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웅의 여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웅의 여정은 조지프 캠벨이 제임스 조이스의 소설에서 차용한 용어인 모노미스를 바탕으로, 전 세계 문화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서사적 원형을 의미한다. 캠벨은 영웅의 여정을 출발, 입문, 귀환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17단계로 제시했으며, 크리스토퍼 보글러는 이를 12단계로 정리하여 영화 시나리오 작법에 활용했다. 영웅의 여정은 다양한 대중문화 콘텐츠에 활용되었으나, 남성 영웅 중심이라는 비판과 함께 학문적 비판도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심리 치료 및 자기 계발 운동에서 삶의 의미를 부여하는 도구로 활용되며, 한국 사회에서도 영웅 서사의 모티프로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화의 영웅 - 삼손
삼손은 구약성서의 판관기에 등장하는 인물로, 나실인으로서 초인적인 힘을 지녔지만, 데릴라의 배신으로 힘을 잃고 블레셋 신전을 무너뜨리는 활약을 펼쳤다. - 신화의 영웅 - 나타
나타는 중국 신화에 등장하는 강력한 힘과 용맹함을 지닌 소년 신으로, 《봉신연의》와 《서유기》 같은 고전 문학에 자주 등장하며 현대 매체에서도 재해석되고 있다. - 신화 원형 - 어머니
어머니는 출산이나 입양으로 자녀를 양육하는 여성을 지칭하며, 생물학적, 사회적, 문화적 의미를 모두 포함하는 모성은 시대와 문화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고 예술과 종교에서도 중요한 주제로 다뤄진다. - 신화 원형 - 전설의 생물
전설의 생물은 여러 문화권의 신화와 전설에 등장하는 실존하지 않는 동물이나 괴물로, 각 문화권의 신화적 배경과 세계관을 반영하며 상징성과 풍유적 의미를 지닌다.
영웅의 여정 | |
---|---|
개요 | |
다른 이름 | 모험 이야기 구조 모노미스 영웅 신화 단독 신화 |
이론적 토대 | |
주창자 | 조지프 캠벨 |
주요 저서 | 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 |
영향 받은 학자 | 오토 랭크 지그문트 프로이트 카를 융 |
단계 | |
1단계 | 일상 세계 |
2단계 | 모험에의 부름 |
3단계 | 부름의 거부 |
4단계 | 조력자와의 만남 |
5단계 | 문턱 건너기 |
6단계 | 시험, 협력자, 적대자 |
7단계 | 가장 깊숙한 곳으로 접근 |
8단계 | 시련 |
9단계 | 보상 |
10단계 | 귀환의 길 |
11단계 | 부활 |
12단계 | 영약을 가지고 귀환 |
특징 | |
특징 | 영웅은 일상 생활에서 위험을 감수하고 초자연적인 영역으로 나아감. 그곳에서 초인적인 힘과 조우하고 결정적인 승리를 거둠. 영웅은 자신을 따르는 자들에게 은혜를 베풀 힘을 얻어 모험에서 귀환함. |
활용 분야 | |
활용 분야 | 신화 연구 문학 분석 영화 제작 스토리텔링 게임 디자인 |
관련 개념 | |
관련 개념 | 원형 모험 신화 스토리텔링 |
2. 용어
모노미스(Monomyth)는 조지프 캠벨이 제임스 조이스의 소설 《피네건의 경야》에서 차용한 용어이다. 캠벨은 조이스 작품의 저명한 학자였으며, 《피네건의 경야 해설집》에서 조이스의 마지막 소설에 대한 중요한 분석을 공동 저술했다.[7][8] 캠벨의 단수형 "the" 모노미스는 "영웅의 여정"이 궁극적인 서사적 원형임을 암시하지만, "모노미스"라는 용어는 때때로 신화적 원형 또는 전 세계 문화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여겨지는 신화소에 대한 용어로 더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9][10]
영웅의 여정(Hero's Journey)이라는 문구는 1987년에 개봉된 다큐멘터리 《영웅의 여정: 조지프 캠벨의 세계》와 1990년에 출간된 동반 서적 《영웅의 여정: 조지프 캠벨의 삶과 작품에 대하여》(필 쿠시노, 스튜어트 브라운 공저)를 통해 대중 담론에 처음 등장했다. 빌 모이어스가 캠벨과 진행한 인터뷰는 1988년에 다큐멘터리(및 동반 서적) 《신화의 힘》으로 공개되었다.
