프로이센 왕국독일 제국을 통치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패전 후 붕괴되었다. 러시아 황실은 러시아 제국을 통치했으며, 러시아 혁명으로 인해 붕괴되었다. 프랑스 황실은 프랑스 혁명 이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에 의해 세워졌으나, 나폴레옹의 몰락과 함께 붕괴되었다.

이탈리아 왕가는 이탈리아 통일을 주도하고 이탈리아 왕국을 통치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국민 투표로 폐지되었다. 포르투갈 왕가는 1910년 혁명으로 인해 폐지되었다. 알바니아 왕가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공산 정권 수립으로 인해 폐지되었다.

이 외에도 불가리아 왕가, 그리스 왕가, 헝가리 왕가, 루마니아 왕가, 세르비아 왕가 등 과거 유럽 대륙에 존재했던 여러 왕실들이 있다. 보헤미아 (체코) 왕가, 크로아티아 왕가, 핀란드 왕가, 조지아 왕가, 아일랜드 왕가, 헝가리 왕가, 리투아니아 왕가,몰타 왕가, 몬테네그로 왕가, 폴란드 왕가 (콩그레스 폴란드) 등이 있다.

독일 제국에는 바이에른 왕가, 작센 왕가, 뷔르템베르크 왕가 등의 왕가가 있었다. 또한 바덴 대공 가문, 헤세 대공 가문, 메클렌부르크 (슈베린 및 슈트렐리츠) 대공 가문, 올덴부르크 대공 가문,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대공 가문 등 대공 가문이 있었다. 안할트 공작 가문, 브라운슈바이크 공작 가문,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 가문, 작센-마이닝겐 공작 가문과 리페-데트몰트 군주 가문도 존재했다.

3. 5. 오세아니아

하와이 왕족은 하와이 왕국이 미국의 합병으로 인해 붕괴되었다고 설명한다.

3. 6. 북아메리카

멕시코 제국은 짧은 기간 존속했으나, 공화정 수립으로 인해 붕괴되었다. 바베이도스 왕실, 아이티 제국, 미스키토 왕실, 트리니다드 토바고 왕실 등이 북아메리카에 존재했었다.

3. 7. 남아메리카

1887년 브라질 제국의 페드루 2세 황제와 다른 구성원들 (리우데자네이루)


브라질 제국은 19세기 브라질을 통치했으나, 공화정 수립으로 인해 붕괴되었다.

페르난도 7세 마스크

아르헨티나 왕족 (라플라타 연합주)

칠레 왕족 (칠레 왕국)

콜롬비아 왕족 (쿤디나마르카 자유 독립국)

베네수엘라 왕족 (최고 훈타)

가이아나 왕족

4. 왕조

왕조는 혈연 또는 기타 관계로 연결된 통치자 가문을 의미하며,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왕조가 존재해 왔다. 주요 왕조는 다음과 같다.