캠벨은 "모노미스"라는 용어를 신화 분석에 자주 사용했으며, 이는 프로이트의 "원초 장면"(primal scene)과 깊은 관계가 있다. "영웅의 여정" 개념은 조지프 캠벨이 프로프의 연구를 바탕으로 주장했으며, 크리스토퍼 보글러는 《신화의 법칙》(2002)에서 캠벨의 이론을 기초로 문학 작품과 영화의 스토리텔링 구조 기본 법칙을 12단계로 정리했다.
캠벨은 영웅 신화의 구조인 "영웅의 여정"을 출리, 입문, 귀환의 3단계로 제시했다.
- 출리: 신화의 영웅, 주인공은 일상적인 세계에서 벗어나 모험을 떠난다. 그는 길을 지키는 그림자 존재를 만나 물리치거나 달래서 어둠의 왕국으로 가거나, 죽어서 지하 세계로 내려간다.
- 입문: 영웅은 미지의 세계를 여행하며 시련을 겪고 조력자의 도움을 받는다. 가장 혹독한 시련을 겪고 승리하여 보상을 얻는데, 이는 여신과의 성적인 결합, 아버지와의 일체화, 신격화 등으로 나타난다.
- 귀환: 초월적 힘의 비호를 받거나 도망치며 추적당하다가 귀환의 경계에 이른다. 그는 세상을 부흥시키는 은혜를 가지고 돌아온다.
캠벨(1949)과 보글러(2007)가 제시한 영웅의 여정 단계는 다음과 같다.
막 | 캠벨 (1949) | 보글러 (2007) |
---|---|---|
I. 출리 | ||
II. 시련과 승리 | ||
III. 귀환 | ||
영웅 신화 서사의 연구는 1871년 인류학자 에드워드 버넷 타일러가 영웅의 여정 줄거리에서 나타나는 공통적인 패턴을 관찰하면서 시작되었다.[2] 1909년 정신분석학자 오토 랭크와 1936년 아마추어 인류학자 래글런 경은 영웅 신화에 자주 등장하는 여러 문화권의 특성 목록을 제시했다.[3][4][5] 조지프 캠벨은 랭크와 래글런의 연구를 바탕으로 영웅의 여정 단계를 체계화하고, 이를 '모노미스'라는 개념으로 정립했다.
캠벨은 영웅의 여정을 크게 출발, 입문, 귀환의 세 부분으로 나누고, 각 부분에 해당하는 17가지 세부 단계를 제시했다. 모든 신화가 17단계를 모두 포함하는 것은 아니며, 이야기마다 강조되는 단계나 순서가 다를 수 있다.[12]
할리우드 영화 프로듀서 크리스토퍼 보글러는 조지프 캠벨의 이론을 바탕으로 영화 시나리오 작법에 활용할 수 있는 12단계 구조를 제시했다. 보글러의 저서 『신화의 법칙』(2002)에서는 캠벨의 "영웅의 여정"이 약간 수정되어 3막 12단계의 도식으로 정리된다.[12] "캠벨의 12단계"라고도 불리는 "영웅의 여정"은 작극술 외에도 심리 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며, 신화학을 넘어 광범위한 영역에서 유용성이 증명되었다.[13] 보글러의 12단계는 다음과 같다.
샬럿 브론테의 소설 제인 에어는 여성 영웅의 여정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시이다. 주인공 제인은 빅토리아 시대 중산층 여성으로서, 남성과는 다른 장애물과 갈등에 직면한다. 제인은 사랑과 자유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추구하며 성장한다.[35] 제인은 자신을 학대했던 리드 부인에게 맞서면서 자유의 일부를 얻고, 로체스터의 정부가 되라는 유혹을 거절하면서 어렵게 얻은 자유를 지킨다. 결국 제인은 로체스터와 결혼하여 사랑과 자유를 모두 성취하고, 여주인공의 여정을 완수한다.[35]
조지 루카스 감독은 조지프 캠벨의 이론을 바탕으로 《스타워즈》 시리즈를 제작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17][18] 루카스는 《아메리카 갓피티》를 완성한 후 현대 사회에 신화를 활용할 방법이 없다는 것을 깨닫고 동화, 민속, 신화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여 캠벨의 책을 읽게 되었다.[19] 그는 《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을 읽으면서 《스타워즈》의 초고가 고전적인 모티프를 따르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한다.[19]
캠벨의 이론은 지나치게 일반화되어 있고, 다양한 문화권의 신화를 포괄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미국의 민속학자 바레 톨켄은 캠벨이 자신의 선입견에 맞는 이야기만 인용하고, 패턴에 맞지 않는 이야기는 제외했다고 지적했다.[2] 앨런 던데스는 캠벨을 "비전문가"로 규정하고, 그의 이론에 나타난 다양한 출처 편향의 예를 제시했다.[4] 노스업은 비교신화학의 주류 학문이 캠벨 이후 "매우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범주에서 벗어났다고 언급했다.[40] 콘센티노는 유사점만큼 차이점을 강조해야 한다고 주장했고,[41] 엘우드는 일반적인 용어로 생각하는 경향이 신화적 사고의 결함이라고 말했다.[42] 크레스피는 캠벨의 모델이 사회 과학적 관점에서 만족스럽지 못하며, 자민족 중심주의적이라고 비판했다.[43]
로버트 블라이를 비롯한 신화적 남성 운동 참여자들은 영웅의 여정 개념을 개인의 영적, 심리적 성장을 위한 은유로 사용했다.[37][38] 이들은 특히 남성의 성 역할, 성 정체성, 웰빙 문제에 주목하며, 칼 융의 분석 심리학에서 유래한 원형 개념을 활용하여 동화를 재해석하고 개인적인 통찰력을 얻는 데 힘썼다.[38]
3. 역사적 배경
4. 캠벨의 17단계
막 캠벨(1949) I. 출발 모험의 부름 부름 거부 초자연적 도움 첫 번째 문턱 통과 고래의 뱃속 II. 입문 시련의 길 여신과의 만남 유혹하는 여자 아버지와의 화해 신격화 궁극의 축복 III. 귀환 귀환 거부 마법의 비행 외부로부터의 구조 귀환 문턱 통과 두 세계의 지배자 삶의 자유
5. 보글러의 12단계
6. 여성 영웅의 여정
아풀레이우스의 소설 황금 당나귀에 수록된 큐피드와 프시케 이야기는 여성 주인공 프시케가 아름다움 때문에 겪는 시련과 사랑을 쟁취하는 과정을 담고 있다. 프시케는 아름다움으로 인해 사회에서 소외되고, 비너스 여신의 분노를 사 집에서 추방된다. 프시케는 큐피드와 결혼하지만, 그의 정체를 알려고 하자 남편을 잃게 된다. 프시케는 남편을 되찾기 위해 비너스가 내린 네 가지 불가능해 보이는 과제를 수행하고, 결국 불멸의 여신이 되어 큐피드와 영원히 함께하게 된다.
킴 허드슨은 영화 각본 작법에서 여성 영웅에게 적용할 수 있는 '처녀의 여정'이라는 원형을 제시했다. 처녀의 여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구성된다.단계 설명 의존적인 세계 처녀가 살고 있는 세계로, 변화 없이 존속하려 한다. 꿈 왕국이 기대하는 역할에 맞지 않는 처녀의 꿈. 꿈의 세계를 살짝 맛봄 처음으로 순수한 본심을 드러내는 행동. 비밀의 세계 꿈을 깨닫고 비밀의 세계를 만들어 오간다. 의존의 세계에서 적응하지 못함 꿈의 세계에 매료되어 비밀이 발각될 지경에 이른다. 위기 자신을 옭아매던 굴레를 벗어던지고 왕국의 혼란을 일으킨다. 꿈을 향해 나아갈지 고민 신념의 강함을 증명한다. 빛나는 삶을 선택 자신을 억누르기보다는 빛나는 삶을 선택한다. 왕국의 변화 왕국 전체가 더 살기 좋은 곳으로 변화한다.