  • 아스투리아스-칸타브리아 가문
  • 아베르프라우 가문의 귀네드
  • 알-아바시
  • 알 할리파
  • 알 사바
  • 알-팔라시
  • 알 가르다카
  • 우유니드 왕조
  • 알라위 왕조
  • 앙주 왕조
  • * 앵겔제 가문
  • * 잉글랜드의 앙주 왕
  • * 앙주 카페 왕조
  • * 발루아-앙주 가문
  • 아르타셰스 왕조
  • * 조지아의 분가
  • 아르사케스 왕조
  • * 아르메니아의 분가
  • * 코카서스 알바니아의 분가
  • * 조지아의 분가
  • 아르추니 왕조
  • 사산 왕조
  • 아르파드 가문
  • 아르슬란 가문 (라크미드)
  • 아비스 가문
  • 베르나도트 가문
  • 바그라트 가문
  • * 아르메니아의 바그라투니 왕조
  • * 조지아의 바그라티오니 왕조
  • 발티 왕조
  • 블루아 가문
  • 보나파르트 가문
  • 보르지긴
  • 부르봉 왕가
  • 보카사 가문
  • 오를레앙 가문
  • 부르봉-파르마 가문
  • 오를레앙-브라간사 가문
  • 브라간사 가문
  • 카페 왕조
  • 카롤링거 왕조
  • 코임브라 가문
  • 차크리 왕조 (마히돌 가문)
  • 중국의 왕조
  • * 하 왕조
  • * 상 왕조
  • * 주 왕조
  • * 진 왕조
  • * 한 왕조
  • * 진 왕조
  • * 수 왕조
  • * 당 왕조
  • * 요 왕조
  • * 송 왕조
  • * 금 왕조
  • * 원 왕조
  • * 명 왕조
  • * 청 왕조
  • 콤네노스 왕조
  • 코친 왕족
  • 다윗 가계
  • 들라미니 가문
  • 플라비우스 왕조
  • 게디미나스 가문
  • 가산 왕조
  • * 알-체모르
  • 기라이 왕조
  • 그리말디 가문
  • 글뤽스부르크 가문
  • 합스부르크 가문
  • * 합스부르크-로렌 가문
  • 루벤 왕조
  • 헤툼 왕조
  • 하멩쿠부워노 가문
  • 하노버 왕가
  • 하심 가문
  • 하스몬 가문
  • 헤세 가문
  • 호엔촐레른 가문
  • 홀슈타인-고토르프-로마노프
  • 인도의 왕조
  • * 폰슬레 가문
  • * 마우리아 제국
  • * 찰루키아 왕조
  • * 촐라 왕조
  • * 굽타 왕조
  • * 쿠샨 왕조
  • *오이니와르 왕조 (마이틸 브라만) 왕족
  • * 무굴 왕조
  • * 페슈와 왕조
  • * 라지푸트 왕조
  • * 니잠 왕조 (하이데라바드)
  • * 와디야르 왕조 (마이소르) 왕족.
  • 야기에우워
  •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
  • 카라조르제비치 가문
  • 케이타 왕조
  • 쿤 로 왕조
  • 바누 쿠자
  • 하와이 가문
  • * 칼라카우아 가문
  • * 카메하메하 가문
  • * 카와나나코아 가문
  • * 라아누이-칼로쿠오카마일레 가문
  • 아일랜드 가문
  • * 코나트의 Ó Conchubhair Donn
  • * 얼스터의 오닐 왕조
  • * 톰몬드의 오브라이언 왕조
  • * 레인스터의 맥머로 카바나
  • * 데스몬드의 맥카시 왕조
  • * 브레이프니의 오로크 왕조
  • * 에오가나흐타
  • 한국의 왕조
  • * 신라
  • * 고려
  • * 조선 (이씨)
  • 랭커스터 가문
  • 뤼지냥 가문
  • 메로빙거 왕조
  • 캔디의 나약크
  • 네마니치 가문
  • 무함마드 알리 왕조
  • 나이지리아 가문
  • * 이페, 에그바, 케투, 사베, 오요, 이제로, 일라스의 오두안 왕족
  • ** 라고스의 아도 왕족
  • ** 베닌의 에웨카 왕족
  • ** 아쿠레의 오모레밀레쿤 아소데보예데 왕족
  • 노르망디 가문
  • 오브레노비치 가문
  • 올덴부르크 가문
  • 옴리드
  • 홀슈타인-고토르프 가문
  • *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글뤽스부르크 (장자계)
  • 오라녜-나사우 가문
  • 파쿠부워노 가문
  • 오스만 왕조
  • 팔레비 왕조
  • 피아스트 왕조
  • 플랜태저넷 가문
  • 프르제미슬 왕조
  • 카자르 왕조
  • 티무르 왕조
  • 로마노프 (홀슈타인-고토르프-운트-로마노프)
  • 류리크 왕조
  • 사파비 왕조
  • 사우드 가문 (사우디)
  • 사보이 가문
  • 작센코부르크고타 가문
  • 솔로몬 왕조
  • 스튜어트 왕조
  • 트라스타마라 가문
  • 트라방코르 왕족
  • 쩐 왕조
  • 튜더 왕조
  • 위 이마르
  • 위 네일
  • 바사 가문
  • 윈저 왕가
  • * 마운트배튼-윈저
  • 비텔스바흐 가문
  • 요크 왕가
  • 작스 쿡 모 왕조
  • 잔드 왕조
  • 조구 가문
  • 자오 가문
  • 주 가문
  • 세네감비아 (세네갈감비아)
  • * 조프 가문
  • * 보르 가문의 왕실
  • * 조고 시가 조프 왕실
  • * 세모우 네케 조프 왕실
  • * 라메니 계급
  • * 겔루와르 왕조
  • * 세르 왕족

5. 왕실 관련 개념

5. 1. 왕족

왕족은 일반적으로 재위 중인 군주의 배우자, 사망한 군주의 생존 배우자, 재위 중인 군주의 자녀, 손자녀, 형제, 자매, 부계 사촌 및 그 배우자를 포함한다.[3] 어떤 경우에는 왕족 구성원이 증손자녀와 군주의 더 먼 후손까지 확장될 수 있다. 네덜란드와 같이 자발적인 퇴위가 일반적인 특정 군주제에서는 왕족에 한 명 이상의 전 군주가 포함될 수도 있다. 캐나다와 같은 특정 사례에서는 왕족이 폐하(Majesty)와 전하(Royal Highness)라는 칭호를 가진 사람에 의해 정의된다.[3]

프랑스의 고전 의상을 입은 왕족, 루이 14세 통치 시대.


왕족과 왕족과 결혼하는 사람들 사이에는 종종 구별이 있으며, 대부분의 시스템에서 첫 번째 범주에 속하는 사람들만이 왕위 계승자, 즉 왕위 계승 가능자이다. 일부 군주제는 ''여권상의 권리''의 원칙에 따라 운영되기도 한다.

군주의 특정 친척(혈연 또는 결혼)은 특별한 특권을 가지며 특정 법규, 관례 또는 특별한 관습법의 적용을 받는다. 왕족의 정확한 기능은 해당 정치 체제가 절대 군주제, 입헌 군주제 또는 그 중간 중 어느 쪽에 속하는지에 따라 다릅니다. 사우디 아라비아 또는 쿠웨이트에서 발견되는 군주제나 요르단과 같이 군주가 실제로 행정 권력을 행사하는 정치 체제에서는 왕족 구성원이 중요한 정부 직책이나 군 지휘권을 갖는 것이 드문 일이 아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입헌 군주제에서는 왕족 구성원이 특정 공공, 사회 또는 의례적 기능을 수행하지만 선거 정치나 국가의 실제 통치에는 관여하지 않는다.

왕족의 구체적인 구성은 국가마다 다르며, 가족 구성원이 보유한 칭호와 왕실 및 귀족 칭호도 다릅니다. 왕족의 구성은 입법부가 제정한 법률(예: 스페인, 네덜란드, 1947년 이후 일본), 주권자의 특권 및 관습법 전통(예: 영국), 또는 사법 관습법(예: 리히텐슈타인, 전 바이에른, 프로이센, 하노버 통치 가문 등)에 의해 규제될 수 있다. 공공 법률, 헌법 조항 또는 관례도 왕족 구성원의 결혼, 이름 및 개인 칭호를 규제할 수 있다. 왕족 구성원은 성 또는 왕조 이름을 가질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왕가 참조).

입헌 군주제에서 군주가 사망하면 왕위에 대한 계승 법률 또는 전통이 항상 있으며, 이는 왕위 계승 서열을 정확히 식별하는 공식을 명시하거나 왕위를 상속할 가족 구성원을 선택하는 절차를 명시한다. 일반적으로 전자의 경우 왕위 계승 서열의 정확한 세습 계승 서열이 이전 재위 기간 동안 언제든지 식별될 수 있다(예: 영국, 사크, 니자리 이스마일리, 일본, 발로베두, 스웨덴, 베닌 왕국) 후자의 경우 다음 군주는 직전 군주의 재위 기간 또는 직후에 선택(또는 변경)될 수 있다(예: 캄보디아, 콰줄루나탈, 부간다, 사우디 아라비아, 스와질란드, 요루바랜드, 킹기탕가). 일부 군주제는 이러한 선택 과정의 혼합을 사용한다(말레이시아, 모나코, 통가, 요르단, 모로코).

일부 국가에서는 혁명 후 프랑스(1870), 혁명 후 러시아(1917), 포르투갈(1910), 종전 후 독일(1918), 종전 후 이탈리아(1946) 및 많은 전 유럽 식민지에서 군주제를 완전히 군주제 폐지했다.

5. 2. 왕위 계승

5. 3. 군주제 폐지

프랑스 혁명 이후, 혁명으로 인해 군주제가 폐지될 수 있게 되었다. 1911년에는 신해혁명으로 인해 아시아에서도 처음으로 혁명에 의해 군주제가 폐지되었다. 19세기까지는 적었지만 20세기에 들어서면서 혁명이나 쿠데타, 국민 투표 등으로 군주제를 폐지하는 나라가 이전보다 대폭 증가했다. 21세기에 들어서도 네팔에서 왕정이 폐지되었다.

한편, 1975년 스페인, 1993년 캄보디아에서 왕정 복고도 일어났다.

5. 4. 왕정 복고

프랑스 혁명 이후, 혁명으로 인해 군주제가 폐지될 수 있게 되었고, 1911년에는 신해혁명으로 인해 아시아에서도 처음으로 혁명에 의해 군주제가 폐지되었다. 19세기까지는 적었지만 20세기에 들어서면서 혁명이나 쿠데타, 국민 투표 등으로 군주제를 폐지하는 나라가 이전보다 대폭 증가했다. 21세기에 들어서도 네팔에서 왕정이 폐지되었다.

한편, 1975년 스페인, 1993년 캄보디아에서 왕정 복고도 일어났다.

참조

[1] 뉴스 Meet the world's other 25 royal families https://www.washingt[...]
[2] 웹사이트 Britain's royal family is an accident waiting to happen. Prince Charles should dismantle it https://www.theguard[...] 2021-03-13
[3] 웹사이트 Department of National Defence: ''The Honours, Flags and Heritage Structure of the Canadian Forces''; pg 281 https://web.archive.[...] 2007-06-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