7. 대중문화와 문학에서의 활용
1990년대 후반, 스미소니언 협회의 국립 항공우주 박물관은 캠벨의 저작이 《스타워즈》 사가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논의하는 전시회 《스타워즈: 신화의 마법》을 후원하기도 했다.[21]
한국 드라마에서도 영웅의 여정 모티프를 차용한 작품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인공이 역경을 극복하고 성공하는 스토리나, 출생의 비밀을 가진 주인공이 시련을 겪고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이야기는 전형적인 영웅 서사에 해당한다.
8. 비판
또한, 남성 중심적인 서사 구조라는 지적도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모린 머독의 ''여주인공의 여정''[45]과 발레리 에스텔 프랭클의 ''소녀에서 여신으로: 신화와 전설을 통한 여주인공의 여정''[46]은 여성 영웅의 여정 단계를 제시한다. 킴 허드슨의 ''처녀의 약속''은 남성 영웅의 여정과 평행을 이루는 여성적인 여정을 보여준다.[47] 니콜 L. 프랭클린과 앨리스 메이치 리는 영웅의 여정이 "특권을 가진 사람의 여정"이라고 말하며, 여주인공은 특권을 가지고 시작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48]
SF 작가 데이비드 브린은 모노미스 템플릿이 "전제주의와 폭정"을 지지한다고 비판했다.[49]
9. 심리 치료 및 자기 계발 운동에서의 활용
로버트 블라이는 그림 형제의 동화 "아이언 존"을 해설한 저서 ''아이언 존: 남자에 관한 책''을 통해 이러한 운동을 널리 알렸다.[37] 이 책은 베스트셀러가 되었으며, 신화적 남성 운동이 다양한 그룹과 워크숍으로 확산되는 계기가 되었다.[38]
2023년 ''성격 및 사회 심리학 저널''에 게재된 연구에 따르면, 자신의 삶을 영웅의 여정 서사로 바라보는 것은 삶의 의미와 회복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39] 영웅의 여정은 학습 지도안 등 성장과 자립의 과정을 설명하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으며, 기업 혁신 과정과도 유사점을 보인다.
10. 관련 신화 유형
참조
[1]
웹사이트
Why Are So Many Movies Basically the Same? ! Psychology Today
https://www.psycholo[...]
2023-01-03
[2]
서적
In Quest of the Hero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0
[3]
서적
Folklore: An Encyclopedia of Beliefs, Customs, Tales, Music, and Art
https://books.google[...]
ABC-CLIO
[4]
서적
The Hero: A Study in Tradition, Myth and Drama by Lord Raglan
Dover Publications
1936
[5]
서적
In Quest of the Hero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0
[6]
논문
The Sympathetic Plot, Its Psychological Origins, and Implications for the Evolution of Fiction
https://www.research[...]
2021-07
[7]
서적
A Skeleton Key to Finnegans Wake
http://www.jcf.org/w[...]
2008-05-16
[8]
서적
The Hero with a Thousand Fac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49
[9]
서적
Edge of Taos Desert: An Escape to Reality
1987
[10]
서적
Qabalah of 50 Gates
2008
[11]
서적
Issues in Russian Literature Before 1917
1989
[12]
논문
The Structural study of myth
[13]
문서
Bibleverse Jonah 1–3 9
[14]
웹사이트
The Belly of the Whale ! Jungian Analysis
http://jungian.ca/ar[...]
2013-01-19
[15]
방송
The Hero's Adventure
1988
[16]
웹사이트
The Writer's Journey
http://www.thewriter[...]
2011-03-26
[17]
간행물
'Star Wars: A Myth for Our Time'
1978
[18]
서적
Finding the Force of the Star Wars Franchise: Fans, Merchandise, & Critics
https://books.google[...]
Peter Lang
2006
[19]
서적
Joseph Campbell: A Fire in the Mind
2002
[20]
웹사이트
The Mythology of Star Wars with George Lucas and Bill Moyers
http://films.com/tit[...]
2020-05-24
[21]
웹사이트
Star Wars @ NASM, Unit 1, Introduction
http://airandspace.s[...]
Smithsonian Institution
2016-08-22
[22]
서적
Edmund Spenser's Faerie Queene and the Monomyth of Joseph Campbell: Essays in Interpretation
Edwin Mellen Press
2000
[23]
학위논문
Ishmael's Sea Journey and the Monomyth Archetypal Theory in Melville's "Moby-Dick"
California State University, Dominguez Hills
2008
[24]
학위논문
A Heroine's Journey: The Feminine Monomyth in Jane Eyre
2012
[25]
학위논문
Manifestations of the Monomyth in Fiction: Dickens, Faulkner, Maugham, and Salinger
University of South Dakota
1992
[26]
학위논문
The Hemingway Hero and the Monomyth: An Examination of the Hero Quest Myth in the Nick Adams Stories
Florida Atlantic University
2003
[27]
학위논문
The Monomyth and Mark Twain's Novels
San Francisco State College
1967
[28]
학위논문
The Monomyth in W.B. Yeats' Cuchulain Play Cycle
the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Circle
1979
[29]
학위논문
Ransom's Journey as a Monomyth Hero in C.S. Lewis' Out of the Silent Planet, Perelandra, and That Hideous Strength
Hardin-Simmons University
2006
[30]
학위논문
The Monomyth Hero in Tolkien's The Lord of the Rings
1977
[31]
서적
Seamus Heaney, Poet of Contrary Progressions
https://books.google[...]
Syracuse University Press
1993
[32]
간행물
Stephen King's "The Dark Tower": a modern myth
http://epubl.ltu.se/[...]
University essay from Luleå tekniska Universitet/Språk och kultur
2008
[33]
서적
Kubrick's Story, Spielberg's Film
Rowman & Littlefield Publishing
[34]
웹사이트
Haven
https://604shop.com/[...]
[35]
서적
The Hero's Journey (Bloom's Literary Themes)
Bloom's Literary Criticism
2009
[36]
서적
Ordinary heroines: transforming the male myth
https://archive.org/[...]
Continuum
1994
[37]
뉴스
http://www.boston.co[...]
Boston Globe
2009-11-03
[38]
웹사이트
Use by Bly of Campbell's monomyth work
http://www.robertbly[...]
2009-11-03
[39]
웹사이트
The hero's journey: New psychology research reveals a pathway to greater life meaning
https://www.psypost.[...]
2024-01-09
[40]
문서
2006
[41]
간행물
"African Oral Narrative Traditions"
Modern Language Association
1998
[42]
서적
"The Politics of Myth: A Study of C.G. Jung, Mircea Eliade, and Joseph Campbell"
https://books.google[...]
SUNY Press
1999-09
[43]
논문
Film Reviews
[44]
서적
The American Monomyth
Doubleday
1977
[45]
서적
The Heroine's Journey: Woman's Quest for Wholeness
https://books.google[...]
Shambhala Publications
1990-06-23
[46]
서적
From Girl to Goddess: The Heroine's Journey Through Myth and Legend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0-10-19
[47]
서적
The Virgin's Promise: Writing Stories of Feminine Creative, Spiritual, and Sexual Awakening
Michael Wiese Productions
2010
[48]
웹사이트
Nicole Franklin, Author at The Good Men Project
https://goodmenproje[...]
2019-09-18
[49]
웹사이트
"'Star Wars' despots vs. 'Star Trek' populists"
http://www.salon.com[...]
1999-06-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